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218B1 -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218B1
KR101772218B1 KR1020160058303A KR20160058303A KR101772218B1 KR 101772218 B1 KR101772218 B1 KR 101772218B1 KR 1020160058303 A KR1020160058303 A KR 1020160058303A KR 20160058303 A KR20160058303 A KR 20160058303A KR 101772218 B1 KR101772218 B1 KR 10177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information
therapy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용
손경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Zo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otan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및 거울 기능을 가진 거울면; 상기 거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주름 및 색깔 정보를 구분하고 이를 샘플링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샘플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포함한 테라피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생성된 피부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apy according to user's body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함으로써, 테라피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 정보에 따라 적절하게 빛의 색상, 조도, 음악, 향기 또는 생활 환경 정보 등을 통해 테라피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심리적 치유와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의 삶이 점차 각박해 짐에 따라 피로, 스트레스 등에 의해 건강을 일어가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피로, 스트레스 등은 건강에 즉각적인 해악을 끼치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누적될 경우, 위염, 장염 등의 염증을 유발하거나 심한 경우 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피로,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은 건강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의 심리적 치유와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각종 테라피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컬러 테라피(color therapy, 색체 치료)는 인간의 신진대사 작용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신진대사를 평가하는데 색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최근 컬러 테라피 효과를 이용한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특징이나 특유의 목적에 적합한 색상의 벽지, 소품 및 가구 등을 사용자의 활동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집중력 강화, 식용의 조절, 휴식 또는 숙면의 유도 등의 효과를 얻으려는 것이다.
이러한 컬러 테라피 이외에도 음악이나 향기 등으로 사용자의 심리적 치유와 안정을 유도하는 방식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테라피 방식은 테라피를 받기 전에 테라피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사용자가 테라피 기기를 직접 설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사용자가 테라피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적절하게 테라피를 받을 수 있으나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테라피 기기를 직접 설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테라피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부 제10-08394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함으로써, 테라피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 정보에 따라 적절하게 빛의 색상, 조도, 음악, 향기 또는 인테리어와 관련한 생활 정보 등을 통해 테라피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심리적 치유와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및 거울 기능을 가진 거울면; 상기 거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주름 및 색깔 정보를 구분하고 이를 샘플링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샘플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포함한 테라피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생성된 피부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는 테라피 제어 값 생성부; 상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하는 테라피 제공부; 거울면; 상기 거울면에 설치된 촬영부; 및 상기 거울면에 설치된 지향성광원장치;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상기 테라피 제공부는,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음악을 출력하는 출력부, 향기를 가지는 액상을 분사하는 분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상기 테라피 제공부는, 상기 조명부의 빛의 색상 또는 조도, 상기 출력부의 음악의 출력 및 상기 분사부의 액상의 분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 리듬,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및 피부 상태 측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를 수신하는 생년월일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 리듬을 생성하는 바이오 리듬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액 내 코티졸을 측정하기 위한 코티졸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 영상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상태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상기 거울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거울면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거울면이 회전시키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날짜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테라피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광원장치로부터 출사되고 상기 거울면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사용자에게 조사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알람 설정부에서 설정된 소정의 알람 시간이 되면 상기 조명부의 빛의 조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함으로써, 테라피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 정보에 따라 적절하게 빛의 색상, 조도, 음악, 향기 또는 인테리어 정보를 포함한 생활 정보 등을 통해 테라피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심리적 치유와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생체 정보 생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테라피 제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거울면의 이동에 따른 지향성조명장치로부터의 광이 반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거울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미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10)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10)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사용자(10)에게 테라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써,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이 IoT(Internet of thins; 사물인터넷)를 통해 다른 사물들과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스킨 케어 거울로 구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10)의 생체 정보, 즉, 바이오 리듬,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및 피부 상태 측정 정보 등을 측정 및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빛의 색상, 조도, 음악 또는 향기 등을 통해 사용자(10)에게 테라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이 스킨 케어 거울의 형태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그 기능이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미도시)과 스킨 케어 거울(100)로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10)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10)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스킨 케어 거울(100)은 테라피 제어값을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사용자(10)에게 테라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생체 정보 생성부(110), 테라피 제어값 생성부(120), 테라피 제공부(130) 및 알람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2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바리오 리듬,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및 피부 상태 측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생체 정보 생성부(1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생체 정보 생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의 생체 정보 생성부(110)는 생년월일 정보 수신부(111), 바이오 리듬 생성부(112), 심박 센서(113), 코티졸 측정부(114), 촬영부(115) 및 피부 상태 분석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생체 정보 생성부(1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3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룩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생년월일 정보 수신부(111)는 상기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를 수신하고, 바이오 리듬 생성부(112)는 상기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바리오 리듬을 생성한다. 여기서, 바이오 리듬은 인간의 생명활동에서 신체, 감정, 지성 등의 생체 활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정한 현상이다. 신체, 감정, 지성은 각각 23일, 28일, 33일의 주기를 가진다. 최근 바이오 리듬은 산업재해 사고의 예방과 능률향상을 위해 많은 사업장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운동선수들의 컨디션조절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생년월일 정보 수신부(111)는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스킨 케어 거울(100)의 거울면 상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심박 센서(113)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사용자의 삼박수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그 만큼 해당 사용자가 긴장을 하고 있고,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라는 의미이므로, 사용자의 심박수는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나의 척도가 될 수 있다.
코티졸 측정부(114)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액 내 코티졸을 측정한다. 여기서, 코티졸은 콩팥의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이다. 코티졸은 외부의 스트레스와 같은 자극에 맞서 몸이 최대의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분비되어 혈압과 포도당 수치를 높이는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즉, 코티졸이 혈액에서 많이 측정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촬영부(115)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피부 상태 분석부(116)는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 영상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피부 상태 측정 정보는 사용자의 주름 정보, 미백 정보, 스팟(spot)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테라피 제어값 생성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테라피 제어값 생성부(12)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유리하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생체 정보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불리하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해자 생체 정보가 회복되고 치유될 수 있도록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라피 제어값 생성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스테레스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테라피 제공부(130)의 조명부(131)가 붉은 색 또는 노란 색 등의 따뜻한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테라피 제어값 생성부(12)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테라피 제공부(13)의 분사부(133)가 은은한 향의 아로마를 분사하도록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테라피 제공부(13)는 상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테라피 제공부(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테라피 제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의 테라피 제공부(13)는 조명부(131), 출력부(132) 및 분사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생체 정보 생성부(1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4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조명부(131)는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조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부(131)는 빛의 색상 또는 조도를 제어 가능한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32)는 음악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132)는 음악의 ON/OFF 및 음악의 볼륨 등을 제어 가능한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부(133)는 향기를 가지는 액상을 분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분사부(133)는 액상의 분사량 및 분사 세기 등을 제어 가능한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테라피 제공부(130)는 조명부(131)의 빛의 색상 또는 조도, 출력부(132)의 음악의 출력 및 분사부(133)의 액상의 분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알람 설정부(140)는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이 때, 조명부(131)는 알람 설정부(140)에서 설정된 소정의 알람 시간이 되면 조명부(131)의 빛의 조도를 점차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알람 설정부(140)의 알람 시간에 따라 조명부(131)의 빛의 조도를 점차 증가시켜 사용자가 기상 시간에 기상 소리가 아닌 기상 빛으로 기상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시끄러운 기상 소리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일 없이 자연스럽게 기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알람 설정부(140)는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S1100).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며(S1200), 상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한다(S1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방법은 상기 기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방법은 상기 기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과 유사하게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동일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10)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10)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사용자(10)에게 테라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촬영부(115). 광원부(131), 통신부(101), 중앙처리부(102),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03), 전원부(104), 스위치부(105) 및 사각형 타입의 거울면(106)을 포함하고,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다른 형상으로써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촬영부(115). 광원부(131), 통신부(101), 중앙처리부(102),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03), 전원부(104), 스위치부(105), 타원형 타입의 거울면(106) 및 내장 배터리(10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131)는 상기 거울면(106)의 테두리를 둘러싼 타원형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105)는 상기 거울면(106)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부(105)는 상기 거울면(106)에 설치된 터치패널을 통한 터치에 의한 스위치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촬영부(115)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알려주는 방법으로, 주름 및 색깔 정보를 구분하고 이를 샘플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피부 촬영시 발생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샘플과 비교하여 차별시 되는 정보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피부상태 정보를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기(20)로 수신된 피부상태 정보를 알람과 함께 해당하는 텍스트 및 그래픽의 조합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촬영부(115)를 통해 다양한 피부의 변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검은점, 잡티 및 주름상태 정보를 구분하고 이를 샘플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촬영시 발생한 정보를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평상시 발생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샘플과 비교하여 차별되는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피부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로 수신된 피부상태 정보를 알람과 함께 해당하는 텍스트 및 그래픽의 조합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알려주는 방법에 따라 촬영부(115)가 촬영 시 인터넷 공유기나 스마트 홈 서버의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집안 내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존재 유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기(20) 또는 지정 기기로 피부의 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통신부(101)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20)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05)의 스위치를 켠 후 지정 시간 안에 작동하도록 하여 촬영된 사용자가 누군지 구분하여 인식하고 피부의 농도, 검은 점이나 잡티, 잔주름의 상태를 평균치와 비교 분석하여 그래프와 수치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대해 효율적으로 인식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로 화장실 세면대 또는 화장대 주변에 두는 것으로 장치의 조작과 조작유무를 표시하는 스위치부(105)를 구비할 수 있고, 촬영부(115)가 촬영시 발생하는 사진 샘플들과 상태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03)를 구비할 수 있고, 촬영부(115)로부터 촬영된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03)에 저장된 샘플정보와 비교하여 피부상태정보를 검출하는 프로그램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102)와 상기 중앙 처리부(102)로부터 검출된 피부상태정보를 단말기(20)로 송신하는 통신부(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104)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20)로 수신된 정보가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 텍스트 및 그래픽의 조합으로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부상태 샘플은 검은 잡티나 사용자의 주름상태, 사용자의 피부의 농도, 사용자의 개별인식을 통해 개인적인 피부미용상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0)1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01)는 화상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단말기(20)로부터 화상처리 신호가 미도달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정보파악 중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는 평상시 사용자가 다른 일에 집중하거나 잊어버려도 피부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수시로 거울을 확인하는 번거로움이나 신경을 쓰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따라서 종전에 발생하던 피부 트러블이나 사용자 얼굴에 변화하는 잔주름 및 피부톤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어 피부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수시로 볼 수 있는 거울에 탑재됨으로써 사용자의 거울 사용만으로도 테라피를 제공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피부건강과 얼굴의 피로상태 등을 실시간 파악하여 적기에 솔루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는 고령화시대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가운데 본인의 피부상태를 파악한 정보와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서 필요한 기능을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피부분석을 통해 수신된 정보의 해결책으로써 단말기(20)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해당 피부상태의 문제점 해결 솔루션을 컨탠츠로 제공하여 피부상태의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거울면의 이동에 따른 지향성조명장치로부터의 광이 반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동일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거울면(106)을 지면 상에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310)와 상기 지지부(310)와 상기 거울면(106)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거울면(106)이 상기 지지부(31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 회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울면(106)의 전면의 일 영역에 배치된 광검출부(400)와 상기 거울면(106)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거울면(106)의 전면까지 연장된 연장부(210)와 상기 연장부(201)에 연결되어 상기 거울면(106)의 전면에 배치되는 광원장치(220)를 구비한 지향성광원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0)는 거울면(106)의 측면으로부터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된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1 연장부(211)로부터 수직하고, 상기 거울면(106)의 전면의 방향 연장되고 끝 단에 광원장치(220)가 연결된 제2 연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211)는 상기 거울면(106)의 측면에 수납될 수 있고, 중앙처리부(102)의 제어 하에 측면으로부터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212)는 상기 중앙처리부(102)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연장부(211)로부터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102)는 상기 광검출부(400)로부터 수신되는 검출된 광량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지향성광원장치(200)의 구동과 회전부(320)의 회전을 통해 거울면(10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지향성 광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중앙처리부(102)가 날짜와 현재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102)가 광검출부(400)로부터 광센싱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날짜와 현재 시간 정보 및 광센싱정보에 기초하여 회전부(320) 및 연장부(21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처리부(102)는 날짜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일몰 이후의 시간이 경우이고, 광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광이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촬영부(115)를 구동하여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지향성광원장치(20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02)는 상기 촬영부(115)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움직임 검출에 따라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향으로 거울면(10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거울면(106)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향성광원장치(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거울면(106)에 조사되고, 조사된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조사될 수 있도록 거울면(106)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거울면(106)의 회전과 함께 지향성광원장치(200)의 연장부(210)의 제1 및 제2 연장부(211, 212)를 제어하여 광원장치(220)가 거울면(106)의 전면의 영역 중에서 배치되는 영역을 조절하여, 거울면(106)에 반사되는 광이 사용자를 지향하여 사용자에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이 방안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저녁 시간에 방안에 출입하여 전등을 구동하면, 광검출장치(400)로부터 기 설정치 이상의 광이 검출되고 광검출정보와, 날짜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중앙처리부(102)가 현재 시간이 일몰 후의 시간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향성 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상황에 조도를 높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02)는 테라피 제공부(130)로부터의 미리 센싱된 사용자 생체 정보인 테라피 제어값에 기초하여 광원장치(220)의 광량과 광의 색상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거울면(106) 앞에 고정되어 위치하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라도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증진시키는 색상의 광을 집중적으로 사용자에게 조사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02)는 날짜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일몰 이후의 시간이 경우이고, 광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광이 소정의 시간 동안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취침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102)가 취침 시간으로 판단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과 날짜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일출 이후의 시간인 경우, 회전부(320)를 제어하여 거울면(10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거울면(106)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거울면(106)은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켜 기 설정된 방향인 사용자의 취침 영역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102)가 취침 시간으로 판단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과 날짜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할 때,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미리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취침 시간 이후의 적절한 수면 시간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변경되거나,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시간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취침하는 방안 중에서 취침 영역 상에 태양광이 직접 조사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부터 태양광이 직접 조사되는 위치에 거울면(106)이 위치하도록 하고, 기상 유도 시간에 태양광이 방안으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태양광을 거울면(106)의 반사를 통해 사용자의 취침 영역으로 조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음영 영역에 태양광을 조사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기상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동일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은 거실 및 베란다 분리용 샤시(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100)의 거울면(106)은 상기 샤시(1)의 유리창으로써 샤시(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울면(106)은 투명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울면(106)에는 촬영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울면(106)은 투명모드와 거울모드 및 디스플레이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02)의 제어 하에 상기 거울면(106)이 투명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거실에 위치하여 베란다의 공간을 볼 수 있고, 상기 거울면(106)이 거울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촬영부(115)에서 촬영된 거실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거울처럼 동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각종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거울면(106)은 샤시의 유리창처럼 샤시에 설치되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처리부(102)는 테라피 제공부(130)로부터의 미리 센싱된 사용자 생체 정보와 촬영부(115)로부터 촬영된 거실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인테리어를 촬영되는 거실에 삽입한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고, 거울면(106)이 설치된 거실에 어울리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03)를 검색하여 검색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인테리어 디자인을 참조하여, 거실을 인테리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02)는 거울면(106)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거울면(106)이 샤시(1)의 일 측에 배치된 경우, 거울면(106)과 마주하는 거실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거울면(106)이 샤시(1)의 타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거울면(106)과 마주하는 거실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거실 전체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가 완료되고,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상기 중앙처리부(102)는 상기 거울면(106)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등의 완화에 도움이 되는 풍경 등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은 거울면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미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울면(106)은 투명 및 미러(거울)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상기 거울면(106)은 유리창(W) 외부에서 입사된 자연광을 투과시키거나 산란시키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소자(560),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투과한 자연광을 편광시켜 주는 제 1 편광판(540), 상기 제 1 편광판(540)을 통해 편광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530) 및 제 2 편광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면(106)은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와 제 1 편광판(540) 사이에 반사를 위한 반사매질(5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편광판(520)의 전면(前面)에 터치 기능을 위한 터치패널(touch panel)(5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매질(550)은 반사의 목적으로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와 같은 휘도 향상 필름뿐만 아니라 단순 반사 재료 코팅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DBEF는 빛을 선택 투과, 반사시켜 휘도를 80% 이상 향상시켜 주는데, 빛이 액정패널(530)을 투과할 때 손실률을 줄여 디스플레이의 전체 밝기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510)은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는 입력장치로서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 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표시면을 눈으로 보면서 소정 위치를 직접 눌러 대화하는 식으로 여러 가지의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패널(510)은 작동원리에 따라 정전용량식과 저항막식으로 구분되는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1개의 투명 도전성필름 또는 투명 도전성 글라스에 정전용량의 충, 방전 상태가 반복되는 가운데 사용자가 누른 접촉점에서 펜 형태의 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stylus)와 투명 도전성필름과의 용량결합에 따라 소량의 전하가 축적되고 이 전하량을 4개의 입력점으로부터 읽어들이고 좌표 값으로 환산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이러한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스타일러스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저항막식 터치패널은 2개의 대향하는 도전층(저항막)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눌러 2개의 도전층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점에서의 전압 또는 전류변화를 읽어들이고 (x, y)좌표 값으로 환산하여 작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액정패널(530)은 상부 기판(532)과 하부 기판(531)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 기판(532)과 하부 기판(531)에는 매트릭스 방식으로 나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배선 및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층을 구동하기 위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판(532)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편광판(520)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 기판(53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편광판(540)이 부착된다. 상기 제 1 편광판(520)과 제 2 편광판(540)의 광투과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흑색을 표현할 때 완전한 흑색 계조를 구현할 수 있다. 거울면(106)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거울면(106)이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 경우 액정패널(530)은 노멀리 화이트(Normally White; NW) 모드로 작동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액정층(530)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액정패널(530)은 노멀리 블랙(Normally Black; NB)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면(106)은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온-시켜 투과모드로 사용하게 되며, 불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오프-시켜 산란모드로 사용하게 된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투과모드에서는 유리창(W) 외부에서 입사된 자연광은 가시광선으로서 제 1 편광(수직 편광)과 제 2 편광(수평 편광)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투과한 제 1 편광과 제 2 편광은 상기 제 1 편광판(540)을 거쳐 상기 제 1 편광만이 투과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편광은 전면(前面)의 액정패널(530)로 입사되며, 상기 액정패널(530)의 액정의 구동에 따라 제 1 편광에 위상차가 변화하고, 그 위상차의 변화 정도에 따라 제 2 편광판(520)을 통해 투과된 광량이 달라지게 되어 계조가 표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통과한 빛을 이용하게 되면 실내의 사용자는 액정패널(530)에 디스플레이 된 영상뿐만 아니라 외부의 사물까지 볼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오프-시켜 산란모드로 사용할 때, 거울면(106)은 불투명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리창(W) 외부에서 입사된 자연광이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에서 산란(이때, 예를 들어 50%의 자연광은 반사되고, 남은 50%의 자연광(SO)은 투과될 수 있다)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사용자는 반대편이 보이지 않는 반면, 내부의 광원 및 일부 투과된 외부의 자연광을 이용하여 액정패널(530)에 디스플레이 된 영상은 시청이 가능하게 되어 불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의 광원은 반사매질(550)을 통해 상기 액정패널(530)로 반사되어 백라이트 광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한편, 중앙처리부(102)는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온, 오프 제어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와 불투명 디스플레이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다.
여기에 터치패널(510)을 제 2 편광판(520) 전면에 부착하여 상기 액정패널(530)에 디스플레이 된 영상 위에 펜글씨 쓰기(pen writing)를 하게 되면 거울면(106)을 전자 칠판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즉, 산란(scattering)이 가능한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 위에 터치패널(510)을 장착한 디지털 보드(digital board)에서 펜글씨 쓰기를 하는 전자 칠판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거울문(106)을 미러 디스플레이로도 활용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거울면(106)의 미러 디스플레이로의 사용은 상기 중앙처리부(102)가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온-시켜 투과모드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며, 전술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현 원리와 유사하다. 즉, 내부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내부의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를 온-시킴으로써 투과되게 되고, 이 빛은 액정패널(530)을 통과하게 되어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외부에서 보았을 때도 화면의 반전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된 영상은 좌우 반전(inversion)을 시켜 출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외부의 자연광은 반사매질(550)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object)을 반사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면(106)은 미러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된 영상정보와 외부의 사물을 미러 반사를 통해 함께 보여주는 미러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매질(550)은 반사의 목적으로 DBEF, CLC(Cholesteric Liquid Crystal), 다층 박막 재료와 같은 휘도 향상 필름뿐만 아니라 단순 반사 재료 코팅의 적용도 가능하다.
상기 반사매질(550)의 위치는 배면 반사가 가능하기만 하면 상기 액정패널(530)의 하부 어디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560)의 경우 전압에 따라 투과와 산란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반사매질(550)과 동일하게 액정패널(530)의 하부에서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샤시
10 사용자
20 단말기
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101 통신부
102 중앙처리부
103 데이터베이스 저장부
104 전원부
105 스위치부
106 거울면
107 배터리
110 생체 정보 생성부
120 테라피 제어값 생성부
130 테라피 제공부
140 알람 설정부
111 생년월일 정보 수신부
112 바이오 리듬 생성부
113 심박센서
114 코티졸 측정부
115 촬영부
116 피부 상태 분석부
131 조명부
132 출력부
133 분사부
200 지향성광원장치
210 연장부
211 제1 연장부
212 제2 연장부
220 광원장치
310 지지부
320 회전부
400 광검출부
510 터치패널
520 제 2 편광판
530 액정패널
531 하부 기판
532 상부 기판
540 제 1 편광판
550 반사매질
560 고분자 분산형 액정 소자

Claims (10)

  1. 삭제
  2.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테라피 제어값을 생성하는 테라피 제어 값 생성부;
    상기 테라피 제어값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하는 테라피 제공부;
    거울면;
    상기 거울면에 설치된 촬영부; 및
    상기 거울면에 설치된 지향성광원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테라피 제공부는,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음악을 출력하는 출력부, 향기를 가지는 액상을 분사하는 분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라피 제공부는,
    상기 조명부의 빛의 색상 또는 조도, 상기 출력부의 음악의 출력 및 상기 분사부의 액상의 분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테라피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 리듬,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및 피부 상태 측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를 수신하는 생년월일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 리듬을 생성하는 바이오 리듬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액 내 코티졸을 측정하기 위한 코티졸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 영상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상태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거울면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거울면이 회전시키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날짜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테라피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광원장치로부터 출사되고 상기 거울면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사용자에게 조사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알람 설정부에서 설정된 소정의 알람 시간이 되면 상기 조명부의 빛의 조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KR1020160058303A 2016-05-12 2016-05-12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03A KR101772218B1 (ko) 2016-05-12 2016-05-12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03A KR101772218B1 (ko) 2016-05-12 2016-05-12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218B1 true KR101772218B1 (ko) 2017-08-28

Family

ID=5975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303A KR101772218B1 (ko) 2016-05-12 2016-05-12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2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33B1 (ko) * 2018-04-02 2019-06-12 (주)동양전기산업 바이오리듬 제공 앱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성 조명제어 시스템
KR20210067251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사운드플랫폼 사운드테라피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N113611425A (zh) * 2021-07-20 2021-11-05 上海齐网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软件定义的智能化区域医疗集成数据库的方法及系统
US11580639B2 (en) 2019-12-13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of us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812A (ja) * 2003-08-21 2005-03-17 Nec Fielding Ltd 健康診断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812A (ja) * 2003-08-21 2005-03-17 Nec Fielding Ltd 健康診断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33B1 (ko) * 2018-04-02 2019-06-12 (주)동양전기산업 바이오리듬 제공 앱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성 조명제어 시스템
KR20210067251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사운드플랫폼 사운드테라피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411183B1 (ko) * 2019-11-29 2022-06-21 주식회사 사운드플랫폼 사운드테라피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US11580639B2 (en) 2019-12-13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of us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13611425A (zh) * 2021-07-20 2021-11-05 上海齐网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软件定义的智能化区域医疗集成数据库的方法及系统
CN113611425B (zh) * 2021-07-20 2023-11-24 上海德衡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软件定义的智能化区域医疗集成数据库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218B1 (ko)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른 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906828B1 (ja)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て人工知能ボイスアシスタントと連動するスマートメイクミラーデバイス
CN110023828A (zh) 智能玻璃显示器及其制造和使用方法
JP5625555B2 (ja) 血中グルコース濃度測定装置
JP2016529053A (ja) 自動視野計
CN101352389B (zh) 全方位近视眼防治综合仪
JP3163309U (ja) 顧客に適切なパーソナルケア製品を推薦するためのインテークデバイス
KR20150078092A (ko) 각성 안경, 차량용 미러 유닛 및 표시장치
CN109395241A (zh) 超声波导入仪
KR101506978B1 (ko) 피부 나이 측정장치
CN106775356A (zh) 电子设备及呼吸灯控制方法
US20150301789A1 (en) Photograph frame having sound source output function, and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which produces sound source output source data to be input in photograph frame
CN109381785A (zh) 超声波导入仪
KR102093666B1 (ko)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775357A (zh) 电子设备及呼吸灯控制方法
KR102294643B1 (ko) 피부미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203689072U (zh) 一种减压舒眠器电路
KR20190074479A (ko)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및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전원 제어방법
CN206596034U (zh) 电子设备
KR101678930B1 (ko)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WO2021218149A1 (zh) 一种指纹识别装置及移动电子设备
TWI730633B (zh) 語音提示光明燈導覽系統
CN201275182Y (zh) 全方位近视眼防治综合仪
JP6803971B2 (ja) 視覚触覚統合呈示装置
CN103792870A (zh) 减压舒眠器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