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088B1 - 블록지지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블록지지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088B1
KR101775088B1 KR1020150150926A KR20150150926A KR101775088B1 KR 101775088 B1 KR101775088 B1 KR 101775088B1 KR 1020150150926 A KR1020150150926 A KR 1020150150926A KR 20150150926 A KR20150150926 A KR 20150150926A KR 101775088 B1 KR101775088 B1 KR 10177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
supporting
horizontal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967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0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면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과 접촉되는 블록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지지용 캐리어{CARRIER FOR SUPPORTING BLOCK}
본 발명은 블록지지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 해양 구조물의 경우 각각의 구조물을 블록화하고, 그 구조물을 조립하여 취합하는 방식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이때, 각 구조물을 가공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블록은 캐리어(CARRIER)에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있는데, 그 중에서도 블록을 수평하게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와 'A'형상의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A-캐리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블록의 지지되는 면이 평면 형상인 경우 A-캐리어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으나, 블록의 지지되는 면이 라운드 형, 즉, 곡면으로 구비되는 경우 A-케리어 만으로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블록의 지지되는 면이 곡면이 경우에도 블록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곡면을 포함하는 블록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면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과 접촉되는 블록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에서, 상기 블록 접촉부는 상기 구동부의 단부에 볼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에서, 상기 블록 접촉부는 상기 구동부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조인트 부와 상기 조인트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블록에 접촉되는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에서, 상기 평판부의 일면에는 상기 블록의 외관 형상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에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에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 지지부는 개별적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는 곡면을 포함하는 블록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가 블록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1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10)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10)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캐리어(10)는 프레임부(100) 및 블록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bar)형상으로 구비되는 수평 지지부(110) 및 수평 지지부(110)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있다.
수평 지지부(110)는 메탈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철 빔으로 구비될 수있다.
또한, 수평 지지부(110)는 전체적으로 기둥 모양의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수평 지지부(110)를 구성하는 소재와 형상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소재 및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수평 지지부(110)의 상측에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구성하는 블록(미도시, 이하 '블록'이라함)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은 수평 지지부(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블록 지지부(200)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 지지부(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 지지부(110)는 양단부가 수직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지지부(110)는 지면(G)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수평 지지부(110)를 지면(G)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수평 지지부(110)의 상측에 블록을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수직 지지부(120)는 수평 지지부(110)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수직 지지부(120)는 수평 지지부(110)의 양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지지부(120)는 수평 지지부(110)의 양단부 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수직 지지부(120)에 의해 수평 지지부(110)는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수직 지지부(120)가 수평 지지부(110)의 양측 단부만을 지지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수직 지지부(120)를 세 개 이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수직 지지부(120)를 수평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세 개 이상 구비하여 수평 지지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란 도 1을 중심으로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직 지지부(120)를 세 개 구비하는 경우, 수직 지지부(120)는 수평 지지부(110)의 양측 단부 및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다. 수직 지지부(120)가 수평 지지부(110)를 지면(G)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 수직 지지부(120)가 구비되는 개 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수직 지지부(120)는 하측이 개구된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 지지부(120)는 전체적으로 'A'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지지부(120)는 일측 단부가 지면(G)에 접하고 타측 단부는 수평 지지부(110)의 저면에 접하는 한 쌍의 제 1축(121)과 상기 한 쌍의 제1 축(121)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축(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지지부(120)는 수평 지지부(110)에 작용된 외력이 다방향으로 분산되게 할 수 있다.
블록 지지부(200)는 블록의 일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수평 지지부(1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지지부(200)는 수평 지지부(1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지지부(200)는 수평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블록 지지부(200)는 수평 지지부(110)의 일면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동부(210)와 상기 구동부(2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과 접촉되는 블록 접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0)는 일 예로서 유압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 부(210)는 수평 지지부(110)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는 실린더(211)와 상기 실린더(211)에 삽입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스톤(212)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12)이 유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블록 지지부(200)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동부(210)의 단부에는 블록 접촉부(22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접촉부(220)는 구동부(210)의 단부에 볼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 접촉부(220)는 구동부(21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볼 형상의 조인트부(221)와 조인트부(221)의 일측에 결합되고 블록에 접촉되는 평판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접촉부(220)는 구동부(210)의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블록 지지부(220)에 지지되는 블록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게 평판부(222)의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평판부(222)의 일면에는 블록의 외관 형상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23)는 압력센서 또는 레이져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223)는 블록의 외관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223)는 구동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블록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223)에서 수신된 블록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210)의 상승 또는 하강되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블록 지지부(200)는 수평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됨으로써 곡면을 포함하는 블록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더 참조하여 블록 지지부(200)가 곡면 형상을 지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블록 지지부(200)는 수평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블록 지지부(200)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블록 지지부(200)의 높이는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지지부(200)에 지지되는 블록 곡면의 형상에 대응하게 블록 지지부(2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블록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중심부(C)가 볼록한 블록(B)이 블록 지지부(200)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블록(B)의 중심부(C)에 대응하는 블록 지지부(200)의 높이를 가장 낮게 조절하고, 수평 지지부(110)의 양측 단부로 갈수록 블록 지지부(200)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블록 지지부(200)가 전체적으로 블록(B)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블록 지지부(200)의 단부에는 평판부(222)가 구비되고 평판부(222)는 블록(B)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회전되어 블록(B)과의 접촉되므로 블록 지지부(200)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블록 지지용 캐리어 100: 프레임
110: 수평 지지부 120: 수직 지지부
200: 블록 지지부 210: 구동부
220: 블록 접촉부

Claims (7)

  1.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면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에 접촉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블록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의 일면에는 상기 블록의 외관 형상을 측정하여 상기 블록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의 높이를 결정하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접촉부는 상기 구동부의 단부에 볼조인트 결합되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로 구비되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 지지부는 개별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블록 지지용 캐리어.
KR1020150150926A 2015-10-29 2015-10-29 블록지지용 캐리어 KR10177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26A KR101775088B1 (ko) 2015-10-29 2015-10-29 블록지지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26A KR101775088B1 (ko) 2015-10-29 2015-10-29 블록지지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67A KR20170049967A (ko) 2017-05-11
KR101775088B1 true KR101775088B1 (ko) 2017-09-05

Family

ID=5874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926A KR101775088B1 (ko) 2015-10-29 2015-10-29 블록지지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92B1 (ko) * 2020-10-12 2022-05-13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탐사정 케이지
CN113753197B (zh) * 2021-09-26 2023-10-2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大重量船体建造时船坞内放置的方法
CN113895591A (zh) * 2021-10-15 2022-01-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双尾鳍lng船横向线型变化的坞墩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67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088B1 (ko) 블록지지용 캐리어
EP3218673B1 (en) Laser level with adjustable stand
US6857821B2 (en) Device for lifting a seagoing construction such as a drilling rig, provided with lifting members running mutually parallel
USD724418S1 (en) Reinforcing bar support for bond beam blocks
KR101118781B1 (ko) 3차원 형상의 오목, 볼록 판재 겸용 자동경사조절 장치
CA2555066A1 (en) Ultrasonic head for pulse-echo multichannel inspection
ITUD20050033A1 (it) Dispositivo stabilizzatore per un veicolo pesante di lavoro
KR101271760B1 (ko) 중량물 지지장치
ES2339264T3 (es) Cizalla de impacto para chapas.
WO2021071170A3 (ko)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WO2017178661A3 (en) LOAD TRACTOR, RESCUE CHU AND TANK
EP3157856B1 (en) Support frame
JP2007177527A (ja) 地盤改良機
KR101814518B1 (ko) 리프팅 장치
JP2018048023A (ja) バラスト装置およびクレーン
KR20180034136A (ko) 무게중심 측정 장치
KR20150117347A (ko) 선박 블록 받침용 지그 조립체
KR20120008752U (ko) 선박구조물 받침구조
KR200472121Y1 (ko) 뗏목
KR20048666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서포트 어셈블리
KR200479744Y1 (ko) 블록 지지장치
KR20150001515U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슈 구조
KR101775083B1 (ko) 도크의 선저 지지구조물
JPH1182618A (ja) 免震装置
KR101995158B1 (ko) Lng 연료탱크 패널 조립용 수동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