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012B1 -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12B1
KR101772012B1 KR1020160034250A KR20160034250A KR101772012B1 KR 101772012 B1 KR101772012 B1 KR 101772012B1 KR 1020160034250 A KR1020160034250 A KR 1020160034250A KR 20160034250 A KR20160034250 A KR 20160034250A KR 101772012 B1 KR101772012 B1 KR 10177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information
manual
vehicl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안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안, 이정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안
Priority to KR102016003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60K17/3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B60K17/34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the transfer gear being a differential gear
    • B60K17/346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the transfer gear being a differential gear with means for changing distribution of torqu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60K17/3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 B60K17/35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manually operated
    • B60K2350/1004
    • B60K2350/1008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토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동 토크 제어 장치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동 토크 정보가 포함되고,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주행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로 토크 변경이 가능하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단계에서 토크 변경이 가능하면,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고, 토크 변경이 불가능하면 현재 주행중인 토크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Manual torqu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행 중 차량의 토크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된 수동 토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 구동 차량은 전륜과 후륜에 모두 동력이 전달되는 차량으로, 고정분배 방식과 가변분배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4륜 구동 차량의 고정배분 방식은 앞뒤 바퀴 사이에 장착된 센터디퍼렌셜과 LSD(Liminted slip defferentail)를 이용하여 앞뒤 바퀴에 구동력을 일정한 비율로 배분하는 것을 말하며, 가변 분배 방식은 전자제어 클러치를 이용하여 노면이나 주행 상황에 따라 배분 비율을 바꾸어주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종래 4륜 구동 차량의 고정분배 방식은 레버를 통해 전류, 후륜 및 4륜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수동 레버가 이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 고정분배 방식을 이용하는 4륜 구동 차량은 4륜 구동중에 고속주행을 하거나 마른도로를 달릴 경우 앞바퀴와 뒷바퀴의 회전반경 차이가 고스란히 구동축이나 변속기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바퀴가 미끄러지며, 회전반경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간에 센터차동기어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종래 고정분배 방식을 이용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설명서에는 "고속주행금지, 마른도로에서 사용금지"와 같은 주의사항이 꼭 강조되어 있다.
한편, 가변 분배 방식은 전자 제어를 통해 전륜과 후륜의 동력 전달비가 100:0에서 0:100까지 가변 분배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가변 분배 방식은 차량의 제어장치에서 각종 센서로부터 탐지된 주행 상황을 계산하여 각 상황에 맞게 구동력을 분배한다.
그러나 종래 가변 분배 방식은 차량의 제어장치에서 자동으로 전륜과 후륜의 구동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토크를 제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운전자가 운전 중 토크를 마음데로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중 주행 상황에 맞게 운전자가 수동으로 토크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수동 토크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주행 중 수동으로 토크를 변경 요구 시, 변경 요구한 토크가 현 주행 상황에 맞을 경우에만 토크를 변경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동 토크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주행 중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를 제공받아 수동으로 토크를 변경할 수 있는 수동 토크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동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수동 통크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수동 토크 정보가 포함되고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 현재 주행중인 상태에서 토크를 수신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로 토크의 변경이 가능하지를 판단하는 토크 변경 판단부; 및 상기 토크 변경 판단부를 통해 토크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는 토크 변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현재 주행 정보로부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토크 변경 가능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방법은 수동 토크 제어 장치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동 토크 정보가 포함되고,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주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로 토크 변경이 가능하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토크 변경이 가능하면,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고, 토크 변경이 불가능하면 현재 주행중인 토크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인터페이스로부터 고속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오르막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내리막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시내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및 눈, 비 노면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토크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재 주행 정보로부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토크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토크를 사용자의 직관에 의해 변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재미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변경을 요청하더라도 그 차량의 운행 상태를 판단하여 토크의 변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운전자의 토크 오 변경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를 차단하거나, 토크 오 변경에 따른 차량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장치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장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 토크 변경 판단부(200) 및 토크 변경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동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수동 토크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수동 토크 정보가 포함되고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토크 변경 판단부(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채용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고, 각 수동 토크 정보는 터치 버튼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는 일 실시예에서와 달리 물리적인 버튼, 레버 및 다이얼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토크 변경 판단부(200)는 현재 주행중인 상태에서 토크를 수신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로 토크의 변경이 가능하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토크 변경 판단부(200)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된 센서(210)들(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과 연결되고, 운행 환경별 토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20)와 연결되며, 각종 센서(2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통해 운행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토크 변경 판단부(200)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수동 토크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주행중인 토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행 환경에 따른 토크 정보 및 수신된 수동 토크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운행중인 차량의 토크의 변경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주행 환경별 토크 정보 예시)
구분 고속주행 시내주행 내리막 오르막 눈, 비 노면
전륜토크>후륜토크 X O O X O
전륜토크<후륜토크 O X X O X
사용자 모드 예)
비교 토크 구성비(전륜:후륜)
사용자 모드 1 100:1
사용자 모드 2 90:10
..... ....
사용자 모드 10 1:100
예를 들어, 현재 차량이 고속으로 운행 중에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시내주행에 상응하는 토크로 변경을 요구하게 되면, 토크 변경 판단부(200)는 토크 변경 불가로 판단하게 되고, 고속주행 중 오르막에 대한 토크 정보가 수신되면 오르막에 대한 토크로 변경하게 된다.
한편, 수동 토크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정보일 수도 있는데, 만약 고속으로 운행 중 운전자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사용자 모드6(전륜4:후륜6)을 선택하게 되면, 차량의 토크를 사용자 모드6으로 변경한다.
만약, 고속 주행 중, 사용자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사용자 모드3을 선택하게 되면, 차량의 토크를 사용자 모드3으로 변경하지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토크 변경부(300)는 토크 변경 판단부(200)를 통해 토크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고, 토크 변경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주행중인 상태의 토크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토크 변경부(300)는 실제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과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의 기술을 통해 구현 가능함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토크를 사용자의 직관에 의해 변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재미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변을 요청하더라도 그 차량의 운행 상태를 판단하여 토크의 변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운전자의 토크 오 변경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를 차단하거나, 토크 오 변경에 따른 차량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실시예에서 토크 정보 제공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크 정보 제공부(400)는 현재 주행 정보로부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토크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고자 할 때, 토크 정보 제공부(400)를 통해 제공되는 토크 정보를 제공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토크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토크 제어 방법은 수동 토크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 토크 제어 장치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수동 토크 정보가 포함되고,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예로 터치스크린, 물리적인 버튼, 레버 및 다이얼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어서, 수동 토크 제어 장치가 주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로 토크 변경이 가능하지를 판단한다(S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토크 변경 판단부(200)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된 센서(210)들(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과 연결되고, [표 2]와 같은 운행 환경별 토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20)와 연결되며, 각종 센서(2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통해 운행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토크 변경 판단부(200)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수동 토크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주행중인 토크 정보, [표 1] 및 [표 2]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행 환경에 따른 토크 정보 및 수신된 수동 토크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운행중인 차량의 토크의 변경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판단 단계(S200)에서 토크 변경이 가능하면(YES),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고, 토크 변경이 불가능하면(NO), 현재 주행중인 토크 상태를 유지한다(S3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토크를 사용자의 직관에 의해 변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재미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변을 요청하더라도 그 차량의 운행 상태를 판단하여 토크의 변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운전자의 토크 오 변경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를 차단하거나, 토크 오 변경에 따른 차량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에는 상기 사용자 제어인터페이스로부터 고속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오르막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내리막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시내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및 눈, 비 노면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자동 모드 및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토크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토크 입력 정보는, 하기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하고 수동 토크 제어 장치가 현재 주행 정보로부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400).
만약, 상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으면(YES), 해당 토크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S5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으로부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서 운전자는 편리하게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토크 오 변경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00)에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 200 : 토크 변경 판단부
300 : 토크 변경부

Claims (5)

  1. 수동 토크 제어 장치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로(100)부터 수동 토크 정보가 포함되고,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주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로 토크 변경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토크 변경이 가능하면,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고, 토크 변경이 불가능하면 현재 주행중인 토크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현재 주행 정보로부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토크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토크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인터페이스로부터 고속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오르막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내리막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시내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및 눈, 비 노면 주행을 위한 토크 입력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토크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토크 제어 방법.
  3. 삭제
  4.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동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수동 토크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수동 토크 정보가 포함되고 차량의 토크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부(100);
    현재 주행중인 상태에서 토크를 수신한 상기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로 토크의 변경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토크 변경 판단부(200);
    상기 토크 변경 판단부(200)를 통해 토크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한 수동 토크 변경 요청 신호의 수동 토크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토크를 변경하는 토크 변경부(300); 및
    현재 주행 정보로부터 변경 가능한 토크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토크 변경 가능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토크 제어 장치.
  5. 삭제
KR1020160034250A 2016-03-22 2016-03-22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7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50A KR101772012B1 (ko) 2016-03-22 2016-03-22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50A KR101772012B1 (ko) 2016-03-22 2016-03-22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12B1 true KR101772012B1 (ko) 2017-09-12

Family

ID=5992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250A KR101772012B1 (ko) 2016-03-22 2016-03-22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2003A (ja) * 2012-02-13 2014-12-04 ジャガー ランド ローバー 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車両のドライバ勧告システム
JP2015526342A (ja) * 2012-08-16 2015-09-10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車速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2003A (ja) * 2012-02-13 2014-12-04 ジャガー ランド ローバー 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車両のドライバ勧告システム
JP2015526342A (ja) * 2012-08-16 2015-09-10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車速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6059B2 (en) Vehicle speed control
EP3145773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by maximizing the cruise controlled speed during turning on low friction grounds
JP6145508B2 (ja) 乗員快適性を改善するように車両速度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486695B2 (en)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641014B2 (en) Tra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843288B1 (en)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50321671A1 (en)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JP2017024722A (ja) 車速制御における改良
CN108248600B (zh) 车辆驾驶模式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20150044436A (ko) 차량 속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7517442A (ja) 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20003057A1 (en) Drive-force distribution controller
JP2016536195A (ja) 車両速度制御システム
US20160031443A1 (en) Speed control for working vehicle
US20180229727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772012B1 (ko) 수동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5010964A1 (en)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40016585A1 (en) Four-wheel drive vehicle
CN115268413A (zh) 用于控制车辆运动的设备和方法
JP2018024426A (ja) ドライブラインの動作に基づいて車両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構成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200340209A1 (en) Tensile force-limiting device for a working machine
JP7446669B2 (ja) 配分表示装置
JP6822225B2 (ja) 作業車両
KR101441818B1 (ko) 사륜 구동 차량의 후륜 구동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0006A (ko) 전기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