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061B1 - 경사판 침강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판 침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061B1
KR101771061B1 KR1020160066762A KR20160066762A KR101771061B1 KR 101771061 B1 KR101771061 B1 KR 101771061B1 KR 1020160066762 A KR1020160066762 A KR 1020160066762A KR 20160066762 A KR20160066762 A KR 20160066762A KR 101771061 B1 KR101771061 B1 KR 101771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housing
sedimentation
bol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중호
김현곤
곽특영
정은호
홍정우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6006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침전조에 구비되어 수중의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시킬 수 있는 경사판 침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침전조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침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침강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수단을 더 구비하여 침전물로 인해 오염수가 경사판에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유량분배관을 통해 양측의 경사판에 오염수를 공급함으로서 침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판 침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판 침강장치{SEDIMENTATION APPARATUS USING INCLINED PLATES}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침전조에 구비되어 수중의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시킬 수 있는 경사판 침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침전조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침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침강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수단을 더 구비하여 침전물로 인해 오염수가 경사판에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유량분배관을 통해 양측의 경사판에 오염수를 공급함으로서 침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판 침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수 하수 등의 수처리 플랜트에는 침전조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침전조는 처리수 중의 고형성분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침전조는 작은 체적으로 고형성분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침전시킬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침전조에서 고형성분을 효과적으로 침전시키기 위하여 최근에 경사판 침전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사판 침전장치를 구비한 침전조는 별도의 장치가 없는 통상의 침전조에 비하여 침전지 단위면적당 침전물의 침강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작은 체적의 침전조로 많은 량의 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38775호 『복수개의 경사판침전지를 갖는 수처리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처리대상 유체가 하강하는 하강유로와 상승하는 상승유로를 가지며, 경사판을 통해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경사판침전지가 상기 하강유로와 상승유로 상에 상, 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수처리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0-0048029호 『경사판 침전지』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방수되는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원수유입구와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되는 침전구역틀과, 원수유입구가 설치된 벽면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나누어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원수유입구가 설치된 벽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을 포함하고, 경사침전모듈은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과,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폐쇄하며 하단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다수 형성하는 한쌍의 측판과, 경사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처리수를 수집하는 복수의 처리수 수집거와, 처리수 수집거 쪽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하는 월류방지테두리와, 각각의 경사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확산돌기를 포함하는 경사판 침전지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20281호 『경사판침전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침전 경사판의 재질은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e Density Polyethylene)을 사용하여 제작한 침전 경사판에 있어서; 상부 일측면에는 대상원수를 침전조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이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는 2단으로 구성된 침전경사판을 따라 하부로 유하 하게 되고 침전경사판의 구성은 크게 상부침전경사판과 하부침전경사판, 상부침전경사판과 하부침전경사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거치프레임, 중간거치프레임, 하부거치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경사판 침전조 후단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후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수집부와 슬러지배출관으로 구성된 침전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12962호 『경사판 침전설비』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일 방향으로 경사진 육면체를 형성하는 경사판 조립체를 지지시키기 위한 프레임과, 그 프레임내에서 격리된 침전정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 및 후면을 구성하는 전면 배플 및 후면 배플과, 그 전면 배플 및 후면 배플의 양 측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경사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측면 배플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경사판이 경량화와 부식방지를 위해 FRP, ABS와 같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고, 경사판의 상단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폭방향 수로형성부재에 고정되는 처짐방지 및 간격 유지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각 경사판사이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경사판의 상부 중앙부분의 처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설비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사판은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한 경사판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류의 판재를 스크루, 리벳,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제작하는데, 다수의 경사판을 일일이 결합하는 것이 아주 번거롭고, 특히 가볍고 부식에 강한 합성수지류의 판재로 제작할 경우 판재 간의 연결부에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거나 판재 자체에 연결을 위한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조립을 했을 때 구조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보강구조물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경사판 침강장치는
침전조에 구비되어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정화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되 복수개의 경사판이 구비되는 침강수단을 구비하여, 오염수가 침강수단의 경사판을 따라 상승하면서 오염수 내의 침전물 또는 고형물을 경사판을 따라 하강시킴으로서, 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는 경사판 침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호퍼로 이루어지는 수거수단을 구비하여 침전물이 호퍼로 유입되어 자연스럽게 배출됨에 따라 경사판을 따라 이동하는 오염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경사판 침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경사판은 45~90도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도 각도로 기울어짐에 따라 오염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침전물만 아래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침전물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유량분배관이 유량분배관 양측에 구비되는 경사판에 함께 오염수를 공급함에 따라 침전효율을 증가시키고 유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경사판 침강장치가 구비도니 수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강장치는
침전조에 구비되되,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정화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하부에 오염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유출부와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판을 구비하는 침강수단;
상기 하우징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강수단의 경사판에 의해 응집되는 침전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호퍼를 포함하는 수거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강장치는 침전조에 구비되어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되 복수개의 경사판을 구비한 침강수단을 통하여 오염수가 경사판을 따라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오염수 내의 침전물이 경사판을 따라 하강할 수 있어 오염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침전물의 침전을 보다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고,
상기 경사판이 하우징에 구비됨에 따라 별도로 경사판을 침전조에 구비함에 따라 발생하는 경사판의 고정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수거수단을 더 구비하여, 경사판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을 자연스럽게 수집하여 따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침전물에 의해 오염수의 흐름이 방해받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러한 침전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작업자가 중간중간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유량분배관을 통하여 복수개의 경사판 중 유량분배관 양측의 경사판에 오염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오염수의 양이 증가하여도 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강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강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강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21)(21) 침강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오염수로부터 침전물을 걸러내는 침강수단(20) 및 상기 침강수단(20)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을 모아 배출하는 수거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전조(K)에 구비되는 경사판(21)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침전지에 단순히 경사판(21)을 복수개 구비함으로서, 오염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침전물을 경사판(21)을 통하여 하부로 침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경사판(21)을 침전조(K)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그 경사를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발생하는 침전물을 수거하기 위해 침전조(K)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판(21)을 포함하는 침강수단(20)이 구비된 하우징(10)을 구성함으로서, 침전조(K)에 하우징(10)을 고정설치함에 따라 오염수가 경사판(21)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하우징(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우징(10)에는 침전조(K)의 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부(11)와, 정화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입부(11)와 유출부(13)는 각각 배수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입부(11)는 상기 하우징(10)의 중간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경사판(21)의 하부로 오염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출부(13)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경사판(21) 상부 구비되는 유출공과 연통되어 정화된 오염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유입부(11)에는 후술하는 유량분배관(17)이 연통되어 있으며, 측단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유량분배관(17)이 하우징(10)의 가운데 위치하며 유량분배관(17) 상부에는 침강수단(20)이 구비되는 정화부(14)가 형성되고, 유량분배관(17) 하부에는 침전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수단(30)이 구비되는 수거부(15)가 형성되게 된다.
다시, 상기 하우징(10)에는 오염수 내의 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한 침강수단(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침강수단(20)은 복수개의 경사판(2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경사판(21)은 약 45 ~ 90 도 경사를 형성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판(21)은 60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경사판의 각도는 일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오염수의 량, 흐름에 따라 각 경사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즉, 상기 경사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천시(맑은 하늘)에는 90도 각도로 설정되고, 강우시에는 경사판의 각도가 60도로 바뀌어 오염수가 경사판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경사판의 각도 조절은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서, 오염수 내에 구비되는 부구 등을 통하여 부구의 높낮이에 따라 경사판의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경사각을 상황에 따라 조절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동력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의 수위 감지에 따라 경사판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경사판(21)의 하부에는 상기 유량분배관(17)과 연통되어 오염수가 경사판(21)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판(21)의 상부에는 침전물이 제거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에 유입된 오염수는 유량분배관(17) 및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경사판(21) 하부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경사판(21)을 따라서 상승하면서 체류시간이 증가되어 오염수 내의 침전물이 자연스럽게 경사판(21)에 침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침전된 침전물은 경사판(21)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여 오염수를 정화하게 된다.
또한 정화된 오염수는 경사판(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출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유출부(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나아가 도 3의 평면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1)은 복수개가 중첩되어 구비되어 하나의 군을 형성하는 바, 이러한 군은 상기 하우징(10)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오염수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유량분배조는 상기 복수개의 경사판(21)으로 이루어진 2개의 군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으로 오염수를 동시에 분배함으로서, 한번에 보다 많은 양의 오염수를 경사판(21)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경사판(21)을 통하여 하강하는 침전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수단(3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거수단(30)은 복수개의 호퍼(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31)가 상기 경사판(21) 아래에 위치함에 따라 경사판(21)을 하강하는 침전물은 호퍼(31)에 유입되게 되고, 상기 호퍼(31)의 하부에는 슬러지배출관(33)이 연통됨에 따라 상기 침전물이 슬러지연통관을 통하여 별도의 수거장치로 이송함으로서, 작업자가 침전지 내부로 들어가 침전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강장치(D)는 침전조(K)에 구비되어 침전조(K) 내의 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으며, 경사판(21)이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구조로서, 단순히 하우징(10)을 침전조(K)에 결합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침전조(K)에 경사판(21)을 설치하는 효과를 갖을 수 있어 설치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강장치(D)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을 침전조(K)에 설치함에 있어, 체결수단을 이용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침전조(K)의 하부에는 고정걸이부재(K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1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외플랜지(18)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걸이부재(K1)와 외플랜지(18)에 각각 볼트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볼트결합부와 상기 볼트결합부(17a)(17b)를 서로 연결하는 볼트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볼트부재(100)를 구비하는 경우, 나사부(101)에 너트를 조립하여 보완할 수 있으나, 나사부(101)의 길이가 짧을 경우 너트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분해 및 재조립 과정에서 너트가 분실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체결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변형된 볼트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먼저 상기 볼트부재(100)는, 나사부(101)와 헤드부(102)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부(101)가 상기 볼트 결합부(17a, 17b)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를 갖고,
상기 중공부(103)를 관통하여 중공부(103)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누름부(111)와, 타측 끝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112)를 구비한 심부재(110)와,
상기 중공부(103)에 구비되어, 상기 심부재(110)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펼쳐진 날개부(112)가, 상기 하우징(10)(15)의 볼트 결합부(17b)에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104)을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112)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일종의 래치형 부재로써, 날개부(112)와, 심부재(110)의 타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112a)에는, 날개부(112)가 일측 방향, 즉 심부재(110)의 외주면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날개부(112)가 심부재(110) 방향으로 접히도록 강제되므로,
누름부(111)를 이용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타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가압하여 날개부(112)가 접혀진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볼트 결합부(17a, 17b)에 나사 결합한 후, 날개부(112)를 벌린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104)에 의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일측 방향으로 인입되면서, 펼쳐진 날개부(112)가 볼트 결합부(17b)에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날개부(112)에 의해 심부재(110)의 인출입이 제한되므로, 진동 등에 의해 볼트부재(10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 압력을 받더라도, 고정된 심부재(110)로 인해 볼트부재(100)의 풀림이 방지된다.
즉, 상기 날개부(112)가 너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볼트부재(100)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누름부(111)를 눌러 심부재(110)를 중공부(103)의 일측 방향으로 인출시켜 날개부(112)가 다시 접히도록 한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접혀진 날개부(112)가 나사부(101)의 타측 끝단부에 접촉되면서 심부재(110)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풀게 되면, 볼트 결합부(17a, 17b)에서 볼트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볼트부재(100)와, 심부재(110)가 동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중공부(103)와 심부재(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단턱과 걸림홈 또는 다각 형상을 이용한 걸림 구조가 마련되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에서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경사판 침강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경사판 침강장치 A : 종래의 경사판
K : 침전조 K1 : 고정걸이부재
10 : 하우징
11 : 유입부 13 : 유출부
14 : 정화부 15 : 수거부
17 : 유량분배관 18 : 외플랜지
20 : 침강수단
21 : 경사판 30 : 수거수단
31 : 호퍼 33 : 슬러지배출관
S : 체결수단
17a : 볼트결합부 17b : 볼트결합부
100 : 볼트부재 101 : 나사부
102 : 헤드부 103 : 중공부
104 : 코일스프링 110 : 심부재
111 : 누름부 112 : 날개부
112a : 힌지부

Claims (4)

  1. 침전조(K)에 구비되되,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와 정화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부(13)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하부에 오염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유출부와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판(21)을 구비하는 침강수단(20);
    상기 하우징(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강수단(20)의 경사판(21)에 의해 응집되는 침전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호퍼(31)를 포함하는 수거수단(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전조(K)에는 고정걸이부재(K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 하단에는 외플랜지(18)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걸이부재(K1)와 외플랜지(18)에 각각 구비되는 볼트결합부(17a)(17b)와, 상기 각각의 볼트결합부(17a)(17b)를 체결하는 볼트부재(100) 및 상기 볼트부재(100)에 내삽 구비되는 심부재(110)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침전조(K)에 고정하는 체결수단(S)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부재(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가 구비되고,
    상기 심부재(110)는 상기 중공부(103)를 관통하여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 누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심부재(110)에는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복수개의 날개부(1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103)에는 상기 날개부(112)가 볼트결합부(21b)에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104)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112)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래치형 부재로써, 날개부와 심부재의 타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에는 날개부가 심부재의 외주면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21)은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45~90도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복수개의 경사판(21)으로 이루어진 경사판 군이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어 유입되는 오염수를 양측의 경사판 군으로 분배하는 유량분배관(17)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강장치.
  4. 삭제
KR1020160066762A 2016-05-30 2016-05-30 경사판 침강장치 KR101771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62A KR101771061B1 (ko) 2016-05-30 2016-05-30 경사판 침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62A KR101771061B1 (ko) 2016-05-30 2016-05-30 경사판 침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061B1 true KR101771061B1 (ko) 2017-08-24

Family

ID=5975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62A KR101771061B1 (ko) 2016-05-30 2016-05-30 경사판 침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0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5512A (zh) * 2017-11-27 2018-02-23 山东赛恩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沉淀斜板组件
CN108751612A (zh) * 2018-07-13 2018-11-06 苏州新工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含活性染料印染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RU202072U1 (ru) * 2020-06-16 2021-01-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троительн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ных наук" (НИИСФ РААС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12939259A (zh) * 2021-03-29 2021-06-11 锡林郭勒盟乌拉盖河矿业有限公司 一种露天煤矿污水处理设备
KR102396772B1 (ko) 2021-12-22 2022-05-12 주식회사 더오포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CN115501655A (zh) * 2022-09-27 2022-12-23 江苏双洁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不锈钢材质斜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767B1 (ko) * 2008-07-02 2008-12-08 뮤러아시아(주)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KR101434981B1 (ko) * 2014-01-15 2014-08-28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저에너지형 고속고액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767B1 (ko) * 2008-07-02 2008-12-08 뮤러아시아(주)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KR101434981B1 (ko) * 2014-01-15 2014-08-28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저에너지형 고속고액분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5512A (zh) * 2017-11-27 2018-02-23 山东赛恩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沉淀斜板组件
CN108751612A (zh) * 2018-07-13 2018-11-06 苏州新工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含活性染料印染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08751612B (zh) * 2018-07-13 2024-04-09 苏州新工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含活性染料印染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RU202072U1 (ru) * 2020-06-16 2021-01-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троительн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ных наук" (НИИСФ РААС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12939259A (zh) * 2021-03-29 2021-06-11 锡林郭勒盟乌拉盖河矿业有限公司 一种露天煤矿污水处理设备
KR102396772B1 (ko) 2021-12-22 2022-05-12 주식회사 더오포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CN115501655A (zh) * 2022-09-27 2022-12-23 江苏双洁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不锈钢材质斜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061B1 (ko) 경사판 침강장치
US7182874B2 (en)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employing dual vortex separators
KR100971879B1 (ko)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KR101070989B1 (ko)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JP4766460B2 (ja) 廃水処理装置における固液分離装置
KR20120024520A (ko)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KR100751534B1 (ko)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13144698B (zh) 一种砂渣共除的高效预处理系统及工艺
KR100652839B1 (ko) 사이클론을 이용한 물 정화장치
KR100971880B1 (ko) 수평류형 침전 시스템
KR100593551B1 (ko) 무동력 정수장치
US6921489B2 (en) Aerated grit chamber and method
AU2019312145B2 (en) Hydrodynamic separator
CN105999776A (zh) 泥渣层过滤沉淀池及其方法
HUT69510A (en) Settling tank with oil separator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KR20080076877A (ko)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KR101172198B1 (ko)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킨 경사판 침전지
KR101434981B1 (ko) 저에너지형 고속고액분리장치
KR200367936Y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KR200225088Y1 (ko) 경사판침전조
KR100613206B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KR200148082Y1 (ko)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KR101258221B1 (ko) 폐수의 입자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