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666B1 -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666B1
KR102093666B1 KR1020170176229A KR20170176229A KR102093666B1 KR 102093666 B1 KR102093666 B1 KR 102093666B1 KR 1020170176229 A KR1020170176229 A KR 1020170176229A KR 20170176229 A KR20170176229 A KR 20170176229A KR 102093666 B1 KR102093666 B1 KR 10209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nalysis
user terminal
mirror
skin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688A (ko
Inventor
이혜정
김호준
Original Assignee
이혜정
김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정, 김호준 filed Critical 이혜정
Priority to KR102017017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6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자외선 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피부 분석을 위해 사용자 단말 및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를 사용하여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항목의 분석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발광 밀러를 이용하는 자가 피부분석에 의해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KIN CARE AND COLOR MAKEUP INFORMATION BY ANALYZING SKIN USING LIGHT EMITTING MIRROR}
본 발명은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우드램프가 내장된 발광 밀러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피부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부분석 시스템(skin analyzer system)은 피부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분석하는 피부분석 장치와 그 외의 부속 장치를 총칭한다. 피부분석 시스템은 피사체인 피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피부분석 장치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영상을 분석하는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나, 피부분석 장치가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기도 한다.
피부분석 시스템의 용도는 작게는 피부 미용에 관한 용도부터 시작하는데, 의사들은 피부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부암과 같은 악성 피부 질환을 일반 피부병과 구별할 수도 있다.
피부분석 장치는 가장 끝단에서 피부를 촬영하는 광학 렌즈 부분이 피부와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크게 비접촉식 장치와 접촉식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접촉식 장치는 확대렌즈, 광원, 피부에 접하는 투명한 플레이트, 피부 표면에서의 반사를 초소화하기 위한 피부와 기기 사이에 채워진 액체 물질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 액체 물질 대신 편광된 빛(polarized light)을 이용해 피부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제거하는 비접촉식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즉 비접촉식 장치는 렌즈 부분이 피부에 접촉하지 않고 그 대신 피부와 멀리 떨어져서 특정 파장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특히 피부분석 장치는 단순히 접안렌즈를 통해 육안으로 증상을 식별하는 형태에서 이미지 센서를 장착 해 이미지나 비디오 클립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형태(digital epiluminescence demascope)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 병원 방문 없이 사용자 스스로 헬스케어 및 분석이 가능한 모바일 헬스케어에 관련한 연구가 진행 중이고, 그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 또한, 헬스케어와 더불어 피부 미용 및 치료 분야에서도 다양한 피부 상태를 측정, 분석하는 장치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들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모바일 기기와 피부분석 장치가 결합된 형태의 모바일 피부분석/관리용 이미징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모바일 피부분석/관리 이미징 시스템에 사용되는 피부분석 장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에 부착 또는 연동될 수 있는 소형화된 피부분석 시스템이다. 특히 최근의 피부분석 시스템은 가정이나, 소형병원 및 피부 관리센터 등에서 손쉽게 개인의 피부 건강 분석 및 관리와 미용과 관련된 각종 피부 질환들의 정량적 분석을 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영상 시스템이다.
그러나 개인 사용자가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영상 시스템의 경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자연광 상태에서 직접 영상을 획득하므로 의학적 분석이 가능한 정밀한 영상을 채취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확대경을 포함하는 접촉식 장치는 기존의 연구에 의하여 검증된 수치화된 평가를 제공하나, 가격이 수천만 원 대의 고가이고 측정 탐침이 포함하는 작은 범위에서만 정보만을 제공하여 얼굴 전체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평가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측정되어야 하는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도 지적된다.
한편 우드램프(wood lamp)는 미국의 물리학자인 로버트 윌리엄 우드(Robert William Wood)가 개발한 기기로 처음에는 백선 같은 피부질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했으나 지금은 피부미용 분야에서 고객의 피부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우드램프의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우드램프는 병원 등에서 의사가 피부분석을 위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부착된 형태를 띤다. 따라서 얼굴의 피부를 분석하는 데 사용하거나 특히 개인 사용자가 얼굴 피부분석에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는 영상획득 및 이미지 프로세싱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여 전문적인 피부분석 장치에서 획득될 수 있는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는 평소에는 미용 밀러로 사용되고, 피부분석 시에는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여 자가 분석용 피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살펴본 선행기술과 구별되고 상기 선행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9563호(2016.03.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발광 밀러를 이용하여 자가 피부분석에 의해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가의 피부분석 시스템을 이용해서 얻을 수 있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평소에는 미용 밀러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면 피부분석 시스템으로 완성되는 발광 밀러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은, 개인별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자외선 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피부 분석을 위해 사용자 단말 및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를 사용하여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항목의 분석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항목으로 주름, 모공, 피부결, 피부 반사, 색소침착 및 피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과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간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페어링 단계; 사용자 단말을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면에 거치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해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우드램프의 점등을 위한 준비 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명령에 따라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우드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우드램프가 점등된 시간에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우드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는, 셀프 카메라 모드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과거 촬영된 영상을 오버레이 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 설정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는, 필름 부분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렌즈와 포개지도록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편광 필름 클립에 의해 편광된 빛, 자외선 및 백색광 광원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는, 기간의 간격을 두고 획득된 피부 영상들의 오버레이를 통해 피부 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피부 타입별 색조 화장품 선택, 얼굴 부위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및 획득된 피부 영상을 이용한 색조화장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영상 획득에 앞서 암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암실은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외주에 결합되는 암막 커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은, 개인별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자외선 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톤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피부 분석을 위해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피부 영상 획득에 필요한 광원을 제공하는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항목의 분석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항목으로 주름, 모공, 피부결, 피부 반사, 색소침착 및 피지 항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간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페어링 단계;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면에 거치되는 단계; 및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우드램프의 점등을 위한 준비 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명령에 따라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우드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우드램프가 점등된 시간에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우드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셀프 카메라 모드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과거 촬영된 영상을 오버레이 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 설정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는, 필름 부분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렌즈와 포개지도록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편광 필름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 필름 클립을 이용하여 편광된 빛, 자외선 및 백색광 광원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간의 간격을 두고 획득된 피부 영상들의 오버레이를 통해 피부 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피부 타입별 색조 화장품 선택, 얼굴 부위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및 획득된 피부 영상을 이용한 색조화장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는, 외주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 주위에 암실을 형성하는 암막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발광 밀러를 이용하는 자가 피부분석에 의해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가의 피부분석 시스템을 이용해서 얻을 수 있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저렴한 비용으로 가정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평소에는 미용 밀러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면 피부분석 시스템으로 완성되는 발광 밀러는 개인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우드램프의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와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피부분석 시스템 환경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 형태의 구조물이 결합된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와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자외선의 파장 대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어부를 상세히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을 위해 참조되는 얼굴 부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와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환경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하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환경(1)은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 사용자 단말(200), 서버(300), 데이터베이스(35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는 미용 밀러의 기능과 피부분석을 위한 영상 획득에 있어서 발광의 기능을 수행한다. 병원에서 의사들이 사용하는 피부분석 시스템은 광학 장치, 발광 장치 및 이미지를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피부분석 시스템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는 기본적인 미용 밀러 기능에 발광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200)과 결합하여 완전한 피부분석 및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환경(1)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우드등과도 구별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획득된 영상, 특히 피부 영상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이미지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영상 획득 및 이미지 프로세싱을 전문으로 수행하는 장치 이외에 범용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단말기(terminal) 및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gaming)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와의 통신을 통해 우드램프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인스톨되지 않은 상기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저장된 미디어를 읽고, 이를 인스톨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저장 장치(24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는 광학 저장 미디어, 예를 들어 CD-ROM 및 DVD-ROM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서버(300)로부터 내려 받은(downloaded) 바이너리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서버(300)로부터 각종 파일을 내려 받아 상기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300)는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 서버, 업데이트 서버, FTP 서버, 클라우드 서버, 웹서버 및 파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 서버(300), FTP 서버(300) 및/또는 업데이트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이용하는 각종 파일, 예를 들어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 파일, 확장 애플리케이션 모듈 파일 및 서비스 팩 파일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을 허용하여 파일 다운로딩에 의한 상기 파일들의 수신/송신 또는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 전체 또는 일부를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200)에게 웹서버(3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200)은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제공하는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을 원격의 클라우드 서버(300) 및 웹서버(3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50)는 얼굴 영상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예를 들면 피부질환 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 피부 정보 데이터베이스,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이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네트워크(400)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및 엑스트라넷(extranet), 셀룰러, 예를 들어 무선 전화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애드혹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일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명 밀러(100)는 헤드(head)(110), 넥(neck)(120) 및 바디(바디)(130)를 포함한다. 헤드(110)는 넥(120)을 통해 바디(130)와 연결된다. 넥(120)은 헤드(110)를 바디(130)에 지지하게 하면서도 헤드(110)가 회전하도록 하여 얼굴 명에 대한 밀러 면의 각도 및 우드램프의 조사 각도를 조절 한다. 바디(130)는 헤드(110) 및 넥(120)을 지지하면서 바닥에 닿는 밑면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안정감이 유지될 수 있다.
헤드(110)는 우드램프(111) 및 밀러(112)를 포함한다. 밀러(112)는 헤드(110) 일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우드램프(111)는 밀러(112)외주에 배치된다. 헤드(110)의 형성은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형태가 가능하고, 도면에 나타난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드램프(111)는 일정한 파장의 광선, 예를 들면 자외선을 비출 수 있다. 자외선이 얼굴에 비춰지면 피부의 피지, 민감도 및 각질 상태에 따라 사람의 얼굴색은 다른 색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우드램프(111)를 이용하면 육안으로 세밀하게 볼 수 없는 피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피부 상태에 따라 우드램프(111)의 발광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색을 살펴보면, 먼저 정상피부인 경우에는 피부색이 청백색으로 나타나고, 건성피부는 연보라색, 탈수된 피부는 진보라색, 면포 또는 지성피부는 주황색, 약지성은 분홍색, 색소 침작 피부는 갈색 또는 암갈색, 각질은 흰색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우드램프(111)의 발광에 의해 서로 다른 피부색이 나타나므로 사용자의 피부상태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우드램프(111)는 미용뿐만 아니라 피부질환을 검사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드램프(111)는 진균감염(두부백선, 어우러기), 세균감영(홍색음선), 색소성 질환(백반증), 포르피린, 테트라사이클린, 잔류 화장품 등의 검출에 이용될 수 있다.
우드램프(111)는 적외선 대역의 파장의 빛, 편광된 빛 및 백색광을 발할 수 있다. 광원으로서 우드램프(111)는 그 내부에 LED 모듈을 포함한다.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의 내부 구성 및 편광 필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밀러(112)는 미용 용도의 일반 밀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밀러(112)는 유리면에 은 또는 알루미늄 성분의 반사면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밀러(112)의 반사면 즉 얼굴과 대하는 면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거치되도록 밀러 면이 턱이 지도록 돌출된 형태의 거치수단, 즉 거치바(113)를 포함한다. 즉 거치바(113)의 재질은 밀러와 같은 재질로서, 예를 들면 유리이고 밀러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밀러(112)의 내부 면에는 사용자 단말(200)을 밀착 거치할 수 있는 마그네틱 재질의 거치수단(1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이 밀러 면에 거치되는 경우 거치바(113)와 거치수단(114)에 의해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
또한 헤드(110)의 외주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실리콘 재질의 클립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 형태의 구조물이 결합된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구조물의 일 실시 예로서 헤드(110)의 외주 하단부에 구조물이 결합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바디(130)의 형상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다리꼴 형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태의 입체 도형의 형상을 할 수 있다. 바디(13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이 가능하고, 겉면에 마그네슘 코팅이 될 수 있다.
헤드(110)와 바디(13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넥(120)으로 연결된다. 넥(120)의 일단은 헤드(110)의 후면에 고정된다. 넥(120)의 타단은 바디(110)에 구비된 피봇에 연결된다. 그리고 피봇에 연결된 넥(120)은 회전을 할 수 있는데, 그 각도는 헤드(110)의 얼굴에 대한 각도, 즉 밀러 면이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범위인 90도 내지 180도 범위에 놓일 수 있다. 밀러 면과 사용자의 얼굴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기 위해서 넥(120)의 중간이 90도 각도로 꺾인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넥(12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표면에 마그네슘 코팅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의 3차원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110)의 외주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서 암실을 형성하는 커버(115)가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커버(115)를 이용하여 우드램프(111)가 발하는 자외선 또는 백색광을 가이드 하여 얼굴에 비춰지도록 할 수 있다. 커버의 재질은 암막 커튼에 사용되는 직물 또는 비닐이 가능하다. 이하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 및 사용자 단말(2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와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는 내부에 터치 센서(140), LED 모듈(150), 통신 모듈(160), 배터리(170), 스피커(180) 및 전원 모듈(190)을 포함한다. LED 모듈(150)은 헤드(110) 내부에 배치되고, 통신 모듈(160), 배터리(170), 스피커(180) 및 전원 모듈(190)은 바디(130)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터치 센서 모듈(140)은 MCU, Channel Net, VIA 및 터치 패드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는 우드램프(111)의 전원 ON/OFF 스위치로 동작한다. 터치 패드의 위치는 밀러(112) 면 또는 바디(130) 면에 놓일 수 있다.
LED 모듈(150)은 직렬 및/또는 병렬연결의 LED 소자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형광등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발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모듈(150)은 특정 파장대의 자외선 또는 백색광을 발하는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자외선의 파장 대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피부분석에 사용되는 자외선은 365nm 이상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모듈(150)은, 365nm 파장의 자외선을 발하는 LED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LED 모듈(150)은 백색광을 발하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데, 백색광은 RGB 3파장의 빛을 혼합해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60nm 파장의 적색 빛, 520nm 파장의 녹색 빛과 450nm 내지 475nm 파장의 청색 빛이 혼합되면 백색광으로 보여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참조하면, 편광 필름(117) 및 이를 발광 밀러(110)에 고정하는 클립(116)이 나타나 있다. 편광 필름(117)은 교차 편광 필름 및 평형 편광 필름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름 교체가 가능하다. 클립(116)의 일단에는 편광 필름이 슬라이딩으로 끼워지게 홈이 구비되고, 타단은 발광 밀러(110)의 외주에 결합된다.
교차 편광 필름은 피부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제거하기 때문에, 교차 편광 영상(cross polarization image)은 표피와 진피층 상층부 사이를 관찰하는데 적합한 영상이다. 그 밖에 교차 편광 영상은 혈관성 질환에 관찰에 이용될 수 있다.
평형 편광 필름은 피부 표피층의 반사광을 이용하므로 평형 편광 영상(parallel polarization image)은 표피와 표피에 근접한 피부층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영상이다. 그 밖에 평형 편광 영상은 주름(wrinkle) 및 흉터(scar) 관찰에 이용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피부분석 시스템이, 고성능의 DSLR 카메라와 카메라 렌즈에 끼워 사용하는 편광 필름을 포함했던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200)과 발광 밀러(100)에 탈착이 가능한 편광 필름(117)을 이용하여 피부분석을 위한 편광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WiFi 모듈, 이더넷 인터페이스 카드, USB 모듈, 셀룰러 무선통신 모듈, 모뎀 및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드램프(111)는 통신 모듈(16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우드램프 제어 모듈(271)이 전달하는 우드램프 전원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170)는 우드램프(1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중의 하나이다. 배터리(170)는 리튬이온 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및 바이오에탄올 전지와 같은 2차 전지를 포함한다.
스피커(18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에 따라 우드램프(111)가 전등/소등 되는 경우 서로 다른 높이의 음을 출력함으로써 전등/소등 상태를 알릴 수 있다. LED 모듈이 발하는 자외선 또는 백색광은 근접해서 사람의 시아에 비춰지면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광원과 근접해서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자외선이 눈에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피커(180)는 사용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우드램프(112)의 점등 상태를 소리로써 알릴 수 있다.
전원 모듈(190)은 배터리(170)의 충전/방전용 회로, 보호회로 및 전력 변환 회로를 포함한다. 특히 전원 모듈(190)은 반도체, 특히 전력 제어용 트랜지스터와 전압을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전력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레귤레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우드램프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AC를 DC로 변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어댑터 및 SMPS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2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220), 출력 디바이스(output device)(230), 저장 장치(storage device)(240),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250), 전원 장치(power device)(260) 및 제어부(control unit)(270)를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210)는 우드램프(111)를 제어하거나 피부분석용 영상의 이미지 프로세싱, 각종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및 음성 입력장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210)는 피부분석을 위해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획득된 영상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처리 과정을 통해 보정될 수 있으며, 분석 및 분석을 위해 서버(300)에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는 우드램프(111)를 제어하기 위한 우드램프 제어 모듈(271) 및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27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화면의 프레임 출력을 수행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디바이스(230)는 프린터, 플로터, 빔프로젝터,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ound, TTS) 장치와 스피커 및 이어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장치(2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분리가 가능/불가능한 모든 형태로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자기 방식의 저장장치, SD 카드, USB 메모리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전기 방식의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장치(250)는 네트워크(400)의 각종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이더넷 인터페이스 카드, USB 모듈, 셀룰러 무선통신 모듈, 모뎀 및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장치(260)는 AC를 DC로 변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어댑터, SMPS와 리튬이온 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및 바이오에탄올 전지와 같은 2차 전지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70)는 프로세서 및 운영체제와 우드램프 제어 모듈(271) 및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272)이 로드된 메모리 영역으로 구성되고, 프로세서와 모듈(271)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어 명령을 출력하거나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도 8은 도 6의 제어부를 상세히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 CPU)(275)와, 운영체제(273) 및 우드램프 제어 모듈(271)이 로드된 메모리(27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메모리(271) 영역에서 우드램프 제어 모듈(271) 및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272)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 우드램프 제어 모듈(271)을 통해 우드램프(111)의 전원을 제어하고,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272)을 통해 피부분석용 영상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운영 체제(273)는 사용자 단말(200)의 파일 시스템, 각종 인터페이스를 관리 및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운영 프로그램이다. 운영 체제(273)는 그 예로서, 유선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 예를 들어 MS 윈도우, 유닉스, 리눅스, XOS, 안드로이드, iOS 운영 체제를 포함하고,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 구성에서 메모리(274) 내의 구성은 최소한의 구성으로,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시된 구분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구성간의 연결 관계가 연결선으로 도시되어 있거나, 상호 간의 연결 관계가 일일이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선이 도시되지 않은 구성 간에도 제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전달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500)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들, 메모리, 대용량 저장소,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성된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의 요소들은 버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플랫폼은 개인용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톱 디바이스,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프로그램 가전 제품, 및 이상의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예컨대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시스템을 비롯한 많은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하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5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 메모리(531), 저장장치(532), 전원 장치(540), 프로세서(5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560), 무선통신 장치(570) 및 버스(580)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파라미터, 명령을 입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전자펜(stylus pen) 및 펜 태블릿(pen tablet)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문서를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터(printer)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문서 내의 문자를 음성합성(text to speech, TTS) 엔진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헤드폰(head-phone) 및 헤드셋(head-set)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50)는 메모리(531) 및/또는 저장 장치(532)에 저장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 방법에 관한 우드램프 제어 모듈(271)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명령어 셋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31)와 저장 장치(532)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3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570)는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음성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58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설명한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S100)에 대해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S100)은 S110 내지 S140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개인별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유분의 분포 정도에 따른 피부 타입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한다(S110). 분석 항목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주름, 모공, 피부결, 피부 반사, 색소침작 및 피지 항목이 설정될 수 있으며, 다만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피부 분석을 위해 사용자 단말(200) 및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를 사용하여 피부 영상을 획득한다(S120). S120 단계는 다음의 S121 내지 S126 단계를 포함한다.
광원과 카메라 모듈간의 연동을 위해서 사용자 단말(200)과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 간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페어링 단계(S121)가 필요하다. 그리고 안정적인 촬영을 위해 사용자 단말(200)을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에 거치하는 단계(S122)가 필요하다. 또한 피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가 발하는 빛 외의 빛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암실 조성을 위해서 사용자는 실내 소등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15)를 이용하여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순서에 관계없이 영상 획득에 앞서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피부분석을 위한 영상획득을 위해 조성된 암실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우드램프를 포함하는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에 영상획득의 준비 명령을 내린다(S123). 여기서, 준비 명령은 외장 플래시로 사용되는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190)에 대해 LED 모듈(150)에 전력을 공급하여 우드램프(111)의 전원을 ON으로 제어하는 명령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 명령에 따라 전원 모듈(190)은 LED 모듈(150)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준비 명령에 따라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의 우드램프를 점등한다(S124). 점등 전에 입력 디바이스(21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우드램프(111)가 발하는 빛의 파장 범위가 선택될 수 있다.
우드램프(111)가 점등되는 동안 카메라 모듈의 내장 플래시 동작이 비활성화 되는 것이 필요하다. 우드램프(111)는 일정 거리 이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비취질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근접하여 피부분석을 위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우드램프(111)와 사용자 단말(200)이 연동되어 우드램프(111)가 외자 플래시로 동작되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모듈에 내장된 플래시는 비활성화 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친다.
그리고 우드램프(111)의 점등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 발생하는 셔터 음과는 별도로 피부분석 발광 밀러(100)는 스피커(180)를 통해, 우드램프(111)의 점등/소등을 서로 다른 높낮이의 소리를 출력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우드램프가 점등된 시간에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촬영한다(S125). 여기서, 우드램프(111)가 외장 플래시로 동작하는 경우, 우드램프(111)의 점등과 촬영 동작은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S125 단계는 셀프 카메라 모드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과거 촬영된 영상을 오버레이 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 설정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124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분석은 일회성 분석에 그치지 않고 일정 시간적 간격을 두고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에 따라 변화된 피부를 분석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과거 촬영된 얼굴 피부의 영상과 비교하여 과거와 동일한 조건의 얼굴 피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오버레이 기법이 이용된다. 오버레이 기법에 의해 카메라의 방향, 얼굴의 크기 및 얼굴의 위치가 과거 영상과 동일하게 조정된 상태에서 얼굴 피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피부 영상 획득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는 피부분석 항목에 따른 광원 선원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자외선, 백색광 및 편광된 빛 중에서 분석 항목에 가장 적합한 광원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광은 모공, 주름, 피부결을 분석하는 데 유리하고, 편광된 빛은 각질, 피부톤 및 색소침착을 분석하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자외선은 피부톤, 피부타입, 각질, 피지, 포피린 및 색소침작의 분석에 유리하다. 어느 하나의 항목에 광원을 지정하기 보다는 서로 다른 광원을 사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서로 비교하는 분석도 가능하다.
피부분석을 위한 영상이 획득된 후에는 우드램프(111)는 전원 모듈(190)의 전원 제어에 따라 소등된다(S126).
추가적으로 우드램프의 소등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100)는 스피커(180)를 통해 우드램프의 소등을 알리는 소리를 출력한다. 스피커(18)는 PCB 판의 단자에 간단하게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빕 스피커(beep speaker)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항목의 분석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한다(S130). 다양한 피부분석 항목은 피부 표피층 및/또는 진피층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피부 표피와 진피층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피부분석 항목들 중에서, 주름 및 모공 항목 피부 표면에 굴곡을 형성하고 이 굴곡으로 인해서 그림자가 발생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으나, 선으로 표시되는 주름과 점으로 표시되는 모공에 형태상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각 항목에 특화된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또한, 획득된 영상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털과 같은 노이즈 제거 및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필수적이다. 그 밖에 경계 검출, 히스토그램 평준화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는 얼굴 부위별 분석 항목에 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을 위해 참조되는 얼굴 부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얼굴 피부가 몇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영역의 선정은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영역 선정이 도 1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영역은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및 화장에 있어서 특히 신경을 써서 관리하는 영역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외선 광원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얼굴 피부 영상은 사용자의 표피층과 진피층이 자외선 반사를 통해 나타내는 피부톤을 표시한다. 이러한 피부톤은 각질의 분포와 피부타입 예를 들면 건성, 중성 및 지성 피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마 부분(10)은 특히 피지, 주름 항목 분석에서 중점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영역(20)은 소위 말하는 티존 영역으로서 사람의 인상을 좌우하는 중심 영역으로서 피부타입, 피부톤, 모공, 각질 등의 항목 분석에서 중점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눈밑 영역(30)은 피부톤 및 색소침착, 소위 말하는 다크써클 등의 항목 분석에서 중점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영역(40)은 소위 말하는 애플존 영역으로서 광대뼈로 인해 사람에 따라 반사율이 높게 나타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러한 반사율을 이용하여 미용 적인 측면에서의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유존(50)은 하관을 형성하는 영역으로서 색소침착, 잡티 및 각질 항목 분석에서 중점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특히 유존(50)은 남성의 경우 면도로 인한 피부 손상이 많은 영역이다. 따라서 남성 사용자에게는 유존 영역에 대해서 피부결에 관한 분석과 남성용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화장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는, 누적된 데이터와 비교한 피부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 건강의 정량적 향상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는, 분석 항목별 조화도, 예를 들면 분석 항목에 관한 다각형 그래프의 꼭지점 분포를 이용하여 항목별 점수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용 화장품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각질 항목에 대해서는 각질의 위치, 각질의 정도를 알려주는 정량적 분포 정도가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를 통해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피부분석을 위한 기준영상에 관한 데이터베이스(350)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는, 피부 반사를 이용하여 얼굴 형태를 커버할 수 있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얼굴 중에서 다른 부위보다 튀어나온 부위에 해당하는 이마(10), 티존(20) 및 애플존(40)은 일상에서 반사율이 높아서 화장 후에도 번들거리기 쉬운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부위들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반사 정도에 따라 번들거림을 커버하거나 얼굴형을 커버할 수 있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는 획득한 피부 영상을 이용한 색조화장 시뮬레이션 정보를 포함한다. 색조화장 시뮬레이션 정보는, 화장을 안한 상태에서 촬영된 얼굴 영상 위에 이미지 리터징을 이용하여 눈 주위의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입술의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애플존(40)의 볼화장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 하고, 그 결과 출력된 화장이 완성된 상태의 얼굴 영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사용자는 가상으로 다양한 방법에 따라 화장을 시험적으로 함으로써 자신의 피부톤에 맞는 색조화장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발광 밀러를 이용하는 자가 피부분석에 의해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가의 피부분석 시스템을 이용해서 얻을 수 있는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저렴한 비용으로 가정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평소에는 미용 밀러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면 피부분석 시스템으로 완성되는 발광 밀러는 개인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110: 헤드
111: 우드램프
112: 밀러
113: 거치바
114: 마그네틱 거치수단
115: 커버
120: 넥
130: 바디
140: 터치 센서 모듈
150: LED 모듈
160: 통신 모듈
170: 배터리
180: 스피커
190: 전원 모듈
200: 사용자 단말
210: 입력 디바이스
2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30: 출력 디바이스
240: 저장 장치
250: 통신 장치
260: 전원 장치
270: 제어부
271: 우드램프 제어 모듈
272: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 모듈
273: 운영 체제
274: 메모리
275: CPU
300: 서버
350: 데이터베이스
400: 네트워크
500: 컴퓨팅 장치
51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52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531: 메모리
532: 저장장치
540: 전원 장치
550: 프로세서
5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570: 무선통신 장치
580: 버스

Claims (18)

  1. 피부 분석을 통해 개인별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의 제공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피부 분석 항목에 해당하는 피부 분석을 위해 얼굴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러와 상기 밀러의 외주에 배치된 우드램프를 포함하는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및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페어링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부 분석 항목의 분석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셀프 카메라 모드에서 출력되는 피부 영상에 과거 촬영된 피부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피사체의 위치 설정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분석 항목으로 주름, 모공, 피부결, 피부 반사, 색소침착 및 피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간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페어링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면에 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우드램프의 점등을 위한 준비 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준비 명령에 따라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우드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우드램프가 점등된 시간에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우드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는,
    필름 부분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렌즈와 포개지도록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편광 필름 클립에 의해 편광된 빛, 자외선 및 백색광 광원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는,
    기간의 간격을 두고 획득된 피부 영상들의 오버레이를 통해 피부 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피부 타입별 색조 화장품 선택, 얼굴 부위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및 획득된 피부 영상을 이용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영상 획득에 앞서 암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암실은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외주에 결합되는 암막 커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10. 개인별 맞춤 스킨케어와 색조화장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자외선 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피부 분석 항목에 해당하는 피부 분석을 위해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페어링되고, 얼굴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러와 상기 밀러의 외주에 배치된 우드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피부 영상 획득에 필요한 광원을 제공하는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분석 항목의 분석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피부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톤을 포함하는 피부 분석 항목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셀프 카메라 모드에서 출력되는 피부 영상에 과거 촬영된 피부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피사체의 위치 설정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분석 항목으로 주름, 모공, 피부결, 피부 반사, 색소침착 및 피지 항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간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페어링 단계;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면에 거치되는 단계; 및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우드램프의 점등을 위한 준비 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준비 명령에 따라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우드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우드램프가 점등된 시간에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우드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14. 삭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는,
    필름 부분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렌즈와 포개지도록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편광 필름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 필름 클립을 이용하여 편광된 빛, 자외선 및 백색광 광원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간의 간격을 두고 획득된 피부 영상들의 오버레이를 통해 피부 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피부 타입별 색조 화장품 선택, 얼굴 부위별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방법 및 획득된 피부 영상을 이용한 색조화장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는,
    외주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 주위에 암실을 형성하는 암막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시스템.
KR1020170176229A 2017-12-20 2017-12-20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9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29A KR102093666B1 (ko) 2017-12-20 2017-12-20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29A KR102093666B1 (ko) 2017-12-20 2017-12-20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688A KR20190074688A (ko) 2019-06-28
KR102093666B1 true KR102093666B1 (ko) 2020-03-26

Family

ID=6706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229A KR102093666B1 (ko) 2017-12-20 2017-12-20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110A1 (en) * 2021-01-11 2022-07-14 Baracoda Daily Healthtech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analy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5B1 (ko) * 2006-11-22 2007-11-30 김창환 피부측정기가 결합된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를 구성하는피부측정기와 개인휴대단말기
KR101533840B1 (ko) * 2015-01-28 2015-07-09 대신전자주식회사 피부진단용 스마트 우드등
KR101803739B1 (ko) * 2016-07-05 2017-12-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자외선 미러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97Y1 (ko) * 2011-09-08 2013-12-31 이상민 휴대용 피부진단 기구
KR20150098130A (ko) * 2014-02-19 2015-08-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피부 정보 기반 화장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60029563A (ko) 2014-09-05 2016-03-15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와 카메라가 포함되어 피부분석을 할 수 있는 거울
KR102424986B1 (ko) * 2014-11-04 202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얼굴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5B1 (ko) * 2006-11-22 2007-11-30 김창환 피부측정기가 결합된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를 구성하는피부측정기와 개인휴대단말기
KR101533840B1 (ko) * 2015-01-28 2015-07-09 대신전자주식회사 피부진단용 스마트 우드등
KR101803739B1 (ko) * 2016-07-05 2017-12-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자외선 미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110A1 (en) * 2021-01-11 2022-07-14 Baracoda Daily Healthtech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688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50501T3 (es) Sistemas para el análisis de la piel mediante dispositivos electrónicos
US99869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physical conditions using digital images
KR101799174B1 (ko) 피부 진단 및 화상 처리 시스템, 장치 및 물품
KR101800102B1 (ko) 피부 진단 및 화상 처리 방법
US82600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skin conditions of people using digital images
JP6289837B2 (ja)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JP6297771B2 (ja)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
JP6001245B2 (ja) 皮膚評価装置、皮膚評価方法、及び皮膚評価プログラム
CN102791187A (zh) 照明装置、图像解析装置、图像解析方法、及评价方法
CN101065061A (zh) 拍摄并观看皮肤的图像的装置和方法
US202300924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ze detection
US20200037882A1 (en) Accessory device,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ubject's skin parameter
CN105249926A (zh) 一种高清五模式面部皮肤检测系统
KR101783712B1 (ko) 피부진단용 거울 장치
KR102093666B1 (ko)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의한 스킨케어와 색조화장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544876B2 (en) Integrated cosmetic design applicator
KR20190074479A (ko)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 및 피부분석용 발광 밀러의 전원 제어방법
Hanlon et al. Dermoscopy and skin imaging light sources: a comparison and review of spectral power distribution and color consistency
KR20190074478A (ko) 피부분석을 위한 영상획득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655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analysis
KR102019910B1 (ko) 발광 밀러를 이용한 피부분석에 기초하는 화장품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시스템
KR101979357B1 (ko)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JP2023522235A (ja) 光ベース体毛除去を行うように構成されている個人用ケアデバイス
JP3171344U (ja) 照明装置
EP4220074A1 (en) Determining a parameter map for a region of a subject's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