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597B1 -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597B1
KR101771597B1 KR1020160042270A KR20160042270A KR101771597B1 KR 101771597 B1 KR101771597 B1 KR 101771597B1 KR 1020160042270 A KR1020160042270 A KR 1020160042270A KR 20160042270 A KR20160042270 A KR 20160042270A KR 101771597 B1 KR101771597 B1 KR 101771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ion
concrete
unit
screed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범준
양정식
김종섭
이민철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삼우아이엠씨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아이엠씨,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to KR102016004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8Devices for distributing road-metals mixed with binders, e.g. cement, bitumen, without consolidating or ironing effect
    • E01C19/187Devices for distributing road-metals mixed with binders, e.g. cement, bitumen, without consolidating or ironing effect solely for spreading-out or striking-off deposited mixtures, e.g. spread-out screws, strike-off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30Tamping or vibrating apparatus other than rollers ; Devices for ram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33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with tamping or vibrating means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e.g. immersed vibrators, with or without non-vibratory or non-percussive pressing or smoot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와,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호퍼부와,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토출부 및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다지는 스크리드를 포함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피니셔 장비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후방에는 저층 다짐부가 구비되되, 상기 저층 다짐부 하부의 다짐면은 상기 스크리드의 다짐면보다 아래 위치하되, 상기 저층 다짐부는 높이조절부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폭방향 양단부에 부착형 다짐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폭방향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셔 장비의 측면에는 측면 다짐부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 다짐부는 거푸집 패널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포장 측면의 경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고,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다짐부족현상을 극복하여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균질한 골재 분포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Finisher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layer Compaction}
본 발명은 도로 포장에 사용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장을 형성하는 피니셔 장비의 토출부 후방에는 스크리드의 다짐면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저층 다짐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층 다짐부 하부의 다짐면에 의하여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균질한 골재 분포를 확보할 수 있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포장은 표층재료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으로 분류되며, 그 중 콘크리트 포장은 배합이나 공법에 따라 무근 콘크리트 포장, 철근 콘크리트 포장,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롤러다짐 콘크리트 포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포장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기존 콘크리트 공법과 유사한 구조적 기능적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도로 건설을 위한 포장공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포장공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로 본 출원인은 자동배근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Mechanical-placement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M-CRCP)을 개발한 바 있으며, 저비용 롤러전압 다짐 콘크리트 포장(Roller Compacted Concrete Pavement, RCCP)과 관련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3915호 "자전거 전용 도로포장공법"(2012. 10. 17. 등록)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롤러전압 다짐 콘크리트 포장공법(RCCP 공법)은 시멘트에 의한 수화반응과 롤러다짐을 통한 내부 골재간의 맞물림 효과를 이용하여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 콘크리트 포장 대비 30% 가량의 단위 시멘트량을 줄여 이산화탄소의 발생량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시공성의 측면에서도 시공 장비의 간소화가 가능하여 종래 콘크리트 포장 대비 시공속도가 2~4배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롤러전압 다짐 콘크리트 포장공법(RCCP 공법)은 아스팔트 피니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다짐을 수행하여, 장비가 간소화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으나, 높은 골재 함량에 의하여 15cm 이하의 두께에 대해서만 시공이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셔는 콘크리트 표면과 접촉하는 스크리드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포장의 평탄도를 확보하고 다짐을 수행하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리드에 의하여 콘크리트표면이 눌려지는바,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층에 골재가 집중되는 다짐부족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포장의 두께를 15cm 이상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진동다짐 공정을 복수 회에 걸쳐 수행하여야 하는 비경제성이 있었다.
나아가, 상술한 다짐부족현상에 따른 포장 표면층의 골재 집중은 골재의 함량이 높은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일회의 진동다짐만으로도 균질한 골재 분포 확보와 80 ~ 90% 이상의 콘크리트 다짐을 확보할 수 있는 포장용장비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3915호 (2012. 10. 17.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짐부족현상을 극복하여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균질한 골재 분포 및 80 ~ 90% 이상의 콘크리트 다짐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는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100)와,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호퍼부(200)와,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토출부(300) 및 바이브레이터(410)를 구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다지는 스크리드(400)를 포함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피니셔 장비(F)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300)의 후방에는 저층 다짐부(500)가 구비되되, 상기 저층 다짐부(500) 하부의 다짐면(510)은 상기 스크리드(400)의 다짐면(420)보다 아래 위치하되,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높이조절부(53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폭방향 양단부에 부착형 다짐부(5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폭방향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셔 장비(F)의 측면에는 측면 다짐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 다짐부(600)는 거푸집 패널(610)이 힌지부(620)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포장 측면의 경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고, 바이브레이터(63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부(300)는 오거(310)가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펼치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층 다짐부(500)의 상부에는 경사면(520)이 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바이브레이터(54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피니셔 장비(F)를 이용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니셔 장비(F)를 이동함과 동시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100);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보다 아래 위치에서 저층 다짐부(5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다짐 표면(1S)을 완성하는 제1 다짐단계(S200); 및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 위치에서 스크리드(4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포장면(2S)을 완성하는 포장 완성단계(S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100)는, 오거(31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펼치는 콘크리트 펼침단계(S110);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는 콘크리트 양분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상기 스크리드(400)의 템퍼(430)가 콘크리트를 아래로 눌러주는 제2 다짐단계(S310); 및 상기 스크리드(400)의 바이브레이터(410)가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제3 다짐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측면 위치에서 측면 다짐부(6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측면(SS)을 형성하는 측면 형성단계(S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에 따라 본 발명의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보다 아래 위치에서 저층 다짐부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다짐 표면을 완성하는바, 균질한 다짐부족현상을 극복하여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균질한 골재 분포 및 충분한 다짐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가 저층 다짐부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어 일정량의 콘크리만이 저층 다짐부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다져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층 다짐부의 상부에는 경사면이 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피니셔 장비의 측면에는 측면 다짐부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 다짐부는 거푸집 패널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포장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리드는 템퍼가 구비되어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아 콘크리트의 평탄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니셔 장비가 지니는 다짐부족현상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리드 및 저층 다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 스크리드 및 저층 다짐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 스크리드 및 저층 다짐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층 다짐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F) 및 다층 다짐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F)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정을 수행하는 바, 작업을 위하여 이동하는 일측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다짐부족현상에 따른 포장 표면층의 골재 집중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피니셔 장비의 스크리드에 의하여 콘크리트 표면이 눌려지는바,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층에 골재가 집중되는 다짐부족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포장의 두께가 두껍고, 골재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 발생되며, 롤러전압 다짐 콘크리트 포장,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에 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포장의 두께를 일정 이상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진동다짐 공정을 복수 회에 걸쳐 수행하여야 하는 비효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 호퍼부(200), 토출부(300) 및 스크리드(400)를 포함하는 피니셔 장비(F)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300)의 후방에는 저층 다짐부(500)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피니셔 장비(F)의 구동부(100)는 장비의 이동을 수행하며, 상기 호퍼부(200)는 포장을 형성할 콘크리트를 수용한다. 상기 토출부(300)는 호퍼부(200)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스크리드(400)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바이브레이터(410)를 이용하여 진동 다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리드(400)는 복수의 유닛으로 형성하여 중심에 제1 스크리드(40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스크리드(401)를 중심으로 양 측에 한 쌍의 제2 스크리드(402)가 형성될 수 있다.
포장의 폭방향으로 길이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스크리트(402)에 일단이 결합된 폭 조절부(403)에 의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리드(400)는 높이 조절부(440)가 결합되어 포장의 두께에 따라 스크리드(400)의 높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부(30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저층 다짐부(500)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보다 아래 위치에서 사전에 콘크리트를 1차 다짐하여 다짐 표면을 완성하는바, 다짐부족현상을 극복하여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균질한 골재 분포 및 충분한 진동다짐을 확보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층 다짐부(500) 하부의 다짐면(510)은 상기 스크리드(400)의 다짐면(420)보다 아래 위치함으로써 1차 다짐이 이루어지며, 후방에 위치한 스크리드(400)에 의하여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 위치에서 최종적인 다짐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300)는 오거(310)가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펼치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부(300)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그 하부에 구비된 저층 다짐부(500)에 의하여 상부로 이송되는 상부 콘크리트와 저층 다짐부(500)의 하부로 이송되는 하부 콘크리트로 분리된다.
상기 상부 콘크리트는 스크리드(400)의 다짐면(420)에 의하여 진동다짐되고, 하부 콘크리트는 저층 다짐부(500)의 다짐면(510)에 의하여 다져짐으로써 두개의 층으로 양분되어 다짐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어 일정량의 콘크리만이 저층 다짐부(500)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다져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층 다짐부(500)의 상부에는 경사면(5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20)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콘크리트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경사면(520)이 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경우, 하부 콘크리트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높이조절부(53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의 두께에 따라 저층 다짐부(5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다짐부족현상을 극복하여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균질한 골재 분포를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바이브레이터(54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다짐하여 완성되는 다짐 표면의 골재 분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의 다짐면(510)을 포함하도록 제작하거나, 저층 다짐부(500)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짐면(510)의 위치는 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계단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다층 다짐이 가능해지는바 단순히 하나의 저층 다짐부(500)를 구비하는 경우보다 균질한 골재 분포를 꾀할 수 있으며, 두께와 무관하게 효과적인 다짐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추가적으로 폭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 부착형 다짐부(550)를 저층 다짐부(5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의 폭에 따라 저층 다짐부(500)의 폭방향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포장의 양 측면부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고르지 않으며, 구조적으로 약한 부분으로서 크랙 및 그에 따른 파손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종래에는 추후에 보수 작업을 수행하거나 거푸집을 별도로 설치하여 포장의 측면을 보완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셔 장비(F)의 측면에 측면 다짐부(60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측면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시공상의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측면 다짐부(600)는 거푸집 패널(610)이 힌지부(620)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포장 측면의 경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측면이 수직되게 형성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깨짐이나 부서짐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 다짐부(600)는 바이브레이터(63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할 수 있어 다짐하여 완성되는 측면의 골재 분포를 보다 균등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니셔 장비(F)를 이용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단계(S100), 제1 다짐단계(S200) 및 포장 완성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100)은 피니셔 장비(F)를 이동함과 동시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니셔 장비(F)는 구동부(100)에 의하여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며, 호퍼부(200)는 타설될 콘크리트를 구비하고 토출부(300)로 콘크리트를 이송하여 상기 토출부(300)가 콘크리트를 일정한 양만큼 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100)는, 상기 토출부(300)의 오거(31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폭방향으로 펼치는 콘크리트 펼침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거(310)는 회동축(311)에 스크류 날개(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일정하게 폭방향으로 펼칠 수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는 콘크리트 양분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어 일정량의 콘크리만이 저층 다짐부(500)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다져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100) 이후에 이루어지는 제1 다짐단계(S200)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보다 아래 위치에서 저층 다짐부(5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다짐 표면(1S)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부(300)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그 하부에 구비된 저층 다짐부(500)에 의하여 상부로 이송되는 상부 콘크리트와 저층 다짐부(500)의 하부로 이송되는 하부 콘크리트로 분리되며, 상기 상부 콘크리트는 후술할 포장 완성단계(S300)에서 스크리드(400)에 의하여 진동다짐되고, 하부 콘크리트는 저층 다짐부(500)에 의하여 다져짐으로써 다짐 표면(1S)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다짐단계(S200) 이후에 이루어지는 포장 완성단계(S300)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 위치에서 스크리드(4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포장면(2S)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상기 스크리드(400)의 템퍼(430)가 콘크리트를 아래로 눌러주는 제2 다짐단계(S310) 및 상기 스크리드(400)의 바이브레이터(410)가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제3 다짐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드(400)의 템퍼(430)는 최대 1800rpm으로 작동하여 지속적으로 상부 콘크리트를 하부로 눌러준다. 이로써, 평탄화 과정에서 바이브레이터(410)의 진동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아 콘크리트의 평탄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퍼(4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바이브레이터(410)가 최대 2600rpm으로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함으로써 포장면(2S)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측면 위치에서 측면 다짐부(6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형성단계(S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형성단계(S330)와 제2 다짐단계(S310) 또는 제3 다짐단계(S320)는 그 시간적인 전후가 중요하지 아니하며,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F) 및 다층 다짐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피니셔 장비 100:구동부
200:호퍼부 300:토출부
310:오거 311:회동축
312:스크류 날개 400:스크리드
410:바이브레이터 420:다짐면
430:템퍼 500:저층 다짐부
510:다짐면 520:경사면
530:높이조절부 540:바이브레이터
600:측면 다짐부 610:거푸집 패널
620:힌지부
S100:콘크리트 타설단계 S110:콘크리트 펼침단계
S120:콘크리트 양분단계 S200:제1 다짐단계
S300:포장 완성단계 S310:제2 다짐단계
S320:제3 다짐단계 S330:측면 형성단계

Claims (11)

  1.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100)와,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호퍼부(200)와,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토출부(300) 및 바이브레이터(410)를 구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다지는 스크리드(400)를 포함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피니셔 장비(F)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300)의 후방에는 저층 다짐부(500)가 구비되되, 상기 저층 다짐부(500) 하부의 다짐면(510)은 상기 스크리드(400)의 다짐면(420)보다 아래 위치하되,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높이조절부(53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폭방향 양단부에 부착형 다짐부(5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폭방향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셔 장비(F)의 측면에는 측면 다짐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 다짐부(600)는 거푸집 패널(610)이 힌지부(620)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포장 측면의 경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고, 바이브레이터(63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300)는 오거(310)가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펼치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 다짐부(500)의 상부에는 경사면(520)이 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바이브레이터(54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의 피니셔 장비(F)를 이용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니셔 장비(F)를 이동함과 동시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100);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보다 아래 위치에서 저층 다짐부(5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다짐 표면(1S)을 완성하는 제1 다짐단계(S200); 및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 위치에서 스크리드(4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포장면(2S)을 완성하는 포장 완성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100)는,
    오거(31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펼치는 콘크리트 펼침단계(S110);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는 콘크리트 양분단계(S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상기 스크리드(400)의 템퍼(430)가 콘크리트를 아래로 눌러주는 제2 다짐단계(S310); 및
    상기 스크리드(400)의 바이브레이터(410)가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제3 다짐단계(S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측면 위치에서 측면 다짐부(6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형성단계(S3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KR1020160042270A 2016-04-06 2016-04-06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KR101771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70A KR101771597B1 (ko) 2016-04-06 2016-04-06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70A KR101771597B1 (ko) 2016-04-06 2016-04-06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597B1 true KR101771597B1 (ko) 2017-08-25

Family

ID=5976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270A KR101771597B1 (ko) 2016-04-06 2016-04-06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5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619B1 (ko) * 2020-03-30 2020-11-03 에스지이 주식회사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도로포장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88187B1 (ko) * 2020-05-04 2020-12-07 배명희 고밀도 습식 컬러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102188188B1 (ko) * 2020-05-04 2020-12-07 배명희 크랙이 방지되는 고밀도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102241448B1 (ko) * 2020-08-13 2021-04-16 박창연 포장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및 보수장비
CN113403916A (zh) * 2021-05-26 2021-09-17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路面摊铺机及混凝土摊铺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619B1 (ko) * 2020-03-30 2020-11-03 에스지이 주식회사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도로포장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88187B1 (ko) * 2020-05-04 2020-12-07 배명희 고밀도 습식 컬러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102188188B1 (ko) * 2020-05-04 2020-12-07 배명희 크랙이 방지되는 고밀도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102241448B1 (ko) * 2020-08-13 2021-04-16 박창연 포장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및 보수장비
CN113403916A (zh) * 2021-05-26 2021-09-17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路面摊铺机及混凝土摊铺方法
CN113403916B (zh) * 2021-05-26 2022-06-14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路面摊铺机及混凝土摊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97B1 (ko)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JPH09184107A (ja) 道路舗装用スリップフォームペーバ
CN108867274B (zh) 铺筑混凝土路面的摊铺机
US2380435A (en) Combination road building machine and concrete spreader
JP2018031229A (ja) 路肩成型装置
EP2584115B1 (en) Spreading and screeding device for finishing a screed floor, and method therefor
CN110593063A (zh) 现浇混凝土硬路肩简易滑模摊铺装置及其制作使用方法
CN209779417U (zh) 一种摊铺机
CN108867273B (zh) 一种混凝土摊铺机
JPH08510302A (ja) コンクリートに段階的に振動を加える方法と装置
JP4034127B2 (ja) 舗装材の敷き均し装置
CN215471978U (zh) 一种免拆模板黏结界面层浇筑装置
KR20070082396A (ko) 콘크리트의 타설 마감장치
KR101052442B1 (ko)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CN209907163U (zh) 桥面混凝土摊铺整平机
KR100738015B1 (ko) 노견 골재 포설장치
JP7300807B1 (ja) コンクリート送出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フィニッシャー
US3472134A (en) Curb forming machine
JP3056352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装置
JP2010203163A (ja) コンクリート舗装工法
JP3028816U (ja) コンクリートフィニッシャ
CN210458876U (zh) 一种滑模摊铺设备
CN1200065A (zh) 生产混凝土构件的方法与设备
CN211734973U (zh) 现浇混凝土硬路肩简易滑模摊铺装置
CN216803845U (zh) 一种弧形水泥预制板多功能整平抛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