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852B1 -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852B1
KR101771852B1 KR1020160061709A KR20160061709A KR101771852B1 KR 101771852 B1 KR101771852 B1 KR 101771852B1 KR 1020160061709 A KR1020160061709 A KR 1020160061709A KR 20160061709 A KR20160061709 A KR 20160061709A KR 101771852 B1 KR101771852 B1 KR 10177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supply
power
li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선
Original Assignee
김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선 filed Critical 김상선
Priority to KR102016006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15
    • H05B33/0842
    • H05B33/0884
    • H05B37/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와 복수 개 연결되어 동작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장치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조명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 동작되었다가 온(On)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구동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작시간과 통상시간을 비교하여 (a)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b)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HAVING A SMPS, THAT CAPABLE TO CROSS DRIVING BY SWITCH'S ON/OFF MOTION}
본 발명은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와 복수 개 연결되어 동작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장치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조명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 동작되었다가 온(On)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구동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작시간과 통상시간을 비교하여 (a)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b)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조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명장치에는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SMPS)가 구비된다.
이러한 SMPS는, Switched Mode Power Supply의 준말로 전원공급장치를 의미하고,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위의 전원공급장치는 보통 사용수명이 3년 내지 4년으로 수명주기가 짧고,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채용되는 조명장치는 사용수명이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주기가 길다.
따라서,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중 조명장치에 비해 수명주기가 짧은 전원공급장치를 여러 번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과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려면, 전원공급장치의 수명을 길게 하거나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복수 개 적용하여 조명장치와 수명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자의 경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를 복수 개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술에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169639호에는 엘이디 조명장치에서의 자동전환 전원공급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엘이디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를 다수 개 설치하여 메인 SMPS에 이상 발생 시에 자동적으로 메인 SMPS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메인 SMPS는 구동이 중단되고, 대신에 서브 SMPS에 전원이 공급되어 서브 SMPS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이의 청구항 1을 참조하면 '엘이디 조명장치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SMPS를 다수개 설치하여 메인 SMPS에 이상 발생 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메인 SMPS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이 중단되고, 대신에 서브 SMPS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도록 구성된 엘이디 조명장치에서의 자동전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메인 SMPS의 출력단자(JP1)에 제1, 제2저항(R1, R2)을 거쳐 릴레이(RY1) 내의 릴레이코일(L1)의 일측이 접속되고, 제3, 제6 저항(R3, R6)의 접속점에는 전압검출기(Q1)와 스위칭소자(Q2)를 거쳐 릴레이코일(L1)의 타측이 접속되며, 상기 릴레이(RY1)의 구동여부에 따라 단속되는 릴레이접점(3~8)들에 연결되는 릴레이 출력단자(JP2) 및 서브 SMPS의 입, 출력단자(JP3, JP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기재하는바, 엘이디 조명장치에서의 자동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은 '이상 발생 시'라는 조건을 두어 만약 통상적인 SMPS의 수명인 3~4년 동안 이상이 발생되지 않아 다른 SMP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상당의 시간을 사용하지 않는 장치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장기간 미사용되는 장치는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핵심부품인 전해콘덴서의 수명저하 및 기능상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장치의 조립에 사용되는 납의 부식으로 인한 수명저하 및 기능상실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이 전원공급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순서 결정이 명확하지 못하다.
즉, 복수의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이들을 순차적으로 교차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되, 복수의 전원공급장치가 교차구동되는데에 따른 적절한 조건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9639호(2012.08.0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와 복수 개 연결되어 동작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장치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조명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 동작되었다가 온(On)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구동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작시간과 통상시간을 비교하여 (a)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b)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장치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조명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 동작되었다가 온(On)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구동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작시간과 통상시간을 비교하여 (a)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b)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을 순차적으로 인가받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조명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1개의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던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인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원공급부의 총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차단되어도 전원공급부의 순차적 교차구동의 제어에 오류가 발생되지 않고 지속적인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위치(10), 제어부(20), 전원공급라인(30) 및 조명장치(40)를 주요하게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상용전원(220v)를 인가받아 조명장치(40)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조명장치(40)를 동작시키기 위해 댁내 등에 마련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조명장치(40)란, 댁내 및 사무실 등에 설치된 모든 등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도로에 불빛을 비추는 등기구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0)는 스위치(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스위치의 온/오프를 판단하고, 전원을 공급할 라인을 선택하는 기능을 주요하게 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온오프판단모듈 및 전원인가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스위치온오프판단모듈은, 스위치(10)의 온(On) 동작과 오프(Off) 동작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을 위해 전기적 접촉이 발생되는 것(온 동작)과 접기적 접촉이 해제되는 것(오프 동작)을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전원인가제어모듈은, 후술되는 전원공급라인(30)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스위치(10)에서 인가된 상용전력을 기반으로 전원을 어느 전원공급라인(30)으로 인가할 것인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때 전원공급라인(30)으로의 전원 인가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즉, 최초 스위치가 온(On) 동작되는 경우 맨 첫라인(31, 1라인)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치가 오프(Off) 동작되었다가 다시 온(On) 동작되는 경우, 다음 라인(32, 2라인)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상술된 전원공급라인(30)은 제어부(20)의 전원인가제어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조명장치(4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를 위해 라인 제어 스위치(30a) 및 전원공급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라인 제어 스위치(30a) 및 전원공급부(30b)가 1개의 전원공급라인(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원공급라인(30)은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1라인(31), 2라인(32) ... n라인(30n, n번째 라인)으로 복수 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조명장치의 수명과 비례하여 2~3개의 전원공급라인(3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4개 이상의 전원공급라인(30)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라인 제어 스위치(30a)는 제어부(20)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전원인가제어모듈과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인가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동작된다.
다시 말해 전원인가제어모듈이 1라인(31)으로 전원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1라인(31)에 구비된 라인 제어 스위치(30a)가 온(On) 동작되며, 이 라인 제어 스위치(30a)는 스위치(10)의 오프(Off) 동작과 함께 오프(Off) 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스위치(10)가 다시 온(On) 동작되는 경우, 전원인가제어모듈은 다음 라인인 2라인(32)에 구비된 라인 제어 스위치(30a)가 온(On)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공급부(30b)는 라인 제어 스위치(30a)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라인 제어 스위치(30a)의 연결에 따라 인가받은 전원을 조명장치(4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부(30b)는 전원공급을 위해 동작되면서 발열되어 수명 감소가 촉진되고 잦은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구성과 교차구동에 따라, 조명장치(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b)가 스위치(10)의 온/오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구동될 수 있어서 종래의 조명장치 구조보다 발열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명 감소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전원공급부(30b)를 사용하여 수명이 다 할때까지 사용한 뒤 교체하는 것(또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SMPS)를 사용하더라도 수명이 다하면 다음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보다 전원공급부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한편, 외부적 요인(정전 등)에 의해 공급되던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인 교차구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비정상차단감지모듈, 최종동작라인판단모듈, 동작시간 판단모듈, 스위치온오프주기판단모듈 및 비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정상차단감지모듈은, 조명장치(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스위치(10)가 온(On) 동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최종동작라인판단모듈은, 비정상차단감지모듈에 의해 비정상적(스위치가 온되어 있음에도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것)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전원 공급 전까지 최종동작 되었던 전원공급라인(30)을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동작시간 판단모듈은, 최종동작라인판단모듈에 의해 판단된 최종동작 되었던 전원공급라인(30)이 동작된 동작시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시간 판단모듈은 타이머 기능이 가능하게 구성되면 충분하다.
스위치온오프주기판단모듈은, 스위치(10)가 온(On) 동작되었다가 오프(Off) 동작되는 데까지의 시간(주기)을 판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동작시간 판단모듈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으나, 스위치온오프주기판단모듈이 자체적으로 타이머 기능이 가능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치(10)가 온(On)-오프(Off) 되기까지의 통상적인 시간을 경험으로 축적함으로써, 평상시에 스위치(10)가 온(On)-오프(Off) 되는 '통상의 시간'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에 경험 기반으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SW) 또는 하드웨어(HW) 기술이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저장(축적)된 통상의 시간을 기반으로 스위치(10)가 온-오프 되는 시간이 짧은 것은 축적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조명장치(40)를 온(On) 동작시키는 시간은 유사한 수준일 수 있으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잠시동안 온(On) 되었다가 오프(Off)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비교모듈은, 동작시간 판단모듈에 의해 판단된 최종동작되었던 전원공급라인(30)의 동작시간과, 스위치온오프주기판단모듈에 의해 판단된 통상의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최종동작되었던 전원공급라인(30)의 동작시간이 상기 통상의 시간에 근접한지 또는 차이가 많은지를 비교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동작시간이 통상의 시간에 근접한지 차이가 많은지에 대한 기준은 사용자의 설정값에 기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동작시간이 통상의 시간의 80% 미달인 경우, 차이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80% 이상인 경우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모듈에 따른 비교 결과, 상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전원의 재인가에 따라 조명장치(40)가 온(On) 동작되면, 전원인가제어모듈은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30)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전원이 재인가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30)의 다음 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들은 제어부(20)의 전원인가제어모듈을 통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의해, ①비정상적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도 순차적인 교차구동에 오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②비정상적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재공급되는 경우에도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30)이 스위치(10)의 다음 오프(Off) 동작 때까지 무리하게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원공급부(30b)의 수명연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스위치
20 : 제어부
30 : 전원공급라인
30a : 라인 제어 스위치
30b : 전원공급부
31 : 1라인
32 : 2라인
30n : n라인
40 : 조명장치

Claims (7)

  1.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장치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조명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 동작되었다가 온(On)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구동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조명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차단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비정상차단감지모듈;
    상기 비정상차단감지모듈에 의해 비정상적인 전원 공급의 차단이 감지되는 경우, 전원 공급 전까지 최종동작 되었던 전원공급라인을 판단하는 최종동작라인판단모듈;
    상기 최종동작라인판단모듈에 의해 판단된 최종동작 되었던 전원공급라인의 동작시간을 판단하는 동작시간 판단모듈; 및
    상기 스위치가 온(On) 동작되었다가 오프(off) 동작되는 데까지의 시간을 축적하여 저장하는 스위치온오프주기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동작되는 라인 제어 스위치; 및
    상기 라인 제어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조명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복수 개로 구비되어, 1개의 조명장치에 상기 복수 개의 전원공급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라인 제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 동작되면 함께 오프(Off)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다시 온(On) 동작되면 오프(Off) 동작된 라인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라인에 위치한 전원공급라인에 구비된 라인 제어 스위치가 온(On)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시간과 통상시간의 비교를 수행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동작시간과 통상시간을 비교하여,
    (a)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b)상기 동작시간이 통상시간에 대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최종동작했던 전원공급라인의 다음 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온(On) 동작과 오프(Off) 동작을 판단하는 스위치온오프판단모듈; 및
    복수 개의 전원공급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인가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7. 삭제
KR1020160061709A 2016-05-19 2016-05-19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KR101771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709A KR101771852B1 (ko) 2016-05-19 2016-05-19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709A KR101771852B1 (ko) 2016-05-19 2016-05-19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852B1 true KR101771852B1 (ko) 2017-09-05

Family

ID=5992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709A KR101771852B1 (ko) 2016-05-19 2016-05-19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509B1 (ko) * 2018-12-06 2019-07-30 (주)화신이앤비 Led smps 정션 유니트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2293613B1 (ko) * 2021-02-23 2021-08-27 주식회사 정길 일대다 스위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369A (ja)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06164842A (ja) * 2004-12-09 2006-06-22 Nec Lcd Technologies Ltd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90949A (ja) * 2008-05-28 2009-12-10 Nec Fielding Ltd 電源管理システム、無停電電源装置、電源管理方法、電源トレンド予測方法及び電源トレンド予測プログラム
KR101440954B1 (ko) * 2014-03-28 2014-09-18 (주)선일일렉콤 점등 스위치를 통한 smps 일체형 led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369A (ja)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06164842A (ja) * 2004-12-09 2006-06-22 Nec Lcd Technologies Ltd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90949A (ja) * 2008-05-28 2009-12-10 Nec Fielding Ltd 電源管理システム、無停電電源装置、電源管理方法、電源トレンド予測方法及び電源トレンド予測プログラム
KR101440954B1 (ko) * 2014-03-28 2014-09-18 (주)선일일렉콤 점등 스위치를 통한 smps 일체형 led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509B1 (ko) * 2018-12-06 2019-07-30 (주)화신이앤비 Led smps 정션 유니트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2293613B1 (ko) * 2021-02-23 2021-08-27 주식회사 정길 일대다 스위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10100A (ja) 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432222B1 (ko) 수명연장을 위한 엘이디 구동회로
KR101742867B1 (ko) 정전 시 비상전원으로 자동 절환 되는 엘이디 센서등
KR20160086294A (ko) 비상 안정기의 오동작 방지 회로
KR101771852B1 (ko)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교차구동이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갖는 조명장치
JP2015103336A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2011192865A (ja) 点灯制御装置及び車両用灯具
KR101306021B1 (ko) 비상시 저전압 배터리로 동작 가능한 led 조명 구동 장치
KR101417492B1 (ko)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68593B2 (ja) 蓄電システム
JP2011150852A (ja) 非常灯機能付きledランプ回路
KR101647610B1 (ko)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26262B1 (ko)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JP5906918B2 (ja) 制御回路
US8890439B2 (en) Light-emitting diode circuit and light-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6169329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169639B1 (ko) 엘이디 조명장치에서의 자동전환 전원공급장치
JP2017016808A (ja) 停電補償付き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夜間照明システム
KR101810426B1 (ko) 듀얼 모드 전원 공급 장치
JP2014142727A (ja) 自動販売機
JP2006294383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TWM569965U (zh) Automatic switch monitoring device
KR20190001283A (ko)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080394A (ja) 電源供給システム
KR102385805B1 (ko) 전력스위치 구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