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99B1 - 중간 창살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중간 창살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99B1
KR101772599B1 KR1020160063861A KR20160063861A KR101772599B1 KR 101772599 B1 KR101772599 B1 KR 101772599B1 KR 1020160063861 A KR1020160063861 A KR 1020160063861A KR 20160063861 A KR20160063861 A KR 20160063861A KR 101772599 B1 KR101772599 B1 KR 10177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frame
variable
window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일
Original Assignee
(주)한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진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한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6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06B3/685False glaz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9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clamping the pane between two sub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프레임이 상호 조립되어 창살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중간 창살을 형성하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한 쌍의 창 삽입홈을 포함한다. 제1, 2프레임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리브와, 베이스부의 타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고정리브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고정리브보다 얇게 형성된 가변리브와, 고정리브에서 가변리브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부와, 고정리브와 가변리브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한다. 한 쌍의 창 삽입홈은 제1프레임의 고정리브와 제2프레임의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고, 제1프레임의 걸림돌기부와 제2프레임의 걸림돌기부가 서로 엇물려 결합됨으로써, 가변리브와 가변리브와 이웃하는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중간 창살용 조립체{Muntin bar assembly}
본 발명은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호 조립된 상태로 창살 프레임에 결합되어 중간 창살을 형성하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창문 또는 창호는 창과 문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사각을 이루는 창살 프레임과, 창살 프레임의 내부를 격자형태로 구획하는 중간 창살과, 구획된 영역에 끼워지는 창유리와, 창유리의 테두리를 막는 창문씰 등으로 구성된다.
창문은 개폐 방식과 그 형태에 따라 여닫이, 미닫이, 내리닫이, 프로젝트, 블라인드 등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창문은 실내의 출입, 환기, 채광, 방음 등을 목적으로 주택이나 건물에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인테리어 측면까지 고려한 창문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창문은, 직사각 형상의 창살 프레임(12)과, 창살 프레임의 중간을 연결하는 중간 창살(14)과, 중간 창살에 의해 복수로 구획된 영역 내에 삽입되는 창유리(20, 30)와, 창유리(20, 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창유리의 테두리에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창문씰(28, 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창문은 창살 프레임(12)과 중간 창살(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日"형상의 정형화된 형태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격자 형태를 갖는 창문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유리(20, 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창유리의 테두리를 창문씰(28, 38)로 막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창문의 제작과 시공에 있어 시간과 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문씰(28, 38)이 창살 프레임(12)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창유리(20, 30)가 바람 등의 외력이나 개폐 과정에서의 충격에 의해 창살 프레임(1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1515호(2016. 05. 11. 공고, 발명의 명칭 : 실내용 인테리어 창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살 프레임에 중간 창살을 별도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를 갖는 창문을 제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조립과 시공이 간편하며, 창유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리브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리브보다 얇게 형성된 가변리브와, 상기 고정리브에서 상기 가변리브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고정리브와 상기 가변리브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고정리브와 상기 제2프레임의 고정리브가 상기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걸림돌기부가 서로 엇물려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변리브와 상기 가변리브와 이웃하는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창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리브는,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상기 고정리브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요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리브가 탄성회동하여 상기 결합홈이 확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는, 삼각형상으로, 상기 고정리브의 돌출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리브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톱니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기 걸림돌기부의 두 경사면이 만나는 교선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교선부가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변리브는, 상기 가변리브의 돌출방향을 향해 갈수록 상기 가변리브가 상기 고정리브와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리브가 고정리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립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창 삽입홈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다양한 패턴을 갖는 창문을 제공할 수 있고, 창문의 일정 영역만 별도로 구획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으로 창문의 형태과 구조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끼워 쉽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창문씰 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없이 창문 시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베이스부를 통해 창유리의 양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빈틈없이 삽입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서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홈이 확장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서로 용이하게 분리/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변리브가 고정리브를 가압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에 따르면, 창유리의 두께에 따라 창 삽입홈의 폭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의 제1, 2프레임 중 하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2프레임이 조립되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얇은 두께의 창유리가 삽입된 모습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2프레임이 조립되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두꺼운 두께의 창유리가 삽입된 모습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와 창유리가 창살 프레임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도 3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창문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의 제1, 2프레임 중 하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2프레임이 조립되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얇은 두께의 창유리가 삽입된 모습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2프레임이 조립되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에 두꺼운 두께의 창유리가 삽입된 모습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와 창유리가 창살 프레임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도 3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창문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창살용 조립체(1)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호 조립된 상태로 창살 프레임(F)에 결합되어 중간 창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과, 제1, 2프레임(100, 20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창 삽입홈(30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한 쌍으로 구성된 요소로서,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서로 대응되는 하위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번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리브(120)와, 베이스부(110)의 타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고정리브(12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고정리브(120)보다 얇게 형성된 가변리브(130)와, 고정리브(120)에서 가변리브(130)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부(140)와, 고정리브(120)와 가변리브(130)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150)을 구비한다.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스텐인리스, 알루미늄, 폴리글래스 등과 같이 강도가 높고, 부식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데, 기 제작된 창틀 프레임(F)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되어 제작된다.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리브(120)는 베이스부(110)의 중심부, 더 정확히는 걸림돌기부(140)가 베이스부(110)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립면(N)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면(N)을 기준으로 베이스부(110)의 일측면까지의 거리(d1)와 베이스부(110)의 타측면까지의 거리(d2)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중립면(N)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의 고정리브(120)와 가변리브(130)가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한 쌍의 창 삽입홈(300)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창유리(G)의 양면을 동일한 면적으로, 창유리(G)의 테두리를 동일한 면적으로 지지/고정하게 된다.
가변리브(130)는 고정리브(120)와 평행하게 베이스부(110)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다. 가변리브(130)는 고정리브(120)로부터 고정리브(12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는 고정리브(120)와 가변리브(130)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150)에 고정리브(120)가 삽입되었을 때, 고정리브(120)와 결합홈(150)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빈틈이 있을 경우, 걸림돌기부(14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걸림돌기부(140)가 서로 견고하게 엇물리지 않게 되고, 가변리브(130)가 고정리브(120)를 가압하는 효과도 떨어지게 된다.
가변리브(130)는 베이스부(110)와 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요홈(131)을 구비한다. 걸림돌기부(140)의 폭까지 고려한다면, 결합홈(150)의 폭은 고정리브(120)의 폭보다 약간 좁기 때문에 고정리브(120)는 결합홈(150)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가변리브(130)가 요홈(131)을 중심으로 탄성회동하여 결합홈(150)이 확장됨으로써,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분리/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가변리브(130)는 가변리브(130)의 돌출방향을 향해 갈수록 가변리브(130)가 고정리브(120)와 가깝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리브(120)와 마주보는 가변리브(130)의 측면이 고정리브(12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베이스부(110)와 가까운 가변리브의 안쪽 폭(d3)이 바깥쪽 폭(d4)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리브(120)가 결합홈(15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변리브(130)가 고정리브(120)를 가압하여,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이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돌기부(140)는 삼각형상으로, 고정리브(120)의 돌출방향을 따라 고정리브(12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톱니 형상을 이룬다. 걸림돌기부(140)가 서로 마찰 또는 충돌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돌기부(140)의 두 경사면이 만나는 교선부(141)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선부(141)가 베이스부(110)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도록, 구체적으로는 걸림돌기부(140)의 두 경사면 중 베이스부(110)에 인접한 경사면과 고정리브(120)의 측면이 서로 수직 혹은 그 이상의 각도를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이는 고정리브(120)를 결합홈(150)에 삽입할 때는 고정리브(120)가 걸림돌기부(140)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결합홈(150) 내에 쉽게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되고 나서는 걸림돌기부(140)의 급한 경사면끼리 서로 걸려 고정리브(120)가 결합홈(15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쌍의 창 삽입홈(300)은 창유리(G)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100)의 고정리브(120)와 제2프레임(200)의 고정리브(120)가 결합홈(150)에 각각 삽입되고, 제1프레임(100)의 걸림돌기부(140)와 제2프레임(200)의 걸림돌기부(140)가 서로 엇물려 결합됨으로써, 가변리브(130)와 가변리브(130)와 이웃하는 베이스부(110) 사이에 형성된다.
창 삽입홈(300)은 제1, 2프레임(100, 20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 삽입홈(300)의 폭은 고정리브(120)가 결합홈(150)에 삽입되는 깊이에 반비례하여 변하게 된다. 도 3과 같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창유리(G)를 시공할 때는 고정리브(120)를 결합홈(150) 안쪽까지 삽입하여 엇물리게 하고, 도 4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창유리(G)를 시공할 때는 고정리브(120)를 결합홈(150) 안쪽에서부터 어느 정도의 공간을 두고 엇물리게 함으로써, 창유리(G)의 두께(t)에 따라 창 삽입홈(300)의 폭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의 중간 창살로 사용하기 위해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을 서로 끼워 조립한 후, 중간 창살용 조립체(1)의 양단부를 창살 프레임(F)에 피스나 볼트로 결합하는, 쉽고 간단한 조립 방식이다. 또한, 제1, 2프레임(100, 200)이 서로 조립되면서 베이스부(110)가 창유리(G)의 양면 테두리를 막아 창유리(G)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창유리(G)의 테두리에 창문씰을 별도로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창문 시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간 창살용 조립체(1)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창살 프레임(F)에 별도로 결합되는 점은 종래의 창문의 구조과 대별되는 점이다. 단조로운 격자 형태의 창문은 미적 측면에서 그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중간 창살용 조립체(1)를 다양한 길이로 절단하고, 서로 격자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도 5와 같이 특유의 격자 패턴을 갖는 창문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간 창살용 조립체(1)의 단부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커팅하고, 커팅된 단부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격자 패턴 이외에도 다양한 패턴을 갖는 창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중간 창살의 형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점은 창문의 인테리어 측면뿐만 아니라, 기능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창문과 같이 창문의 전체 영역 중에서 일정 영역만 개폐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1)를 이용해 그 영역만 별도로 구획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창문을 교체할 필요없이, 보다 경제적으로 창문의 형태과 구조를 바꿀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창살 프레임에 별도로 결합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을 갖는 창문을 제공할 수 있고, 창문의 일정 영역만 별도로 구획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으로 창문의 형태과 구조를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끼워 쉽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창문씰 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없이 프레임이 서로 조립되면서 베이스부가 창유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창문 시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별도의 창문씰이 없더라도 창유리를 끼울 수 있는 한 쌍의 창 삽입홈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창유리를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고정리브의 폭과 결합홈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고정리브는 결합홈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변리브가 요홈을 중심으로 탄성회동하여 결합홈이 확장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보다 용이하게 분리/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가변리브가 가변리브의 돌출방향을 향해 갈수록 고정리브와 가깝게 형성되어,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변리브가 고정리브를 가압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걸림돌기부의 교선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교선부가 베이스부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됨으로써,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간 창살 조립체는, 고정리브가 결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달리함으로써, 창유리의 두께에 따라 창 삽입홈의 폭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본 발명의 중간 창살용 조립체
100 : 제1프레임
110 : 베이스부
120 : 고정리브
130 : 가변리브
140 : 걸림돌기부
150 : 결합홈
200 : 제2프레임
300 : 창 삽입홈

Claims (6)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리브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리브보다 얇게 형성된 가변리브와, 상기 고정리브에서 상기 가변리브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고정리브와 상기 가변리브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고정리브와 상기 제2프레임의 고정리브가 상기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걸림돌기부가 서로 엇물려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변리브와 상기 가변리브와 이웃하는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창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리브는,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상기 고정리브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요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리브가 탄성회동하여 상기 결합홈이 확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는,
    삼각형상으로, 상기 고정리브의 돌출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리브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톱니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기 걸림돌기부의 두 경사면이 만나는 교선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교선부가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리브는,
    상기 가변리브의 돌출방향을 향해 갈수록 상기 가변리브가 상기 고정리브와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리브가 고정리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립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창 삽입홈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창살용 조립체.
KR1020160063861A 2016-05-25 2016-05-25 중간 창살용 조립체 KR10177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861A KR101772599B1 (ko) 2016-05-25 2016-05-25 중간 창살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861A KR101772599B1 (ko) 2016-05-25 2016-05-25 중간 창살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599B1 true KR101772599B1 (ko) 2017-08-30

Family

ID=5976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861A KR101772599B1 (ko) 2016-05-25 2016-05-25 중간 창살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9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345A (en) Translucent self-supporting enclosure for building structures
US4924649A (en) Corner assembly for a skylight frame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US4250673A (en) Window replacement system
US4223499A (en) Decorative stained glass insert unit for windows
US4164830A (en) Double-glazed doors or windows and frame assemblies therefor
US4979346A (en) Window and door frame
KR101772599B1 (ko) 중간 창살용 조립체
JP5591189B2 (ja) 開口部建材
KR100890036B1 (ko) 이중창호 시스템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JP7211931B2 (ja) 建具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EP2955310B1 (en) Sash with cover frame
US4413397A (en) Metal door and light assembly
GB2217763A (en) Window of door frame
JPH07109871A (ja) 連 窓
JP2003120136A (ja) 複層ガラス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01470A (ja) 障子および建具
EP3121361A1 (en) Covering strip
JPS6115231B2 (ko)
KR102607360B1 (ko) 창짝 조립체들 사이의 단열성 및 방풍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2249341B1 (ko) 3연동 도어용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JP6726519B2 (ja) 格子構造及び格子取付方法
KR100867182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