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612A -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612A
KR20090008612A KR1020070071685A KR20070071685A KR20090008612A KR 20090008612 A KR20090008612 A KR 20090008612A KR 1020070071685 A KR1020070071685 A KR 1020070071685A KR 20070071685 A KR20070071685 A KR 20070071685A KR 20090008612 A KR20090008612 A KR 2009000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ar
module
microphone module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화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07007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612A/ko
Publication of KR2009000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04R25/305Self-monitoring or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eurosurge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보청기 장치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모듈; 및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증상이 있는 귀에 착용되고, 상기 리시버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 귀에서 수집되는 소리를 청상청력의 귀로 대신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리에 대한 방향성 감각을 향상시키고 여러 방향에서 전달되어오는 소리를 보다 잘 듣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청기, 일측성난청, 무선통신, 무선보청기, 마이크, 리시버, 모듈, 블루투스, 지그비, Zigbee, Bluetooth

Description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Method for a wireless hearing aid and the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쪽 귀는 청력이 많이 손상되었지만 다른 쪽 귀는 정상 청력을 보유하고 있는 일측성 난청(一側性 難聽; unilateral deafness 또는 single side deafness) 환자의 난청 귀 쪽에서 수집된 소리를 정상청력의 귀 쪽으로 보내 난청 귀로 들어야 할 소리를 정상 귀로 대신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측성 난청으로 인한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청각기관은 외이(external ear), 중이(middle ear), 내이(internal ear)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사람의 귀의 해부학적 구조도를 참고하여 인간의 귀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우선 공기 입자의 연쇄적 전달 과정으로 전해진 소리 에너지는 두개골(41)에서 외이(1)에 의해 모아진다. 외이(1)에 모여진 소리는 외이도(6)를 통해 고막(7)으로 전달되어 고막(7)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은 중이(2)를 통해 내이(3)로 전달되며, 내이(3)로 전달된 소리 에너지는 달팽이관이라 불리는 와우(47) 내부의 림프액을 움직이고, 와우(47) 내부에 있는 수천 개의 미세한 유모세포들이 림프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전기 에너지가 청신경(4)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인간은 소리를 감지하게 된다.
도1에서 미설명부호 5는 귓바퀴로서 소리를 외이(1) 안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8은 귓바퀴(5)를 이루는 연골이고, 9는 두개골(41)을 감싸는 근육이다. 도1에서 중이(2)를 구성하는 이소골(42)은 추골(42a), 침골(42b) 및 등골(42c)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내이(3) 중의 세반고리관(43)은 평형감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전정신경(45)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청신경(4)은 와우(47)에 연결된 와우신경(48)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1에 도시된 외이(1)로부터 청신경(4)에 이르기까지의 소리 또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기능들이 원활하지 않아 청각이 저하되거나 또는 상실된 상태에 있는 난청(難聽, impaired hearing) 환자의 경우 소리 또는 전기 에너지를 보상해줄 수 있는 보청기(hearing aid)가 필수적이다. 보청기는 정상인이 들을 수 있는 대역의 음을 증폭 또는 변형하여 난청인으로 하여금 정상인과 같은 정도로 소리를 지각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기 위한 장치이다.
어떤 사람에게서 난청은 두 쪽 귀 모두에서 발현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서는 한쪽 귀에서만 발현된다. 즉, 사람마다 난청발현이 다른데, 상기와 같이 한쪽 귀에서만 난청현상을 보이는 환자를 일측성 난청인이라고 부른다. 일측성 난청인의 경우는 한쪽 귀는 거의 정상 청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다른 한쪽 귀는 청력이 매우 나빠서 보통의 보청기를 통해 증폭된 언어소리를 전달하여도 그 귀를 통해 서는 언어 소리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의 사람들은 난청 현상이 있는 귀로는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언어 소리에 대한 이해력이 매우 떨어지므로 난청현상이 있는 귀 또는 귀 근처에서 소리를 수집하여 반대편의 정상청력 귀로 소리를 전달하는 보청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보청기를 크로스(cros, contralateral routing of signal)형 보청기라고 부른다.
도2는 종래의 크로스(cros)형 보청기의 구성도이다. 도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크로스형 보청기(100)는 구조적으로 귀걸이형 보청기로 구성되는데, 그 세부 구성은 마이크부(105), 연결선(110) 및 리시버부(115)로 구성된다. 일측성 난청인(10)의 난청 귀(11)쪽으로 들어오는 음향소리는 보청기(100)의 마이크부(105)에서 필요한 만큼 증폭 또는 필터링 등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서 반대편 정상 귀(12)에 위치한 리시버부(115)로 도전성 전선(110)을 통하여 전달된다. 리시버부(115)에서 필요한 만큼 음향신호를 증폭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크로스 보청기(100)는 연결선(110)을 통하여 반대편 귀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과도한 노출이 불가피하며, 머리를 돌아서 반대편 귀까지 연결선(110)으로 연결되므로 머리 움직임에도 신경이 쓰인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크로스형 보청기(100)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도3은 종래의 주파수 변조(FM)형 무선보청기(200)의 구성도로서, 이러한 형태의 무선보청기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3에 도시된 무선보청기(200)는 마이크모듈(205)로 입력되는 소리를 주파수변조(FM, frequency modulation) 시켜서 송신을 하면 일반 보청기(210)에 장착된 주파수 복조 모듈(215)이 송신되어 온 주 파수변조된 신호를 가청 주파수대의 소리로 바꾸어 보청기(210)의 직접 오디오 입력단(DAI, direct audio input)으로 입력시킨다. 이 주파수변조 보청기(200)의 마이크모듈(205)은 말하는 사람(20)의 목에 걸어 놓거나 손으로 잡고 사용을 한다. 즉 듣는 사람(난청인, 10)의 귀 근처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마치 연설자가 연설하는 마이크를 가지고 있듯이 말하는 말하는 사람(20)의 입 근처에 놓이게 된다. 또한 듣는 사람은 꼭 1명일 필요없고 많은 사람들이 주파수변조 주파수만 맞추면 다 같이 들을 수 있다. 즉, 종래의 주파수 변조형 무선보청기는 개인적인 보안기능이 없는 보청기로서 이러한 보청기의 사용환경은 보청기를 착용하는 난청인들이 모여 있는 학교 같은 곳이 되며, 이른바 작은 장소에서의 사설방송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도3에 도시된 종래의 주파수 변조형 무선보청기(200)는 보안성이 없어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개인 보청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소리를 수집하는 곳이 난청인의 귀 부분이 아니므로 난청인의 방향성을 향상시키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4a 내지 도4c는 종래의 골도형 보청기(300)의 구성도이다.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골도형 보청기는 바하(BAHA, bone anchored hearing aid)라고도 불린다. 이 골도형 보청기(300)는 주로 일측성 난청인이 사용하도록 고안된 보청기로서 난청 귀(11) 부분에 떨림판(vibrator)으로 이루어진 체내부(320)를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체내에 삽입하고 마이크를 비롯한 보청기의 체외부(310)를 체외에서 연결한다. 체외부(310)와 체내부(320)는 분리와 결합을 반복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 다.
도4a에 도시된 귀 내부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체내부(320)는 난청인의 난청 귀(11) 안에 설치되며, 체외부(310)는 체내부(320)의 피부 밖으로 노출된 부분에 결합된다.
도4b를 참고하면 난청 귀(11)의 근방에 체내부(320)의 일부가 노출되며, 도4c와 같이 이 체내부(320)의 노출된 부분에 체외부(310)를 결합시켜 사용한다.
상기 체외부(310)의 마이크에서 소리를 수집하여 증폭시켜서 체내부(320)로 전달하면 체내부(320)에서는 소리를 진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인체로 전달한다. 소리는 인체의 골전도(bone conduction) 특성을 통하여 정상청력 귀의 중이나 내이로 전달되어 사람으로 하여금 소리를 인지하게 만든다. 이 보청기는 인체의 골전도를 이용하는 보청기로서 입력된 소리를 증폭하여 큰 소리로 전달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전달되는 소리에너지는 진동에너지로서 머리의 뼈를 계속적으로 진동시켜야 부담을 가진다. 또한 수술을 통하여 인체 내부에 체내기를 넣어야 하기 때문에 면역반응 등의 의학적 부작용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자기공명장치(MRI) 촬영에 제약을 주는 등 불편함을 가지게 된다.
이상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도3에 도시된 종래의 주파수 변조형 무선보청기(200)는 보안성이 없어서 개인 보청기용이 아니고, 소리를 수집하는 곳이 난청인의 귀 부분이 아니어서 난청인의 방향성을 향상시키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종래의 골도형 보청기는 인체에 장치를 삽입해야 하는 시술의 부담이 있고 머리뼈를 계속적으로 진동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난청 인이 사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기존 방법들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 귀 쪽에서 수집된 소리를 정상청력의 귀 쪽으로 무선으로 보내 난청 귀로 들어야 할 소리를 정상 귀로 대신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측성 난청으로 인한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장치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모듈; 및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증상이 있는 귀에 착용되고, 상기 리시버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는 무선방식의 보청방법을 이용하여 일측성 난청인에게 양쪽 귀로 듣는 듯하게 소리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종래 일측성 난청인이 한쪽 귀만을 이용하여 소리를 들을 때 발생되었 던 방향감이 저하되는 문제와 좌우 사람들과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불편하였던 점이 개선되며, 두 귀를 통해 소리를 듣는 효과 뿐 아니라 듣는 소리의 크기가 커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양쪽 귀로 소리를 듣게 됨으로써 소리의 방향성을 알 수 있고,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오더라도 고개를 돌리거나 자리를 바꿀 필요없이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성 난청인이 본 발명의 무선보청기를 착용하면 회의실에서 좌우 사람들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게 되어 좌우의 사람들과 대화를 더 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보청기는 종래의 골도형 보청기와 달리 수술을 요하지 않으며 소리증폭이나 골진동으로 인한 피로를 겪지 않게 함으로써 난청인이 시술에 대한 부담없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장치(400)의 구성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보청기 장치(400)는 크게 마이크모듈(410)과 리시버모듈(440)로 나뉜다. 상기 마이크모듈(410)은 외부의 소리를 수집하고 필터링과 같은 신호처리를 하여 전기적 소리정보를 만든 다음 이 전기적 소리정보를 무선송신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크게 마이크부(415), 무선송신부(420), 마이크모듈 제어부(425) 및 마이크모듈 전원부(430)로 나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모듈(440)은 상기 마이크모듈(410)에서 무선으로 전달되 는 전기적 소리정보를 받아서 소리로 변환한 다음 귀의 기도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크게 무선수신부(445), 리시버부(450), 리시버모듈 제어부(455) 및 리시버모듈 전원부(460)로 나뉜다.
도5에 도시된 상기 마이크모듈(410)은 기본적으로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 귀에 장착이 되며, 상기 리시버모듈(440)은 정상 귀에 장착이 된다. 마이크모듈(410)은 운영하는 형태에 따라서 난청인 귀 뿐 아니라 책상 위 등을 포함하여 듣고자 하는 소리원(sound source)의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다. 마이크모듈(410)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귀속형 모형, 귀걸이 모형, 헤어밴드 모형, 목걸이 모형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혹은 기존의 상용화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개인정보통신단말기들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고 리시버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무선송신기능이 있으므로, 핸드폰, PDA 등의 개인정보통신단말기들에 본 발명의 보청기 장치 중 마이크모듈을 내장시키면 개인정보통신단말기가 마이크모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모듈(410)의 마이크부(415)는 마이크를 비롯한 마이크 동작에 필요한 전원 등을 포함하는데, 마이크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마이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마이크를 사용하면 잡음제거, 방향성강조 및 소리증폭효과 등에서 보다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410)의 무선송신부(420)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를 그대로 무선전송하거나 혹은 신호처리하여 만든 전기적 소리정보를 무선전송하는 역할 을 담당한다. 마이크모듈(410)과 리시버모듈(440)간의 무선송신 프로토콜로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현재까지 상용화된 여러 가지 방식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이 될 수 있으며, 차후 개발되는 무선통신 프로토콜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비란 IEEE-SA에 의해 승인된 802.15 규격에 기반한 통신프로토콜로서, 868MHz, 902~928MHz 및 2.4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규격이며, 지그비를 사용하면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내에서 통상 50m 이내의 거리에서 떨어져 있는 주변장치들 간에 최고 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는 1994년 에릭슨에 의해 최초로 개발된 개인 근거리 통신(PANs)을 위한 산업표준으로서 IEEE 802.15.1 규격이라고도 불리며, 2.4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다양한 장치들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마이크모듈(410)에서 송신되는 전기적 소리정보는 마이크에서 수집된 소리신호일 수도 있고, 혹은 소리신호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410)의 마이크모듈 제어부(425)는 상기 마이크부(415), 무선송신부(420) 및 마이크모듈 전원부(430)를 구동 및 제어하며, 상기 각 부의 동작상태 표시, 수집된 소리의 소리정보로 변환, 난청인의 청력손실데이터 저장을 포함하는 등 마이크모듈의 동작의 전반적인 사항을 조절한다.
상기 마이크모듈(410)의 마이크모듈 전원부(430)는 마이크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모듈(440)은 무선수신부(445), 리시버부(450), 리시버모듈 제어부(455) 및 리시버모듈 전원부(46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수신부(450)는 상기 무선송신부(420)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시버모듈 제어부(455)는 리시버부(450), 무선수신부(445) 및 리시버모듈 전원부(460)를 구동하고 상기 각 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무선 수신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소리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모듈 제어부(455)는 각 난청인의 난청 정도에 적합하게 소리를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도록 난청인의 청력손실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청력손실데이터를 근거로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증폭, 필터링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그밖에도 리시버모듈(440)의 동작의 전반적인 사항들을 조절한다.
상기 리시버부(450)는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착용되며, 착용자에게 소리를 제공한다. 상기 소리는 무선수신부(445)에서 수신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리시버모듈 제어부(455)가 소리로 변환한 신호로서, 상기 소리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향 신호일 수도 있고, 혹은 음향신호에 해당하는 미리 약정된 코드데이터일 수도 있다.
상기 리시버모듈 전원부(460)는 리시버모듈(44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난청인(10)이 도5의 무선보청기 장치(400)를 착용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상기 마이크모듈(410)은 일측성 난청인(10)의 난청 귀(11)에 착용되어지며, 리시버모듈(440)은 상기 일측성 난청인(10)의 정상청력 귀(12), 즉 반대편 귀에 착용된다. 도6에서 미설명 부호 20 및 21은 화자(話者)를 가리킨다.
상기 마이크 모듈(410)은 난청인의 귀 모양, 난청인의 보청기 착용에 대한 주관적 선택, 난청인의 청력손실 정도를 감안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귀속형 모형, 귀걸이 모형으로 만들어 귀에 항상 착용할 수 있으며, 이밖에도 헤어밴드형 또는 시계형태로 만들어 귀가 아닌 신체의 다른 부위에 착용할 수 있고, 박스(box)형 모형으로 만들어 신체에 착용하지 않더라도 필요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리시버모듈(440)은 난청인의 귀 모양, 난청인의 보청기 착용에 대한 주관적 선택, 난청인의 청력손실 정도를 감안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귀속형 모형, 귀걸이 모형 또는 헤어밴드형으로 만들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성 난청인(10)이 본 발명의 무선보청기 장치(400)를 착용하게 되면, 여러 방향에서 들어오는 소리를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잘 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의실에 본 발명의 무선 보청기 장치(400)를 착용한 일측성 난청인(10)이 가운데 앉아 있고 좌우에 다수의 화자(20,21)가 교대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만약 난청인(10)의 우측 청력이 난청이고 좌측 청력이 정상이라면, 이 난청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보청기 장치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 좌측 사람들(21)의 이야기는 잘 들을 수 있지만 우측 사람들(20)의 이야기는 듣기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일측성 난청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보청기 장치(400)의 도움을 받는다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어 양쪽 방면에 있는 사람들의 대화내용을 모두 잘 들을 수 있게 된다.
도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보청기 장치(400)는 배터 리 소켓(battery socket) 및 볼륨 조절기 등 일반적으로 보청기의 구성에 포함되는 장치들과 기능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보청기 장치(400a) 중의 마이크모듈(410)이 핸드폰, PDA 등의 개인용 통신단말기(401)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마이크모듈(410)은 반드시 난청인의 난청 귀에 착용할 필요는 없으며, 난청인이 신체에 휴대하고 다녀도 무방하다. 그런 의미에서 마이크모듈(410)을 헤어밴드형, 귀걸이형, 귀속형, 시계 형, 박스 형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 PDA 등의 개인정보통신단말기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핸드폰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이므로, 이와 같이 누구나 항상 가지고 다니는 핸드폰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모듈(410)을 내장한다면 외관상으로도 크게 표가 나지 않고, 휴대가 간편하며,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에 쉽게 맞추어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7은 이와 같이 핸드폰, PDA 등의 개인정보통신단말기(401)안에 마이크모듈(410)이 일체형으로 내장되어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핸드폰 등에는 마이크 기능과 무선송신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모듈(410)이 핸드폰에 기본 설치된 이들 기능들을 공유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보청기 장치 중의 리시버모듈(440b)이 귀속형 모형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리시버 모듈(440b)은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쪽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소리를 보다 잘 들을 수 있어서 유리하다. 그런 의미에서는 리시버모듈(440b)은 귀속형으로 제작되어 착용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정상 귀의 근방에서 수집되는 소리는 보청기 장치에 의하지 않고 정상적인 귀 자체만으로 들어도 충분한 것이기 때문에, 리시버모듈(440b)이 귀를 막고 있으면 정상 귀가 기본적으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잘 못 듣게 될 수가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발명에서 리시버모듈이 반드시 귀속형 모형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밖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귀걸이 모형 또는 헤어밴드 모형 등 착용자의 정상 귀에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적합한 형태들로 리시버모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보청기 방법은,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 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마이크모듈에서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1단계, 및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리시버모듈에서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사람의 귀의 해부학적 구조도이다.
도2는 종래의 크로스(cros)형 보청기의 구성도이다.
도3은 종래의 주파수 변조(FM)형 무선보청기의 구성도이다.
도4a 내지 도4c는 종래의 골도형 보청기의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보청기 장치(400)의 구성도이다.
도6은 난청인(10)이 도5의 무선보청기 장치(400)를 착용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보청기 장치 중의 마이크모듈(410)이 핸드폰, PDA 등의 개인용 통신단말기(401)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보청기 장치 중의 리시버모듈(440b)이 귀속형 모형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이 2: 중이
3: 내이 4: 청신경
5: 귓바퀴 6: 외이도
7: 고막 8: 연골
9: 근육 10: 난청인(難聽人)
11: 난청귀 12: 정상귀
20,21: 화자(話者) 41: 두개골
42: 이소골 42a: 추골
42b: 침골 42c: 등골
43: 세반고리관 45: 전정신경
46: 이관 47: 와우
48: 와우신경 100: 크로스(cros)형 보청기
105: 마이크부 110: 연결선
115: 리시버부 200: 주파수 변조형 보청기
205: 마이크모듈 210: 일반 보청기
215: 주파수 복조 모듈 300: 바하(BAHA)형 보청기
310: 체외부 320: 체내부
400, 400a, 400b: 보청기 장치 401: 핸드폰, PDA
410: 마이크모듈 415: 마이크부
420: 무선송신부 425: 마이크모듈 제어부
430: 마이크모듈 전원부 440,440b: 리시버모듈
445: 무선수신부 450: 리시버부
455: 리시버모듈 제어부 460: 리시버모듈 전원부

Claims (11)

  1.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모듈; 및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증상이 있는 귀에 착용되고, 상기 리시버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모듈은,
    외부의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부;
    상기 마이크모듈의 각 부의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사전에 프로그램된 규칙에 따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마이크모듈 제어부;
    상기 마이크모듈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기적 소리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 및
    상기 마이크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모듈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모듈은,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상기 통신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리시버모듈의 각 부의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고 상기 무선수신부에서 수신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사전에 프로그램된 규칙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모듈 제어부;
    상기 리시버모듈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사람의 귀에서 인식가능한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부; 및
    상기 리시버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리시버모듈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모듈은 외부의 소리를 통신프로토콜에 맞추어 그대로 전기적 소리정보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모듈은 외부의 소리를 가공하여 별도로 약속된 형태의 코드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코드화된 데이터를 상기 전기적 소리정보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모듈은 귀속형 모형 및 귀걸이 모형을 포함한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증상이 있는 귀에 착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7.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모듈; 및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모듈은 휴대폰 및 개인휴대단말기(PDA)를 포함하는 개인용 통신단말기에 일체로 장착되고, 일측성 난청인이 상기 개인용 통신단말기를 소지할 수 있으며, 상기 리시버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8.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모듈; 및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모듈은 헤어밴드 모형 및 시계 모형을 포함한 일측성 난청인의 신체 부위에 착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되고, 일측성 난청인이 상기 마이크모 듈을 신체에 착용하며, 상기 리시버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9.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모듈; 및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모듈은 박스형 모형으로 제작되어 일측성 난청인이 소지할 수 있으며, 상기 리시버모듈은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모듈은 귀속형 모형, 귀걸이 모형 및 헤어밴드 모형을 포함한 일측성 난청인의 귀에 소리를 전달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장치.
  11.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 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마이크모듈에서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고,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전기적 소리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일측성 난청인의 정상 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리시버모듈에서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일측성 난청인의 난청 귀 쪽에서 수집된 소리를 정상 귀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보청기 방법.
KR1020070071685A 2007-07-18 2007-07-18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KR20090008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685A KR20090008612A (ko) 2007-07-18 2007-07-18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685A KR20090008612A (ko) 2007-07-18 2007-07-18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12A true KR20090008612A (ko) 2009-01-22

Family

ID=4048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685A KR20090008612A (ko) 2007-07-18 2007-07-18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6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7764A (zh) * 2017-07-30 2019-02-12 张德明 一种多用途蓝牙接口及控制器
CN115361643A (zh) * 2022-08-24 2022-11-18 深圳市鑫正宇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骨传导技术的助听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7764A (zh) * 2017-07-30 2019-02-12 张德明 一种多用途蓝牙接口及控制器
CN109327764B (zh) * 2017-07-30 2024-06-07 北京塞宾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途音频采集装置
CN115361643A (zh) * 2022-08-24 2022-11-18 深圳市鑫正宇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骨传导技术的助听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2525B2 (en) Universal earpiece
US8433080B2 (en)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with open-ear microphone
US9124992B2 (en) Wireless in-the-ear type hearing aid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0624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elieving tinnitus, hyperacusis and/or hearing loss
KR101771607B1 (ko) 듀얼 청음장치
CN103428601A (zh) 一种基于双声道骨传导技术的智能眼镜
US94080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lectroacoustic stimulation using an off-the-ear sound processor module
CN105188006A (zh) 带蓝牙及语音交流的骨传导发箍助听器
CN203378018U (zh) 一种具有双声道骨传导装置的智能眼镜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8612A (ko)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Hosoi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aids: the third pathway for sound transmission and its application
KR20190131704A (ko) 골전도 블루투스 이어폰을 포함하는 안경
Politis et al. Cochlear implants and wireless connectivity Inner-core Connectivity cradling into the 2.4 GHz Arena
Jespersen A review of wireless hearing aid advantages
KR102356728B1 (ko)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
US9570089B2 (en) Hearing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CN219353890U (zh) 一种健康监测与辅听装置
US20240244385A1 (en) Bone Conduction Hearing Aid
US20230328500A1 (en) Responding to and assisting during medical emergency event using data from ear-wearable devices
JP3189465U (ja) 骨伝導式無線音声信号伝送システム
Soares et al. Tool Development for Human Audible Spectrum Compensation
Gonçalves et al. Tool Development for Human Audible Spectrum Compensation
Filomena Soares et al. Tool Development for Human Audible Spectrum Comp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