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925B1 -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925B1
KR101775925B1 KR1020150173443A KR20150173443A KR101775925B1 KR 101775925 B1 KR101775925 B1 KR 101775925B1 KR 1020150173443 A KR1020150173443 A KR 1020150173443A KR 20150173443 A KR20150173443 A KR 20150173443A KR 101775925 B1 KR101775925 B1 KR 10177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head
display area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224A (ko
Inventor
금병직
오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9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02B2027/01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comprising dichro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02B2027/011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comprising devices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는, 차량의 전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물체 감지부;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기반으로 전방물체 감지부로부터 감지한 물체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OBJECTS USING HEAD-UP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과 물체의 위치,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물체를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한 물체 아이콘 등을 통해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차량에는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운전자에게 목적지와 길 안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앞 유리창에 원하는 정보를 투사하여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도 투사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 Head-Up Display)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나아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특정 정보를 증강현실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3차원의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내비게이션 정보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만 하였다. 즉, 내비게이션 정보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 차량의 위치와 실제의 차선이 일치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들을 증강현실로 표시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선을 인식하여 실제 차선의 위치에 맞춰 증강현실로 가상의 차선을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054021호(2015.05.20.)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증강현실을 통해 전방의 물체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경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표시영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실제 차량의 전면 유리창을 통해 보이는 물체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물체와 중첩해서 가상의 영상을 모두 표시할 경우 가상의 영상으로 인해 실제 물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크기의 물체 및 물체의 거리에 따라 물체를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한 물체 아이콘 등을 통해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는, 차량의 전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물체 감지부;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전방물체 감지부로부터 감지한 물체의 위치 및 크기와 비교하여, 물체의 위치가 표시영역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고, 물체의 크기가 표시영역을 벗어나는지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각각 다르게 생성하며, 영상을 물체의 위치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방물체 감지부는, 카메라, 나이트 비젼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및 V2X 수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전방물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전방물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물체의 크기를 판단하는 크기 판단부; 및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색농도 및 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물체의 위치가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할 경우, 물체가 위치하는 표시영역의 외곽에 물체 아이콘 및 물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물체가 표시영역 내에 위치 하지만 크기가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물체의 위치에 기저표시와 물체 아이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물체가 표시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물체에 테두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때, 물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물결무늬가 퍼져나가도록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거나, 물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거나 모이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은, 제어부가 전방물체 감지부로부터 감지한 물체의 감지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물체의 감지결과로부터 물체의 위치와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물체의 위치 및 크기와 비교하여, 물체의 위치가 표시영역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고, 물체의 크기가 표시영역을 벗어나는지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각각 다르게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생성한 영상을 물체의 위치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색농도 및 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물체의 위치가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가 물체가 위치하는 표시영역의 외곽에 물체 아이콘 및 물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물체가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지만 크기가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가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저표시와 물체 아이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물체가 표시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가 물체를 감싸는 테두리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영상에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물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물결무늬가 퍼져나가도록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거나, 물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거나 모이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크기의 물체 및 물체의 거리에 따라 물체를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기저표시, 방향표시 및 물체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30), 전방물체 감지부(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30)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영상을 투사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전방물체 감지부(10)는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부(2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전방물체 감지부(10)는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나이트 비젼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및 V2X 수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V2X 수신부로부터는 다른 차량이나 서버로부터 주변의 차량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30)의 표시영역을 기반으로 전방물체 감지부(10)로부터 감지한 물체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위치 판단부(22), 크기 판단부(24) 및 그래픽 생성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22)는 전방물체 감지부(10)의 감지결과로부터 감지된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고, 크기 판단부(24)는 전방물체 감지부(10)의 감지결과로부터 감지된 물체의 크기를 판단하며, 그래픽 생성부(26)는 물체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색농도 및 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는 색농도를 진하게 적용하거나 휘도를 높게 적용할 수 있고, 먼 거리에 있는 물체는 색농도를 연하게 적용하거나 휘도를 낮게 적용하여 운전자가 물체와의 거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물체의 위치가 표시영역(A) 외부에 위치할 경우(D), 물체가 위치하는 표시영역(A)의 외곽에 물체 아이콘 및 물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표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물체가 표시영역(A) 내에 위치 하지만 크기가 표시영역(A)을 벗어나는 경우(C), 물체의 위치에 기저표시와 물체 아이콘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물체가 표시영역(A) 내에 포함되는 경우(B), 물체에 테두리 영상을 표시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영상으로 인해 물체가 가려지지 않도록 테두리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때 물체의 움직이는 속도를 표시할 수도 있고, 물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물결무늬가 퍼져나가도록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때 물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거나 모이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크기의 물체 및 물체의 거리에 따라 물체를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기저표시, 방향표시 및 물체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20)가 전방물체 감지부(10)로부터 감지한 물체의 감지결과를 입력받는다(S10).
여기서 전방물체 감지부(10)는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나이트비젼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및 V2X 수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물체 감지부(10)로부터 전방 차량, 보행자 및 지형물 등의 물체를 감지한다.
S10 단계에서 물체의 감지결과를 입력받으면, 제어부(20)는 물체의 위치를 판단한다(S20).
S20 단계에서 물체의 위치를 판단한 후, 제어부(20)는 물체의 위치가 헤드업 디스플레이(30)의 표시영역(A) 외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30).
즉, 헤드업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전면 유리창에 영상을 투사하는 표시영역(A)은 전면 유리창의 일부이기 때문에 물체가 표시영역(A) 외부에 위치할 경우 표시영역(A)에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S30 단계에서 물체의 위치가 표시영역(A) 외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한 후, 제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A) 외부에 물체가 위치할 경우(D), 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물체 아이콘 및 방향표시 영상을 생성한다(S80).
예를 들어, 물체 아이콘으로 사람이 움직이는 아이콘과, 방향표시로 화살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화살표 방향에 사람이 위치한다는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S80 단계에서 물체 아이콘 및 방향표시 영상을 생성한 후, 제어부(20)는 생성한 영상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S90).
즉, 도 2와 같이 물체가 표시영역(A)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체가 위치하는 표시영역(A)의 외곽에 물체 아이콘 및 방향표시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S30 단계에서 물체가 표시영역(A) 내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20)는 물체의 크기를 판단한다(S40).
S40 단계에서 물체의 크기를 판단한 후, 제어부(20)는 물체가 표시영역(A)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50).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의 위치는 표시영역(A) 내에 위치하지만, 물체가 크고 일부가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C)와, 물체가 작고 표시영역(A) 내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B)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S50 단계에서 물체가 표시영역(A)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물체의 크기가 표시영역(A) 내에 포함되는 경우 물체를 나타내기 위한 테두리 영상을 생성한다(S70).
즉,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영상으로 인해 물체가 가려지지 않도록 물체를 감싸는 모양의 테두리만 나타내어 물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체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S70 단계에서 물체의 테두리 영상을 생성한 후, 제어부(20)는 생성한 영상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S90).
또한, S50 단계에서 물체가 표시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물체의 크기가 표시영역(A)을 벗어나는 경우(C), 즉 물체의 위치는 표시영역(A) 내에 위치 하지만 크기가 표시영역(A)을 벗어나게 되면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저표시와 물체 아이콘 영상을 생성한다(S60).
이후 S60 단계에서 물체의 테두리 영상을 생성한 후, 제어부(20)는 생성한 영상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S90).
즉, 도 2와 같이 물체의 아래에 기저표시를 한 후 기저표시 위로 물체 아이콘을 물체와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S60 단계, S70 단계 및 S80 단계에서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할 때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색농도 및 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는 색농도를 진하게 적용하거나 휘도를 높게 적용할 수 있고, 먼 거리에 있는 물체는 색농도를 연하게 적용하거나 휘도를 낮게 적용하여 운전자가 물체와의 거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S90 단계에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의 움직이는 속도를 표시할 수도 있고, 물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물결무늬가 퍼져나가도록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때 물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거나 모이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물체가 나타난 상황을 바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크기의 물체 및 물체의 거리에 따라 물체를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기저표시, 방향표시 및 물체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전방물체 감지부 20 : 제어부
22 : 위치 판단부 24 : 크기 판단부
26 : 그래픽 생성부 30 : 헤드업 디스플레이

Claims (16)

  1. 차량의 전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물체 감지부; 및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상기 전방물체 감지부로부터 감지한 상기 물체의 위치 및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영역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물체의 크기가 상기 표시영역을 벗어나는지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각각 다르게 생성하며, 상기 영상을 상기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색농도를 다르게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지만 크기가 상기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물체의 위치에 기저표시와 물체 아이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물체 감지부는, 카메라, 나이트 비젼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및 V2X 수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물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전방물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체의 크기를 판단하는 크기 판단부; 및 상기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휘도를 다르게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물체 아이콘 및 상기 물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상기 표시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물체에 테두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상기 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물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물결무늬가 퍼져나가도록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물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거나 모이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10. 제어부가 전방물체 감지부로부터 감지한 물체의 감지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체의 감지결과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와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상기 물체의 위치 및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영역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물체의 크기가 상기 표시영역을 벗어나는지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각각 다르게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영상을 상기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물체를 나타내는 상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색농도를 다르게 적용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지만 크기가 표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저표시와 물체 아이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나타내는 상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휘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물체 아이콘 및 상기 물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
  13. 삭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나타내는 상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물체가 상기 표시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체를 감싸는 테두리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에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물결무늬가 퍼져나가도록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물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거나 모이는 물결무늬의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방법.
KR1020150173443A 2015-12-07 2015-12-07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177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443A KR101775925B1 (ko) 2015-12-07 2015-12-07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443A KR101775925B1 (ko) 2015-12-07 2015-12-07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24A KR20170067224A (ko) 2017-06-16
KR101775925B1 true KR101775925B1 (ko) 2017-09-08

Family

ID=5927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443A KR101775925B1 (ko) 2015-12-07 2015-12-07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9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676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5011666A (ja) * 2013-07-02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グラム
JP2015009646A (ja) * 2013-06-28 2015-01-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676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5009646A (ja) * 2013-06-28 2015-01-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JP2015011666A (ja) * 2013-07-02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24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7927B2 (ja) 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方法及び車両用表示プログラム
JP7065383B2 (ja) 表示システム、情報提示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JP6459205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6379779B2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5079654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20224060A1 (en) Reducing Driver Distraction Using a Heads-Up Display
US11525694B2 (en) Superimposed-imag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6883759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JP6264037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方法
CN110244460B (zh) 车辆投影显示设备
JP5942979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方法
JP5533766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8008362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66416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4229102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3174667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5075190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2247847A (ja) 車両用情報伝達制御装置、及び、情報伝達制御方法
US9875562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112484743A (zh) 车载hud融合实景导航显示方法及其系统
JP712756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775925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물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201012864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20230022485A1 (en) 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vehicle display device, 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170056100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