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393B1 - 차주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차주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393B1
KR101772393B1 KR1020160039943A KR20160039943A KR101772393B1 KR 101772393 B1 KR101772393 B1 KR 101772393B1 KR 1020160039943 A KR1020160039943 A KR 1020160039943A KR 20160039943 A KR20160039943 A KR 20160039943A KR 101772393 B1 KR101772393 B1 KR 101772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dentifier
wireless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2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주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차량의 운전석 부근에 배치하고, 차주 인식 여부에 따라 절도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 및 동작을 제공하는 차주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에 설치되는 차주 인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차주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운전 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감지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 내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시동 감지부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의 도난 상황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주 인식 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OWNER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주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주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차량의 운전석 부근에 배치하고, 차주 인식 여부에 따라 절도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 및 동작을 제공하는 차주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시동키가 없으면 엔진을 구동할 수 없으므로, 시동키가 없는 자가 자동차에 대하여 차주의 점유를 배제하고 자신의 사실적 지배 상태를 형성하는 차량절도에 성공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차주 이외의 자가 자동차 도어를 강제로 열어 차량절도를 시도하는 경우 경보장치에 의하여 경보음이 발생되고, 이러한 경보음에 의하여 자동차 부근의 사람들에게 차량절도가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므로 차량절도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차주의 지문 등 생체 신호를 통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시에반 차량 문을 개방하거나 시동이 걸리게 함으로써 차량절도를 방지하는 기술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경보장치에 의하면, 지문 인식 장치 및 안면 인식 장치와 같은 화상 인식 수단이 차량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차량 생산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적법한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지 않고 조수석 또는 뒷자석에 탑승하는 경우 인증을 위하여 운전석에 최소한 한 번은 착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92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서 생성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 내 식별자를 통하여 차주를 식별함과 아울러 무선 신호의 세기를 통하여 차주의 착석 위치를 판별함으로써 도난 당시의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이와 같은 판단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주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차주 인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차주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운전 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감지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 내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시동 감지부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의 도난 상황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난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주의 식별자를 갖는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식별자를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주들이 일반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생성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 내 식별자를 통하여 차주를 식별함과 아울러 무선 신호의 세기를 통하여 차주의 착석 위치를 판별함으로써 차량절도 상황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주가 여러 명인 경우에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당시 운전을 하고 있던 차주의 식별자를 사고 시간과 함께 저장함으로써, 사고 당시 운전자가 누구인지 쉽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 중 무선 송수신부가 배치되는 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에서 생성하는 비콘 패킷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의 제1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의 제2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 중 무선 송수신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에서 생성하는 비콘 패킷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주 인식 장치는, 무선 송수신부(100), 저장부(200), 시동 감지부(300), 제어부(400) 및 GPS 수신부(50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100)는, 차주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 예를 들면, 스마트폰(1000)이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여기서, 무선 송수신부(100)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으로, 특히, 블루투스는 저전력 블루투스, 예를 들면, 블루투스 4.0이 탑재되어,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주변의 약 수m 내지 100m 내의 기기들과 최소한의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블루투스를 상시 활성화시킨 상태로 구동 가능한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 송수신부(100)는, 사용자 단말 내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비콘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어, 운전석 근처에 배치된 스마트폰(1000) 등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00)는, 제어부(400)로부터 차주의 식별자를 입력받고, 입력된 차주의 식별자를 저장하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식별자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이때, 저장부(200)는, 차주가 여러 명인 경우 복수개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로부터 복수개의 식별자 별로 운전 시간을 매칭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차주의 식별자는 차주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발신부에서 송신된 휴대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0)는, 차량 사고 시 전송되는 운전자의 일반 정보를 복수개의 식별자 별로 매칭하여 저장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일반 정보를 제어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시동 감지부(300)는, 차량의 시동이 감지된 경우에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이때, 시동 감지부(300)는,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압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하강하는 경우, 즉, 스타트 모터를 작동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압이 소정 시간 동안 하강하는 경우에 차량에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소정의 입력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차주의 식별자를 입력받고, 입력된 차주의 식별자는 저장부(200)에 저장함으로써 등록하며,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 내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와 저장부(200)에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시동 감지부(30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의 도난 상황으로 판단하고, GPS 수신부(500)로부터 입력된 GPS 신호를 참조하여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 또는 도난 알림 문자 메시지를 차주의 식별자와 관련된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무선 신호의 세기를 각각 측정하여 가장 큰 세기를 갖는 무선 신호를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로 판단하고,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식별자를 추출하며, 추출된 식별자를 저장부(200)에 저장된 복수개의 식별자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운전자가 여러 명의 차주 중 누구인지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식별자를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과 매칭하여 저장부(2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충격 감지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사고를 감지하면, 사고 당시의 운전자를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식별자 및 수신 시간을 저장부(200)에 저장함으로써, 사고 당시 운전자가 누구인지 확정하고, 확정된 사고 당시 운전자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감지부는, 급발진, 급제동, 기타 충격 등에 작동되어 자동차의 가속, 제동, 충격에 따른 이상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3차원 충격 센서, 바람직하게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400)는,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비콘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의 패킷 구조는, 프리앰블(Preamble)(610), 액세스 어드레스(Access address)(620), PDU(Packet Data Unit) 헤더(630), PDU 페이로드(Payload)(640), CRC(Cyclical Redundancy Check)(6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410)은, 주파수 동기화, 심볼 타이밍 추정, 자동 이득 제어 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액세스 어드레스(620)에는, 물리적 링크 액세스 코드(Physical link access code) 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PDU 헤더(430)에는, 논리적 전송(Logical transport)과 논리적 링크 식별자들(logical link identifiers) 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DU 페이로드(440)는, 논리적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L2CAP: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신호, L2CAP 프레임들(Frames) 또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등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CRC(650)에는, 데이터 전송 에러 검출 등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PDU 페이로드(440)는, 비콘 신호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비콘 식별자(Beacon id)를 포함할 수 있고, 비콘 식별자는, 특정 기능 정보,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활성화 기능 등과 연계될 수 있으며, PDU 페이로드(440) 이외의 다른 부분에 포함될 수도 있다.
GPS 수신부(500)는,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GPS 수신부(500)는, 4극 타입으로 차량 내장형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고, 별도의 네비게이션에 장착된 GPS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의 제1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주 인식 장치의 제2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주 인식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400)는, 소정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차주의 식별자를 입력받고, 입력된 차주의 식별자를 저장부(200)에 저장함으로써 등록한다(S100). 즉, 차주는 미리 차량에 설치된 차주 인식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등록한다.
이후에, 무선 송수신부(1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송출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S200). 즉, 차량에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자가 탑승한 경우, 무선 송수신부(1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송출하는 블루투스 신호, 와이파이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송수신부(100)는, 반복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콘 패킷을 송신하고, PDU 페이로드 내 블루투스 기능 활성화 관련 비콘 식별자, 와이파이 기능 활성화 관련 비콘 식별자를 포함함으로써, 차주가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능을 비활성화한 채로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활성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차주의 사용자 단말 등록 시 제어부(400)에서 비콘 식별자와 연관된 기능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능 자동 활성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통하여 블루투스나 와이파이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어부(400)는,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 내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와 미리 등록된 차주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0).
만약, 제어부(400)는, 추출된 식별자와 미리 등록된 차주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시동 감지부(30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의 도난 상황으로 판단하고(S400), GPS 수신부(500)로부터 입력된 GPS 신호를 참조하여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 또는 도난 알림 문자 메시지를 차주의 식별자와 관련된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00).
한편, 제어부(400)는, 무선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무선 신호의 세기를 각각 측정하여 가장 큰 세기를 갖는 무선 신호를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로 판단하고,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식별자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운전자가 여러 명의 차주 중 누구인지 판정한다(S600).
만약, 제어부(400)는, 충격 감지부 등에 의하여 사고를 감지하면(S700), 사고 당시의 운전자를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식별자 및 수신 시간을 저장부(200)에 저장하고, 저장된 수신 시간 정보와 아울러 운전자의 식별자에 연결되어 보유하는 운전자 일반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보험사 서버(도시되지 않음) 등에 전송할 수 있다(S8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무선 송수신부
200: 저장부
300: 시동 감지부
400: 제어부
500: GPS 수신부

Claims (5)

  1. 차량 내에 설치되는 차주 인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차주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운전 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감지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 내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시동 감지부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의 도난 상황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판별하는 차주 인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난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주의 식별자를 갖는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차주 인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인 차주 인식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식별자를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주 인식 장치.
KR1020160039943A 2016-04-01 2016-04-01 차주 인식 장치 KR101772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943A KR101772393B1 (ko) 2016-04-01 2016-04-01 차주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943A KR101772393B1 (ko) 2016-04-01 2016-04-01 차주 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393B1 true KR101772393B1 (ko) 2017-08-29

Family

ID=5975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943A KR101772393B1 (ko) 2016-04-01 2016-04-01 차주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3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605A (ko) * 2017-11-15 2019-05-2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향 안내 등
CN111278688A (zh) * 2017-11-03 2020-06-12 黑拉有限责任两合公司 驱动车辆的部件的方法、系统、计算机程序产品和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663A (ja) * 2001-03-13 2002-09-20 Denso Corp 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0222898A (ja) 2009-03-25 2010-10-07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認証システム及びキーレス認証システム付き車両
JP2012186742A (ja) 2011-03-08 2012-09-27 Sanyo Electric Co Ltd 端末接続制御装置
JP2014092001A (ja) 2012-11-06 2014-05-19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663A (ja) * 2001-03-13 2002-09-20 Denso Corp 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0222898A (ja) 2009-03-25 2010-10-07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認証システム及びキーレス認証システム付き車両
JP2012186742A (ja) 2011-03-08 2012-09-27 Sanyo Electric Co Ltd 端末接続制御装置
JP2014092001A (ja) 2012-11-06 2014-05-19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688A (zh) * 2017-11-03 2020-06-12 黑拉有限责任两合公司 驱动车辆的部件的方法、系统、计算机程序产品和计算机可读介质
KR20190055605A (ko) * 2017-11-15 2019-05-2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향 안내 등
KR102041483B1 (ko) * 2017-11-15 2019-11-0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향 안내 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7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portable device in different zones relative to a vehicle and enabling vehicle control functions
US97109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vehicle equipped with passive keyless system
US10449929B2 (en) System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access and/or engine start authorization of a user in a vehicle
US8638202B2 (en) Keyfob proximity theft notification
US8614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uthorized vehicle driveaway
US9481298B2 (en) Reporting system, reporting control method, and handheld device
US20170278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vehicular access device authentication
JP5260430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9855918B1 (en) Proximity confirming passive access system for vehicle
JP201807119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9129454B2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JP202011803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9988017B2 (en) Access and driver authentication system with increased security against relay attacks using movement sensor technology integrated into the authentication tool
JP2012144905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130207795A1 (en) Vehicular burglar proof system and method
CN112365632A (zh) 车辆进入隐私模式的nfc激活
US10391975B2 (en) Method to provide warning to relay attacks on keyless entry and start systems
CN111163977B (zh) 访问系统和访问验证方法
JP2017172202A (ja) 車両ドア解錠システム及び車載制御装置
CN104252727A (zh) 一种保护车辆的免伸手进入和/或启动系统的方法
KR101772393B1 (ko) 차주 인식 장치
US1081483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entral locking apparatus, central locking apparatus, and motor vehicle
JP4144554B2 (ja) 車両用タイヤ盗難防止装置
JP3741023B2 (ja) 車載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56565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