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607B1 - 듀얼 청음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청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607B1
KR101771607B1 KR1020160113068A KR20160113068A KR101771607B1 KR 101771607 B1 KR101771607 B1 KR 101771607B1 KR 1020160113068 A KR1020160113068 A KR 1020160113068A KR 20160113068 A KR20160113068 A KR 20160113068A KR 101771607 B1 KR101771607 B1 KR 10177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one conduction
user
speaker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익
Original Assignee
김대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익 filed Critical 김대익
Priority to KR102016011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2Transducers using more than one principle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5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청음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청음장치는 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 및 음원을 상기 공기 전도로 전달하는 제1 음향 및 상기 골 전도로 전달하는 제2 음향의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와, 상기 제2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별 요구되는 청력 및 음색으로 상기 음원이 출력된다.

Description

듀얼 청음장치 {Dual type apparatus for listening}
본 발명은 듀얼 청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을 조합한 듀얼 청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이어폰 또는 이어버드는 귀에 끼우거나 밀착할 수 있게 하여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소형장치로, 휴대용 라디오, 보청기, 음악감상용 장치에서 혼자만 들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어폰 또는 헤드셋은 큰 카테로리로서, 공기 전도 방식과 골 전도 방식으로 구분 가능하다.
첫째, 공기 전도 방식은 소리가 공기 매체를 통하여 고막을 통해 내이(Inner ear)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둘째, 골 전도 방식은 두개골을 통한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 청각 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골 전도란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서 소리를 듣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골 전도 진동자가 개발되었다.
골 전도 진동자란,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의 신호로 바꾸는 변환기를 말하며, 골 전도 원리를 이용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골 전도 방식의 헤드셋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골전도 기술을 이용하게 되면, 장시간 사용에도 청각에 무리가 없다.
즉, 기존의 공기전도 헤드셋은 반드시 귀에 정확히 부착해야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큰 소리로 장시간 사용 시, 청각 손상을 염려해야 한다.
반면에, 골 전도 기술은 골 전도 헤드셋을 통해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듣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도 청각에 무리가 전혀 없으며, 헤드셋이 귀를 덮지 않아 착용감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응용 제품으로 좀 더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다.
즉, 청각 장애자용 통신기기, 멀티미디어 가전제품, 인터넷폰, 휴대폰용, 전화기용 제품을 물론 전술용 제품까지 응용 영역을 넓혀 갈 수 있다.
또한, 소음 환경에서도 정확한 통신을 할 수 있다.
즉, 90dB 이상의 소음 환경에서도 명료한 송, 수신이 가능하고, 귀마개 착용으로 기존의 소음 감도를 20dB 이상 감소시킴으로 어떠한 소음 환경에서도 정확한 수신 감도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골 전도 헤드셋 또는 공기 전도 이어폰은 각각 별도의 제품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 골 전도 방식 및 공기 전도 방식이 결합된 청음 장치가 출시된바 있다.
하지만, 골 전도 방식 및 공기 전도 방식이 결합된 청음 장치는 귀에 꽂는 장치로서 개발된 형태이고, 좌우 양쪽의 음향 상태를 동일하게 조절하여 음향 출력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는, 좌우 청력이 상이한 사용자의 경우 양쪽 청각 상태에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받을 수 없었다.
또한, 전음성 난청 환자(특히, 외이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는 귀에 꽂는 청음 장치의 사용이 어려워 골 전도와 공기 전도 기능이 결합된 청음 장치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골 전도와 공기 전도 기능이 결합된 청음 장치는 골 전도 및 공기 전도의 음향 비율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없음에 따라, 골 전도 방식의 음향 특성과 공기 전도의 음향 특성을 사용자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전술된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292111호(2008.11.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비율을 사용자별로 조절 가능하게 하고,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와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를 일체형 모듈로 구비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분리형 모듈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귀를 통해 음향 전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음향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청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듀얼 청음장치는,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 및 음원을 상기 공기 전도로 전달하는 제1 음향 및 상기 골 전도로 전달하는 제2 음향의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와, 상기 제2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별 요구되는 청력 및 음색으로 상기 음원이 출력되게 한다.
상기 스피커 및 상기 골전도 진동자를 일체형 모듈로 구비하거나, 상기 스피커 및 상기 골전도 진동자를 분리형 모듈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모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상기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및 상기 골전도 진동자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어 위치되고, 상기 골전도 진동자는 사용자의 관골부에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듀얼 청음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관골부 외에 사용자의 다른 두개골 특정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보조 골전도 진동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듀얼 청음장치는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추가 스피커,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추가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음원을 상기 공기 전도로 전달하는 제3 음향 및 상기 골 전도로 전달하는 제4 음향의 비율을 조절하는 추가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조절부는 상기 제3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와, 상기 제4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별 요구되는 청력 및 음색으로 상기 음원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듀얼 청음장치는, 상기 스피커, 상기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제1 청음부 및 상기 추가 스피커, 상기 추가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추가 조절부를 포함하는 제2 청음부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비율을 사용자별로 조절 가능하게 하고,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와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를 일체형 모듈로 구비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분리형 모듈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귀를 통해 음향 전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음향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청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형 모듈을 착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리형 모듈을 착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분리형 모듈을 착용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청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듀얼 청음장치를 착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듀얼 청음장치를 착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청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듀얼 청음장치는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비율을 사용자별로 조절 가능하게 하고,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와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를 일체형 모듈로 구비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분리형 모듈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귀를 통해 음향 전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음향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인 듀얼 청음장치(100)는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110),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120), 및 음원을 공기 전도로 전달하는 제1 음향 및 골 전도로 전달하는 제2 음향의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조절부(130)는 제1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와, 제2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별로 요구되는 청력 및 음색으로 음원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청음장치(100)의 음원 출력 환경으로서, 공기 전도의 제1 음향 출력이 50%이고 골 전도의 제2 음향 출력이 50%로 설정되어 음원이 출력되는 것으로 디폴트 설정된 상태라고 하자.
사용자는 조절부(130)를 조절하여 공기 전도의 제1 음향 출력 비율을 30%로 줄이고, 골 전도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70%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골 전도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70%로 조절한 것은 골 전도의 음 전달 속성인 베이스 음을 즐기는 취향이거나, 주변 소음 때문에 소음 영향을 덜 받으면서 음원을 더 명확히 듣기 위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골 전도의 음 전달 속성은 공기 전도 방식에 비하여 베이스 음 속성이 강한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음원의 골 전도 비율을 늘릴 경우 베이스 음 속성이 강한 음향을 사용자로 하여금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전도 방식의 베이스 음과 골 전도 방식의 베이스 음은 상호 음색이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인의 취향에 맞는 선호 음색에 따라 조절부(130)를 조절하여 원하는 음향 출력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소음이 상당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골 전도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100%로 하고, 공기 전도의 제1 음향 출력 비율을 0%로 할 수도 있다. 골 전도의 음향 출력을 높일 경우, 소음 환경에 사용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소음 영향을 최소로 하면서 원활하게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공기 전도의 제1 음향 출력 비율을 100%로 하고, 골 전도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0%로 할 수도 있다.
조절부(130)는 듀얼 청음장치(100)에 포함된다. 즉,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재생장치(예: 스마트폰, MP3, 테블릿 PC 등, 미도시)를 통해 음향 출력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다.
이를 통해, 듀얼 청음장치(100)의 청음부(스피커 "I 골전도 진동자 포함)별로 공기 방식 및 골 전도 방식 중 음향 출력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듀얼 청음장치(100)의 청음부(스피커 "I 골전도 진동자 포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형태로 듀얼 청음장치(100)에 구비되거나, 이하 도 7 이후에서 다뤄지는 바와 같이 다수 형태로 듀얼 청음장치(20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듀얼 청음장치(100)의 청음부가 단일 형태인 경우는 편측 난청환자가 보청기와 같은 사용 용도로 활용하거나, 일반인으로서도 특정 사용용도(한쪽만 통해 이용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 또는 단일 형태의 청음부로 이루어진 듀얼 청음장치(100)의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우 등에 따라 사용 가능하다.
한편, 듀얼 청음장치(200)의 청음부가 다수 형태인 경우는 통상의 헤드셋 구성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될 필요는 전혀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피커(120-1) 및 골전도 진동자(120-1)는 일체형 모듈(A)로 구비되거나, 스피커(110-2) 및 골전도 진동자(120-2)를 분리형 모듈(B)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로, 스피커(120-1) 및 골전도 진동자(120-1)가 일체형 모듈(A)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미도시)를 이용하여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비율을 원하는 바에 따라, 최적의 음향 배합으로 소정의 음원에 대한 음향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스피커(110-2) "I 골전도 진동자(120-2)가 분리형 모듈(B)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바에 따라, 스피커(110-2) 및 골전도 진동자(120-2)를 모두 활용한 음향 출력을 즐기거나, 스피커110-2) 및 골전도 진동자(120-2)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한 음향 출력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반인인 경우, 사용자가 스피커(110-2) 및 골전도 진동자(120-2)의 각 음향 출력 비율을 조절부(130-2)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서, 최적의 음향 출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분리형 모듈(B0 중 스피커(110-2)를 분리한 채 골전도 진동자(120-2)만을 이용하여 골 전도 방식만을 통해 다른 소리도 들으면서 골 전도로 전달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이는, 업무나 운동 시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분리형 모듈(B) 중 스피커(110-2) 또는 골전도 진동자(120-2)를 번갈아 껴서 활용함으로써, 어느 한 방식만 사용하여 불편을 느낄 때 다른 방식의 소리전달모듈인 스피커(110-2) 또는 골전도 진동자(120-2)를 끼워 넣어 상황별 편리하게 느껴지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난청 환자인 경우, 편측 및 양측 난청 환자에 적용 가능하다. 편측 환자는 전술된 청음부가 단일로 구비된 청음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보청기와 같이 양이 착용이 아니라 한쪽만 착용이 가능하게 하여 제품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어느 한 외이에 이상이 있는 환자 또는 소이증 환자가 착용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전음성 난청 환자의 경우, 외이에 문제가 있는 전음성 난청 환자는 통상의 귀에 꽂는 제품들의 사용이 불가함에 따라 인공와우 수술이나, 골전도 이식 보청기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하지만, 금전적인 부분과 수술이 어려운 환자들을 위해 관골부 접촉을 통한 골 전도 또는 다른 두개골의 접점을 이용하여 청음이 가능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인공와우 또는 골전도 이식 보청기를 사용하는 환자에게도 본 발명의 듀얼 청음장치(100, 200)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분리형 모듈을 착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모듈(B)의 스피커(110-2) 및 골전도 전동자(120-2)를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부(130-2)를 통해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출력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본인에게 최적화된 음향 출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분리형 모듈을 착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분리형 모듈을 착용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분리형 모듈(B) 중 스피커(110-2)만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공기 전도 방식으로만 음향 출력 상태를 설정한 것이다.
분리형 모듈(B) 중 스피커(110-2)만 존재하고, 골전도 진동자(120-2)가 이탈되어 제거되는 경우, 조절부(130-2)는 자동으로 공기 전도 방식의 제1 음향 출력 비율을 100%로 하고, 골 전도 방식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0%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분리형 모듈(B) 중 스피커(110-2)만 존재하고, 골전도 진동자(120-2)가 이탈되어 제거되는 경우, 조절부(130-2)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통해 공기 전도 방식의 제1 음향 출력 비율을 100%로 하고, 골 전도 방식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0%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분리형 모듈(B) 중 골전도 진동자(120-2)만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골 전도 방식으로만 음향 출력 상태를 설정한 것이다.
분리형 모듈(B) 중 골전도 진동자(120-2)만 존재하고, 스피커(110-2)가 이탈되어 제거되는 경우, 조절부(130-2)는 자동으로 골 전도 방식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100%로 하고, 공기 전도 방식의 제1 음향 출력 비율을 0%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분리형 모듈(B) 중 골전도 진동자(120-2)만 존재하고, 스피커(110-2)가 이탈되어 제거되는 경우, 조절부(130-2)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통해 골 전도 방식의 제2 음향 출력 비율을 100%로 하고, 공기 전도 방식의 제1 음향 출력 비율을 0%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청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청음장치(200)는 제1 청음부(210) 및 제2 청음부(220)로 구분 가능하다.
각 청음부마다 스피커, 골전도 진동자 및 조절부가 포함된다. 조절부가 각 청음부마다 구비됨으로써, 각 청음부별로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비율을 사용자로 하여금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 청음부(210)에 포함되는 스피커(211), 골전도 진동자(212) 및 조절부(213)와 구분될 수 있도록, 제2 청음부(220)에 포함되는 각 대비되는 구성명을 추가 스피커(221), 추가 골전도 진동자(222) 및 추가 조절부(223)로 칭하기로 한다.
즉, 제2 청음부(220)는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추가 스피커(221),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추가 골전도 진동자(222) 및 음원을 공기 전도로 전달하는 제3 음향 및 골 전도로 전달하는 제4 음향의 비율을 조절하는 추가 조절부(223)를 포함한다.
추가 조절부(223)는 제3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와, 제4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별 요구되는 청력 및 음색으로 음원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청음부(210) 및 제2 청음부(220)를 포함하는 듀얼 청음장치(200)를 통해, 각 청음부별로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비율을 본인에게 최적화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상이하게 음향 출력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우 청각이 상이할 경우에도, 각 청각 상태에 최적화된 음향 출력 비율로 음향을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분리형 모듈(B)의 경우, 스피커, 골전도 진동자 및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C)를 포함하며, 이러한 연결 부재(C)는 스피커 및 골전도 진동자 중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지원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의 듀얼 청음장치를 착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청음장치(200)는 제1 청음부(210) 및 제2 청음부(220)를 포함한 헤드셋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청음부의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어 위치되고, 각 청음부의 골전도 진동자는 사용자의 관골부에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청음부(210) 및 제2 청음부(220)를 포함하는 듀얼 청음장치(200)가 헤드셋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은 일례에 불과한 것이고, 제1 청음부(210) 및 제2 청음부(22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연결부재(D)로 연결된 구조가 아닌, 제1 청음부(210) 및 제2 청음부(220)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좌우측 귀에 부착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7의 듀얼 청음장치를 착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청음장치(200)는 사용자의 관골부에 외에 사용자의 다른 두개골 특정 위치에 접촉하여 골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보조 골전도 진동자(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전도 및 골 전도 방식의 음향 비율을 사용자별로 조절 가능하게 하고,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와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를 일체형 모듈로 구비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분리형 모듈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귀를 통해 음향 전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음향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청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200: 듀얼 청음장치
110, 110-1, 110-2, 211, 221: 스피커
120, 120-1, 120-2, 212, 222: 골전도 진동자
130, 130-2, 213, 223: 조절부
210: 제1 청음부
220: 제2 청음부
A: 일체형 모듈
B: 분리형 모듈
C: 연결부재
D: 메인 연결부재

Claims (9)

  1. 사용자의 좌측 귀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스피커;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공기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추가 스피커;
    상기 사용자의 좌측 관골부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골전도 진동자;
    상기 사용자의 우측 관골부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추가 골전도 진동자;
    음원을 상기 공기 전도로 전달하는 제1 음향 및 상기 골 전도로 전달하는 제2 음향의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음원을 상기 공기 전도로 전달하는 제3 음향 및 상기 골 전도로 전달하는 제4 음향의 비율을 조절하는 추가 조절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및 우측 관골부 외에 사용자의 다른 두개골 위치에 접촉하여 골 전도로 음향 전달하는 보조 골전도 진동자;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상기 추가 스피커, 상기 골전도 진동자, 상기 추가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보조 골전도 진동자는 메인 연결부재에 의하여 헤드셋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와, 상기 제2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에 요구되는 청력 및 음색으로 상기 음원이 출력되게 하고,
    상기 추가 조절부는 상기 제3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와, 상기 제4 음향의 음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에 요구되는 청력 및 음색으로 상기 음원이 출력되게 하고,
    상기 스피커, 상기 골전도 진동자, 상기 추가 스피커 및 상기 추가 골전도 진동자 중 적으로 하나는 상기 헤드셋 구조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듀얼 청음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골전도 진동자를 분리형 모듈로 상기 헤드셋 구조에 구비하는 듀얼 청음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상기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청음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상기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제1 청음부; 및
    상기 추가 스피커, 상기 추가 골전도 진동자 및 상기 추가 조절부를 포함하는 제2 청음부로 구분되는 듀얼 청음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청음장치는 보청기로 사용되는 듀얼 청음장치.
KR1020160113068A 2016-09-02 2016-09-02 듀얼 청음장치 KR10177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68A KR101771607B1 (ko) 2016-09-02 2016-09-02 듀얼 청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68A KR101771607B1 (ko) 2016-09-02 2016-09-02 듀얼 청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607B1 true KR101771607B1 (ko) 2017-08-25

Family

ID=5976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068A KR101771607B1 (ko) 2016-09-02 2016-09-02 듀얼 청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60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839B1 (ko) * 2018-10-30 2019-11-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048787B1 (ko) 2018-12-21 2019-11-26 (주)디트리플 골전도 및 공기전도 겸용 헤드폰
KR20200074059A (ko) * 2018-12-14 2020-06-24 최남식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 기기 및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KR20200074698A (ko) * 2018-12-17 2020-06-25 (주)파트론 골전도 음향장치
WO2020257114A1 (en) * 2019-06-15 2020-12-24 Matthew Thomas Bone conduction headset
KR102210900B1 (ko) * 2019-10-31 2021-02-02 이명재 골전도 헤드셋
KR20210059246A (ko) 2019-11-15 2021-05-25 (주)텐서이어랩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N113676809A (zh) * 2021-08-12 2021-11-19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基于蓝牙耳机的声音传导方法及传导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311B1 (ko) * 2005-10-04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음향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80112581A1 (en) 2006-11-09 2008-05-15 Stanley Kim Vibrating earphone with enhanced base sound effect
JP2011512745A (ja) * 2008-02-11 2011-04-21 ボーン・トーン・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リミテッド 音響システム及びサウンドを提供する方法
KR101129882B1 (ko) 2010-05-26 2012-03-28 한국과학기술원 골 전도 기반 이어폰,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기기 조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311B1 (ko) * 2005-10-04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음향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80112581A1 (en) 2006-11-09 2008-05-15 Stanley Kim Vibrating earphone with enhanced base sound effect
JP2011512745A (ja) * 2008-02-11 2011-04-21 ボーン・トーン・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リミテッド 音響システム及びサウンドを提供する方法
KR101129882B1 (ko) 2010-05-26 2012-03-28 한국과학기술원 골 전도 기반 이어폰,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기기 조작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839B1 (ko) * 2018-10-30 2019-11-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00074059A (ko) * 2018-12-14 2020-06-24 최남식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 기기 및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KR102261766B1 (ko) 2018-12-14 2021-06-09 최남식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 기기 및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KR20200074698A (ko) * 2018-12-17 2020-06-25 (주)파트론 골전도 음향장치
KR102195075B1 (ko) * 2018-12-17 2020-12-24 (주)파트론 골전도 음향장치
KR102048787B1 (ko) 2018-12-21 2019-11-26 (주)디트리플 골전도 및 공기전도 겸용 헤드폰
WO2020257114A1 (en) * 2019-06-15 2020-12-24 Matthew Thomas Bone conduction headset
US11178479B2 (en) 2019-06-15 2021-11-16 Matthew Thomas Bone conduction headset
KR102210900B1 (ko) * 2019-10-31 2021-02-02 이명재 골전도 헤드셋
KR20210059246A (ko) 2019-11-15 2021-05-25 (주)텐서이어랩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N113676809A (zh) * 2021-08-12 2021-11-19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基于蓝牙耳机的声音传导方法及传导装置
CN113676809B (zh) * 2021-08-12 2023-05-05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基于蓝牙耳机的声音传导方法及传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607B1 (ko) 듀얼 청음장치
US11678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using monaural audio signals
US10743094B2 (en) Helmet having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US7899194B2 (en) Dual ear voice communication device
US20160183001A1 (en) Sharing custom audio profile instructions
US20190239006A1 (en) Hearing aid including a vibrator touching a pinna
US20020039427A1 (en) Audio apparatus
EP23913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tive hearing protection to a user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US10728649B1 (en) Multipath audio stimulation using audio compressors
Hosoi et al. Cartilage conduction as the third pathway for sound transmission
WO2011025531A1 (en) Hearing aids configured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KR20100121176A (ko) 무선 골전도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JPWO2016067754A1 (ja) 音響出力装置
KR20180090227A (ko) 회절 및 골전도 음을 제공하는 보청기
WO2002030151A2 (en) Audio apparatus
Flynn Smart and Small–innovative technologies behind the Cochlear Baha 5 Sound Processor
KR20210059246A (ko)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N117322014A (zh) 用于双侧骨传导协调和平衡的系统和方法
US20190222919A1 (en) Augmented Reality Audio System for Enhanced Face-to-Face Auditory Communication
Ailani et al. Developing a low-cost bluetooth assisted hearing aid
KR101719779B1 (ko)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Revit A Solution to Challenges Faced by Hearing-impaired Musicians Performing on Loud Amplified Stages
CN115038024A (zh) 一种基于耳机设备的宽动态压缩助听方法及相关设备
KR20090008612A (ko)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