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249B1 - 콘스탄트-포스 가요성 팰릿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콘스탄트-포스 가요성 팰릿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249B1
KR101775249B1 KR1020157008752A KR20157008752A KR101775249B1 KR 101775249 B1 KR101775249 B1 KR 101775249B1 KR 1020157008752 A KR1020157008752 A KR 1020157008752A KR 20157008752 A KR20157008752 A KR 20157008752A KR 101775249 B1 KR101775249 B1 KR 10177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fork
pivot
head
flexibl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791A (ko
Inventor
마르크 슈트란츨
장-뤽 헬페르
Original Assignee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5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06Free escapements
    • G04B15/08Lever escap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10Escapements with constant impulses for the regulating mechanism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1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nstruction of the lever or the escape whe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machin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이스케이프 휠 (20) 과 협동작용하도록 설계된 팰릿 헤드 (2), 및 밸런스 스프링 (30) 과 협동작용하도록 설계된 포크 (6) 를 포함하는 팰릿 레버 (1) 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팰릿 헤드 (2) 에 대한 상기 포크 (6) 의 각위치는 가변적이다. 가요성 스트립 (10) 는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사이에 단지 영구 기계적 연결부를 제공한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은, 하나의 상기 팰릿 레버 (1) 와 협동작용하는, 메인 플레이트 (40), 이스케이프 휠 (20), 및 밸런스 스프링 (30) 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는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사이에 좌굴되게 프리로딩되어 장착되고, 상기 팰릿 레버 (1) 는 적어도 2 개의 안정 상태들 및 2 개의 준안정 상태들을 포함하는 쌍안정 시스템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콘스탄트-포스 가요성 팰릿 어셈블리{CONSTANT-FORCE FLEXIBLE PALLET ASSEMBLY}
본 발명은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팰릿 및/또는 하나의 출구 팰릿을 지지하고 이스케이프 휠과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팰릿 헤드를 포함하고, 밸런스와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포크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하나의 팰릿 레버와 협동작용하는 이스케이프 휠과 밸런스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피스 무브먼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스케이프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타임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카니즘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의 작동 규칙성은, 배럴 토크가 변하는 와치 (watch) 에서 강도가 불규칙적일 수도 있는, 진동 및 특히 임펄스의 적절한 유지 제어에 좌우된다.
최적의 작동 안전성을 찾는 것은 타임피스 무브먼트들의 설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사이다.
LENOBLE 명의의 FR 특허 출원 제 2928015A1 호는, 치형 이스케이프 휠, 팰릿 레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장착 밸런스를 포함하는, 와치용 팰릿 레버를 구비한 접선 임펄스 이스케이프먼트 기기를 개시한다. 팰릿 레버는 별개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각 피봇 선회하는 2 개의 부분들로 되어있고, 2 개의 부분들은 인접한 단부들로 공통 힌지에서 끝나는 2 개의 전달 아암들을 통하여 서로 힌지결합되어서, 팰릿 레버의 2 개의 부분들은 동일한 속도로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팰릿 레버의 각 부분은 로킹 팰릿-스톤 및 임펄스 팰릿-스톤을 포함하고, 임펄스 팰릿-스톤은 이스케이프 휠 치형부로부터 임펄스를 접선 방식으로 받아들인다.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기기는 별개의 진동 회전 축선들을 갖는 2 개의 스프링 장착 밸런스들을 포함하고, 팰릿 레버의 각 부분은 대응하는 스프링 장착 밸런스의 임펄스 핀에 구동 맞물려 계합가능한 포크를 포함한다.
FERRARA 명의의 특허 출원 제 WO 2011/064682 A1 호는 서로 힌지결합된 2 개의 부분들로 된 팰릿 레버에 관한 것으로, 힌지는 호른 및 가드 핀을 지지하는 팰릿 레버의 부분과 일체형인 편심 캠을 포함하고, 팰릿-스톤들을 지지하는 팰릿 레버의 부분과 일체형인 포크와 협동작용한다.
AUDEMARS PIGUET RENAUD ET PAPI 명의의 특허 출원 제 EP2444 860A1 호는, 각각 축선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고 서로 힌지 결합되는 2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팰릿 레버를 개시하고, 상기 부분들 중 하나의 피봇 선회는 다른 부분이 더 높은 진폭으로 피봇 선회하도록 유발한다.
GIRARD PERREGAUX 명의의 특허 제 EP2105806 호는, 변곡점 둘레에서 좌굴함으로써 작동하는 스트립 스프링을 통하여, 구동원으로부터 스프링 장착 밸런스와 같은 진동 조정기까지 임펄스를 전달하도록 배열된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이 스트립 스프링은 2 개의 임펄스 사이에서 구동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축적하고 그것을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를 통하여 각각의 임펄스에서 진동 조정기로 전달할 수 있다. 스트립 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스프링은, 제 1 레버와 제 2 레버의, 조정기의 회전 축선들 및 변곡점을 통과하는 제 1 축선에 대해, 그리고 제 1 축선에 수직이고 스트립 스프링의 단부들을 통과하는 제 2 축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변형가능한 프레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밸런스에 적용된 임펄스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과 진동 중 운동의 관성을 감소시키는 것 양자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또한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팰릿 및/또는 하나의 출구 팰릿을 지지하고 이스케이프 휠과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팰릿 헤드를 포함하고, 밸런스와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포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 대한 상기 포크의 각위치는 가변적이고, 상기 헤드와 상기 포크 사이의 단지 직접, 영구, 기계적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헤드의 피봇 선회 범위와 상기 포크의 피봇 선회 범위는 스톱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제한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와 상기 포크의 임의의 상대 위치들에서, 상기 포크의 적어도 제 2 아암에 포함되는 제 2 지지 및 스톱면과, 맞닿거나 지지하여,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지지 및 스톱면을 구비한 적어도 제 1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팰릿 레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과 일체 (one-piece) 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팰릿 레버는 규소 또는 산화규소 또는 금속 유리 또는 "LIGA" 니켈-인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하나의 팰릿 레버와 협동작용하는 이스케이프 휠과 밸런스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이 제 1 단부에서 헤드와 제 2 단부에서 포크 사이에 좌굴되게 프리스트레스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헤드와 상기 포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조립되고, 상기 팰릿 레버는 적어도 2 개의 안정 상태들 및 2 개의 준안정 상태들을 포함하는 쌍안정 시스템을 형성하고, 상기 2 개의 단부들은, 둘 중 어느 하나는 각각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고정된 하우징에서 자유롭게 피봇 선회하고, 또는 각각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는 하우징 내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우징은 그러면 다른 상기 하우징의 방향으로 복귀 응력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팰릿 레버는 밀폐 사이클을 수행하고 상기 밀폐 사이클 중 상기 가요성 스트립은 연속적으로 4 가지 주요 구성들을 차지하고:
- 상기 이스케이프 휠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 파형 Z 형상의 프로파일로 제 1 에너지 패스에 접근하고;
- 상기 쌍안정 스트립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제 1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1 에너지 패스를 통과하고, 상기 스트립은 볼록 호 프로파일로 제 2, 안정적, 저에너지 위치를 차지하고;
- 상기 이스케이프 휠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 파형 S 형상의 프로파일로 제 2 에너지 패스에 접근하고;
- 상기 쌍안정 스트립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2 에너지 패스를 통과하고, 상기 스트립은 오목 호 프로파일로 제 2, 안정적, 저에너지 위치를 차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피스 무브먼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스케이프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타임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이스케이프 휠과 밸런스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팰릿 레버를 포함하고, 피봇 선회식 헤드와 포크는 가요성, 쌍안정, 프리스트레스된 스트립에 의해 연결된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의 개략적 상면도를 보여주고; 이스케이프먼트 사이클의 제 1 단계에서 이 메커니즘이 나타나 있다.
도 2 내지 도 17 은, 도 1 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 사이클의 연속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18 은 가요성 쌍안정 스트립에서 에너지를 나타내는 개략적, 3 차원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19 는 도 18 의 다이어그램의 베이스 평면에서 투영도로, 직사각형은 이스케이프먼트 사이클 중 가요성 쌍안정 스트립에서 에너지 변화량를 구획한다.
도 20 은 도 1 내지 도 17 의 시간 (T1 ~ T17) 에 대응하는 에너지 위치들에 오버레이된 동일한 직사각형을 보여준다.
도 21 및 도 22 는 콘스탄트-포스 메커니즘들을 설명하는 블록도들이고, 도 21 에서 가요성 팰릿 레버를 포함하고, 도 22 에서 쌍안정 팰릿 레버를 포함한다.
도 23 및 도 24 는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메인 플레이트에 대한 피봇 축선들의 2 가지 특정 구성들의 개략도들이고: 도 23 에서 제 1 및 제 2 피봇 축선들은 메인 플레이트에 대해 고정 위치에 있고, 도 24 에서 제 2 축선은 이동가능한 위치에 있고, 여기에서는 병진운동하고, 탄성 복귀 수단과 조합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팰릿 레버 실시형태들의 개략도들을 보여주고, 단지 팰릿 헤드만 축선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고, 포크는 가요성 쌍안정 스트립의 일 단부에 장착되고 스트립을 프리스트레스하도록 이동이 제한된다.
도 28 및 도 29 는 특히 도 23 및 도 24 의 변형예들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피봇 모델들을 함께 모은 것으로: 도 28 에서는 단일 종래의 피봇, 단일 가요성 피봇을 보여주고 도 29 에서는 임의의 강성을 가지는 종래의 피봇 및 가이드 부재의 조합체와 임의의 강성을 가지는 가요성 피봇 및 가이드 부재의 조합체를 보여준다.
도 30 및 도 31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보여주고,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동일한 기하학적 피봇 축선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는, 메인 플레이트 (미도시), 헤드 및 포크에 고정된 일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2 개의 쌍안정 스트립들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32 및 도 33 는 반발 상호작용을 가지는 팰릿 레버들의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각각은 팰릿 레버의 헤드와 포크 사이에서 프리스트레스된 직선형 또는 S 형상의 스프링을 각각 갖는다.
도 34 는 헤드의 팰릿-스톤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5 는 본 발명에 따른 팰릿 레버를 수용하는 메인 플레이트 배열의 상이한 변형예들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6 은 포크가 이스케이프 휠-밸런스와 일직선에서 벗어난 상태로 이동가능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7 은 2 개의 가요성 쌍안정 스트립들을 구비한 팰릿 레버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8 은 팰릿 헤드와 포크에 가요성 쌍안정 스트립을 내장한 2 가지 변형예 방식들을 도시한다.
도 39 는 본 발명에 따른 팰릿 레버에 통합된 가상 피봇을 구비한 헤드를 도시한다.
도 40 은 본 발명에 따른 팰릿 레버를 가지는 이스케이프먼트를 구비한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타임피스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41 은 가요성 스트립의 2 개의 단부들 각각이 가요성 스트립에 좌굴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는 복귀력을 부여받는 하우징에서 피봇 선회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작동의 규칙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임펄스의 양호한 제어를 달성하려고 한다.
콘스탄트-포스 메커니즘은 시간이 경과할 때 재현성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스케이프 휠과 밸런스 사이에 삽입된 쌍안정 요소의 사용은, 이스케이프 휠에 의해 전달되는 배럴 토크에 의존하지 않고 쌍안정 요소의 고유 특징들에만 단지 의존하는, 규칙적인 강도로, 밸런스에 대한 에너지를 복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쌍안정 요소는 특정 구성의 팰릿 레버에 의해 형성된다.
도 21 은 배럴 (80) 로부터 팰릿 레버 (1) 의 이스케이프 휠 (20) 의 기어 트레인 (81) 을 통하여 밸런스 (30) 까지 에너지 전달을 갖는 콘스탄트-포스 메커니즘의 원리를 보여준다. 이 메커니즘은 도 21 에서 가요성 팰릿 레버를 포함한다. 도 22 는 쌍안정 팰릿 레버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높은 레벨의 안전성, 감소된 개수의 부품들, 및 무반동 로킹해제와 최대 규칙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런 2 개의 메커니즘 구조들을 조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팰릿 (3) 및/또는 출구 팰릿 (4) 을 지지하고 이스케이프 휠 (20) 과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팰릿 헤드 (2) 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에 관한 것이다. 팰릿 레버 (1) 는 또한 밸런스 (30) 와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포크 (6) 를 포함한다. 포크 (6) 의 각위치는 팰릿 헤드 (2) 에 대해 가변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사이에 반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이것은, 에너지 버퍼로서 역할을 하는 팰릿 레버를 통과하여, 이스케이프 휠로부터 밸런스까지 불연속적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은 기계적 부품들의 운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팰릿 레버로부터 밸런스까지 에너지 방출은 임펄스의 형태를 취하도록 주의깊게 설계된다. 따라서, 팰릿 레버는, 이런 이동가능한 부품들, 여기서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의 각각의 위치들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헤드와 포크 사이에 중간 스테이지들이 부가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헤드와 포크를 구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특히 일체형 실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들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설명은, 반발 반응이 기계적으로, 프리스트레스된 기계적 요소로, 보다 특히 쌍안정 스트립을 통하여 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들이 가능하고: 도 32 및 도 33 의 실시형태들과 같이, 각각의 팰릿 레버는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사이에 프리스트레스된, 스프링, 각각 직선형 스프링 (112) 또는 S 형상의 스프링 (113) 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 (112 또는 113) 은 팰릿 레버의 2 개의 절반부들을 밀고, 레버의 단부들 둘레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도 32 는 포크 (6) 에 작용하는 스프링 (112) 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레버 아암을 점선으로 보여준다. 다른 미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반발은 사실상 기계적인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게 2 개의 제 1 피봇 축선 (5) 및 제 2 피봇 축선 (9) 들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도록 장착된 헤드와 포크 (6) 사이에서 사실상 자기적 및/또는 정전기적이다.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는 바람직하게 운동 축선들을 따르고, 운동 축선들은 이것이 피봇 축선들인 특정 실시형태로 여기에서 도시된다. 실로,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의 운동은 독립적이고, 그것이 이스케이프 휠과 밸런스 사이 에너지 전달에 적합 (compatible) 하다면, 이론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운동학 (kinematics) 도 따를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기 설명은 도 1 내지 도 20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팰릿 레버 (1) 는 쌍안정 거동을 보이고, 적어도 하나의 쌍안정 요소,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을 포함한다. 가요성 스트립은 제조하기에 간단하고; 쌍안정 요소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형태들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하나의 팰릿 레버 (1) 와 협동작용하는 이스케이프 휠 (20) 및 밸런스 (30) 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 (40) 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프리스트레스되어 좌굴된 가요성 스트립 (10) 이 제 1 단부 (101) 에서 팰릿 헤드 (2) 와 제 2 단부 (102) 에서 포크 (6) 사이에 장착되도록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조립되고, 상기 팰릿 레버 (1) 는 적어도 2 개의 안정 상태들 및 2 개의 준안정 상태들을 가지는 쌍안정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 2 개의 단부들 (101, 102) 은:
- 둘 중 어느 하나는 각각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고정된 하우징 (1010, 1020) 에서 자유롭게 피봇 선회하고;
- 또는 각각은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는 하우징 (1010, 1020) 내에 내장되고, 그러면 이 하우징들 (1010, 102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다른 하우징 (1020, 1010) 의 방향으로 복귀력을 부여받고;
- 또는 각각은 하우징 (1010, 1020) 내에 내장되고, 이 하우징들 (1010, 1020) 중 하나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고, 다른 하우징 (1020, 1010) 은 그러면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고정되고, 자유로운 하우징은 탄성 복귀 수단 (401, 402) 에 의해 다른 하우징을 향해 복귀된다.
도 41 은, 각각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에 의해 지지되는, 여기에서 V 형상인, 하우징 (1010, 1020) 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의 2 개의 단부들 (101, 102) 이 각각 피봇 선회하는 특정한 구성을 도시한다. 팰릿 헤드 (2) 는 고정 요소들 (411) 에 의해 출구 팰릿 (4) 에 고정된 스프링 아암 (401) 에서 지지되는 뱅킹 요소 (71) 을 포함하고, 이 스프링은 포크 (6) 를 향해 팰릿 헤드 (2) 를 밀어주는 경향이 있고; 마찬가지로, 포크 (6) 는 고정 요소들 (412) 에 의해 출구 팰릿 (4) 에 고정된 스프링 아암 (402) 에서 지지되는 트러니언 (72) 을 포함하고, 스프링은 팰릿 헤드 (2) 를 향해 포크 (6) 를 밀어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2 개의 하우징들 (1010, 1020) 중 적어도 하나, 및 도 41 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둘다 가요성 스트립 (10) 에 좌굴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는 복귀력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 경우에 도 41 의 경우에는 팰릿 헤드 (2) 또는 포크 (6) 를 통하여) 부여받는다.
명료성을 위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0 에서 단일 가요성의, 가요성 스트립 (10) 의 특정한 경우로 여기에서 설명된다. 도 30 및 도 31 은 2 개의 가요성 스트립들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다른 배열들도 물론 가능하다.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사이의 단지 직접, 영구, 기계적 연결부는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즉 단일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또는 유사한 좌굴 프리스트레스 방식으로 장착된 복수의 이러한 가요성 스트립들 (10) 에 의해 제공된다.
팰릿 레버 (1) 가 쌍안정 요소로서 거동하도록, 가요성 스트립 (10) 은 팰릿 레버 (1) 의 작동 위치에서 프리스트레스된다. 하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프리스트레스는:
- 변위에 의해
- 힘 또는 토크의 적용에 의해
- 제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가요성 스트립 (10) 은 좌굴함으로써 작동한다. 프리스트레스는, 힘 또는 토크가 적용되는 경우에 조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자유로운 상태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은, 팰릿 레버 (1) 가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에 통합되어 메인 플레이트 (40) 에 고정될 때 취할 수 있는 형상들과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팰릿 레버 (1) 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부착하기 위해, 팰릿 헤드 (2) 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고정 및/또는 가이드 수단, 및 포크 (6) 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고정 및/또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이 2 개의 주요 부품들, 팰릿 헤드 (2) 및 포크 (6) 는 각각 피봇 또는 병진운동 가이드와 같은 종래의 기계적 연결부들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고정 앵커 지점들을 포함하고 하기 설명에 "가상 피봇" 으로 지칭되는 구성에서 동일 출원인에 의한 PCT 출원 제 EP2011/061244 호 또는 특허 출원 제 EP2455821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에 대한 피봇 선회 및/또는 병진 이동성을 제공하는 가요성 부분들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0, 도 30 및 도 31 에 나타낸 특정 실시형태에서, 팰릿 헤드 (2) 는 제 1 피봇 축선 (5) 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상기 제 1 피봇 축선 (5)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고, 포크 (6) 는 제 2 피봇 축선 (9) 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이 제 2 피봇 축선 (9) 둘레에서 피봇한다. 도 1 내지 도 20 에서, 제 2 피봇 축선 (9) 은 제 1 피봇 축선 (5) 과 별개이다.
도 1 내지 도 20 의 특정 실시형태는 비제한적이고, 팰릿 헤드 (2) 가 제 1 피봇 축선 (5)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도록 장착되는 특정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런 동일한 특정 변형예에서, 포크 (6) 는 제 1 피봇 축선 (5) 의 제 2 피봇 축선 (9)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도록 장착된다.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형태에서, 이 제 1 피봇 축선 (5) 및 제 2 피봇 축선 (9) 은 바람직하게 별개이다. 제 1 피봇 축선 (5) 및 제 2 피봇 축선 (9) 이 기하학적으로 합쳐지는 단차진 (tiered)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30 및 도 31 에서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들이 가능하고: 팰릿 레버 (1) 는 그러면 2 개의 쌍안정 스트립들 (10S, 10J) 을 포함하고, 각각은 플레이트 (미도시) 에 고정된 제 1 단부 (10ES, 10EJ), 및 포크 (6) 와 팰릿 헤드 (2) 에 각각 내장된 제 2 단부 (103S, 103J) 를 포함한다.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는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동일한 기하학적 피봇 축선 (P)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고, 포크 (6) 에서 104S 에 걸리고 팰릿 헤드 (2) 에서 104J 에 걸리는 루프 형상의 복귀 스프링 (104)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버퍼 스프링으로서 역할을 하는 이 스프링 (104) 은 쌍안정 스트립의 토크보다 더 높은 토크를 가지고 있다.
도 37 은 2 개의 가요성, 쌍안정 스트립들이 팰릿 헤드 (2) 및 포크 (6) 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팰릿 레버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스케이프 휠 (20) 과 밸런스 (30) 사이 중심선에 대한 팰릿 헤드 (2) 의 실질적으로 선형 진동 운동 및 제 2 피봇 축선 (9) 둘레에서 포크 (6) 의 피봇 선회 운동을 가지는 다른 변형예들이 또한 가능하다.
도면들에 또한 도시된 특정 실시형태에서, 포크 (6) 는 밸런스 (30) 의 로울러 (31) 의 통과 중공부 (34) 와 협동작용하기 위한 충격 방지 기능을 가지는 가드 핀 (7), 및 임펄스 기능을 위한 밸런스 (30) 의 임펄스 핀 (35) 과 협동작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호른 (8), 여기에서는 2 개의 호른 (8) 을 지지한다.
팰릿 레버 (1) 는 힌지결합되고, 즉 입구 팰릿 (3) 와 포크 (6) 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품, 여기에서는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되어서, 그것의 상대 운동 이동성을 보장한다.
이 쌍안정 요소는 바람직하게 내장된 빔의 형태를 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실시형태에서, 이 빔은 양 단부에서 내장되어 있고: 2 개의 단부들 사이 거리는 휴지 상태에서 빔의 길이 미만이고, 이것은 2 개의 안정 위치들 및 적어도 하나의 준안정 위치를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쌍안정 요소에 저장된 에너지는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그것의 2 개의 단부들에서 형성된 각도의 함수로서 계산될 수 있고; 또는, 여러 개의 쌍안정 스트립들인 경우에, 팰릿 레버 (1), 팰릿 헤드 (2) 또는 포크 (6), 또는 메인 플레이트 (40) 또는 경우에 따라서 다른 중간 부품의 부품들 중 하나와, 각각의 스트립에 의해, 그것의 단부들 각각에서 형성된 각도의 함수로서 계산될 수 있다. 여러 스트립들의 조합은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어 3 개의 스트립들을 조합함으로써 3 개의 안정적인 상태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빔의 단부들 각각은, 특히,
- 또는 자유롭게 피봇 선회하는 아버 상에:
- 또는 가요성 피봇을 형성하도록 플레이트 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적어도 하나의 쌍안정 요소 또는 가요성 스트립 (10) 은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사이에 좌굴되게 프리스트레스되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피봇들 또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한 고정 요소들 등 외에도,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사이의 단지 직접, 영구, 기계적 연결부가 이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제공된다.
도시된 형태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은 팰릿 헤드 (2) 와 각도상 일체이고 제 1 피봇 축선 (5) 에 바로 근접하여 배치된 제 1 단부 (11), 및 포크 (6) 와 각도상 일체이고 제 2 피봇 축선 (9) 에 바로 근접하여 배치된 제 2 단부 (12) 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1 피봇 축선 (5) 과 제 2 피봇 축선 (9) 은,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의 피봇 선회가 둘레에서 일어나는 기하학적 축선들이라는 점이 분명하다. 이 축선들은 반드시 종래의 물리적 피봇들에 대응할 필요는 없고, 그것은 또한 가요성 피봇들 또는 가상 피봇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스위스 레버와 유사한,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비제한적인 형태에서, 이 팰릿 레버 (1) 는 입구 팰릿 (3) 과 출구 팰릿 (4) 을 지지한다. 특정 변형예에서, 입구 팰릿 (3) 및/또는 출구 팰릿 (4) 은, 도 34 에 나타난 것처럼, 이스케이프 휠 (20) 의 치형부 (21) 의 팁 (22) 을 맞닿아 수용할 수 있는 평평한 면 (14) 을 포함하고 제 1 피봇 축선 (5) 에 대향한, 도 34 에 나타낸 돌출한 텅 형상의 단부 (13)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팰릿 (3) 및/또는 하나의 출구 팰릿 (4) 을 지지하고 이스케이프 휠 (20) 과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팰릿 헤드 (2) 를 포함하고 밸런스 (30) 와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포크 (6) 를 추가로 포함한다. 포크 (6) 의 각위치는 팰릿 헤드 (2) 에 대해 가변적이고,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사이의 단지 직접, 영구, 기계적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팰릿 헤드 (2) 의 피봇 선회 범위와 포크 (6) 의 피봇 선회 범위는 스톱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제한되고, 팰릿 헤드 (2) 는,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의 임의의 상대 위치들에서, 포크 (6) 의 적어도 제 2 아암 (17) 에 포함되는 제 2 지지 및 스톱면 (18) 과, 맞닿거나 지지하여,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지지 및 스톱면 (16) 을 구비한 적어도 제 1 아암 (15) 을 포함한다.
용어 "아암" (15 또는 17) 은, 비록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부품은 기다란 형상을 채택하고, 이 아암 (15 또는 17) 은 팰릿 레버의 운동학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지만 제한적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유리하게도, 간극, 특히 도 1 내지 도 20 의 경우에 팰릿 헤드 (2) 의 피봇 선회 범위와 포크 (6) 의 피봇 선회 범위는 따라서 스톱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제한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팰릿 헤드 (2) 는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의 임의의 상대 위치들에서, 포크 (6) 의 적어도 제 2 아암 (17) 에 포함되는 제 2 지지 및 스톱면 (18) 과, 맞닿거나 지지하여,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지지 및 스톱면 (16) 을 구비한 적어도 제 1 아암 (15) 을 포함한다.
이 아암들 (15, 17) 은, 쌍안정 요소의 와인딩이 완료되면 이스케이프 휠을 견고하게 정지시키면서, 임펄스에서 팰릿-스톤들이 적절히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변형예에서, 팰릿 헤드 (2) 는 포크 (6) 의 제 2 아암들 (17A, 17B) 의 제 2 면들 (18A, 18B) 과 협동작용하는 제 1 면들 (16A, 16B) 을 갖는 2 개의 제 1 아암들 (15A, 15B) 을 포함한다.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팰릿 레버 (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또는 쌍안정 요소와 일체로 만들어지고: 팰릿 헤드 (2), 가요성 스트립 (10) 및 포크 (6) 는 단일 부품이다.
특히 이 형태에서, 팰릿 레버 (1) 는 유리하게도 규소, 또는 산화규소 또는 금속 유리, 또는 "LIGA" 니켈-인 (특히 "LIGA" 방법을 통하여 획득됨) 으로 만들어진다. 실로, 쌍안정 요소 또는 가요성 스트립 (10) 의 프리스트레싱은 매우 낮고, 특히 5 마이크로미터에 가깝고, 부품들이 서로 조립되어 제조되는 경우에, 프리스트레싱의 조절은 가능하지만 어렵다.
NiP 로 만들어지고, LIGA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고, 2.1 x 0.10 x 0.02 ㎜ 의 치수를 가지는 평평한 스트립 스프링의 단부들 사이에 8 ㎛ 의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할 때, 작용각은 -7°~ +7°(스톱들에 의해 규정됨) 이고, 파형 위치들 (400 MPa 에 가까운 최대 응력 레벨을 가짐) 과 단순 오목 또는 볼록 호에서 위치들 사이 에너지 차이는 0.5 μJ 의 에너지 패스들과 그러면 0.13 μJ 의 에너지 웰들 (wells) 사이 크로싱, 즉, 각각의 바이브레이션시 ETA calibre 2824-2 의 이스케이프 휠에 이용가능한 에너지와 비슷한 0.37 μJ 의 차이에 대응한다. 이 치수들은 따라서 정상 강도의 임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 팰릿 레버 (1) 는 각각 제 1 피봇 축선 (5) 및/또는 제 2 피봇 축선 (9) 에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제 1 가요성 피봇 (61) 및/또는 제 2 가요성 피봇 (62) 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팰릿 레버 (1) 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의 2 개의 단부들 (101, 102) 에 제 1 가요성 피봇 (61) 또는 가상 피봇, 및 제 2 가요성 피봇 (62) 또는 가상 피봇을 포함하고, 각각은 제 1 피봇 축선 (5) 과 제 2 피봇 축선 (9) 에 각각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형성한다.
이 제 1 가요성 피봇 (61) 및/또는 제 2 가요성 피봇 (62) 은 또한 가상 피봇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9 는 2 개의 스트립들 (2S, 2J) 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 (40) 에 연결된 팰릿 헤드 (2) 의 실시예를 제공하고 그것의 제 1 가요성 피봇은 이스케이프 휠 (20) 의 피봇 축선 (23) 과 합쳐진다.
도 18 은 가요성 스트립 (10) 또는 쌍안정 요소에서 에너지 분포 다이어그램을 보여주고: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에서 각각의 부착 지점들 또는 내장 지점들 (11, 12) 과 가요성 스트립 (10) 의 2 개의 단부들 (101, 102) 각각에 의해 형성된 각도들은 X 및 Y 로 나타낸다.
0 에서 8 까지 랜덤하게 등급이 정해진 에너지 레벨은 Z 에 나타나 있다. 도 19 는 대응하는 에너지 레벨 곡선들과 이 에너지 분포면의 평면 (XOY) 에서 투영도를 보여준다.
이 에너지 분포는, 선 양분 축선들 (OX, OY) 을 따라 배향된 수직 평면 (PS) 에 대해 대칭적인, 안장 형상이다. 매우 높은 에너지 리지 (D; 6 ~ 8) 는 이 대칭 평면 (PS) 에서 연장된다. 리지 (D) 는 2 개의 에너지 패스들, 제 1 에너지 패스 (CE1) 및 제 2 에너지 패스 (CE2) 에 의해 구획되고, 이 에너지 패스들 각각은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와 제 2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2) (에너지 면에서 트로프들) 에 대응하는, 에너지 웰로 불리는, 저에너지 영역들과 리지 (D) 사이 2 개의 급경사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리지 (D) 의 연장선 및 그 너머로, 제 1 에너지 패스 (CE1) 및 제 2 에너지 패스 (CE2) 들 각각은 저에너지 영역 (A1, A2) 각각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 제 1 에너지 패스 (CE1) 및 제 2 에너지 패스 (CE2) 들은 2 개의 준안정 위치들에 대응한다.
도 19 는 가요성 스트립 (10) 이 면 (T 18) 에서 어떠한 에너지 위치도 취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팰릿 레버 (1) 의 단부 부분들, 이 경우에 팰릿 헤드 (2) 및 포크 (6) 는, 포크 (6) 에 대해서는 제 2 뱅킹 핀들 (41A, 41B) 에 의해 또는 팰릿 헤드 (2) 의 피봇 선회를 제한하는 포크 (6) 의 제 2 아암들 (17A, 17B) 에 의해 제한되는 운동 범위를 가지고 있다. 가요성 스트립 (10) 은 항상 이 스톱들에 대하여 이 단부 부분들, 팰릿 레버 (1) 의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를 밀어준다. 결과적으로, 이 단부들 중 하나는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면, 운동은 도 20 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것처럼 항상 직사각형 (R) 의 가장자리들에서 존재하고, 도 20 은 간단하게 도 1 내지 도 17 에 설명된 단계들 각각에 대응하는 에너지 레벨들을 대략 보여주고, 에너지 경로는 거의 직선형이고, 에너지 경로의 직사각형 형상은 양호한 근사치이다. 따라서, 포크 (6) 의 피봇 선회와 같이, 팰릿 헤드 (2) 의 피봇 선회는 스톱들에 의해 각도상으로 제한된다. 도시된 변형예의 특정 경우에,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각각의 각운동을 제한하는 스톱들은 이동가능하고 포크 (6) 와 팰릿 헤드 (2) 각각의 면들에 의해 형성된다.
뱅킹 핀들 (41) 은 여기에서 플레이트 아래에 나타나 있다. 뱅킹 핀들은 예를 들어 이스케이프 휠 (20) 의 치형부 (21) 아래에서 평평한 부분들의 형태로 다른 위치들을 취할 수도 있음에 주목할 것이다.
도면들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팰릿 레버 (1) 는 따라서 밀폐 사이클을 수행하고 밀폐 사이클 중 가요성 스트립 (10) 은 연속적으로 4 가지 주요 구성들을 차지한다:
-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 도면들에서 54 로 표시된 파형 Z 형상의 프로파일로 제 1 에너지 패스 (CE1) 에 접근하고;
- 쌍안정 스트립 (0) 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제 1 방향으로,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밸런스 (30) 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1 에너지 패스 (CE1) 를 통과하고, 가요성 스트립 (10) 은 51 로 표시된 볼록한 형상으로 제 2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2) 를 차지하고;
- 이스케이프 휠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 도면들에서 53 으로 나타낸 파형 S 형상의 프로파일로 제 2 에너지 패스 (CE2) 에 접근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제 2 방향으로,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밸런스 (30) 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2 에너지 패스 (CE2) 를 통과하고, 가요성 스트립 (10) 은 52 로 표시된 오목한 형상으로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를 차지한다.
물론,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형성된 프리스트레스된 빔의 형상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이다. 가요성 스트립 (10) 이 차지할 수 있는 오목, 볼록, S 형상 및 Z 형상의 기하학적 구조들은 이 경우에 특정하다. 예를 들어 S 또는 Z 형상인, 보다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가 안정적 휴지 상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정사각형보다는 직사각형 (R) 을 따르는 바람직한 선택은, 가요성 스트립 (10) 이 매달려 있을 때, 에너지 패스 앞에서 정지시키는 목적에 의해 설명된다. 실로, 불안정한 위치에서 에너지 패스를 정지시키는 위험은, 매우 작은 충격으로도, 가요성 스트립 (10) 이 기울어질 수 있고 그러면 가드 핀 (7) 이 밸런스 로울러에 의해 막힐 것이고 로울러에 대해 영구적으로 마찰될 것이고, 이것은 작동에 불리하고 효율성을 악화시킬 것이다. 따라서, 가요성 스트립 (10) 이 매달려 에너지로 충전될 때, 제 1 에너지 패스 (CE1) 또는 제 2 에너지 패스 (CE2) 앞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을 정지시키도록 스톱들은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팰릿 헤드 (2) 및 포크 (6) 각각의 각운동을 제한하는 스톱들은 유리하게도 이동가능하고 포크 (6) 및 팰릿 헤드 (2) 각각의 면들에 의해 형성된다.
도면들에서, 팰릿 헤드 (2) 의 각운동은 포크 (6) 에 포함된 2 개의 아암들 (17A, 17B) 에 의해 형성된 스톱들에 의해 제한된다.
면들 (18A, 18B) 은 드로 (draw) 기기 없이 로킹 달성에 상응하는 스톱들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도 1 에서 알 수 있듯이, 밸런스 (30) 의 임펄스 핀 (35) 이 포크 (6) 를 구동하기 시작할 때 (이후, 단계 (T2) 로부터 단계 (T3) 로), 팰릿 헤드 (2) 는 회전하지 않고, 따라서 극복할 마찰이 없도록 면들은 제 2 피봇 축선 (9)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A) 로 프로파일을 갖는다.
사이클의 각각의 단계는 대응하는 도면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도 1 의 제 1 단계 (T1) 에서: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이동불가하고, 그것의 치형부 (21A) 는 팰릿 헤드 (2) 의 입구 팰릿 (3) 에 놓여있고;
- 팰릿 헤드 (2) 는 이동불가하고, 그것의 제 1 아암 (15B) 은 그것의 팁 (16B) 에서 포크 (6) 의 제 2 아암 (17B) 의 제 2 지지면 (18B) 에 의해 정지되고; 도면들에 도시된 이 로킹 모드는 비제한적이고, 그것은 콤팩트함과 제조 단순함의 장점을 가지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1 에너지 패스 (CE1) 에 가까운, 54 로 나타낸 Z 형상이고;
- 포크 (6) 는 이동불가하고, 그것의 스톱면 (19A) 은 대응하는 뱅킹 핀 (41A) 에서 정지되고;
- 밸런스의 자유 호: 밸런스 (30) 는 제 1 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임펄스 핀 (35) 은 11 시 위치에 있다.
T2 에서:
- 이스케이프 휠 (20) 은 계속 이동불가하고;
- 팰릿 헤드 (2)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1 에너지 패스 (CE1) 에 가까운, 54 로 나타낸 Z 형상이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A)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10 시 위치에서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호른 (8B) 의 내부면 (81B) 에 놓여있고, 밸런스 (30) 는 따라서 포크 (6) 를 릴리스하기 시작한다.
T3 에서:
- 이스케이프 휠 (20) 은 계속 이동불가하고;
- 팰릿 헤드 (2) 는 이동불가하고, 그것의 제 1 아암 (15B) 은, 팰릿 헤드 (2) 를 다음 단계에서 릴리스시킬 수 있도록, 릴리스를 개시하는 제 2 아암 (17B) 에 의해 정지되어 있고; 여기에서도 역시,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대안적인 해결책들이 가능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54 로 나타낸 Z 형상이고, 제 1 에너지 패스 (CE1) 를 크로싱하기 시작하고;
- 포크 (6) 는 제 2 방향으로,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그것의 스톱면 (19A) 은 좌측 핀 (41A) 을 가지고, 그것의 제 2 아암 (17B) 은 제 1 아암 (15B) 을 이탈하는 지점에 있고;
- 밸런스 (30)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9 시 위치에서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호른 (8B) 의 내부면 (81B) 에 놓여있고, 밸런스 (30) 는 따라서 포크 (6) 를 릴리스시킨다.
T4 는 구동 단계이고, 이 단계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1 에너지 패스 (CE1) 를 크로싱하고, 제 1 방향으로 그것의 임펄스를 밸런스 (30) 에 제공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자유롭게 움직이고, 휠은 그것의 관성으로 인해 여전히 순간적으로 거의 이동불가하고;
- 팰릿 헤드 (2) 는 가요성 스트립 (10) 에 연결될 때를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1 에너지 패스 (CE1) 를 크로싱하고, 이완되어 볼록한 형상 (51) 으로 변하고;
- 포크 (6) 는 제 2 방향,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팰릿 헤드 (2) 를 릴리스시키고, 포크의 호른 (8A) 의 내부면 (81A) 은 임펄스 핀 (35) 을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것은 임펄스이고;
- 밸런스 (30)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9 시 위치에서 밸런스의 임펄스 핀 (35) 이 호른 (8A) 에 의해 구동된다.
T5 는 뱅킹 핀 (41B) 에 정지된 포크 (6) 에 의해 밸런스 (30) 로 제공되는 임펄스 말기이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자유롭게 움직이고, 휠은 그것의 관성으로 인해 여전히 순간적으로 거의 이동불가하고;
- 팰릿 헤드 (2) 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볼록한 형상 (51) 으로 제 2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2) 에 도달하고;
- 포크 (6) 는 제 2 방향으로,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그것의 호른 (8) 의 내부면 (81A) 은 임펄스 핀 (35) 과 접촉을 상실하고, 이것은 임펄스 단계의 말기이고;
- 밸런스 (30)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8 시 위치에서 임펄스 핀 (35) 은 호른 (8A) 과 접촉을 상실한다.
T6 에서, 그것은, 단지, 자유 호를 그리면서 피봇 선회하는 밸런스 (30) 이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기 시작할 것이고;
- 팰릿 헤드 (2) 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볼록한 형상 (51) 으로 제 2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2) 에 있고;
- 포크 (6) 는 이동불가하고, 그것의 스톱면 (19B) 은 핀 (41B)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밸런스의 임펄스 핀 (35) 은 임펄스의 영향 하에 6:30 위치에 있다.
T7 에서, 이스케이프 휠 (20) 은 팰릿 헤드 (2) 에 의해 릴리스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 팰릿 헤드 (2)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회전 때문에 약간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B)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임펄스의 영향 하에 6 시 위치에 도달한다.
충격 또는 동적 영향이 있는 경우에 안전 기기들로서, 팰릿 헤드 (2) 에 근접하여 제 1 뱅킹 핀들 (48A, 48B) 이 유리하게도 배치되고: 예를 들어, 단계 6 에서 단계 7 로 변화하는 동안, 팰릿 헤드 (2) 는 제 2 방향으로,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그것이 너무 빠른 속도를 획득한다면, 그것은 너무 멀리 이동할 위험이 있고, 반면에 단계 8 에서 그것은 반대 방향으로 다시 출발해야 한다.
T8 에서, 이스케이프 휠 (20) 은 팰릿 레버 (1) 의 다른 출구 팰릿 (4) 에 도달한다. 드롭, 즉 단계들 (T7, T8) 사이에서 이스케이프 휠 (20) 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각도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여기에서 도시된 종래의 이스케이프 휠 (20) 에 비해 너무 클 수도 있고, 드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이스케이프 휠 (20) 의 치형부 (21) 및 팰릿 헤드 (2) 의 입구 팰릿 및 출구 팰릿 (3, 4) 의 기하학적 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이 유용하고;
- 치형부 (21B) 가 출구 팰릿 (4) 에서 정지될 때까지, 이스케이프 휠 (20) 은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 팰릿 헤드 (2) 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순간적으로 이동불가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볼록한 형상 (51) 으로 계속 제 2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2) 에 있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B)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이동가능하고, 밸런스는 그것의 이동을 계속한다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6 시 위치에 있다).
T9 에서,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해 제공된 에너지는 가요성 스트립 (10) 을 매달고 에너지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가요성 스트립 (10) 은 다음 제 2 에너지 패스 (CE2) 에 접근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제 1 방향으로 출구 팰릿 (4) 에 맞닿아 피봇 선회하고 팰릿 헤드 (2) 를 피봇 선회시키고;
- 팰릿 헤드 (2) 는 제 2 방향으로,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맞닿게 움직이고, 헤드의 제 1 아암 (15A) 은 그것의 팁 (16A) 에서 포크 (6) 의 제 2 아암 (17A) 의 제 2 스톱면 (18A) 에 의해 정지되고, 일단 정지하고 나면, 그리하여 이스케이프 휠 (20) 을 로킹하고;
- 팰릿 헤드 (2) 를 통하여 이스케이프 휠에 의해 매달린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2 에너지 패스 (CE2) 에 바로 근접하여 S 형상의 프로파일 (53) 로 변하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B) 에 놓여있고, 쌍안정 요소의 와인딩이 완료되고, 로킹이 달성되고;
- 밸런스 (30) 는 이동가능하다 (그것은 다음 단계 (T10) 까지 1 번의 바이브레이션을 수행하고, 밸런스의 임펄스 핀 (35) 은 6 시 위치에 있음).
T10 에서, 밸런스 (30) 는 다음 바이브레이션에서 복귀하기 시작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이동불가하고, 그것의 치형부 (21B) 는 출구 팰릿 (4) 에 놓여있고;
- 팰릿 헤드 (2) 는 이동불가하고 그것의 제 1 아암 (15A) 을 통하여 포크 (6) 의 제 2 아암 (17A) 에 놓여있고, 일단 정지되면, 그리하여 이스케이프 휠 (20) 을 로킹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2 에너지 패스 (CE2) 에 바로 근접하여 S 형상의 프로파일 (53) 으로 S 형상의 파형 위치에 있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B)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제 2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8 시 위치에서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호른 (8A) 의 내부면 (81A) 에 놓여, 포크 (6) 를 릴리스시키기 시작한다.
T11 에서, 밸런스 (30) 는 포크 (6) 를 릴리스시키고, 이것은 차례로 팰릿 헤드 (2) 를 릴리스시킬 것이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이동불가하고, 출구 팰릿 (4) 에 놓여있고;
- 팰릿 헤드 (2) 은 이동불가하고, 제 2 아암 (17A) 에 놓여있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S 형상의 프로파일 (53) 으로 S 형상의 파형 위치에 있고, 제 2 에너지 패스 (CE2) 를 크로싱할 준비가 되어있고; 일단 에너지 패스를 크로싱하고 나면 쌍안정 요소는 구동 요소로 되고 동작 (play) 을 시작하고;
- 포크 (6)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그것이 팰릿 헤드 (2) 를 릴리스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 밸런스 (30) 는 제 2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9 시 위치에서 밸런스의 임펄스 핀 (35) 은 호른 (8A) 의 내부면 (81A) 에 놓여있고, 포크 (6) 를 릴리스시킨다.
T12 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2 에너지 패스 (CE2) 를 크로싱하고, T4 와 대칭적으로, 밸런스 (30) 에 제 2 방향으로 임펄스를 제공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자유롭게 움직이고, 그것의 관성으로 인해 여전히 순간적으로 거의 이동불가하고;
- 팰릿 헤드 (2) 는 가요성 스트립 (10) 에 연결될 때를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2 에너지 패스 (CE2) 를 크로싱하고, 이완되어 오목한 형상 (52) 으로 변하고;
- 포크 (6)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팰릿 헤드 (2) 를 릴리스시키고, 포크의 호른 (8B) 의 내부면 (81B) 은 제 2 방향,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임펄스 핀 (35) 을 구동하고, 이것은 임펄스이고;
- 밸런스 (30) 는 제 2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9:30 위치에서 밸런스의 임펄스 핀 (35) 은 호른 (8B) 의 내부면 (81B) 에 의해 구동된다.
T13 에서 임펄스는 종료되고, 포크 (6) 는 정지된 위치에 도달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자유롭게 움직이고, 그것의 관성으로 인해 여전히 순간적으로 거의 이동불가하고;
- 팰릿 헤드 (2) 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에서 오목한 형상 (52) 이고;
- 포크 (6)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그것의 호른 (8B) 은 제 2 방향,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임펄스 핀 (35) 을 구동하고, 그것의 스톱면 (19A) 은 핀 (41A)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제 2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10:30 위치에서 밸런스의 임펄스 핀 (35) 은 호른 (8B) 의 내부면 (81B) 에 의해 구동된다.
T14 에서, T6 과 유사한 방식으로, 밸런스 (30) 는 보조 호를 그리고, 이 때 제 2 방향이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자유롭게 움직이고, 그것의 관성으로 인해 여전히 순간적으로 거의 이동불가하고, 피봇 선회하기 시작할 것이고;
- 팰릿 헤드 (2) 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에서 오목한 형상 (52) 이고;
- 포크 (6) 는 이동불가하고, 핀 (41A)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제 2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11 시 위치에 있다.
T15 에서, T7 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스케이프 휠 (20) 은 출구 팰릿 (4) 을 통과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 팰릿 헤드 (2) 는 제 2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입구 팰릿 (3) 은 이스케이프 휠 (20) 의 치형부 궤도를 진입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오목한 형상 (52) 으로,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에 있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A)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이동가능하다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11 시 위치에 있음).
T16 에서, T8 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스케이프 휠 (20) 은 입구 팰릿 (3) 에 도달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치형부 (21C) 는 입구 팰릿 (3) 에 놓여있고;
- 팰릿 헤드 (2) 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이동불가할 수 있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오목한 형상 (52) 으로,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에 있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A)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이동가능하다 (밸런스의 임펄스 핀 (35) 은 11 시 위치에 있음).
단계 (T17) 는, 단계 (T9) 와 유사한 방식으로, 단계 (T1) 로 복귀하기 전 사이클을 종료하고,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해 제공된 에너지는 가요성 스트립 (10) 을 매달아 에너지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스트립은 다음 제 1 에너지 패스 (CE1) 에 접근하고:
- 이스케이프 휠 (20) 은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입구 팰릿 (3) 에 놓여있고 팰릿 헤드 (2) 를 피봇 선회시키고;
- 팰릿 헤드 (2) 는 제 1 방향으로 피봇 선회하고, 가요성 스트립 (10) 을 매달고;
- 가요성 스트립 (10) 은 54 로 표시된 파형 Z-형상이고, 제 1 에너지 패스 (CE1) 에 접근하고;
- 포크 (6) 는 계속 이동불가하고, 핀 (41A) 에 놓여있고;
- 밸런스 (30) 는 이동가능하다 (그것의 임펄스 핀 (35) 은 11 시 위치에 있음).
"밸런스 (30) 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의 임펄스" 및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한 가요성 스트립 (10) 의 와인딩" 의 두 단계는 사이클의 연속 단계들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실제로, 두 단계들은 시간적으로 일부 중첩되지만, 이스케이프 휠 관성이 높다면 비교적 작다.
전형적으로:
- 4 ㎐ 에서 300°의 진폭과 50°의 리프트 각도에 대해, 밸런스 (30) 의 속도로 제공된, 단계 2 와 단계 5 (쌍안정 요소의 임펄스) 사이 지속기간은 매우 짧아 7 ㎳ 에 가깝고;
- 이스케이프 휠 관성이 높다면 (대략 1 번의 바이브레이션), 단계 7 과 단계 9 (가요성 스트립 (10) 와인딩) 사이 지속기간은, 대략 120 ㎳ 까지, 길어질 수도 있다.
밸런스에 전달된 에너지가 항상 동일하도록, 가요성 스트립 (10) 은 천천히 매달리고, 따라서 이스케이프 휠 (또는 기어 트레인의 나머지) 의 관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2 개의 중첩된 쌍안정 스트립들 (10S, 10J) 을 구비한 도 30 및 도 31 에서의 한 가지 실시형태는,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사이 복귀 스프링 (104) 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리지에 의해 분리된 2 개의 에너지 웰들을 가지는 유사한 에너지 분포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주목한다.
바람직하게,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은 이스케이프 휠 (20) 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 (40), 및 하나의 이러한 팰릿 레버 (1) 와 협동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30) 를 포함한다. 메인 플레이트 (40) 는 밸런스 (30) 의 로울러 (31) 에 근접하여 포크 (6) 둘레에 뱅킹 핀들 (41; 도면에서 41A 및 41B)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팰릿 레버 (1) 는:
- 한편으로는 제 1 피봇 축선 (5) 에서, 팰릿 레버 (1) 가 피봇 및 베어링에 의해 종래와 같이 가이드될 때 제 1 피봇 아버 (63) 에 의해, 또는 팰릿 레버가 제 1 가요성 피봇 (61) 을 구비한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때 제 1 고정식 연결부 (65) 에 의해,
-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피봇 축선 (9) 에서, 팰릿 레버 (1) 가 피봇 및 베어링에 의해 종래와 같이 가이드될 때 제 2 피봇 아버 (64) 에 의해, 또는 팰릿 레버 (1) 가 제 2 가요성 피봇 (62) 을 구비한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때 제 2 고정식 연결부 (66) 에 의해,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메인 플레이트 (40) 는:
- 한편으로는, 팰릿 헤드 (2) 의 피봇 선회식 가이드를 위해 고정 위치에 제 1 주얼 (42) 또는 제 1 아버 (43) 또는 제 1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 다른 한편으로는, 포크 (6) 의 피봇 선회식 가이드를 위해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또는 제 2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도 35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변형예 (A) 에서,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는 제 1 주얼 (42) 또는 제 1 아버 (43) 에 대해 고정된 거리에 있고,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위치에 있다.
제 2 변형예 (B) 에서,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가변 위치에서 이동가능하고, 특히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병진운동으로 가이드되고, 제 2 탄성 복귀 수단 (47) 의 작용을 부여받는다. 물론, 제 1 주얼 (42) 또는 제 1 아버 (43) 가 이런 식으로 이동가능한 반대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물론,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의 이동성이 병진 운동이 아니라, 예를 들어 피봇 선회 운동 또는 그 밖의 다른 운동인 변형예를 만들 수 있다.
제 3 변형예 (C) 에서, 메인 플레이트 (40) 는, 한편으로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한 가변 위치에서, 이동가능하고, 특히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병진운동으로 가이드되고 팰릿 헤드 (2) 를 피봇 선회식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 1 탄성 복귀 수단 (46) 의 작용을 부여받는 제 1 주얼 (42) 또는 제 1 아버 (43) 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한 가변 위치에서, 이동가능하고, 특히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병진운동으로 가이드되고 포크 (6) 를 피봇 선회식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탄성 복귀 수단 (47) 의 작용을 부여받는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도 역시, 반대 구성이 가능하다. 물론, 제 1 주얼 (42) 또는 제 1 아버 (43) 의 이동성이 병진 운동이 아니라, 예를 들어 피봇 선회 운동 또는 그 밖의 다른 운동인 변형예를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런 상이한 변형예들에서, 이스케이프 휠 (20) 의 피봇 축선 (23), 밸런스 (30) 의 피봇 축선 (32), 각각 제 1 주얼 (42) 또는 제 1 아버 (43), 각각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는 정렬된다. 도 36 은 다른 구성을 도시하고 여기에서 포크 (6) 는 이스케이프 휠-밸런스과 일직선에서 벗어난 상태로 이동가능하고, 가요성 스트립 (10) 은 평균 위치에 대해 변형되고, 상기 평균 위치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밸런스 스태프 (balance staff) 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현 또는 호이고; 이 구성은 종래의 정렬된 보어들을 포함하는 기존의 무브먼트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보통 스위스 레버를 위해 사용된 축선이 팰릿 헤드 (2) 의 제 1 피봇 축선 (5) 이 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쌍안정 팰릿 레버 (1) 는 카세트에 사전 조립되고, 가요성 스트립 (10) 은 카세트에서 이미 프리스트레스되어서, 팰릿 레버 (1) 는 이런 정확한 쌍안정 거동을 보여준다. 카세트는 플레이트에 대한 센터링 및/또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카세트는 기존의 무브먼트에서 스위스 레버에 보통 제공되는 피봇과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센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카세트는 여전히 피봇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고, 또는 피봇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카세트에서 이 어셈블리는 팰릿 레버 위에 브릿지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카세트는 또한 마이크로미터 위치 조절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카세트는 또한 현수식 (suspended) 충격 방지 기기를 통합할 수도 있다.
정확하게 프리스트레스를 달성하는 임의의 수단은 하나 이상의 희생 부품들을 포함하는 이스케이프 메커니즘 (100) 을 만드는 것으로: 이 희생 요소들을 그대로 두고 사전 조립이 수행되고, 그 후, 사전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희생 요소들은 파괴되어, 미리 계산된 장력을 방출하여 요구되는 프리스트레스를 얻는다. 이 실시형태는 규소, 산화규소 등으로 만들어진 MEMs 유형 실시형태로 적합해진다. 프리스트레스는 또한 제어되어 극도로 정확하게 기하학적 구조를 국부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산화규소 성장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재료에 응력이 유도될 수 있다.
도 38 은 팰릿 레버의 팰릿 헤드 (2) 와 포크 (6) 에 가요성 스트립 (10) 을 내장하기 위한 2 가지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첫 번째는 가요성 스트립 (10) 이 실질적으로 제 1 피봇 축선 (5) 및 제 2 피봇 축선 (9) 과 정렬되지만, 그것의 단부들은 축선들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두 번째는 더 깊은 에너지 웰을 만들어줌으로써 임펄스들 중 하나를 용이하게 하도록 어셈블리가 비대칭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무브먼트 (200)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피스 무브먼트 (200) 및/또는 이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이스케이프 메커니즘 (100) 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300) 에 관한 것이다.
물론, 가요성 스트립 (10) 은 팰릿 레버의 2 개의 절반부들 사이에 쌍안정 요소를 만들기 위한 많은 방법들 중에서 한 가지 비제한적인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쌍안정 요소를 매달아 준 후 팰릿 레버 (1) 의 팰릿 헤드 (2) 의 로킹, 및 밸런스 (30) 로 제공된 임펄스 말기에 팰릿 헤드 (2) 의 릴리스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예들에 따라 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예는 경우에 따라 쌍안정 요소, 또는 가요성 스트립 (10) 에 직접 부착된 포크 (6) 를 장착하고, 그것을 임의의 중심을 가지는 임의의 각운동을 허용하지만 뱅킹 요소 (71) 에 의해 팰릿 헤드 (2) 의 제 1 피봇 축선 (5) 에 대한 포크 (6) 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포크 (6) 를 피봇 선회시키지 않는 것으로 구성되어서, 밸런스 (30) 에 대해 포크 (6) 를 피봇 선회시킬 수 있는 유일한 요소인 쌍안정 요소, 또는 가요성 스트립 (10) 은 그것의 전체 작동 범위에 걸쳐 프리스트레스된 채로 유지된다.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난 것처럼, 이 뱅킹 요소 (71) 는 팰릿 헤드 (2) 와 일체화되거나 팰릿 레버 (1) 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40; 도 26 에서처럼 돌출해 있거나 오목하게 됨) 와 일체화되고 포크 (6) 에 포함되는 상보적 뱅킹 요소 (72) 와 협동작용한다. 유리하게도, 뱅킹 요소 (71) 는 V 형상이고, 요소 (72) 는 핀 또는 트러니언이다. 핀들 (49) 은 포크 (6) 의 운동을 제한한다.
도 27 은 프리스트레스가 메인 플레이트 (40) 의 고정 요소 (74) 에 고정된 스프링 (73) 을 통하여 달성되는 변형예를 보여주고, 상기 스프링 (73) 은 포크 (6) 와 가요성 스트립 (10) 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23 및 도 24 는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한 피봇 축선들의 2 가지 특정한 구성들을 도시하고: 도 23 에서는 제 1 피봇 축선 (5) 과 제 2 피봇 축선 (9) 이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고정 위치에 있고, 도 24 에서는 제 2 피봇 축선 (9) 이 이동가능한 위치에 있고, 여기에서는 병진운동하고, 탄성 복귀 수단 (46) 과 조합된다.
도 29 는 특히 이 변형예들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피봇 모델들: 종래의 단일 피봇 (91), 단일 가요성 피봇 (92), 임의의 강성을 가지는 종래의 피봇 (92) 과 가이드 부재 (93; 특히 선형 가이드 부재) 의 조합체, 임의의 강성을 가지는 가요성 피봇 (92) 과 가이드 부재 (특히, 선형 가이드 부재) 의 조합체를 함께 모은 것이다. 후자의 두 가지 경우에, 프리스트레스를 유도하는 변위 (Δd) 는 스크류, 캠, 쐐기 또는 유사한 요소로 달성될 수 있다. 이 프리스트레스는, 특히, 가이드 요소들-스프링 (93) 또는 가요성 피봇 (92) 에 작용한다. 이런 상이한 유형들의 피봇들은 물론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팰릿 레버는, 다른 유형의 이스케이프먼트에서, 특히 ETA 명의의 EP 특허 제 1967919 호와 거기에서 인용된 종래 기술 문헌들에서 개시된 것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규칙적인 강도로, 단독으로 에너지를 밸런스에 전달하는 쌍안정 요소를 포함하는 콘스탄트-포스 메커니즘의 사용 결과로서 임펄스의 매우 양호한 제어를 보장한다. 포함된 에너지는 분명히 메커니즘의 다른 부분들에서 분리되어 있다.
스트립의 단부들 (11, 101, 12, 102) 에서 가요성 스트립 (10) 의 지지, 또는 피봇 또는 내장 지점들은, 사전 제조에 유리한 특정한 변형예들에서, 메커니즘의 플레이트 또는 브릿지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메커니즘은 높은 작동 안전성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쉽게 그 자체를 충격 흡수 수단에 통합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지지 및 스톱면 (16) 등에 근접하여 팰릿 헤드 (2) 의 제 1 아암들 (15) 의 가지 형태로 충격 흡수 버퍼들을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의 부품들의 분리는, 임펄스 중, 전체 메커니즘이 아니라 단지 포크만 가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 토크가 일정할 때, 밸런스에 적용된 임펄스의 강도를 조정하고;
- 진동 중 운동 관성을 감소시키고;
- 휠에서 어떠한 드로도 없이 로킹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26)

  1.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로서,
    입구 팰릿 (3) 및 출구 팰릿 (4)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고 이스케이프 휠 (20) 과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팰릿 헤드 (2) 를 포함하고, 밸런스 (30) 와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포크 (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크 (6) 의 각위치 (angular position) 는 상기 팰릿 헤드 (2) 에 대해 가변적이고,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사이의 단지 직접적, 영구적, 기계적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팰릿 헤드 (2) 의 피봇 선회 범위와 상기 포크 (6) 의 피봇 선회 범위는 스톱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제한되고, 상기 팰릿 헤드 (2) 는,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의 임의의 상대 위치들에서, 상기 포크 (6) 의 적어도 제 2 아암 (17) 에 포함되는 제 2 지지 및 스톱 면 (18) 과 맞닿거나 지지되어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지지 및 스톱 면 (16) 을 구비한 적어도 제 1 아암 (15) 을 포함하고,
    상기 팰릿 레버 (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과 일체 (one-piece) 로 만들어지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레버는, 메인 플레이트 (40) 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팰릿 헤드 (2) 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고정 수단 및 가이드 수단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포크 (6) 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고정 수단 및 가이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헤드 (2) 는 제 1 피봇 축선 (5) 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상기 제 1 피봇 축선 (5)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고,
    상기 포크 (6) 는 상기 제 1 피봇 축선 (5) 과 별개인 제 2 피봇 축선 (9) 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상기 제 2 피봇 축선 (9)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레버는 규소 또는 산화규소 또는 금속 유리 또는 "LIGA(LIthographie Galvanoformung Abformung)" 니켈-인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레버는 상기 제 1 피봇 축선 (5) 및 상기 제 2 피봇 축선 (9)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제 1 가요성 피봇 (61) 또는 가상 피봇, 및 제 2 가요성 피봇 (62) 또는 가상 피봇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레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의 2 개의 단부들 (101, 102) 에 제 1 가요성 피봇 (61) 또는 가상 피봇, 및 제 2 가요성 피봇 (62) 또는 가상 피봇을 포함하고, 각각은 상기 제 1 피봇 축선 (5) 및 상기 제 2 피봇 축선 (9) 에 각각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사이의 반발 상호작용은 자기적으로 달성되는 것 및 정전기적으로 달성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8.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로서,
    입구 팰릿 (3) 및 출구 팰릿 (4)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고 이스케이프 휠 (20) 과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팰릿 헤드 (2) 를 포함하고, 밸런스 (30) 와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포크 (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크 (6) 의 각위치는 상기 팰릿 헤드 (2) 에 대해 가변적이고,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사이의 단지 직접적, 영구적, 기계적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팰릿 헤드 (2) 의 피봇 선회 범위와 상기 포크 (6) 의 피봇 선회 범위는 스톱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제한되고, 상기 팰릿 헤드 (2) 는,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의 임의의 상대 위치들에서, 상기 포크 (6) 의 적어도 제 2 아암 (17) 에 포함되는 제 2 지지 및 스톱 면 (18) 과 맞닿거나 지지되어 협동작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지지 및 스톱 면 (16) 을 구비한 적어도 제 1 아암 (15) 을 포함하고,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사이의 반발 상호작용은 자기적 및 정전기적 중 적어도 하나로 달성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헤드 (2) 는 제 1 피봇 축선 (5) 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상기 제 1 피봇 축선 (5)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고,
    상기 포크 (6) 는 상기 제 1 피봇 축선 (5) 과 별개인 제 2 피봇 축선 (9) 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상기 제 2 피봇 축선 (9)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레버 (1).
  10. 제 1 항에 따른 팰릿 레버 (1) 를 포함하는 카세트로서,
    상기 팰릿 레버 (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이 프리스트레스되어 이미 배치되어 있는 상기 카세트에 사전 조립되어서, 상기 팰릿 레버 (1) 는 쌍안정성이고, 상기 카세트는 플레이트에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고정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팰릿 레버 (1) 를 포함하는 카세트.
  11. 제 8 항에 따른 팰릿 레버 (1) 를 포함하는 카세트로서,
    상기 팰릿 레버 (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이 프리스트레스되어 이미 배치되어 있는 상기 카세트에 사전 조립되어서, 상기 팰릿 레버 (1) 는 쌍안정성이고, 상기 카세트는 플레이트에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고정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팰릿 레버 (1) 를 포함하는 카세트.
  12.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으로서,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에 포함되고, 제 1 항에 따른 팰릿 레버 (1) 와 협동작용하는 이스케이프 휠 (20) 과 밸런스 (30) 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 (40)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이 제 1 단부 (101) 에서 팰릿 헤드 (2) 와 제 2 단부 (102) 에서 포크 (6) 사이에 좌굴되게 프리스트레스(prestress)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조립되고, 상기 팰릿 레버 (1) 는 적어도 2 개의 안정 상태들 및 2 개의 준안정 상태들을 포함하는 쌍안정 시스템을 형성하고, 2 개의 단부들 (101, 102) 은, 각각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고정되는 하우징 (1010, 1020) 에서 자유롭게 피봇 선회하고, 또는 각각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하우징 (1010, 1020) 에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우징 (1010, 1020) 은 추후에 다른 상기 하우징 (1020, 1010) 의 방향으로 복귀력을 부여받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13.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으로서,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에 포함되고, 제 8 항에 따른 팰릿 레버 (1) 와 협동작용하는 이스케이프 휠 (20) 과 밸런스 (30) 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 (40)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이 제 1 단부 (101) 에서 팰릿 헤드 (2) 와 제 2 단부 (102) 에서 포크 (6) 사이에 좌굴되게 프리스트레스(prestress)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팰릿 헤드 (2) 와 상기 포크 (6) 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조립되고, 상기 팰릿 레버 (1) 는 적어도 2 개의 안정 상태들 및 2 개의 준안정 상태들을 포함하는 쌍안정 시스템을 형성하고, 2 개의 단부들 (101, 102) 은, 각각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고정되는 하우징 (1010, 1020) 에서 자유롭게 피봇 선회하고, 또는 각각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하우징 (1010, 1020) 에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우징 (1010, 1020) 은 추후에 다른 상기 하우징 (1020, 1010) 의 방향으로 복귀력을 부여받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레버 (1) 는 밀폐 사이클을 수행하고, 상기 밀폐 사이클 중에 쌍안정 스트립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은 연속적으로 4 가지 주요 구성들을 차지하고:
    - 상기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에 파형 Z 형상의 프로파일 (54) 로 제 1 에너지 패스 (CE1) 에 접근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제 1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30) 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1 에너지 패스 (CE1) 를 통과하고,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은 볼록한 형상 (51) 으로 제 2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2) 를 차지하고;
    - 상기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에 파형 S 형상의 프로파일 (53) 로 제 2 에너지 패스 (CE2) 에 접근하고;
    -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30) 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2 에너지 패스 (CE2) 를 통과하고,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은 오목한 형상 (52) 으로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 레버 (1) 는 밀폐 사이클을 수행하고, 상기 밀폐 사이클 중에 쌍안정 스트립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0) 은 연속적으로 4 가지 주요 구성들을 차지하고:
    - 상기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에 파형 Z 형상의 프로파일 (54) 로 제 1 에너지 패스 (CE1) 에 접근하고;
    -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제 1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30) 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1 에너지 패스 (CE1) 를 통과하고,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은 볼록한 형상 (51) 으로 제 2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2) 를 차지하고;
    - 상기 이스케이프 휠 (20) 에 의해 에너지로 충전된 후, 과도기의, 고에너지 단계 중에 파형 S 형상의 프로파일 (53) 로 제 2 에너지 패스 (CE2) 에 접근하고;
    -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에 이용가능한 에너지가 방출된 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30) 에 제공된 임펄스의 형태로 상기 제 2 에너지 패스 (CE2) 를 통과하고,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은 오목한 형상 (52) 으로 제 1 의 안정적인 저에너지 위치 (PS1) 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즘은,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이 스트링되어 에너지로 충전될 때 상기 제 1 에너지 패스 (CE1) 또는 상기 제 2 에너지 패스 (CE2) 앞에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을 정지시키도록 배열된 스톱들을 포함하고,
    상기 팰릿 헤드 (2) 및 상기 포크 (6) 각각의 각운동 (angular motion) 을 제한하는 스톱들은 이동가능하고, 상기 포크 (6) 및 상기 팰릿 헤드 (2) 각각의 면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팰릿 헤드 (2) 의 상기 각운동은 상기 포크 (6) 에 포함된 2 개의 제 2 아암들 (17A; 17B) 에 의해 형성된 스톱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즘은,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이 스트링되어 에너지로 충전될 때 상기 제 1 에너지 패스 (CE1) 또는 상기 제 2 에너지 패스 (CE2) 앞에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을 정지시키도록 배열된 스톱들을 포함하고,
    상기 팰릿 헤드 (2) 및 상기 포크 (6) 각각의 각운동을 제한하는 스톱들은 이동가능하고, 상기 포크 (6) 및 상기 팰릿 헤드 (2) 각각의 면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팰릿 헤드 (2) 의 상기 각운동은 상기 포크 (6) 에 포함된 2 개의 제 2 아암들 (17A; 17B) 에 의해 형성된 스톱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6) 는 상기 밸런스 (30) 에 대한 상기 포크 (6) 의 피봇 선회를 단독으로 보장하는 가요성 스트립 (10) 에 직접 부착되게 장착되고,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이 그 전체 작동 범위에 걸쳐 프리스트레스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팰릿 헤드 (2) 가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는 제 1 피봇 축선 (5) 에 대한 상기 포크 (6) 의 이동 (travel) 은 상기 팰릿 헤드 (2) 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와 일체형인 뱅킹 요소 (71; banking element) 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6) 는 상기 밸런스 (30) 에 대한 상기 포크 (6) 의 피봇 선회를 단독으로 보장하는 가요성 스트립 (10) 에 직접 부착되게 장착되고,
    상기 가요성 스트립 (10) 이 그 전체 작동 범위에 걸쳐 프리스트레스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팰릿 헤드 (2) 가 둘레에서 피봇 선회하는 제 1 피봇 축선 (5) 에 대한 상기 포크 (6) 의 이동은 상기 팰릿 헤드 (2) 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와 일체형인 뱅킹 요소 (71) 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는 상기 밸런스 (30) 의 로울러 (31) 에 근접하여 뱅킹 핀들 (41) 을 포함하고,
    상기 팰릿 레버 (1) 는, 한편으로는, 상기 팰릿 헤드 (2) 가 피봇 및 베어링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가이드될 때 제 1 피봇 아버 (63) 에 의해 또는 상기 팰릿 헤드 (2) 가 제 1 가요성 피봇 (61) 을 구비한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때 제 1 고정식 연결부 (65) 에 의해, 상기 팰릿 헤드 (2) 가 피봇 선회하는 제 1 피봇 축선 (5) 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포크 (6) 가 피봇 및 베어링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가이드될 때 제 2 피봇 아버 (64) 에 의해 또는 상기 포크 (6) 가 제 2 가요성 피봇 (62) 을 구비한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때 제 2 고정식 연결부 (66) 에 의해, 상기 포크 (6) 가 피봇 선회하는 제 2 피봇 축선 (9) 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는 상기 밸런스 (30) 의 로울러 (31) 에 근접하여 뱅킹 핀들 (41) 을 포함하고,
    상기 팰릿 레버 (1) 는, 한편으로는, 상기 팰릿 헤드 (2) 가 피봇 및 베어링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가이드될 때 제 1 피봇 아버 (63) 에 의해 또는 상기 팰릿 헤드 (2) 가 제 1 가요성 피봇 (61) 을 구비한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때 제 1 고정식 연결부 (65) 에 의해, 상기 팰릿 헤드 (2) 가 피봇 선회하는 제 1 피봇 축선 (5) 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포크 (6) 가 피봇 및 베어링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가이드될 때 제 2 피봇 아버 (64) 에 의해 또는 상기 포크 (6) 가 제 2 가요성 피봇 (62) 을 구비한 가요성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때 제 2 고정식 연결부 (66) 에 의해, 상기 포크 (6) 가 피봇 선회하는 제 2 피봇 축선 (9) 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는, 한편으로는, 상기 팰릿 헤드 (2) 또는 상기 포크 (6) 를 피봇 선회식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제 1 주얼 (42; jewel) 또는 제 1 아버 (43) 를 고정 위치에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포크 (6) 또는 상기 팰릿 헤드 (2) 를 각각 피봇 선회식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를 포함하고,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가변 위치에 가이드되고 제 2 탄성 복귀 수단 (47) 의 작용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23.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는, 한편으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가변 위치에 가이드되고 상기 팰릿 헤드 (2) 또는 상기 포크 (6) 를 피봇 선회식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 1 탄성 복귀 수단 (46) 의 작용을 부여받는 제 1 주얼 (42) 또는 제 1 아버 (43) 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40) 에 대해 가변 위치에 병진 운동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포크 (6) 또는 상기 팰릿 헤드 (2) 를 각각 피봇 선회식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탄성 복귀 수단 (47) 의 작용을 부여받는 제 2 주얼 (44) 또는 제 2 아버 (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24.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스케이프 휠 (20) 의 피봇 축선 (23), 상기 밸런스 (30) 의 피봇 축선 (32), 상기 제 1 주얼 (42) 또는 상기 제 1 아버 (43) 각각, 상기 제 2 주얼 (44) 또는 상기 제 2 아버 (45) 각각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2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무브먼트 (200).
  2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00) 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300).
KR1020157008752A 2012-09-07 2013-09-03 콘스탄트-포스 가요성 팰릿 어셈블리 KR101775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83559.9 2012-09-07
EP12183559.9A EP2706416B1 (fr) 2012-09-07 2012-09-07 Ancre flexible à force constante
PCT/EP2013/068130 WO2014037319A1 (fr) 2012-09-07 2013-09-03 Ancre flexible à force const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791A KR20150053791A (ko) 2015-05-18
KR101775249B1 true KR101775249B1 (ko) 2017-09-05

Family

ID=4692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752A KR101775249B1 (ko) 2012-09-07 2013-09-03 콘스탄트-포스 가요성 팰릿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594349B2 (ko)
EP (2) EP2706416B1 (ko)
JP (1) JP5959750B2 (ko)
KR (1) KR101775249B1 (ko)
CN (2) CN107390494B (ko)
HK (1) HK1212047A1 (ko)
WO (1) WO2014037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7522B1 (fr) * 2014-05-20 2017-05-03 Société anonyme de la Manufacture d'Horlogerie Audemars Piguet & Cie Ancre d horlogerie pour oscillateur mécanique et mécanisme de déclenchement temporisé d horlogerie
EP3035127B1 (fr) * 2014-12-18 2017-08-23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Oscillateur d'horlogerie à diapason
EP3040783B1 (fr) * 2014-12-22 2017-07-26 Manufacture et fabrique de montres et chronomètres Ulysse Nardin Le Locle SA Sous-ensemble pour un mécanisme de réglage d'une vitesse dans un mouvement horloger et un tel mécanisme
WO2016113704A2 (de) 2015-01-16 2016-07-21 Creaditive Ag Uhr, regelorga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gelorgans mit hoher regelgüte
EP3185083B1 (fr) * 2015-12-23 2018-11-14 Montres Breguet S.A. Mecanisme horloger mecanique avec un echappement a ancre
FR3048791B1 (fr) * 2016-03-14 2018-05-18 Lvmh Swiss Manufactures Sa Mecanisme pour piece d'horlogerie et piece d'horlogeri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CH712715B1 (fr) * 2016-07-18 2020-06-30 Sowind SA Mécanisme d'échappement mettant en oeuvre un ressort-lame travaillant en flambage.
EP3273308B1 (fr) * 2016-07-18 2019-06-12 Sowind S.A. Mecanisme d'echappement
CH713143A1 (fr) * 2016-11-17 2018-05-31 Richemont Int Sa Échappement pour pièce d'horlogerie.
CH713150A2 (fr) * 2016-11-23 2018-05-31 Eta Sa Mft Horlogere Suisse Mécanisme régulateur à résonateur rotatif à guidage flexible entretenu par un échappement libre à ancre.
CN106986297A (zh) * 2017-04-28 2017-07-28 茹朝贵 一种减震设备
US11517664B2 (en) 2017-07-20 2022-12-06 Flex Ltd. Wire and pulley clock mechanism flow regulator
CH714024A2 (fr) * 2017-07-28 2019-01-31 Swatch Group Res & Dev Ltd Oscillateur d'horlogerie à guidages flexibles à grande course angulaire.
EP3489763B1 (fr) * 2017-11-22 2021-06-16 Nivarox-FAR S.A. Ancre pour echappement d'un mouvement horloger
EP3492996B1 (fr) 2017-12-04 2020-09-02 Patek Philippe SA Genève Echappement d'horlogerie a lame bistable
EP3502289B1 (fr) * 2017-12-21 2022-11-09 Nivarox-FAR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ressort spiral pour mouvement d'horlogerie
US10895845B2 (en) * 2018-06-25 2021-01-1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Timepiece oscillator with flexure bearings having a long angular stroke
US11740589B2 (en) * 2018-07-19 2023-08-29 Werner Janer Multi-cam, continuous-drive escapement mechanism
CH715864B1 (fr) * 2019-02-19 2022-08-15 Richemont Int Sa Organe de blocage pour un mouvement horloger.
EP3907563B1 (fr) * 2020-05-07 2022-09-14 Patek Philippe SA Genève Mécanisme horloger comprenant un organe pivot
WO2023126174A1 (en) 2021-12-29 2023-07-06 Asml Netherlands B.V. Enhanced alignment for a photolithographic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9052A1 (en) 2005-04-06 2008-11-13 Rolex S.A. Watch Escapement
JP2009510425A (ja) 2005-09-30 2009-03-12 バウムバーガー,ピーター タイムピース用デテント脱進機
JP2010217166A (ja) 2009-02-17 2010-09-30 Seiko Instruments Inc 脱進調速機、機械式時計、アンクル体の製造方法及び振リ座の製造方法
WO2011120180A1 (fr) 2010-04-01 2011-10-06 Rolex S.A. Dispositif de blocage pour roue dentée
US20120113765A1 (en) 2010-11-04 2012-05-10 Nivarox-Far S.A. Anti-trip device for an escap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36894B (ko) *
CH321184A (fr) * 1955-02-25 1957-04-30 Far Fab Assortiments Reunies Plateau de balancier pour assortiment à ancr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 plateau
ATE481662T1 (de) * 2004-10-26 2010-10-15 Lvmh Swiss Mft Sa Armbanduhr-regulierungsglied und mechanisches uhrwerk mit einem solchen regulierungsglied
EP1837721A1 (fr) * 2006-03-24 2007-09-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ièce de micro-mécanique en matériau isolant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DE602007001230D1 (de) 2007-03-09 2009-07-16 Eta Sa Mft Horlogere Suisse Hemmung mit Tangentialimpulsen
FR2928015B1 (fr) * 2008-02-22 2010-02-19 Jean Paul Lenoble Echappement perfectionne a ancre articulee a impulsion tangentielle, montre mecanique
EP2105806B1 (fr) * 2008-03-27 2013-11-13 Sowind S.A. Mécanisme d'échappement
JP5366318B2 (ja) * 2009-09-14 2013-12-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デテント脱進機およびデテント脱進機の作動レバーの製造方法
CH701921B1 (fr) * 2009-10-09 2014-07-31 Télôs Watch SA Echappement à ancre et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tel échappement.
IT1396734B1 (it) 2009-11-25 2012-12-14 Ferrara Scappamento per orologeria ad alto rendimento.
CH703333B1 (fr) * 2010-06-22 2015-07-15 Bruno Fragnière Ancre d'échappement.
EP2455821B2 (fr) 2010-11-18 2018-11-14 Nivarox-FAR S.A. Mobile de transmission d'énergie
CN103097965B (zh) * 2010-07-19 2015-05-13 尼瓦洛克斯-法尔股份有限公司 具有弹性枢轴的振荡机构和用于传递能量的可动元件
EP2431823A1 (fr) * 2010-09-16 2012-03-21 Blancpain S.A. Echappement blancpain à ancre amélioré pour mouvement d'horlogerie
EP2444860B1 (fr) * 2010-10-21 2019-11-13 Audemars Piguet (Renaud et Papi) SA Mécanisme régulateur pour pièce d'horlogeri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9052A1 (en) 2005-04-06 2008-11-13 Rolex S.A. Watch Escapement
JP2009510425A (ja) 2005-09-30 2009-03-12 バウムバーガー,ピーター タイムピース用デテント脱進機
JP2010217166A (ja) 2009-02-17 2010-09-30 Seiko Instruments Inc 脱進調速機、機械式時計、アンクル体の製造方法及び振リ座の製造方法
WO2011120180A1 (fr) 2010-04-01 2011-10-06 Rolex S.A. Dispositif de blocage pour roue dentée
US20120113765A1 (en) 2010-11-04 2012-05-10 Nivarox-Far S.A. Anti-trip device for an escap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1683A1 (en) 2017-05-11
WO2014037319A1 (fr) 2014-03-13
KR20150053791A (ko) 2015-05-18
EP2706416B1 (fr) 2015-11-18
US9927772B2 (en) 2018-03-27
JP5959750B2 (ja) 2016-08-02
WO2014037319A4 (fr) 2014-05-08
CN104769508B (zh) 2018-04-13
CN104769508A (zh) 2015-07-08
US9594349B2 (en) 2017-03-14
EP2706416A1 (fr) 2014-03-12
US20150248112A1 (en) 2015-09-03
HK1212047A1 (en) 2016-06-03
CN107390494A (zh) 2017-11-24
EP2893403A1 (fr) 2015-07-15
JP2015531476A (ja) 2015-11-02
CN107390494B (zh) 2019-05-21
EP2893403B1 (fr)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249B1 (ko) 콘스탄트-포스 가요성 팰릿 어셈블리
RU2603954C1 (ru) Анк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асового спуска
RU2607339C2 (ru) Механизм анкерный гибкий с подвижной рамой
JP4898814B2 (ja) タイムピース用デテント脱進機
JP5914456B2 (ja) 歯車用固定装置
JP5396462B2 (ja) 脱進機構
JP5596370B2 (ja) 時計ムーブメント用の特にデテント型の直接インパルス脱進機
KR101545470B1 (ko) 시계학 유사
JP6195888B2 (ja) ツールビロン機構
JP5351238B2 (ja) 脱進機構用の歯飛び防止装置
JP2020016644A (ja) 長い角ストロークを有するフレクシャーベアリングを備えた計時器用発振器
CN102736504A (zh) 特别用于钟表机芯的擒纵机构
JP2016505150A (ja) 計時器用プレート
JP6283078B2 (ja) 可動時計要素を枢動するための可撓性軸受
CH711609A2 (en) Flexible anchor with constant force.
JP6796697B2 (ja) 最適化された磁気機械式計時器脱進機機構
JP2019028064A (ja) 大きな角ストロークがあるたわみガイドメンバーを備える計時器用発振器
US20230176522A1 (en) Shock protection of a resonator mechanism with rotary flexure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