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413B1 -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413B1
KR101774413B1 KR1020150113558A KR20150113558A KR101774413B1 KR 101774413 B1 KR101774413 B1 KR 101774413B1 KR 1020150113558 A KR1020150113558 A KR 1020150113558A KR 20150113558 A KR20150113558 A KR 20150113558A KR 101774413 B1 KR101774413 B1 KR 10177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plate
sound
stud member
sou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579A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5011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4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벽 구조재인 스터드로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중간에 단절시켜 차음 성능을 높이는 구조로 된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는 전면판과 후면판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 후면판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제 1스터드부재와, 전면판과 후면판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 후면판의 단부에 형성되는 요홈으로 이루어진 제 2스터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스터드부재의 연결판을 제 2스터드부재의 요홈에 끼움 연결하여 그 연결부위에서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이 단절되는 스터드 구조체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포밍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손쉽게 차음 성능을 갖춘 스터드 형태를 만들 수 있어 차음 성능 및 강성, 생산성 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Stud assembly for sound insulation}
본 발명은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터드에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중간에 단절시켜 차음 성능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된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일반주택 및 공장 등과 같은 건축물에서는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내벽 구조물인 칸막이벽이나, 외벽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건식벽(Dry wall) 공법에 의한 벽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건식벽 공법은 블록이나 벽돌을 쌓아 시공하는 습식공법과 달리, 경량으로 건축물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시설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 및 시설비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건식벽 공법은 기본적으로 단열성과 차음성을 갖추어야 하며 구조적인 강도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 건식벽 구조는 천정과 바닥에 러너(Runner)를 설치하고, 이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수개의 스터드(Stud)의 양면에 각각 외장재가 조립되며, 외장재 사이에는 단열재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C형 구조재의 스터드로, 이를 사용한 종래의 건식벽 구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건식벽 구조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10)와, 하부러너(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러너(20)와, 이들 러너(10,2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스터드(30), 및 스터드(30) 양면에 설치되는 석고보드 등의 마감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식벽 구조는 세대간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스터드(30)를 통해 쉽게 전달되어 차음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세대간 벽 설치에 차음구조 성능 기준을 기존 3등급 분류에서 4등급까지 세분화하여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차음성능 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터드 형상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 일예로, 종래에는 스터드 중심판에 만곡부를 형성하거나 스터드의 웨브 단면에 'W'형태를 삽입하여 소리의 전달 경로를 길게 함으로써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거나 또는 스터드 중심판에 타공홀로 음을 분산시켜 고체 전달음을 저감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스터드 차음 구조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동이나 소음의 전달 경로가 중간에 단절되어 차음 성능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된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는, 전면판과 후면판,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 후면판의 단부에 후면판을 따라 절곡된 후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재절곡 형성되는 끼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스터드부재, 및 전면판과 후면판,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 후면판의 단부에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후 내측을 향해 재절곡 형성되는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2스터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스터드부재의 끼움판이 상기 제 2스터드부재의 요홈에 끼움 연결되어 스터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두 스터드부재를 서로 결착시켜 건식벽 구조재인 스터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두 부재로 분리 구성되어 스터드로 전달되는 소리가 중간에서 단절되게 되어 차음 성능이 향상되고 볼트나 클립 등의 체결수단 없이 체결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해짐과 동시에 결착부위에 의해 강성 또한 향상되게 된다.
둘째,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셋째, 결착부위에 고무재질의 흡음부재를 개재하여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차음 성능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터드를 사용한 건식벽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를 사용한 건식벽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100)는 제 1스터드부재(110)와 제 2스터드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스터드부재(110)는 전면판(111)과 후면판(113)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115)으로 이루어지되, 후면판(113)의 단부에 후면판(113)을 따라 절곡된 후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재절곡 형성된 끼움판(117)이 형성되게 된다.
제 2스터드부재(120)는 전면판(121)과 후면판(123)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125)으로 이루어지되, 후면판(123)의 단부에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후 내측을 향해 재절곡 형성된 요홈(127)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스터드부재(110,120)의 후면판(113,123)이 전면판(111,121) 보다 길게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 1스터드부재(110)의 끼움판(117)이 제 2스터드부재(120)의 요홈(127)으로 끼움 연결됨에 따라 건식벽 구조재인 스터드 구조체(100)의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차음 성능을 보다 더 높이기 위해, 제 1 및 제 2스터드부재(110,120) 사이에 택일적으로 고무재질의 흡음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흡음부재(130)는 제 1스터드부재(110)의 끼움판(117)와 제 2스터드부재(120)의 요홈(127) 사이에 개재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금속재의 제 1 및 제 2스터드부재(110,120)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 1스터드부재(110)의 끼움판(117)이 제 2스터드부재(120)의 요홈(127)에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 스터드로 사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를 사용한 건식벽 구조로, 러너(10,20) 사이에 제 1 및 제 2스터드부재(110,120)를 서로 결착시킨 구조로 된 스터드(100)가 삽입 설치되게 된다.
이때, 스터드(100)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스터드부재(110,120)가 분리되어 소리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스터드부재(110,120)가 분리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소리의 전달이 중간에서 단절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100)는 제 1 및 제 2스터드부재(110,120)를 서로 결착시켜 스터드 형태로 만들되,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결착가능하게 되며, 결착부위에 의해 강성 또한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포밍 공정을 통해 스터드를 어렵게 생산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체결을 통해 스터드를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 및 비용면에서 월등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스터드 구조체 110,120 : 스터드부재
130 : 흡음부재

Claims (4)

  1. 전면판과 후면판,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 후면판의 단부에 후면판을 따라 절곡된 후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재절곡 형성되는 끼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스터드부재; 및
    전면판과 후면판,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판, 후면판의 단부에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후 내측을 향해 재절곡 형성되는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2스터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스터드부재의 끼움판이 상기 제 2스터드부재의 요홈에 끼움 연결되어 스터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스터드부재와 제 2스터드부재의 끼움 연결부위에는 고무재질의 흡음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13558A 2015-08-12 2015-08-12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KR10177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58A KR101774413B1 (ko) 2015-08-12 2015-08-12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58A KR101774413B1 (ko) 2015-08-12 2015-08-12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579A KR20170019579A (ko) 2017-02-22
KR101774413B1 true KR101774413B1 (ko) 2017-09-04

Family

ID=5831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558A KR101774413B1 (ko) 2015-08-12 2015-08-12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4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15Y1 (ko) * 2002-06-21 2002-10-04 내차산업 주식회사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15Y1 (ko) * 2002-06-21 2002-10-04 내차산업 주식회사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579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1811B2 (ja) 吸遮音性能が改善された組立式壁体及びその組立式構造物
US6122867A (en) Acoustic building structure
KR101765673B1 (ko) 조립형 차음 스터드
KR101392432B1 (ko) 탄성 스터드에 의한 고차음 건식벽체
KR20090003503U (ko) 레실리언트 채널을 이용한 건식벽체
KR101306936B1 (ko) 압출성형 단열 복합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재의 시공 방법
JP6178072B2 (ja) 乾式壁構造
KR100764909B1 (ko) 소음 저감형 벽체 시스템
KR101774413B1 (ko) 고차음 스터드 구조체
JP6200631B2 (ja) 乾式界壁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KR101602919B1 (ko) 가설 방음패널
KR20160023284A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KR101089315B1 (ko) 건식벽체 차음용 스틸스터드 구조
JP6226687B2 (ja) 遮音床構造
KR101351439B1 (ko) 조립식 벽체블록
KR20190127039A (ko) 런너가 스터드 내측에 설치된 차음 스터드 설치 구조
JP6071486B2 (ja) 乾式壁構造
KR20160044687A (ko) 댐핑패널과 바닥구조물 및 댐핑패널의 제조방법
KR101680738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1075920B1 (ko) 벽체용 프레임 장치
KR102179341B1 (ko) 흡음단열재 고정구
KR20230164301A (ko) 차음성능이 개선된 건식벽체용 스터드
KR100949550B1 (ko) 건축용 패널
KR200279551Y1 (ko) 벽구조물용 스터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