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246A -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246A
KR20210059246A KR1020190146451A KR20190146451A KR20210059246A KR 20210059246 A KR20210059246 A KR 20210059246A KR 1020190146451 A KR1020190146451 A KR 1020190146451A KR 20190146451 A KR20190146451 A KR 20190146451A KR 20210059246 A KR20210059246 A KR 20210059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signal
transmission device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이원부
Original Assignee
(주)텐서이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텐서이어랩 filed Critical (주)텐서이어랩
Priority to KR102019014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9246A/ko
Publication of KR2021005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를 제1 신호로 처리하여 공기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장치와, 상기 소리를 제2 신호로 처리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사이에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간섭방지수단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이 서로 간섭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SOUND COMBINED WITH TYPE OF AIR CONDUCTION AND TYPE OF BONE CONDUCTION}
본 발명은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공기전도(air conduction) 방식과 골전도(bone conduction) 방식이 있다.
공기전도(air conduction) 방식은 소리가 공기 매체를 통하여 사람의 내이(inner ear)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귀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하며, 일반적으로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폰에서 이용되는 방식이다. 공기전도의 경로는 고막, 이소골, 난원창, 내이의 순서로 진행이 된다.
그러나 공기전도 방식은 이어폰 또는 헤드폰에 의해 사람의 귀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므로, 주변의 소음을 정상적으로 인지하지 못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고막을 자극하여 내이를 손상시킴으로써 소음성 난청이 발생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공기전도 방식의 이어폰 또는 헤드폰은 귀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므로 특정 영역대를 벗어난 음역대에서는 소리 재생이 효과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골전도 방식(bone conduction)은 사람의 뼈, 예컨대 두개골(cranial bone)을 통해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되어 청각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골전도를 이용한 골전도 헤드셋 또는 헤드폰은, 두개골에 밀착된 골전도 진동자(bone conduction vibrator)로부터의 진동이 머리뼈를 통해 속귀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음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 또는 헤드폰을 사용하면, 사람의 귀를 차폐시키지 않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청각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소음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후천적 청각 장애나 노인성 난청, 즉 언어를 배운 장애자들은 골전도 이어폰/헤드셋을 사용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 또는 헤드폰은 뼈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므로 특정 음역대에서 소리의 재생이 효과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기전도 방식의 소리전달장치가 가진 문제점과 골전도 방식의 소리전달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KR 10-2039839 B1 KR 10-2010-0121176 A1 KR 10-1771607 B1 KR 10-2010-0121176 A1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웅장한 사운드를 몸으로 느낌과 동시에 귀를 통해 들을 수 있는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리를 제1 신호로 처리하여 공기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장치와, 상기 소리를 제2 신호로 처리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사이에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간섭방지수단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이 서로 간섭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출력장치가 소리를 제1 신호로 처리하여 공기전도방식으로 출력하고, 제2 출력장치가 소리를 제2 신호로 처리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사이에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간섭방지수단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이 서로 간섭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장치에 의해 웅장한 사운드를 몸으로 느낌과 동시에 귀를 통해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골전도를 통한 음향의 청감과 공기전도를 통한 음향의 청감을 적절하게 혼합함으로써 기존에 듣지 못한 웅장한 소리를 몸과 귀를 통해 들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소리전달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1)는, 소리를 제1 신호로 처리하여 공기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장치(210)와, 상기 소리를 제2 신호로 처리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장치(220)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사이에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을 저감시키거나 제거시키는 간섭방지수단(미도시함)를 포함하지 않고,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각각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이 서로 간섭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도록 하여, 골전도를 통한 음향의 청감과 공기전도를 통한 음향의 청감을 조화롭게 혼합함으로써 웅장한 소리를 몸과 귀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소리전달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소리전달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유닛(200)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출력유닛(200)을 사용자의 신체, 즉 머리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10)에 마련되어, 소리전달장치(1) 착용시 출력유닛(200)은 사용자의 귀와 그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유닛(200)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즉공기전도 방식의 제1 출력장치(210)와 골전도 방식의 제2 출력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리전달장치(1)는 소리를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으로 각각 처리하고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를 통해 서로 다른 전달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출력장치(210)는 본체(100)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를 사용자에게 소리로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제1 출력장치(210)는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공기전도 형태의 소리출력모듈, 예컨대 이어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출력장치(210)는 본체(100)로부터 전달된 제1 신호를 사용자의 귀 내부 공간에서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제1 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제공하게 된다.
제2 출력장치(220)는 본체(100)로부터 출력된 제2 신호를 사용자에게 소리로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제2 출력장치(220)는 사용자의 귀 주변에 접촉되는 골전도 형태의 소리출력모듈, 예컨대 진동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출력장치(220)는 본체(100)로부터 전달된 제2 신호를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뼈를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1)는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각각에 제1 및 제2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외부로부터 수집되는 소리신호를 소정의 전기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전기신호를 출력유닛(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통신부(110), 신호처리부(120), 제어부(130) 및 배터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참조).
통신부(110)는 외부단말기(300) 따위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소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이크(150)를 통해 수집된 주위의 소리정보를 상기 외부단말기(300) 따위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단말기(300)는 본체(100)와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고정형 또는 이동형 단말기로서, 일 예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일 수 있다.
통신부(110)의 외부단말기(300)와의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으나, 외부단말기(300)가 이동형 단말기인 경우, 일 예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또는 이동통신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소리정보를 가공하고, 이를 출력유닛(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처리부(120)는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 제1 및 증폭기(123, 124), 제1 및 제2 필터(126, 127)를 포함할 수 있고, 신호처리부(120)는 제어부(130)의 동작에 따라 통신부(110)로부터 전달된 소리신호를 출력유닛(200)에 맞도록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는 통신부(110)로부터 전달된 소리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는 변환된 신호를 서로 다른 출력방식을 갖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는 사용자에게 공기전도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이고, 제2 신호는 사용자에게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는 고음역대의 신호일 수 있고, 제2 신호는 저음역대의 신호일 수 있다.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는 전기적 신호, 즉 소리정보가 변환된 신호를 복제하여 동일한 주파수 및 진폭을 갖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는 전기적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영역대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증폭기(123)는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에서 출력된 제1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제2 증폭기(124)는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에서 출력된 제2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1 증폭기(123)와 제2 증폭기(124)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PWM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기일 수 있다.
제1 필터(126)는 제1 증폭기(123)에 의해 증폭된 제1 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감쇠시킬 수 있고, 제2 필터(127)는 제2 증폭기(124)에 의해 증폭된 제2 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감쇠시킬 수 있다. 제1 필터(126) 및 제2 필터(127)는 특정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패시브 소자를 이용한 밴드패스(band-pass)필터, 로우패스(low-pass)필터 또는 하이패스(high-pass)필터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되거나 외부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근거로 소리전달장치(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어부(130)는 소리전달장치(1)의 동작여부를 제어하거나, 출력유닛(200) 또는 이에 포함된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각각의 출력여부 또는 출력크기 등을 제어하거나, 마이크(150)의 동작여부를 제어하거나, 통신부(110)의 통신성립여부 등을 제어하거나, 통화모드와 음악모드 간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출력비율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외부입력정보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출력비율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0~100% 범위 내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각각의 출력비율을 조절하여 각 증폭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각각의 주파수별 진폭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외부입력정보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신호처리부(120)의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각각의 주파수별로 진폭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각각에서 주파수별로 진폭을 조절하고, 이를 각 증폭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장치(210)와 제2 출력장치(220)는 제어부(130)의 신호처리부(120) 제어에 따라 함께 동작되어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두 장치 중 하나만이 동작되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에 의해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출력비율이 100:0으로 제어되면, 출력유닛(200)에서는 제1 출력장치(210)만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제1 신호에 따른 소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제2 출력장치(220)만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제2 신호에 따른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에 의해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출력비율이 50:50으로 제어되면, 출력유닛(200)에서는 제1 출력장치(210)와 제2 출력장치(220)가 모두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제1 신호에 따른 소리와 제2 신호에 따른 소리를 동일한 레벨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30)에 의해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에 대한 주파수별 진폭조절이 제어되면, 신호변환 및 분리부(121)는 기 설명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출력비율 조절과 함께 각 신호에서 주파수별로 진폭, 즉 소리세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유닛(200)의 제1 출력장치(210) 및 제2 출력장치(220)에서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진폭이 증가 또는 감소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따른 소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소리전달시스템(10)은 공기전도방식의 출력장치와 골전도방식의 출력장치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함께 구성하고, 외부에서 수집된 소리를 각 출력장치에 분배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기전도방식 및 골전도방식 모두를 이용하여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리전달시스템(10)은 공기전도방식의 출력장치 및 골전도방식의 출력장치 각각의 출력레벨 및 각 출력장치에 제공되는 신호의 주파수별 진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환경 또는 상황에 따라 소리전달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터리(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1)가 동작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에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외부상용전원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소리전달장치(1)는 배터리(140)의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일 예로 LED)(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1)의 출력유닛(200)은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를 포함하되,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는 종래와 다르게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그들 사이에는 서로 간에 신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본 명세서에서는 "간섭방지수단"으로 통칭하기로 한다)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 간에 일정정도 간섭이 일어나도록 하여, 골전도를 통한 음향의 청감과 공기전도를 통한 음향의 청감을 적절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유닛(200)은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사이에 소정 너비의 갭(G)을 포함할 수 있다.
갭(G)은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를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되, 서로 간에 일정한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빈 공간(empty space)일 수 있다. 소리전달장치(1)의 착용에 따라 제1 출력장치(210)가 귓속에 안착될 때, 갭(G)의 빈 공간에는 귓볼이 안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사이에는 귓볼이 개재되게 되고, 귓볼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간에는 일정 수준의 간섭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간의 적정 수준의 간섭이 일어나거나 차단되어 각 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들이 상호 혼합되기 위한 갭(G)의 너비는 3 ~ 7mm, 바람직하게는 3.5mm 일 수 있다.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출력장치(210)가 소리를 제1 신호로 처리하여 공기전도방식으로 출력하고, 제2 출력장치(220)가 소리를 제2 신호로 처리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는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사이에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간섭방지수단를 포함하지 않고,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각각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이 서로 간섭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도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사이에 소정 너비의 갭(G)을 포함할 수 있다.
갭(G)은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를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되, 서로 간에 일정한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빈 공간(empty space)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210, 220) 간의 적정 수준의 간섭이 일어나거나 차단되어 각 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들이 상호 혼합되기 위한 갭(G)의 너비는 3 ~ 7mm, 바람직하게는 3.5mm 일 수 있다.
상기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소리전달장치 10: 밴드
100, 100a, 100b: 본체 110: 통신부
120: 신호처리부 130: 제어부
140: 배터리 150: 마이크
200, 200a, 200b: 출력유닛 210, 210a: 제1 출력장치
220, 220a: 제2 출력장치 300: 외부단말기
G: 갭

Claims (2)

  1. 소리를 제1 신호로 처리하여 공기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장치와, 상기 소리를 제2 신호로 처리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사이에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간섭방지수단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이 서로 간섭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달장치.
  2. 제1 출력장치가 소리를 제1 신호로 처리하여 공기전도방식으로 출력하고, 제2 출력장치가 소리를 제2 신호로 처리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사이에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간섭방지수단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이 서로 간섭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달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90146451A 2019-11-15 2019-11-15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10059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51A KR20210059246A (ko) 2019-11-15 2019-11-15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51A KR20210059246A (ko) 2019-11-15 2019-11-15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246A true KR20210059246A (ko) 2021-05-25

Family

ID=7614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51A KR20210059246A (ko) 2019-11-15 2019-11-15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92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552B1 (ko) * 2022-04-04 2023-10-10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176A (ko) 2009-05-08 2010-11-17 (주)그란츠에이앤티 무선 골전도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1771607B1 (ko) 2016-09-02 2017-08-25 김대익 듀얼 청음장치
KR102039839B1 (ko) 2018-10-30 2019-11-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176A (ko) 2009-05-08 2010-11-17 (주)그란츠에이앤티 무선 골전도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1771607B1 (ko) 2016-09-02 2017-08-25 김대익 듀얼 청음장치
KR102039839B1 (ko) 2018-10-30 2019-11-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552B1 (ko) * 2022-04-04 2023-10-10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992B2 (en) Wireless in-the-ear type hearing aid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99194B2 (en) Dual ear voice communication device
US10334366B2 (en) Audio playback device
EP3101919A1 (en) A peer to peer hearing system
US9986346B2 (en) Binaural hearing system and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beamformer unit
KR101771607B1 (ko) 듀얼 청음장치
US10728649B1 (en) Multipath audio stimulation using audio compressors
EP3439316A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Picou et al. Efficacy of hearing-aid based telephone strategies for listeners with moderate-to-severe hearing loss
KR20100121176A (ko) 무선 골전도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EP3107315B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signal generator for masking tinnitus
CN116208879B (zh) 具有主动降噪功能的耳机及主动降噪方法
US20140369538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EP3361753A1 (en) Hearing device incorporating dynamic microphone attenuation during streaming
US9936310B2 (en) Wireless stereo hearing assistance system
US11963849B2 (en) Dual hearing protection system
KR20210059246A (ko)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EP3751868A1 (en) A binaural hearing system comprising frequency transition
US202303005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bone conduction hearing aids
KR20190131704A (ko) 골전도 블루투스 이어폰을 포함하는 안경
US20170346453A1 (en) Multidriver based canalphone system
KR102167509B1 (ko)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
Garcia-Espinosa et al. Hearing aid devices for smart cities: A survey
Ortmann et al. Recent advances in hearing aids
Jespersen A review of wireless hearing aid advan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