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57B1 -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57B1
KR101979357B1 KR1020190005737A KR20190005737A KR101979357B1 KR 101979357 B1 KR101979357 B1 KR 101979357B1 KR 1020190005737 A KR1020190005737 A KR 1020190005737A KR 20190005737 A KR20190005737 A KR 20190005737A KR 101979357 B1 KR101979357 B1 KR 10197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eup
beauty
user
mirror
cu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티스
Priority to KR102019000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는 일면에 설치된 거울부, 접었을 때 마주보는 다른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거울이 설치된 면에 구비되어, 거울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 따라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Folding Beauty Curating Device}
본 발명은 뷰티 큐레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별로 적합한 화장 및 미용정보를 제공하는 뷰티 큐레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을 위한 도구로서 기본적으로 거울이 사용된다. 최근 들어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 미러와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이미 미용관련 시장에서 검증되어 호응을 얻고 있다.
현재의 스마트 미러 기술은 하프 미러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거울의 기능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로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프 미러는 굴절률이 다른 투명막을 겹쳐서 제조하여 반사율과 투과율이 50%가 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하프 미러는 후면에 디스플레이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화면출력으로 사용되지만 후면에 디스플레이가 꺼지는 경우 거울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프 미러를 채용하는 경우 메이크업 등의 뷰티 관련 행위 진행 중에 화장법을 참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하여 컨텐츠를 실행한 후 다시 거울 모드로 변경하여 메이크업을 해야 한다. 거울과 디스플레이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거울 잔상이 남고, 때로는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에 의해 중첩되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스마트 미러는 전통적인 거울과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를 하나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거울모드와 스마트 미러 모드를 변경하면서 뷰티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 하프 미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와 거울을 하나로 구현하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디스플레이에 하프 미러를 부착하였을 때, 거울모드는 선명한 상태로 운영이 가능하나 디스플레이는 선명도가 떨어져 뷰티 관련 컨텐츠 이용시에 섬세한 색의 표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뷰티 큐레이션을 위해서는 정확한 색조, 피부 톤, 피부 결점, 추천 색조 등이 디스플레이에 표현되고 이를 바탕으로 큐레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는 데 하프 미러의 특성에 의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거울모드와 디스플레이모드가 하나의 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화장한 결과를 즉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거울모드를 실행하면서 뷰티 큐레이션을 받기 위한 피부 상태나 메이크업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 다시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경우 직관적으로 메뉴 선택을 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기술이나, 스마트 미러로 사용 시에 표면에 지문이나 유분이 묻어 거울모드로 활용하는 경우에 지저분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4301호(2015.2.1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울과 디스플레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면에서 각각 거울과 디스플레이로서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선명하게 자신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거울과 디스플레이부를 분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되는 뷰티 관련 컨텐츠, 특히 피부 톤, 메이크업 색조, 추천 색상 등 색에 관련된 컨텐츠의 선명도가 높아져 사용자에게 적합한 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촬영부를 통하여 현재 사용자의 얼굴 상태 및 피부, 헤어스타일에 따라 적절한 뷰티 큐레이팅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화장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접이식으로 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 둘 수 있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거울 및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책처럼 접어 두어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막고,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는 일면에 설치된 거울부, 접었을 때 마주보는 다른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거울이 설치된 면에 구비되어, 거울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 따라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이미지와 상기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영상모듈, 상기 이미지에 따라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화장 및 미용정보를 선택하는 연산모듈, 연결되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모듈 및 연결되는 출력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울부가 설치된 면에 설치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검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식 조작부, 마이크 또는 QR 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거울과 디스플레이가 각각 별도의 면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선명하게 자신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거울과 디스플레이부를 분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되는 뷰티 관련 컨텐츠, 특히 피부 톤, 메이크업 색조, 추천 색상 등 색에 관련된 컨텐츠의 선명도가 높아져 사용자에게 적합한 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촬영부를 통하여 현재 사용자의 얼굴 상태 및 피부, 헤어스타일에 따라 적절한 뷰티 큐레이팅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화장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접이식으로 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 둘 수 있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거울 및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책처럼 접어 두어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막고,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가 거치대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는 일면에 설치된 거울부, 접었을 때 마주보는 다른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거울이 설치된 면에 구비되어, 거울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에 따라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뷰티 큐레이팅 장치란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보면서 사용하는 장치이다. 화장법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고 참조할 수 있는 자료를 그때 그때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제공받거나, 별도의 서적을 통하여 보면서 화장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기존의 하프 미러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100)는 접이식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거울부(110)가 위치하고, 접었을 때 거울부(110)가 위치한 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0)가 위치한다. 접이식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면 특별히 결합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적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측면에 다양한 방식의 힌지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거울부(110)은 사용자가 화장 또는 미용시에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모습을 반사하는 것으로서 특별히 소재를 한정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유리의 일면을 코팅한 형태의 전통적인 거울 뿐 만 아니라 금속 판의 표면을 연마하여 반사도를 높은 금속판 거울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파손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 판을 얇게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울부(110)가 위치하는 면에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130)가 구비된다. 촬영부(130)는 거울에 비친 모습과 같은 스케일로 촬영할 수 있도록 렌즈의 각도와 배율이 결정된다. 촬영부(130)는 다양한 카메라 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원근감을 보다 상세하게 촬영하기 위해 듀얼 카메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부(130)는 거울의 윗 쪽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었지만, 반드시 윗 쪽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30)는 거울 뒷면에서 거울 방향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방향으로는 거울이지만 반대방향으로는 그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거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또는 동영상 데이터의 화면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의 용이성 및 슬림화를 위해 평판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D) 중에서 어느 1종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식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자체를 터치를 하여 입력함으로써 화장이나 미용시에 직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100)는 조명(111), 터치식 조작부(151), 근접센서(152), 마이크(153), 스피커(154)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111)은 사용자의 얼굴을 보다 자세하게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거울부(110)가 위치한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거울부의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를 통하여 조작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도센서(미도시)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조도센서로부터 검출되는 빛의 밝기에 따라 제어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서 엘이디(LED) 조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식 조작부(151)는 직관적으로 장치에 일정한 입력을 위한 구성이다. 버튼, 터치센서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식 조작부(151)는 전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 촬영부의 촬영여부를 입력하는 촬영버튼, 조명의 전원을 제어하는 조명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52)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근접센서(152)는 거울부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약 10 ~ 40 cm 정도의 근거리에서 사용자의 접근여부를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센서(152)는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장치 전원의 온/오프 제어에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조명(111)의 온/오프 제어에도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153)는 입력장치로서, 음성입력을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 음성이 제어부(140)로 입력되며 제어부를 통하여 대화형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원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54)는 출력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 음성 및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화면 정보 뿐만 아니라 음성 정보만으로 큐레이팅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서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촬영부(130)를 통해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 따라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뷰티 큐레이팅을 위해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처리, 정보 통신 등이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어부(140)는 저장모듈(141), 영상모듈(142), 연산모듈(143), 입력모듈(144), 출력모듈(145), 통신모듈(146)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모듈(141)은 촬영부(130)에서 획득한 이미지 및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되는 화장 및 미용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화장 데이터로는 기초 화장법, 영양 화장법, 눈 커보이는 화장법, 얼짱 화장법, 투명 메이크업, 아이라인 그리는 법, 얼굴형상에 맞는 화장법 등의 화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미용 데이터로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맞는 헤어스타일 손질법, 헤어 관리법, 피부 관리법, 여드름 제거 및 관리법, 유행하는 헤어 스타일 등의 헤어와 피부 관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미지가 기본적으로 저장되며, 화장 전 후 얼굴 상태, 헤어 상태 등이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사용자에 필요한 정보로서 추천 색상, 추천 메이크업 스타일, 선호 색상, 스타일, 연예인 또는 모델 메이크업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영상모듈(142)은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저장모듈(141)에 저장된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산모듈(143)은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구동된다. 이러한 연산모듈(143)은 저장모듈(141)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산모듈(143)은 인공지능을 통하여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얼굴의 형태, 피부톤 등의 데이터와 사용자의 평소 메이크업 패턴, 선호 색상, 선호 회사 브랜드, 날씨, 온도, 습도 등의 각종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학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뷰티 큐레이팅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모듈(144)은 이와 연결되는 촬영부(130) 및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각종 정보를 연산모듈(143)을 통하여 저장모듈(141)에 제공한다. 입력장치는 터치식 조작부, 마이크, 근접센서, QR 코드 리더기 일 수 있다.
출력모듈(145)은 외부로 출력되는 다양한 소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연결된 출력장치인 스피커(154)를 통하여 음성 및 소리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출력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모듈(146)은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대측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저장모듈(141)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는 별도의 전용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가 거치대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본체부(210), 거치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은 내부에 모터(2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240)을 포함한다. 모터(230)는 거치부(220)에 연결되어 거치부(220)를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버튼(240)은 모터(230)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버튼으로서 모터(230)와 연결된 거치부(2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업/다운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어 거치부(220)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거치부(220)는 본체부(210)와 결합되어 본체부(210)의 모터(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거치부(220)에는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100)가 거치될 수 있으며 거치부(220)가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에 맞게 거울부의 대면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용 거치대의 조정을 제어부(140)를 통하여 사용자에 따라 그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에 접근하면 근접센서(152)에 의해 검출되고, 이 때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통하여 특정 사용자가 식별되면 그 사용자에 맞도록 자동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는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대기모드 시에는 디스플레이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며 저전력상태이다. 사용자가 접이식 큐레이팅 장치에 접근하면 근접센서(151)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여부가 인식된다. 이 때 사용자는 큐레이션을 받을 지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뷰티 큐레이션을 시작하는 경우는 사전등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치에 사전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등록이 가능하고, 장치의 촬영부를 통해서 등록하거나 별도의 스마트폰 앱이나 인터넷 상에서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는 기본적으로 촬영부를 통하여 저장된 얼굴 이미지를 통하여 인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얼굴 이미지를 통한 인증 이외에 QR 인증도 가능하다. 인증에 의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화장시에 사용자별로 특화된 뷰티 큐레이션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별로 추천 색상, 추천 메이크업 스타일, 선호 색상, 선호 스타일, 연예인 또는 모델 메이크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출함으로써 뷰티 큐레이션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된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촬영부를 통하여 얼굴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뷰티 큐레이션 정보와 비교하여 메이크업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거울부와 디스플레이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거울을 보면서 화장을 수정하면서, 바로 즉각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뷰티 큐레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화장이 완료되면 다시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하여 최종적으로 화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이미지는 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SNS 계정을 통하여 다른 사람과 이미지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큐레이팅 장치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큐레이팅 완료 후 책처럼 보관하게 되면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를 통하여 외부로 펼쳤을 때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뷰티 큐레이팅 장치 110: 거울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촬영부
140: 제어부

Claims (7)

  1. 일면에 설치된 거울부;
    접었을 때 마주보는 다른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거울이 설치된 면에 구비되어, 거울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 따라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이미지와 상기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영상모듈, 상기 이미지에 따라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화장 및 미용정보를 선택하는 연산모듈, 연결되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모듈 및 연결되는 출력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울부가 설치된 면에 설치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검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화장 데이터는 기초 화장법, 영양 화장법, 눈 커보이는 화장법, 얼짱 화장법, 투명 메이크업, 아이라인 그리는 법 또는 얼굴형상에 맞는 화장법이며, 상기 미용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맞는 헤어스타일 손질법, 헤어 관리법, 피부 관리법, 여드름 제거 및 관리법 또는 유행하는 헤어 스타일이며,
    상기 연산 모듈은 인공지능을 통하여 상기 촬영된 얼굴의 형태 또는 피부톤의 데이터와 사용자의 평소 메이크업 패턴, 선호 색상, 선호 회사 브랜드, 날씨, 온도 또는 습도 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습하여 저장된 화장 및 미용정보를 선택하며,
    별도의 거치를 위해 거치부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부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 각도에 따라 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회전은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사용자를 검출하고,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통하여 특정사용자가 특정되어 그 사용자에게 맞도록 자동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조명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식 조작부, 마이크 또는 QR 코드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장 및 미용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KR1020190005737A 2019-01-16 2019-01-16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KR10197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37A KR101979357B1 (ko) 2019-01-16 2019-01-16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37A KR101979357B1 (ko) 2019-01-16 2019-01-16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57B1 true KR101979357B1 (ko) 2019-08-28

Family

ID=6777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37A KR101979357B1 (ko) 2019-01-16 2019-01-16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925A (ko) 2020-08-21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523A (ja) * 2007-07-18 2009-02-26 Shiseido Co Ltd メイクアップシミュレーションに利用する端末装置
KR101494301B1 (ko) 2014-07-22 2015-02-24 (주)지란지교소프트 스마트 미러 장치
KR101661588B1 (ko) * 2015-10-26 2016-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부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66793A (ko) * 2015-12-07 2017-06-15 김지욱 거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523A (ja) * 2007-07-18 2009-02-26 Shiseido Co Ltd メイクアップシミュレーションに利用する端末装置
KR101494301B1 (ko) 2014-07-22 2015-02-24 (주)지란지교소프트 스마트 미러 장치
KR101661588B1 (ko) * 2015-10-26 2016-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부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66793A (ko) * 2015-12-07 2017-06-15 김지욱 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925A (ko) 2020-08-21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9108B2 (en) Smart mirror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2179026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6173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64940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헤어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202200444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20778B1 (ko) 콘택트렌즈 가상 피팅 방법, 장치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JP2003153739A (ja) 化粧鏡装置及び化粧方法
WO2022179025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668348B1 (ko) 피부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45214B1 (ko) 신체 정보 분석 장치 및 아이섀도 분석 방법
KR101661588B1 (ko) 피부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79355B1 (ko)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52722B1 (ko)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포터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피부 상태 진단 및 관리 시스템
WO2016158729A1 (ja) 化粧支援システム、計測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76187B2 (en) Digital makeup artist
CN107705245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102178566B1 (ko) 전자 거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52028A1 (ja) 化粧支援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11961169B2 (en) Digital makeup artist
CN105095917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101979357B1 (ko) 접이식 뷰티 큐레이팅 장치
JP2013182062A (ja) 表示装置および投影装置
CN108933891A (zh) 拍照方法、终端及系统
KR101701210B1 (ko) 피부 분석 결과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WO2019061203A1 (zh) 获取颜值变化的方法及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