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424B1 -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424B1
KR101772424B1 KR1020140195178A KR20140195178A KR101772424B1 KR 101772424 B1 KR101772424 B1 KR 101772424B1 KR 1020140195178 A KR1020140195178 A KR 1020140195178A KR 20140195178 A KR20140195178 A KR 20140195178A KR 101772424 B1 KR101772424 B1 KR 101772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brick
roof
bricks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401A (ko
Inventor
윤도식
Original Assignee
윤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도식 filed Critical 윤도식
Priority to KR102014019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4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수한 흙만으로 다양한 자연적 색감과 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어떠한 화학성분이나 안료도 첨가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모형벽돌을 사용하여 실제로 벽돌을 쌓는 것과 같이 벽체와 벽돌지붕을 완성하여 모형 집을 제작함으로써,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천연 모형벽돌과 이 모형벽돌을 포함하는 모형 집 및 상기 모형벽돌과 상기 모형 집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Natural model brick, model hous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모형 집은 단순히 종이를 접거나 풀칠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단순한 조립방법과 구조로 인해 나이가 어린 아이를 제외하고는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웠다. 또한, 완성된 모형 집이 실제 집과는 너무나 상이한 형태와 시각적 느낌을 나타내므로 단순히 제작하는 과정 이외에 완성된 제품을 전시하거나 하는 것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종래의 벽돌은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여 고열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대기 및 폐자재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벽돌은 단일 색상으로 제작되는데, 여러 가지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화학성분이나 안료를 첨가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추가의 환경오염물질 및 환경호르몬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 중에 손으로 만지거나 대기 중에 해당 물질이 발산되면서 인체에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등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특히, 종래의 벽돌은 연령대가 낮은 어린아이가 입에 넣거나 예기치 않게 일부를 먹게 되는 경우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제0254931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재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어린아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벽돌을 쌓는 것과 같이 상기 모형벽돌을 사용하여 벽체와 벽돌지붕을 완성하면서 모형 집을 제작하고, 이때 상기 모형벽돌은 다양한 색감과 패턴을 가짐으로써, 연령대에 상관없이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완성 후 우수한 전시효과를 부여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천연 모형벽돌의 제조방법은, 순수한 흙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5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고, 2-3회 토련하는 단계; 상기 토련된 흙을 이용하여 4 내지 8mm 두께의 흙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흙판을 격자 형태의 틀로 눌러 일정한 크기의 모체로 나눈 후 4 내지 8시간 자연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틀로부터 각각의 모체를 분리한 후 900 내지 1200℃에서 2 내지 24시간 구워 벽돌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흙은 청자토, 분청토, 옹기토, 흑토, 백토, 산청토 및 조형토이며, 이 중 둘 이상을 배합한 후 토련하여 흙판 형성시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틀의 높이는 상기 흙판의 두께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흙판을 상기 틀로 누른 후 상기 흙판에서 위로 돌출된 표면을 레이저로 평탄화시키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모형벽돌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모형 집의 제조방법은, 종이 위에 전개도 형태로 건물 디자인을 인쇄한 후, 상기 종이를 오리거나 접고 공작용 접착제로 붙여 종이모형 건물을 완성한 다음 베이스판 위에 붙여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판 위에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벽면과 밀착되게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진 복수의 모형벽돌을 서로 부착되게 쌓아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모형 건물의 지붕에 밑에서부터 위로 상기 지붕의 형태를 따라 상기 복수의 모형벽돌을 서로 부착되게 쌓아 벽돌지붕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 및 상기 벽돌지붕에 적층된 일부 모형벽돌 간의 틈새에 모형덤불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판 위에 보조 구조물 및 잔디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벽돌지붕을 완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형벽돌 중 일부를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벽면 또는 지붕의 크기에 맞게 절단수단으로 절삭한 후 공작용 접착수단으로 붙여 쌓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형 집은, 원목, 합판, MDF 및 마분지 중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판; 입체감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 위에 고정 설치된 종이모형 건물; 상기 베이스판 위에 서로 접합되게 적층된 복수의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진 모형벽돌을 포함하며,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벽면과 밀착되게 배치된 벽체; 밑에서부터 위로 서로 접합되게 적층된 상기 복수의 모형벽돌을 포함하며,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지붕 위에 상기 지붕의 형태를 따라 배치된 벽돌지붕; 상기 벽체 및 상기 벽돌지붕에 적층된 일부 벽돌 간의 틈새에 배치된 모형덤불; 및 상기 베이스판 위에 설치된 보조 구조물 및 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벽돌이 어떠한 화학성분이나 안료도 첨가되지 않은 순수한 흙 성분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친환경적이고 환경호르몬이 발생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연령대가 낮은 어린아이가 입에 넣거나 예기치 않게 먹게 되더라도 건강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모형벽돌을 사용하여 실제로 벽돌을 쌓는 것과 같이 벽체와 벽돌지붕을 완성하여 모형 집을 제작함으로써, 연령대에 상관없이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완성된 모형 집에 우수한 전시효과를 부여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모형벽돌은 둘 이상의 순수한 흙 성분을 배합하여 다양한 색과 패턴을 나타내도록 제작할 수 있어서, 구매자의 흥미가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형벽돌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마련된 흙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흙판과 그 위에 가압되는 격자 형태의 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흙판에 틀이 가압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완성된 모형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형벽돌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베이스판 위에 종이모형 건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종이모형 건물 벽면에 모형벽돌을 쌓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종이모형 건물 지붕에 모형벽돌을 쌓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모형 집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형벽돌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마련된 흙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흙판과 그 위에 가압되는 격자 형태의 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흙판에 틀이 가압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완성된 모형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모형벽돌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순수 흙 벽돌의 제조방법은, 토련단계; 흙판 마련단계; 가공체 제작 및 건조단계; 및 가마에 굽는 단계; 를 포함한다.
먼저 어떠한 화학성분이나 안료가 첨가되지 않은 순수한 흙을 준비하여 이 흙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5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배합재료를 제작한다(S10). 이는 후술하는 토련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흙은 단일 종류로 구성되거나 다양한 종류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흙은 청자토, 분청토, 옹기토, 흑토, 백토, 산청토 및 조형토 중 하나이거나 이 중 둘 이상을 섞어서 배합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된 흙이외의 다른 흙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색상 및 입자의 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흙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 후 토련하여 흙판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상 및 무늬(패턴)가 자연스럽게 구현되는 벽돌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의 비율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혼합이 잘 되지 않아 원하는 색상 또는 무늬를 형성하기 어렵고 제조시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고, 상기 물의 비율이 30중량부 초과한 경우 질어져서 무늬가 나타나지 아니하거나 색의 경계가 흐트러져 흙이 제대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순수 배합 흙을 2-3회 토련한다(S20). 이때, 토련을 3회를 초과하는 횟수로 실시하면 흙의 입자들이 너무 잘게 부서지면서 흙판으로 제작시 전체적으로 배합된 흙들의 중간 색을 가지게 되므로, 벽돌의 자연미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각 흙 성분의 색상이 자연스럽게 혼합되거나 부분적으로 발색되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토련 횟수는 2-3회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련된 흙을 반죽하여 4 내지 8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6mm의 두께의 판자 형태로 된 흙판(1)을 제작하여 마련한다(S30).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판(1)을 위에서 격자 형태의 틀(2)로 눌러 일정 크기를 갖는 복수의 모체(10')로 나눈다(S40). 이때, 틀(2)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흙판(1)의 두께 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예컨대 흙판(1)의 두께가 6mm 정도인 경우 틀(2)의 높이는 약 5mm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틀(2)의 격자들의 간격은 가로×세로가 예컨대 1.2cm×0.5로 이루어져 미니어쳐에 사용 가능한 소형 크기의 벽돌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틀(2)에 의해 구분되는 모체(후에 벽돌로 제작되는)의 크기도 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틀(2) 및 틀(2)의 격자 간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사이즈 보다 더 작거나 크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틀(2)은 바람직하게 포맥스(foamex)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맥스는 PVC를 원료로 발포 압출한 것으로서, 플라스틱이나 목재의 장점을 그대로 갖추고 있어 강도가 높고 절단이 되지 않으며 부식이 되지 않아 이와 같이 격자 형태의 틀(2)로 연속하여 사용시 흙판(1)을 동일한 크기로 계속하여 나눌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강도와 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조가 완료된 후에 틀을 비틀어서 모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포맥스의 표면은 레이저 가공을 통하여 매끄럽게 가공하여 분리가 원할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틀(2)의 상부를 가압하여 틀(2)의 내부에 흙이 충분히 들어가게 한다(S40). 가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롤러를 이용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가압과 동시에 남는 흙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렇게 틀(2)과 결합된 흙판(1)을 4 내지 8 시간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약 6시간 동안 건조한다(S50). 또한, 상기 건조공정은 별도의 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바람과 햇빛이 통하지 않는 음지에 틀(2)과 흙판(1)을 거치하여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흙판(1)이 알맞게 건조되어 있는지는, 흙판(1)의 표면 색이 변한 정도 및 틀(2)을 흔들어 각각의 모체(10')가 틀(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정도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건조작업을 통해 흙판(1)에서 수분이 일정 부분(예: 95% ) 제거되어 흙판(1)의 전체 크기가 건조 이전보다 대략 5중량% 정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틀(2)로부터 건조가 완료된 각각의 모체(10')를 구분하여 분리한다(S60).
다음으로, 각각의 모체(10')를 가마에 넣고 900 내지 1200℃에서 2 내지 24시간 정도 구워(소성) 도 5에 도시된 모형벽돌(10)을 완성한다(S70). 이때, 상기 소성 온도가 900℃ 미만이면 완성된 모형벽돌(1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소성 온도가 1200℃를 초과하게 되면 강도는 향상되지만 필요시 가위나 칼로 절단하여 사용하기 곤란해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소성 과정에서 모체(10')에 균열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성 시간이 2시간 미만이면 소성이 되지 아니하는 문제(예: 흙의 화학적 성분이 변하지 않음)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소성 시간이 24시간을 초과하면 강도가 세어져서 소성후 가위로 절단하는 등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재가 어떠한 화학성분이나 안료가 첨가되지 않은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친환경적이고 환경호르몬이나 화학성분이 배출되지 않는 안전한 모형벽돌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모형벽돌은 연령대가 낮은 어린아이가 입에 넣거나 예기치 않게 먹게 되더라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아동용 완구로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형벽돌이 일정한 강도를 갖고 있어 쌓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도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제작중인 모형 건물의 크기나 형태와 맞추고자 하는 경우 가위나 칼로 손쉽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형벽돌의 재료인 순수 흙은 그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색과 입자를 가지므로, 적정한 비율로 배합하고 2-3회 토련한 후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화학첨가제나 안료를 넣지 않고도 다양한 색과 패턴을 나타내는 벽돌을 만들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벽돌은 빨강, 검정, 흰색 및 주홍색 또는 여러 색상이 동시에 나타나거나 자연스런 패턴으로 표현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상 및 패턴은 순수 흙 자체의 고유한 색이 물과 만나면서 나오는 색으로서 100% 천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의 모형벽돌은 격자 형태의 틀에 의해 크기가 일정하게 제작되므로, 모든 모형벽돌의 크기가 일정하게 되어서 손이 작거나 공간지각능력이 부족한 어린아이도 손쉽게 쌓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상상하고 일정한 크기의 모형벽돌로 적층하게 되므로 용이하게 원하는 모형 집을 제작할 수 있고, 나아가 제작시 종이모형 집의 벽면 및 지붕의 구조가 복잡하더라도 적층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베이스판 위에 종이모형 건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종이모형 건물 벽면에 모형벽돌을 쌓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종이모형 건물 지붕에 모형벽돌을 쌓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모형 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형 집은, 원목, 합판, MDF 및 마분지중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판(200); 입체감을 가지며, 베이스판(200) 위에 고정 설치된 종이모형 건물(100); 베이스판(100) 위에 서로 접합되게 적층된 복수의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진 모형벽돌(10)을 포함하며, 종이모형 건물(100)의 벽면(110)과 밀착되게 배치된 벽체; 밑에서부터 위로 공작용 접착제(20)에 의해 서로 접합되게 적층된 복수의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진 모형벽돌(10)을 포함하며, 종이모형 건물(110)의 지붕(120) 위에 비중(120)의 형태를 따라 배치된 벽돌지붕; 상기 벽체와 상기 벽돌지붕에 적층된 일부 벽돌(10) 간의 틈새에 배치된 모형 덤불; 및 베이스판(200) 위에 설치된 모형 울타리(300)나 나무(400) 등의 보조 구조물 및 잔디(210);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모형 집은, 종이모형 건물(100)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거나 단순화하는 등 수준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연령별로 다양한 제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이모형 건물(100)의 크기 및 베이스판(200)의 크기를 다양화하여 제작에 필요한 시간이 단시간에서 여러 시간에 걸쳐 만들 수 있도록 난이도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종이모형 건물(100)은 캐드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종이에 전개도 형태로 디자인하여 제작하는 것이므로, 필요시 사용자가 현재 거주하거나 앞으로 살고 싶은 가상의 집을 개별적으로 주문하여 도면 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종이에 인쇄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하여 상기 모형 집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건물 디자인이 전개도 형태로 인쇄된 종이모형을 마련한다.
상기 종이모형은 일정 두께의 합판과 같은 종이에 오리고 접고 서로 붙이는 부분을 미리 감안하여 디자인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러한 종이모형을 설계된 대로 오리고 접는 선을 따라 안으로 접고 공작용 접착제로 해당 부분을 서로 붙이는 등의 작업을 통해 벽면과 지붕을 포함하며 입체감을 갖는 건물의 형태로 완성한다. 이때, 종이모형 건물(100)의 바닥 면 부분이 베이스판(200) 위에 풀칠하여 부착할 있도록 소정 면적의 풀칠 공간을 확보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품 박스에 종이모형의 접는 순서나 풀칠하는 순서를 이미지로 도시하면 설명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완성된 종이모형 건물(100)을 원목, 합판, MDF 등의 재질로 된 베이스판(200) 위에 예컨대 천연소재의 공작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여 고정시킨다. 이때, 종이모형 건물(100)은 나중에 마당을 꾸미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200)의 한쪽에 치우지게 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공작용 접착제는 예컨대 문구용 풀, 목공용 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200) 위에 복수 개의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진 모형벽돌(10)을 쌓아 벽체를 완성한다. 이때, 모형벽돌(10)은 종이모형 건물(100)의 벽면(110)과 밀착되게 아래서부터 쌓아 공작용 접착제로 각각의 벽돌(10)의 계면에 풀칠을 하여 서로 부착시키면서 쌓아 올리게 된다.
이때, 모형벽돌(10)이 종이모형 건물(100)의 벽면(100)과 크기가 맞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모서리 등에 붙여서 크기 조절이 필요한 경우 부착하고자 하는 곳에 벽돌(10)을 대어본 후 그 크기에 부합되도록 가위나 칼과 같은 절단수단으로 일정 부분을 절삭한 후 쌓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모형벽돌은 그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므로 공작용 접착제로 서로를 부착시킬 경우에 그 접착면적이 넓게 되어서 접착의 강도도 세게 되는 장점이 있다. 만약 모형벽돌의 크기와 형태가 서로 상이하다면 모형벽돌을 쌓기도 힘들고 모형벽돌이 서로 접하는 면적이 적게 되어서 완성된 집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모형 건물(100)의 지붕(120)에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복수 개의 모형벽돌(10)을 공작용 접착제(20)로 서로 부착되게 붙이면서 쌓아 올려 벽돌지붕을 완성한다.
이때, 모형벽돌(10)이 종이모형 건물(100)의 지붕(120)과 크기가 맞지 않거나 종이모형 건물(100)의 지붕(120) 중에서 모서리 부분에 붙여야 하는 경우 부착하고자 하는 곳에 모형벽돌(10)을 대어본 후 그 크기에 부합되도록 가위나 칼로 일정 부분을 절삭한 후 쌓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와 상기 벽돌지붕에 적층된 일부 모형벽돌(10) 간의 틈새에 모형 덤블을 부착한다. 상기 모형 덤블은 시각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벽체 및 상기 벽돌지붕 형성 공정에서 풀칠 등에 의해 지저분해지거나 모형벽돌(10) 중 틈새가 많이 벌어진 곳에 부착하여 해당 부분을 커버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형 덤불은 라텍스, 천연고무, PVC, 아크릴 중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200) 위에 보조 구조물로서 플라스틱이나 천 등으로 된 모형 울타리(300)나 나무(400) 및 잔디(210)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모형 집을 완성한다. 이때, 잔디(210)는 베이스판(200) 위에 풀을 얇고 넓게 펴가면서 골고루 바른 후 일정 크기로 된 잔디용 재료를 조금씩 뿌려가면서 접착하면 시작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필요시 집의 문과 창문도 달아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모형벽돌을 이용하여 실제로 벽돌을 쌓는 것과 유사하게 모형벽돌을 종이모형 건물의 벽면이나 지붕에 하나씩 붙여가면서 축조하여 제품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연령대에 상관 없이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구매 욕구를 크게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흙판
2 ; 틀
10 ; 모형벽돌
10'; 모체
20 ; 공작용 접착제
100 ; 종이모형 건물
110 ; 벽면
120 ; 지붕
200 ; 베이스판
210 ; 잔디
300 ; 울타리
400 ; 나무
S10 ; 순수한 흙을 준비하는 단계
S20 ; 토련 단계
S30 ; 흙판 형성 단계
S40 ; 틀로 누르는 단계
S50 ; 건조 단계
S60 ; 모체를 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S70 ; 소성 단계

Claims (7)

  1. 종이 위에 전개도 형태로 건물 디자인을 인쇄한 후, 상기 종이를 오리거나 접고 공작용 접착제로 붙여 종이모형 건물을 완성한 다음 베이스판 위에 붙여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판 위에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벽면과 밀착되게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진 복수의 모형벽돌을 서로 부착되게 쌓아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모형 건물의 지붕에 밑에서부터 위로 상기 지붕의 형태를 따라 상기 복수의 모형벽돌을 서로 부착되게 쌓아 벽돌지붕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 및 상기 벽돌지붕에 적층된 일부 모형벽돌 간의 틈새에 모형덤불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판 위에 보조 구조물 및 잔디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벽돌지붕을 완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형벽돌 중 일부를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벽면 또는 지붕의 크기에 맞게 가위 또는 칼로 절단한 후 공작용 접착수단으로 붙여 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원목, 합판, MDF 및 마분지 중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판;
    입체감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 위에 고정 설치된 종이모형 건물;
    상기 베이스판 위에 서로 접합되게 적층된 복수의 순수한 흙으로만 이루어진 모형벽돌을 포함하며,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벽면과 밀착되게 배치된 벽체;
    밑에서부터 위로 서로 접합되게 적층된 상기 복수의 모형벽돌을 포함하며, 상기 종이모형 건물의 지붕 위에 상기 지붕의 형태를 따라 배치된 벽돌지붕;
    상기 벽체 및 상기 벽돌지붕에 적층된 일부 벽돌 간의 틈새에 배치된 모형덤불; 및
    상기 베이스판 위에 설치된 보조 구조물 및 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KR1020140195178A 2014-12-31 2014-12-31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2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178A KR101772424B1 (ko) 2014-12-31 2014-12-31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178A KR101772424B1 (ko) 2014-12-31 2014-12-31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01A KR20160081401A (ko) 2016-07-08
KR101772424B1 true KR101772424B1 (ko) 2017-08-29

Family

ID=5650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178A KR101772424B1 (ko) 2014-12-31 2014-12-31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5423B (zh) * 2018-06-06 2020-05-08 贝壳技术有限公司 一种房屋的虚拟三维模型的楼层分割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61B1 (ko) 2006-08-18 2007-03-08 주식회사 명신연와 점토 벽돌의 압축강도 증대와 크랙발생 방지방법 및 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6088A (en) 1993-12-22 1995-04-11 Eaton Corporation Scan and tilt apparatus for an ion impla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61B1 (ko) 2006-08-18 2007-03-08 주식회사 명신연와 점토 벽돌의 압축강도 증대와 크랙발생 방지방법 및 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01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38179A1 (en) Multipurpose Foam Flooring
CN1651121A (zh) 用于建造实物大小可充气游戏结构的模块和构建系统
KR101772424B1 (ko) 천연 모형벽돌을 이용한 모형 건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840224U (zh) 具有镶嵌框的内墙装饰板
CN206737329U (zh) 一种闪光干粒糖果釉陶瓷砖
JP2007031991A (ja) 土壁のボード
CN102173273B (zh) 一种面画及其制作方法
CN201978464U (zh) 纸片中空立体拼图
GB2459961A (en) Plastics structure simulating a paved or cobbled area, low wall or other type of hard standing
CN206070981U (zh) 一种拼花大理石复合装饰砖
CN102441262A (zh) 填充式乒乓球底板
US6565639B2 (en) Functional glue mixed with crushed on ginko (leaves) and paulownia (leaves) material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RU189955U1 (ru) Препятствие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робота
CN205348684U (zh) 两层木纹呈纵横方向叠压的框架结构实木地板基材及实木地板
KR101685326B1 (ko) 자연향 발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7224576B2 (ja) 造形用着色紙粉
CN216007590U (zh) 一种教学楼适用的一体化美观预制水磨石楼梯
CN206328987U (zh) 一种旋转式装饰墙板
CN208493186U (zh) 一种趣味拼接式饼干屋
RU29837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оформления сосудов с цветами или растениями
CN2528911Y (zh) 带有拼图的百叶窗帘
CN207405935U (zh) 一种防滑透气的轻质地板革
CN2413774Y (zh) 仿真砖砌建筑物模型玩具
KR20030077747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Peck Art of Handmade Tile: Complete Instructions for Carving, Casting & Gla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