KR101776292B1 -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 Google Patents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292B1
KR101776292B1 KR1020160021662A KR20160021662A KR101776292B1 KR 101776292 B1 KR101776292 B1 KR 101776292B1 KR 1020160021662 A KR1020160021662 A KR 1020160021662A KR 20160021662 A KR20160021662 A KR 20160021662A KR 101776292 B1 KR101776292 B1 KR 10177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acid
basic
acid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521A (ko
Inventor
이승호
김운중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2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4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chemi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03Burettes, i.e.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through differen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세관 현상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화학관련 실험용 과학키트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세관 현상으로 산성잉크를 충진한 마커로 필기면에 도포시 무색의 필기면을 그리고 그 위에 모세관 현상으로 염기성 잉크를 충진한 마커로 도포시 형광 노란색의 필기면을 얻을 수 있는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Science experiment kit of art play using capillary and acid-base reaction}
본 발명은 모세관 현상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화학관련 실험용 과학키트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세관 현상으로 산성잉크를 충진한 마커로 필기면에 도포시 무색의 필기면을 그리고 그 위에 모세관 현상으로 염기성 잉크를 충진한 마커로 도포시 형광 노란색의 필기면을 얻을 수 있는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화학 관련 과학실험 키트는 실험후에 얻어진 결과물들을 일상 생활속에서 계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과학 실험 키트는 없었다.
즉 기존의 과학실험 키트 제품들은 단지 실험만을 위한 제품으로 실험 후에는 실험 제품을 계속적으로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없고, 실험으로만 끝났다. 본 발명은 실험 후에 만들어진 제품을 일상 생활속에서도 계속적으로 활용가능하여 주변의 친구들에게 자신이 실험으로 만든 제품을 신기하고 재미있는 미술활동을 유도하기 때문에 과학에 대한 기대 및 흥미유발을 부여할 수 있는 1석2조의 미술놀이 과학실험 키트이다. 또한 기존의 산염기 실험에 사용하는 지시약인 페놀프탈레인, 티몰프탈레인 등은 일반색만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산염기 반응으로 사용하는 지식약인 피라닌(Pyranine, C16H7Na3O10S3)은 형광색으로 시인성이 일반색에 비하여 우수하기 때문에 산염기 반응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기존의 지시약들은 물에서의 용해성이 좋지 않아,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유아나 아동들이 실험하기에는 건강상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피라닌은 의약품이나 화장품에도 사용되는 물질로서 물만으로도 쉽게 용해가 되기 때문에 건강상 위험성도 해소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공지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8971호에서는 수성 잉크의 성분을, 제1 색재가 정착한 중앙부의 주위에 제2 색재가 정착한 윤곽부를 형성하는 잉크 방울의 정착 상태를 피기록재의 적어도 표면 부분에 형성할 수 있도록 제조하기 위한 화상 견고성과 기록 화상의 발색성을 함께 양호하게 하는 수성 잉크, 기록 화상 및 기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92-886호에서는 수용성 알칼리성 매체내에, 일광 형광염료 또는 형광염료인 히드록시피렌 트리술폰산을 함유하는 표시액체에 관한 것으로 단당류, 올리고당류 또는 다당류, 이로부터 환원에 의해 유도된 폴리올, 또는 상기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pH치가 알카리 범위내인 히드록시피렌 트리술폰산(피라닌 또는 C.I. 용매 녹색색소 7 제59040호)의 수용액계 표시액체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264584호에서는 소정의 고형상 필기구와 조합해 사용하는 필기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및 필기판 장치에 관한것으로 필기판 부재에는 플라빈 로다민 피라닌계의 형광 염료, 또는 이들을 원료로서 제작된 형광 안료 등의 형광성 물질, 혹은 Cu-ZnS를 주성분으로 하는 축광 안료 등의 축광성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다. 단, 필기판 부재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경우, 폴리염화비닐과 같이 가소제를 포함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필기판 부재가 형광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경우, 필기판 장치를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한 후, 필기판 장치에 블랙 라이트를 비추면, 필기판 부재가 빛나는데 대해, 필기한 글자는 어두운 곳에서도 필기판 부재에 필기한 선이나 문자 등을 볼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4-033010호에서는 연필 재료 중에 반죽에 의해 균일하게 분배 또는 균질하게 용해된 색소, 안료 등의 염료 캐리어를 가지는 마커를 제공하는 것으로 물건의 표면에 쓰여져 있는 문자 등을 눈에 띄게 하기 위해, 형광 염료, 특히 주광 형광 염료를 마킹으로서 그 위에 바를 수 있는 마커로 연필 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급 지방산, 특히 스테아린산, 팔미트산, 올레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으로 상기의 염은 수용액 중에서 알칼리 반응을 일으키므로, 피라닌과 같이 발광하는데 알칼리 매체를 필요로 하는 색소와 함께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0439138호에서는 자외선 형광잉크가 내장된 비밀펜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통상적인 잉크가 내장된 필기구가 설치된 수용체와; 상기 비밀펜을 덮는 원통형 구조로서, 자외선 램프와 스위치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뚜껑;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은 일단에 램프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스위치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뚜껑과; 격벽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비밀펜을 덮는 비밀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뚜껑과; 상기 상단뚜껑의 몸통 내부에 수용되며, 자외선 램프와 베터리 및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가 부설된 비밀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피라닌의 발광 특성을 이용한 잉크 조성물, 필기판에 적용된 경우, 형광 염료의 한 성분으로써 사용되는 마커에 대한 기재 및 자외선 형광잉크를 이용한 필기구에 대한 기재가 있으나, 모세관 현상 및 산염기 반응을 이용한 산성과 염기성 잉크의 반응을 통해 형광 필기면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된 사례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8971호 한국공개특허 제92-886호 일본공개특허 제2002-264584호 일본공개특허 제1994-03301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04391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과학실험 키트로서 모세관 현상 및 산염기 반응을 파악하고 실험과 미술활동을 접목하여 아이들의 흥미유발 및 과학 지식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모세관 현상으로 산성잉크를 충진한 마커로 필기면에 도포시 무색의 필기면을 그리고 그 위에 모세관 현상으로 염기성 잉크를 충진한 마커로 도포시 형광 노란색의 필기면을 얻을 수 있는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에 있어서,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닙, 상기 닙이 결합된 상기 수용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테일, 상기 닙을 보호하기 위한 캡 및 상기 수용체 내에 수용되는 산성잉크 또는 염기성잉크를 흡수하기 위한 필터로 구성된 마커 사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성잉크는 소정양의 용매, 산성물질 및 형광염료로 구성되며 상기 염기성잉크는 소정양의 용매 및 염기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성잉크를 구성하는 상기 용매는 30 내지 90 중량부의 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이며, 상기 산성물질은 0.1 내지 20 중량부의 시트릭산, 아세트산 또는 시트릭산과 아세트산의 혼합물이고, 상기 형광염료는 0.01 내지 5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성잉크를 구성하는 상기 용매는 30 내지 99 중량부의 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이며, 상기 염기성물질은 0.1 내지 20 중량부의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 수산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에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산성잉크 또는 염기성잉크를 흡수시키기 위해서 상기 산성잉크 및 염기성잉크를 이송하는 스포이드, 상기 스포이드를 통해 소정양의 산성잉크 및 염기성잉크를 담지하는 샬레 및 산성 지시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섬유집합체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설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오스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 후에 만들어진 제품을 일상 생활속에서도 계속적으로 활용가능하여 주변의 친구들에게 자신이 실험으로 만든 제품을 신기하고 재미있는 미술활동을 유도하기 때문에 과학에 대한 기대 및 흥미유발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방법에 사용된 지시약인 피라닌은 형광색으로 시인성이 일반색에 비하여 우수하기 때문에 산염기 반응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피라닌은 의약품이나 화장품에도 사용되는 물질로서 물만으로도 쉽게 용해가 되기 때문에 건강상 위험성도 해소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산성잉크 마커는 무색이기 때문에 종이 등에 묘화하여도 색상이 묘화면이 보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지시약은 피라닌의 구조식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마커 사출물의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산성 잉크마커를 만드는 방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염기성 잉크마커를 만드는 방법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험키트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는 본 발명 실험키트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지시약인 피라닌의 구조식이다.
본 발명은 모세관현상 및 산염기 반응을 실험할 수 있는 화학 관련 미술놀이 과학실험 키트로 산성잉크와 염기성잉크 그리고 이 잉크들을 충진하여 묘화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마커 부속품들로 구성된다.
상기 산성잉크는 용매, 산성물질, 형광염료로 적어도 이루어진 무색투명 또는 연노랑의 투명잉크이다. 상기 용매는 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사용량은 30~90중량부를 사용한다. 용매의 첨가량이 30중량부보다 적으면 잉크의 점도가 너무 높아 마커에 충진하여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90중량부를 초과하면 묘화면의 색상농도가 흐리져서 시인성 및 가독성이 떨어진다.
상기 용매는 물의 존재 형태인 순수, 담수, 기수, 염수, 또는 알코올과 물의 혼합매와 같은 수계 용매와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퀴놀린, 피리딘 등의 복소고리 화합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 아세트산메틸, 아크릴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 디에틸렌트리아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등의 아민류 ; 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등의 에테르류 : N-메틸피롤리돈 (NMP),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 헥사메틸포스팔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와 같은 유기계 용매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 것일 수 있다.
산성물질은 잉크의 pH를 산성으로 만들어 형광염료가 형광 노란색으로 발색되지 않고 무색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산성물질의 예로는 시트릭산, 아세트산 등을 0.1 내지 20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0.1 중량부 이하면 산성잉크의 색상이 형광노란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무색의 도포면을 얻기가 어렵다. 10 중량부 이상에서는 잉크의 pH가 너무 높아 염기성잉크로 도포하여도 발색이 어렵고 색의 농도가 흐려져서 시인성 및 가독성이 떨어진다.
상기 형광염료는 산성에서 (pH 5 이하)에서 무색 또는 연한 노란색 염기성(pH 7 이상)에서 형광 노란색을 나타내는 Solvent Green 7로 명명되는 피라닌 화합물을 0.01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한다. 첨가량이 0.01 중량부 이하에서는 염기성 잉크와 반응시 색의 농도가 너무 옅어 시인성 및 가독성이 떨어지며, 5 중량부 이상에서는 용매에 용해가 되지 않아 잉크 제조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산염기 지식약으로는 다양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시인성 및 가독성이 확보된다면 그 적용에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다. 지시약으로는 알리자린 블루 (Alizarin Blue), 메틸 바이올렛 (Methyl Violet), o-크레졸 레드 (o-Cresol Red), 크리스털 바이올렛 (Crystal Violet), 에리트로신 (Erythrosin), 티몰 블루 (Thymol Blue), m-크레졸 레드 (m-Gresol Red), 메틸 바이올렛 6B (Methyl Violet 6B), 아미노아조벤젠 (Aminoazobenzene), 알리자린 옐로 R (Alizarin Yellow R), β-디니트로페놀 (β-Dinitrophenol(2,6-Dinitrophenol), 메틸 오렌지 (Methyl Orange), 콩고 레드 (Congo Red), p-에틸 오렌지 (p-Ethyl Orange), 나프틸 레드 (Naphthyl Red), 메틸 레드 (Methyl Red), 카르민산 (Carminic acid), 클로르페놀 레드 (Chlorphenol Red), p-니트로페놀 (p-Nitrophenol), 피나크롬 (Pinachrome), 브롬티몰 블루 (Bromothymol Blue), 알리자린 블루 (Alizarin Blue), 페놀 레드 (Phenol Red), 퀴놀린 블루 (시아닌) (Quinoline Blue(Cyanine)), ο-크레졸벤제인 (o-Cresolbenzein), α-나프톨프탈레인 (α-Naphtholphthalein), 디-o-히드록시스티릴케톤 (Di-o-hydroxystyrylketone), 쿠르쿠민 (브릴리안트 옐로)(Curcumin(Brilliant Yellow)), p-크실레놀 블루 (p-Xylenol Blue), ο-크레졸프탈레인 (o-Cresolphthalein), 나일 블루 A (Nile Blue A), 아조 블루 (Azo Blue), 디아조 바이올렛 (Diazo Violet), 염기성 푹신 (Fuchsine, basic), 인디고 카르민 (Indigo Carmine), 1,3,5-트리니트로벤젠 (1,3,5-Trinitrobenzene), 산성 푹신 (Fuchsine, acid) 등 일 수 있다.
또한, 형광 염료로서 피라닌 이외에 다양한 염료가 적용될 수 있다. 에시드 블루 9(트리페닐메탄), 바소닐 레드 485(산텐), 베이직 엘로우 40(쿠마린), 솔벤트 레드 49(로다민)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산성잉크는 용매, 산성물질 그리고 형광염료가 혼합된 완성품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물질들을 혼합함으로써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염기성 잉크는 용매, 염기성물질로 이루어진 무색 투명한 잉크이다. 용매는 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30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하며, 염기성물질은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 수산화나트륨 등을 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한다. 사용량이 0.1 중량부보다 낮으면 상기의 산성잉크와 반응하면 색상이 너무 흐리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묘화하기가 어렵다.
상기의 산성잉크 및 염기성 잉크는 마커 부속품 중 필터에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충진할 수 있다. 이것은 필터가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져 미세한 공극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마커 사출물의 그림이다.
상기 마커 사출물은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닙, 상기 닙이 결합된 상기 수용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테일, 상기 닙을 보호하기 위한 캡 및 상기 수용체 내에 수용되는 산성잉크 또는 염기성잉크를 흡수하기 위한 필터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산성 잉크마커를 만드는 방법이다.
산성잉크 마커를 만드는 방법은 산성잉크 3ml를 스포이드로 채취하여 샬레에 넣고, 마커 사출물이 필터를 샬레에 수직으로 놓아두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산성잉크가 자동으로 필터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필터는 수용체에 넣고 수용체에 테일을 조립한다. 수용체의 앞부분에 닙을 조립하고 캡을 조립하여 산성잉크 마커를 완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염기성 잉크마커를 만드는 방법이다.
염기성잉크 마커를 만드는 방법은 염기성잉크 3ml를 스포이드로 채취하여 샬레에 넣고 마커 사출물이 필터를 샬레에 수직으로 놓아두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산성잉크가 자동으로 필터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필터는 수용체에 넣고 수용체에 테일을 결합한다. 수용체의 앞부분에 닙을 조립하고 캡을 조립하면 염기성잉크 마커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한 본 발명의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의 일 실시예는 도 5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실시예 ]
시트릭산, 피라닌 및 물을 준비한 후, 물 94.5 중량부, 시트릭산 5 중량부, 피라닌 0.5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배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산성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용매와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 수산화나트륨을 준비한 후, 물 55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2 중량부, 아미노메틸프로판 2 중량부 및 수산화나트륨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염기성 잉크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산성잉크 조성물이 함유된 마커로 흰색 종이에 글자를 표기한 경우 아무런 표시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염기성 잉크 조성물이 함유된 마커로 칠하면 산성잉크 조성물이 함유된 마커로 표기로 글자가 표현됨을 도 6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실시예 등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마커 사출물
110: 수용체
120: 닙
130: 테일
140: 필터

Claims (6)

  1.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에 있어서,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닙,
    상기 닙이 결합된 상기 수용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테일,
    상기 닙을 보호하기 위한 캡 및
    상기 수용체 내에 수용되는 산성잉크 또는 염기성잉크를 흡수하기 위한 필터로 구성된 마커 사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에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산성잉크 또는 염기성잉크를 흡수시키기 위해서 상기 산성잉크 및 염기성잉크를 이송하는 스포이드, 상기 스포이드를 통해 소정양의 산성잉크 및 염기성잉크를 담지하는 샬레 및 산성 지시약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잉크는 소정양의 용매, 산성물질 및 형광염료로 구성되며 상기 염기성잉크는 소정양의 용매 및 염기성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잉크를 구성하는 상기 용매는 30 내지 90 중량부의 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이며, 상기 산성물질은 0.1 내지 20 중량부의 시트릭산, 아세트산 또는 시트릭산과 아세트산의 혼합물이고, 상기 형광염료는 0.01 내지 5 중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잉크를 구성하는 상기 용매는 30 내지 99 중량부의 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이며, 상기 염기성물질은 0.1 내지 20 중량부의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 수산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섬유집합체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설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오스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KR1020160021662A 2016-02-24 2016-02-24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KR10177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62A KR101776292B1 (ko) 2016-02-24 2016-02-24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62A KR101776292B1 (ko) 2016-02-24 2016-02-24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21A KR20170099521A (ko) 2017-09-01
KR101776292B1 true KR101776292B1 (ko) 2017-09-07

Family

ID=5992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662A KR101776292B1 (ko) 2016-02-24 2016-02-24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2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8329A1 (fr) * 2001-08-31 2003-03-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kaisha Outil d'ecriture
JP4053426B2 (ja) * 2001-02-09 2008-02-27 テレンス・ウィリアム・ボルトン マーカーペン
JP4087222B2 (ja) * 2002-10-31 2008-05-21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可逆熱変色性筆記具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3426B2 (ja) * 2001-02-09 2008-02-27 テレンス・ウィリアム・ボルトン マーカーペン
WO2003018329A1 (fr) * 2001-08-31 2003-03-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kaisha Outil d'ecriture
JP4087222B2 (ja) * 2002-10-31 2008-05-21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可逆熱変色性筆記具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21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471A (en) Kit comprising multicolored fluid dispenser markers together with eradicating fluid dispenser, stamps and stamp pad
DE602005004988T2 (de) Reversibele thermochromische Zusammensetzung und Mikrokapseln, die diese enthalten
DE602004008695T2 (de) Thermochromische Zusammensetzung mit Farbgedächtnis, Tinte, und mikroverkapseltes Pigment, das diese Zusammensetzung enthält
US5270100A (en) Phosphorescent coloring method
CN108975309A (zh) 使用蓝藻制备水溶性碳量子点及荧光油墨的方法及其应用
DE1109712B (de) Kopierschichten zur Herstellung von Bildern durch Waerme
JP3304612B2 (ja) 筆記具用蛍光色インキ組成物
KR101776292B1 (ko) 모세관 및 산염기반응을 이용한 미술놀이 과학실험키트
CN102166905B (zh) 一种固体透明笔芯及其制造方法
CN101490183A (zh) 适用于无孔表面的干擦型墨水
US6521033B1 (en) Ink composition, writing instrument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forming image on receiving surface
JP5118277B2 (ja) 消色可能水性インキ組成物
Soujanya et al. Synthesizing Easily Erasable Whiteboard Ink Using Locally Available Azadiracta Indica (Neem) Gum
Pines The story of ink
JP2002188033A (ja) 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並びにこのインキを用いたマーカー
KR100977241B1 (ko) 소색성 고형상 묘화체
JPS59124966A (ja) インクセツト
JPH08156479A (ja) フォトクロミックペン
KR100512602B1 (ko) 수소거성 잉크 조성물
KR101077367B1 (ko) 잉크 조성물
US8425675B2 (en) Recrystallization type of ink composition
PO et al. N I. Erasable Ink Production for White Board Marker Using Locally Sourced Dye
Ducci Fascinating school experiments with fluorescent dyes
CA1285533C (en) Kit comprising multicolored fluid dispenser markers together with eradicating fluid dispenser, stamps and stamp pad
JPH0224369A (ja) 耐光性フォトクロミックイン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