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033B1 -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0033B1 KR101770033B1 KR1020150142693A KR20150142693A KR101770033B1 KR 101770033 B1 KR101770033 B1 KR 101770033B1 KR 1020150142693 A KR1020150142693 A KR 1020150142693A KR 20150142693 A KR20150142693 A KR 20150142693A KR 101770033 B1 KR101770033 B1 KR 101770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fixed
- contact
- pressing
- close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레일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부와, 레일부와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레일부를 지지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열에 의해 변형되는 레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기중기의 이동 불량을 방지하는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활차를 이용하여 일정 구간을 반복 이동하는 천장 기중기는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요한 물체를 이송시킨다. 천장 기중기는 고중량의 물체를 반복하여 이송시키기 때문에 이동 활차와 주행 레일 간에 상당한 마찰력이 발생되고, 하절기의 경우 공장 내의 온도 상승 등으로 인해 주행 레일이 열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1304호(2004.04.13. 공개, 발명의 명칭 : 주행 레일의 갭 조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레일의 변형을 억제하여 기중기의 이동 불량을 방지하는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레일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레일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를 지지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레일부에 밀착되는 밀착레일부;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는 밀착고정부; 및 상기 밀착레일부와 상기 밀착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레일부와 상기 밀착고정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밀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레일부는: 상기 레일부에 밀착되는 레일압박부; 및 상기 레일압박부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레일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조절부에 밀착되는 레일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를 압박하는 고정압박부; 및 상기 고정압박부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고정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조절부에 밀착되는 고정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고정압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는 고정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고정밀착부와 상기 고정압박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밀착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고정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조절부는: 상기 레일경사부와 상기 고정경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경사면과 상기 고정경사면에 접촉되는 대칭되는 한 쌍의 조절판부; 및 상기 조절판부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레일경사부와 상기 고정경사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는 밀착부가 레일부를 지지함으로써, 열에 의한 레일부의 변형 및 기중기의 이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는 밀착레일부와 밀착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조절부가 밀착레일부와 밀착고정부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레일부를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는 고정밀착부가 고정압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열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고정밀착부가 고정부에 면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는 고정탄성부가 고정밀착부와 고정압박부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고정밀착부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레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레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1)는 베이스부(10)와, 고정부(20)와, 밀착부(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구조물의 상부에 베이스부(10)가 장착되고, 베이스부(10)에는 레일부(10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중기가 레일부(100)를 따라 이동되면서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부(20)는 베이스부(10)에 설치되고, 레일부(100)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기중기 이동경로에 대응되도록 레일부(100)가 배치되고, 고정부(20)는 베이스부(10)에 고정되어 밀착부(30)를 지지한다.
밀착부(30)는 레일부(100)와 고정부(20) 사이에 배치된다. 밀착부(30)는 고정부(20)에 지지되면서 레일부(100)를 압박하여 레일부(100)의 뒤틀림을 억제한다. 즉, 레일부(100)는 베이스부(10) 또는 구조물 자체의 비틀림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밀착부(30)가 레일부(100)의 양측면을 압박하여 레일부(100)가 설계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베이스부(1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일 예로,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부(20)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레일부(100)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30)는 밀착레일부(40)와, 밀착고정부(50)와, 밀착조절부(60)를 포함한다.
밀착레일부(40)는 레일부(100)에 근접 배치되고, 밀착고정부(50)는 고정부(10)에 근접 배치되며, 밀착조절부(60)는 밀착레일부(40)와 밀착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된다. 밀착조절부(60)는 밀착레일부(40)와 밀착고정부(50)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로 인해, 밀착고정부(50)는 고정부(20)에 밀착되고, 밀착레일부(40)는 레일부(100)에 밀착되어, 레일부(100)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레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레일부(40)는 레일압박부(41)와 레일경사부(42)를 포함한다.
레일압박부(41)는 레일부(100)에 밀착된다. 일 예로, 레일압박부(41)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일측면이 레일부(100)와 면접촉될 수 있다.
레일경사부(42)는 레일압박부(41)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레일경사면(421)이 형성된다. 레일경사부(42)는 밀착조절부(60)에 밀착된다. 일 예로, 레일경사부(42)는 레일압박부(41)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고정부(50)는 고정압박부(51)와 고정경사부(52)를 포함한다.
고정압박부(51)는 고정부(20)를 압박한다. 일 예로, 고정압박부(51)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일측면이 고정부(20)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그 외, 고정압박부(51)는 매개물을 통해 고정부(20)와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고정경사부(52)는 고정압박부(51)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고정경사면(521)이 형성된다. 고정경사부(52)는 밀착조절부(60)에 밀착된다. 일 예로, 고정경사부(52)는 고정압박부(51)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고정부(50)는 고정밀착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밀착부(53)는 고정압박부(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고정부(20)에 밀착된다. 레일부(100) 또는 베이스부(10)의 비틀림에 의해 고정압박부(51)와 고정부(20)가 면접촉되기 어려운 경우, 고정밀착부(53)가 고정압박부(51)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밀착부(53)는 회전되어 고정부(20)와 면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밀착부(53)는 밀착판부(531)와, 밀착돌기부(532)와, 밀착나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판부(531)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여 고정부(20)와 면접촉될 수 있다. 밀착돌기부(532)는 밀착판부(531)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고, 나사홀부(539)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압박부(51)에는 압박핀부(519)가 형성되고, 압박핀부(519)가 나사홀부(539)에 삽입될 수 있다. 밀착돌기부(532)는 압박핀부(519)를 중심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고정압박부(51)에는 압박홈부(512)가 형성되고, 밀착돌기부(532)가 압박홈부(512)에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압박홈부(512)에 압박핀부(519)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나사부(533)는 고정압박부(51)에 형성되는 압박체결부(513)를 관통하여 나사홀부(539)에 체결될 수 있다. 밀착나사부(533)에 의해 밀착돌기부(532)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고정부(50)는 고정탄성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탄성부(54)는 고정압박부(51)와 고정밀착부(53)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밀착부(53)의 회전을 제한한다. 고정탄성부(54)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압박부(51)와 고정밀착부(53)간의 충돌에 의한 마모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탄성부(54)는 쐐기 형상을 하여 고정압박부(51)와 밀착핀부(531) 사이의 틈새로 압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에서 밀착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조절부(60)는 조절판부(61)와, 조절막대부(62)를 포함한다.
조절판부(61)는 레일경사부(42)와 고정경사부(52) 사이에 배치되고, 레일경사면(421)과 고정경사면(521)에 접촉된다. 한 쌍의 조절판부(61)는 대칭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조절막대부(62)는 한 쌍의 조절판부(61)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한 쌍의 조절판부(61) 간격이 조절되면, 레일경사부(42)와 고정경사부(52)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판부(61)는 레일경사면(421)과 고정경사면(521)에 접촉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할 수 있다. 조절막대부(62)는 한 쌍의 조절판부(61)를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고,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조절판부(61)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일부(100)와 이격되어 고정부(20)가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고정부(20)와 레일부(100) 사이에 밀착부(30)에 배치된다.
밀착부(30)는 레일부(100)에 밀착되는 밀착레일부(40)와, 밀착조절부(60)와, 고정부(20)에 밀착되는 밀착고정부(50)가 순차로 배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레일부(100)가 밀착부(30) 방향으로 변형되어 밀착레일부(40)를 밀어내는 경우, 밀착조절부(60)의 조절막대부(6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면, 한 쌍의 조절판부(61)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서 밀착레일부(40)와 밀착고정부(50)를 밀어낸다. 이로 인해, 밀착부(30) 자체 폭이 길어져 변형된 레일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 또는 레일부(100)의 변형으로 인해 밀착고정부(50)가 고정부(20)와 면접촉되지 못하는 경우, 고정압박부(51)에 장착되는 고정밀착부(53)를 회전시켜 고정부(20)와 면접촉시킬 수 있다.
즉, 밀착판부(531)에서 돌출되는 밀착돌기부(532)가 고정압박부(51)의 압박핀부(519)에 핀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밀착판부(531)가 고정부(20)와 면접촉된다. 이때, 밀착나사부(533)가 고정압박부(51)를 통해 밀착돌기부(532)에 체결되어 밀착돌기부(532)의 회전을 제한한다. 추가로, 탄성재질의 고정탄성부(54)가 고정압박부(51)와 밀착판부(531) 사이에 압입되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고 회전된 밀착판부(531)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1)는 밀착부(30)가 레일부(100)를 지지함으로써, 열에 의한 레일부(100)의 변형 및 기중기의 이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1)는 밀착레일부(40)와 밀착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조절부(60)가 밀착레일부(40)와 밀착고정부(50)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레일부(100)를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1)는 밀착판부(531)가 고정압박부(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열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밀착판부(531)가 고정부(20)에 면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1)는 고정탄성부(54)가 밀착판부(531)와 고정압박부(51)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밀착판부(531)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20 : 고정부
30 : 밀착부 40 : 밀착레일부
41 : 레일압박부 42 : 레일경사부
50 : 밀착고정부 51 : 고정압박부
52 : 고정경사부 53 : 고정밀착부
54 : 고정탄성부 60 : 밀착조절부
61 : 조절판부 62 : 조절막대부
100 : 레일부
30 : 밀착부 40 : 밀착레일부
41 : 레일압박부 42 : 레일경사부
50 : 밀착고정부 51 : 고정압박부
52 : 고정경사부 53 : 고정밀착부
54 : 고정탄성부 60 : 밀착조절부
61 : 조절판부 62 : 조절막대부
100 : 레일부
Claims (8)
-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레일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레일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를 지지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레일부에 밀착되는 밀착레일부;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는 밀착고정부; 및
상기 밀착레일부와 상기 밀착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레일부와 상기 밀착고정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밀착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레일부는
상기 레일부에 밀착되는 레일압박부; 및
상기 레일압박부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레일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조절부에 밀착되는 레일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를 압박하는 고정압박부; 및
상기 고정압박부에서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고정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조절부에 밀착되는 고정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고정압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는 고정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고정밀착부와 상기 고정압박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밀착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고정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조절부는
상기 레일경사부와 상기 고정경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경사면과 상기 고정경사면에 접촉되는 대칭되는 한 쌍의 조절판부; 및
상기 조절판부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레일경사부와 상기 고정경사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693A KR101770033B1 (ko) | 2015-10-13 | 2015-10-13 |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693A KR101770033B1 (ko) | 2015-10-13 | 2015-10-13 |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3223A KR20170043223A (ko) | 2017-04-21 |
KR101770033B1 true KR101770033B1 (ko) | 2017-08-21 |
Family
ID=5870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2693A KR101770033B1 (ko) | 2015-10-13 | 2015-10-13 |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003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639760U (zh) * | 2013-11-22 | 2014-06-11 | 四川大学 | 可连续性调高且便于安装的自锁式铁路扣件 |
JP2015074959A (ja) | 2013-10-11 | 2015-04-20 |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 レール締結装置 |
-
2015
- 2015-10-13 KR KR1020150142693A patent/KR101770033B1/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4959A (ja) | 2013-10-11 | 2015-04-20 |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 レール締結装置 |
CN203639760U (zh) * | 2013-11-22 | 2014-06-11 | 四川大学 | 可连续性调高且便于安装的自锁式铁路扣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3223A (ko) | 2017-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8591B1 (ko) | 고정 장치, 기기의 고정 구조, 기기의 고정 방법 | |
US20120138764A1 (en) | Clamp for a plate element, especially for a photovoltaic module | |
RU2398925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поры датчиков или коммутационных средств на рельсах | |
KR101025355B1 (ko) | 절삭 인서트 고정장치 | |
US20200282492A1 (en) | Method for ultrasonic welding | |
KR101600069B1 (ko) | 수직형 스프링 가압장치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 |
KR101614942B1 (ko) | 박판용접용 정밀 클램프 지그 | |
JP2019031223A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
KR101671420B1 (ko) | 용접 모재의 열팽창을 완충할 수 있는 육성 용접 장치 | |
KR20180081544A (ko) | 캐리지 스티어링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발전기의 회전자를 서비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US20180255654A1 (en) | Bracket for fixing electronic device and mechanism for fixing electronic device | |
KR101770033B1 (ko) | 기중기용 레일 지지장치 | |
RU2670844C9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 |
KR20170117765A (ko) |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 |
KR20140003819U (ko) | 반목용 높이조정장치 | |
JP2010190251A (ja) | パッド装着機構 | |
AU2005328279B2 (en) | Oscillation absorber system | |
TWI682086B (zh) | 用以將軌側模組固定到軌道之裝置 | |
US20120248673A1 (en) | Point-welding clamp | |
KR100524616B1 (ko) | 박판용접용 고정장치 | |
KR200197153Y1 (ko) | 스크린대차의 레일조임장치 | |
KR200337265Y1 (ko) | 이동차 레일의 고정장치 | |
KR101271046B1 (ko) | 백킹재 부착 기구 | |
KR101697233B1 (ko) | 브리지 베어링 | |
KR101632191B1 (ko) | 전력용 반도체 분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