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433B1 -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433B1
KR101770433B1 KR1020110076388A KR20110076388A KR101770433B1 KR 101770433 B1 KR101770433 B1 KR 101770433B1 KR 1020110076388 A KR1020110076388 A KR 1020110076388A KR 20110076388 A KR20110076388 A KR 20110076388A KR 101770433 B1 KR101770433 B1 KR 10177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mote device
management server
electrical produc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744A (ko
Inventor
오민진
탁철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433B1/ko
Priority to PCT/KR2012/002885 priority patent/WO2012144776A2/ko
Priority to US14/001,784 priority patent/US9367058B2/en
Priority to EP12774517.2A priority patent/EP2701339B1/en
Publication of KR2013001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에 관한 제 1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원격장치에 관한 제 2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가 매칭되는 단계; 및 매칭된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기제품에 접근하여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특정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제품(1)과 상기 전기제품(1)에 무선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리모컨(2)이 제공된다. 상기 전기제품(1)과 리모컨은 적외선 통신방식으로 통신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리모컨이 사용 불가능한 상태에 있거나, 상기 전기제품(1)과 리모컨이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리모컨(2)을 이용한 전기제품의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2)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아 전기제품(1)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기제품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업용 가게가 존재한다. 특히, 상업용 세탁기를 구비하는 세탁소가 보편화 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 상업용 가게에 구비되며,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될 수 있는 전기제품을 상업용 전기제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종래의 상업용 가게에는, 다수의 상업용 전기제품이 가게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전기제품을 선택한 후 비용을 지불하고 소정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었다. 선순위 사용자의 전기제품 사용이 완료되면, 차순위 사용자가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다만, 사용자가 상업용 전기제품을 이용하는 경우, 상업용 제품의 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가 제품 근처에서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사용자가 전기제품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경우 전기제품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업용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원격장치가 구비되는 상업용 가게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원격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리모컨(2)에 대응된다.
다만, 상기 원격장치와 전기제품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거리에 제한이 있었으며, 원격장치와 전기제품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원격장치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원격장치를 통하여 전기제품의 모니터링 또는 작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에 관한 제 1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원격장치에 관한 제 2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가 매칭되는 단계; 및 매칭된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장치를 통하여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기제품에 인접하여 대기하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전기제품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서버에서 전기제품의 고유정보와 원격장치의 정보를 매칭하고, 매칭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정보를 원격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과 원격장치간에 통신이 불가능하더라도 전기제품의 작동상태에 관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제품이 상업용 제품일 경우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 결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제품과 원격장치의 매칭여부가 유지 또는 해제(해제알림)되므로 시스템 구현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제품을 모니터링 또는 제어하기 위한 통신 연결과정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장치와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와 원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장치로부터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종래에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장치와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와 원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제품(100) 및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타 컴포넌트로서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장치(200) 및 상기 전기제품(100)과 원격장치(200)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를 상기 원격장치(200)에 전달하는 관리서버(300)가 포함된다.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복수의 전기제품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101,102)에는, 제 1 전기제품(101)과, 제 2 전기제품(102) 및 제 n 전기제품이 포함된다. 전기제품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1개의 전기제품이 관리서버(3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은 상업용 전기제품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전기제품은 상업용 가게에 구비되는 제품으로서 불특정 다수자가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권한을 얻을 수 있는 제품으로서 이해된다. 일 사용자의 세탁기 사용이 완료되면, 차순위 사용자가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업용 전기제품에는, 일례로, 세탁기, 건조기, 조리기기, 냉장고, 정수기 또는 정수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전기제품의 작동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품 디스플레이부(120) 및 전기제품의 작동에 관련한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1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관한 고유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표시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고유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제품코드(시리얼 정보) 또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연결되는 통신정보(IP정보)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2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150)에는, 소정의 정보를 가지는 것으로 읽혀질 수 있는 문양 또는 기호의 조합인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원격장치(200)는 상기 전기제품(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전기제품(100)이 상업용 전기제품일 경우, 상기 원격장치(200)는 상업용 가게에서 제공되는 장치, 즉 제품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휴대폰)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서버(300)와 무선 통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장치(200)에는, 원격장치의 작동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장치 디스플레이부(220)와, 원격장치의 기능수행을 위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30) 및 상기 정보표시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장치(250)가 포함된다.
상기 인식장치(250)는 상기 정보표시부(150)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촬상장치, 일례로 카메라, 상기 정보표시부(150)에 표시된 약속된 정보를 읽어낼 수 있는 리더기(reader), 일례로 바코드 리더기, 또는 상기 정보표시부(150)에 표시된 문자 또는 기호를 해석할 수 있는 문자인식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인식장치(250)로부터 인식된 정보표시부(150)의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식장치(250)에서 인식된 정보는 상기 장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원격장치 및 관리서버(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원격장치(200)에는, 상기 원격장치(200)가 상기 관리서버(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장치 통신부(210)와, 상기 원격장치(200) 또는 전기제품(10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장치 메모리(23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제어부(220)가 포함된다.
상기 장치 통신부(210)는 상기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통신부(21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고유 정보 또는 상기 원격장치(200)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격장치(200)의 정보에는, 제품코드 정보 또는 상기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는 통신환경으로서 통신정보(IP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에 관한 고유정보를 "제 1 정보"라 하고, 상기 원격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제 2 정보"라 이름한다.
한편, 상기 장치 통신부(210)는 상기 전기제품(100)과 직접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장치 메모리(230)에는, 상기 관리 서버(300)에 연결되기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특정 프로그램, 일례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원격장치(200)와 관리 서버(300)는 상호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통신방법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이 포함되며, 일례로 시리얼 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 wifi) 또는 TCP/IP 방식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웹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원격장치(200)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전기제품(101,102)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작동과 관련한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작동정보, 작동완료정보, 현재상태 정보 또는 에러정보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에는, 상기 장치 통신부(3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버 통신부(310)가 포함된다. 상기 서버 통신부(310)는 상기 전기제품(1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전기제품(100)에 관한 정보(제 1 정보 또는 작동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서버 통신부(310)에는, 상기 장치 통신부(310)와 전기제품(100)에 각각 연결되는 별도의 통신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제 1 정보 또는 작동정보와, 상기 원격장치(200)에 관한 제 2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메모리(3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버 메모리(330)에는,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가 상호 매칭된 상태에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에는,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매칭하고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가 상기 원격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서버 메모리(330) 및 서버 통신부(310)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320)가 더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장치로부터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원격장치(200) 정보와 전기제품(100) 정보의 매칭방법 및 전기제품(100) 작동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격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제 1 정보를 인식한다. 상세히, 상기 인식장치(250)를 통하여 상기 정보 표시부(150)에 표시된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인식장치(250)가 촬상장치일 경우, 상기 정보 표시부(150)에 포함된 정보를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인식장치(250)가 정보 리더기일 경우, 상기 정보 표시부(150)에 포함된 문자, 기호 또는 그들의 조합이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과정을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고유정보에 관한 제 1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S11).
상기 원격장치(200)는 상기 관리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치 통신부(210)와 서버 통신부(31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리서버(300)가 웹서버일 경우, 상기 원격장치(2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관리서버(300)와 원격장치(200)가 통신 접속될 수 있다(S12).
그리고, 상기 원격장치(200)에 저장 또는 인식된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고유정보에 관한 제 1 정보와, 상기 원격장치(200)의 고유정보에 관한 제 2 정보가 포함된다(S13).
상기 원격장치(200)로부터 제 1,2 정보를 수신(또는 입력)받은 관리서버(300)는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된 정보들은 상기 서버 메모리(330)에 저장될 수 있다(S14).
상기 제 1,2 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원격장치(200)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그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 또는 작동완료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보에는, 작동코스, 작동시간 또는 잔여시간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를 상기 원격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격장치(20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작동정보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제어, 일례로 일시정지 또는 중단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원격장치(200)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원격장치(200)에 입력되는 소정의 명령은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100)은 상기 소정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원격장치(200)는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모니터링 또는 작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원격장치(200)와 전기제품(100)간에 직접 통신이 제한되더라도 상기 원격장치(200)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S1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업용 전기제품과 원격장치의 정보 매칭 및 원격장치를 이용한 전기제품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공통된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내용을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업용 가게에 구비되는 특정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을 준비한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이 세탁기일 경우 세탁물을 상기 전기제품에 투입할 수 있다(S21).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을 결제한다. 비용 결제방법에는, 현금, 신용카드 또는 계좌이체가 포함될 수 있다. 비용 결제방법이 현금(Cash)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전기제품에 소정의 현금을 투입할 수 있다. 투입된 현금이 부족할 경우, 현금의 추가투입이 필요하다는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비용 결제방법이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 결제일 경우, 상기 원격장치(200)를 통하여 소정의 결제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결제정보는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고, 입력된 상기 관련정보가 정확한 정보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전기제품(100)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22).
상기 원격장치(200)룰 통하여,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300)는 전송된 제 1,2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S23).
상기 상업용 전기제품(100)이 작동시작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100)에 구비된 조작부(130) 또는 상기 원격장치(200)의 입력부(230)를 통하여 스타트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30)에서 스타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스타트 명령은 상기 관리서버(300)에 전달되며, 상기 관리서버(300)는 매칭된 제 1,2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제품(100)의 작동 시작을 제어할 수 있다(S24).
상기 전기제품(10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 또는 작동 완료정보는 상기 원격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20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원격장치(200)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원격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된 소정의 명령은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달될 수 있다(S25,S26).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실시예는 요금이 결제된 후 상기 제 1,2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300)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우선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이 시작된 후 상기 원격장치(200)로부터 상기 관리서버(300)에 제 1,2 정보가 전송되고 제 1,2 정보의 매칭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을 준비하고, 상기 원격장치(200)를 통하여 제 1,2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수신한 제 1,2 정보를 상호 매칭 및 저장할 수 있다(S31,S32).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을 사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비용 결제여부가 판단된다. 상세히,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원격장치(200)를 통하여 비용이 결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며, 이를 위하여 경과시간이 적산된다(S33).
설정시간 내에 비용이 결제되었으면,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를 상기 원격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원격장치(200)를 통한 전기제품(100)의 모니터링 또는 작동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S35,S36,S37).
반면에, S34 단계에서 설정시간내에 비용이 결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제 1,2 정보의 매칭을 해제하며, 정보의 매칭이 해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매칭의 해제 알림은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장치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38).
그리고,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장치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비용 결제를 요청하는 메세지(영상 또는 음성)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용 결제에 따른 전기제품의 사용가능 여부가 사용자에게 피드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며, 시스템이 안정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39).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상업용 전기제품의 작동을 준비하고, 상기 원격장치(200)를 통하여 제 1,2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S41,S42).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을 사용하기 위하여 비용을 결제해 줄 것을 요청한다. 비용결제 요청은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장치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43).
비용이 결제되었으면, 상기 관리서버(300)에서 매칭된 제 1,2 정보는 상기 서버 메모리(33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비용이 결제되지 않으면, 비용결제 요청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S45).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정보를 상기 원격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원격장치(200)를 통한 전기제품(100)의 모니터링 또는 작동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용 결제후 전기제품의 작동 시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스템 사용에 관한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S46,S47,S48).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제품(101,102)과 상기 전기제품(101,102)을 관리하는 제 1 관리서버(301)및 제 2 관리서버(302)와, 상기 제 1,2 관리서버(301,302)를 통합 관리하는 메인 서버(400) 및 상기 메인 서버(4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원격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관리서버(301,302)는 각각 관리하는 전기제품이 구분될 수 있으며, 해당 전기제품의 작동정보, 작동완료정보, 현재상태 정보 또는 에러정보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400)는 상기 제 1,2 관리서버(301,302)가 인식하는 정보를 각각 수집하여 모든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격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등을 실행하여 상기 메인서버(4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서버(400)에 상기 전기제품(100)에 관한 제 1 정보 및 상기 원격장치(200)에 관한 제 2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400)로부터 전기제품의 작동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제품(100)의 모니터링 또는 작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0 : 네트워크 시스템 100 : 전기제품
120 : 제품 디스플레이부 130 : 조작부
150 : 정보표시부 200 : 원격장치
210 : 장치 통신부 220 : 장치 제어부
230 : 장치 메모리 250 : 인식장치
300 : 관리서버 310 : 서버 통신부
320 : 서버 제어부 330 : 서버 메모리

Claims (10)

  1.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에 관한 제 1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원격장치에 관한 제 2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가 매칭되며, 매칭된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매칭된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장치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을 위하여 비용이 결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가 매칭되는 단계는, 상기 비용이 결제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은 상기 비용이 결제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제 1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가 매칭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 이후에 수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가 매칭되는 단계는, 상기 비용이 결제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며,
    상기 비용이 설정시간 내에 결제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매칭은 해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매칭이 해제되면, 해제정보는 상기 전기제품 또는 원격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비용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및
    비용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의 매칭 또는 매칭된 정보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상기 전기제품에 표시된 정보를 촬상 또는 읽어내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또는 제 2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 또는 원격장치에 관한 제품코드 정보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연결되는 통신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10076388A 2011-04-18 2011-08-01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77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88A KR101770433B1 (ko) 2011-08-01 2011-08-01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PCT/KR2012/002885 WO2012144776A2 (ko) 2011-04-18 2012-04-16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4/001,784 US9367058B2 (en) 2011-04-18 2012-04-16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2774517.2A EP2701339B1 (en) 2011-04-18 2012-04-16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88A KR101770433B1 (ko) 2011-08-01 2011-08-01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44A KR20130014744A (ko) 2013-02-12
KR101770433B1 true KR101770433B1 (ko) 2017-08-22

Family

ID=4789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388A KR101770433B1 (ko) 2011-04-18 2011-08-01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4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44A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1339B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711382B2 (en) Self laundry system
JP2023062008A (ja) 電気的に動作する喫煙装置用の不良診断器具
KR101530280B1 (ko) 세탁물 중개 방법
WO2013171245A1 (en) Pump unit, pump unit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54852B1 (ko) 역방향 주문결제 방법
US10275746B1 (en) Remote controlled washer, dryer, laundry product dispenser and pay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2124845A (ja) 作業実績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実績管理方法
KR20180072931A (ko)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07335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결제장치 및 방법
KR101770433B1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4119807A (ja) 電子マネー決済装置および電子決済システム
JP7325832B2 (ja) 店舗管理装置、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KR20180126423A (ko)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8037615A1 (ja) 自動取引装置、通信端末、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9101817A (ja) 自動販売機および自動販売機システム
KR20140049636A (ko) 주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948607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KR101993271B1 (ko) 제휴 가맹점 정산용 입금전용기기를 이용한 가맹점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8032176A (ja) モバイル通信端末及び現金自動取引システム
KR101587992B1 (ko) 스마트 워싱 서비스 시스템
KR10123813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406858B2 (ja) 自動サービス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EP2930677A1 (en) Data transmission from a vending machine through customers' cellular devices
KR20120118366A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