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687B1 -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687B1
KR101769687B1 KR1020150174837A KR20150174837A KR101769687B1 KR 101769687 B1 KR101769687 B1 KR 101769687B1 KR 1020150174837 A KR1020150174837 A KR 1020150174837A KR 20150174837 A KR20150174837 A KR 20150174837A KR 101769687 B1 KR101769687 B1 KR 10176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electrode
materials
region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076A (ko
Inventor
김주용
최민기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687B1/ko
Priority to PCT/KR2016/012374 priority patent/WO2017099359A1/ko
Priority to US15/339,569 priority patent/US10535475B2/en
Publication of KR2017006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4Electrod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materials making up or comprised in the electrodes, e.g. form, surface area or porosit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powders or particle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6Solid electrolytes, e.g. gels;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2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81Serial interconnection of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45Multimode batteries, e.g. containing auxiliary cells or electrodes switchable in parallel or serie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은 (a) 제 1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전극용 집전부에 제 1 유무기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배치된 제 1 유무기 재료의 상부에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을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에 제 2 유무기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치된 제 2 유무기 재료의 상부에 제 3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제 1 유무기 재료와 제 2 유무기 재료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ELECTRIC·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렬과 병렬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랙서블 캐패시터형 소자의 경우, 1개 내외의 독립 소자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주문 제작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종래의 플렉서블 소자를 제조하는 측면에서는 Roll to Roll 등의 연속형 공정을 사용하는데 구조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자 측면에서는 플렉서블 소자를 사용할 때, 필요한 사용 전압 및 사용 전류 등을 고려하여, 일정 필요 갯수를 연결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의 대량 생산과 가격 경쟁력 확보 및 소비자 맞춤형으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의 대량 생산과 가격 경쟁력 확보 및 소비자 맞춤형으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은 (a) 제 1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전극용 집전부에 제 1 유무기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배치된 제 1 유무기 재료의 상부에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을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에 제 2 유무기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치된 제 2 유무기 재료의 상부에 제 3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제 1 유무기 재료와 제 2 유무기 재료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은 (a) 하부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하부 전극용 집전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유무기 재료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치된 복수의 유무기 재료의 상부에 상부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전극용 집전부와 상부 전극용 집전부는 상기 복수의 유무기 재료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과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은 (a) 제 1 전극용 집전부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배치된 제 1 전극용 집전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 1 유무기 재료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배치된 복수의 제 1 유무기 재료들의 상부에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을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에 상기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 2 유무기 재료들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치된 복수의 제 2 유무기 재료들의 상부에 제 3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 1 유무기 재료들과 제 2 유무기 재료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과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전극용 집전부, 상기 배치된 제 1 전극용 집전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유무기 재료, 상기 배치된 복수의 제 1 유무기 재료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에 상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유무기 재료, 상기 배치된 복수의 제 2 유무기 재료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제 3 전극용 집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 1 유무기 재료들과 제 2 유무기 재료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소자의 제조 측면에서는 Roll to Roll 등의 연속형 공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격 경쟁력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는 사용 전압 및 전류에 따라서 임의의 필요 개수를 별도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플렉서블 염료 감응 태양 전지 또는 플레서블 배터리 제조 공정 등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를 제조하는 다양한 공정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소자는 직렬 연결 구조의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이하, ‘직렬 연결 소자’라 칭함)(100)로서 제 1 전극용 집전부(111), 제 2 전극용 집전부(112), 제 3 전극용 집전부(113), 제 4 전극용 집전부(114) 및 복수의 유무기 재료들(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용 집전부들(111, 112, 113, 114)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유무기 재료들(121, 122, 123)의 양극 또는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와 제 3 전극용 집전부(113)는 서로 인접한 유무기 재료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용 집전부(111)와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일부 영역(112a)(이하 ‘제 1 영역’이라 칭함) 사이에 제 1 유무기 재료(12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용 집전부(111)가 양극 집전부인 경우,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제 1 영역(112a)은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다른 일부 영역(112b)(이하 ‘제 2 영역’이라 칭함)과 제 3 전극용 집전부(113)의 일부 영역(113a)(이하 ‘제 1 영역’이라 칭함) 사이에 제 2 유무기 재료(122)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제 2 영역(112b)이 양극 집전부인 경우, 제 3 전극용 집전부(113)의 제 1 영역(113a)은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즉, 제 2 전극용 집전부(112)는 서로 인접한 제 1 유무기 재료(121)와 제 2 유무기 재료(122)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제 1 유무기 재료(121)의 음극 집전부와 제 2 유무기 재료(122)의 양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3 전극용 집전부(113)의 다른 일부 영역(113b)(이하 ‘제 2 영역’이라 칭함)과 제 4 전극용 집전부(114) 사이에 제 3 유무기 재료(12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 3 전극용 집전부(112)는 서로 인접한 제 2 유무기 재료(122)와 제 3 유무기 재료(123)에 대하여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제 2 유무기 재료(122)의 음극 집전부와 제 3 유무기 재료(123)의 양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 소자(100)에 실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3개의 유무기 재료(121, 122, 123)가 직렬 연결로 연속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직렬 연결로 연속되는 유무기 재료의 수는 얼마든지 증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소자는 병렬 연결 구조의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이하, ‘병렬 연결 소자’라 칭함)(200)로서 상부 전극용 집전부(211), 하부 전극용 집전부(212) 및 복수의 유무기 재료들(221, 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용 집전부들(211, 212)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유무기 재료들(221, 222, 223)의 양극 또는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극용 집전부(211)와 하부 전극용 집전부(21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유무기 재료들(221, 222, 223)이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전극용 집전부(211)와 하부 전극용 집전부(212)는 복수의 유무기 재료들(221, 222, 223)에 대하여 각각 음극 집전부 및 양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병렬 연결 소자(200)에는 실시예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3개의 유무기 재료(221, 222, 223)가 병렬 연결로 연속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병렬 연결로 연속되는 유무기 재료의 수는 얼마든지 증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소자는 도 1에 도시된 직렬 연결 소자(100)와 도 2에 도시된 병렬 연결 소자(200)를 결합한 직렬과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소자(이하, ‘직렬병렬 소자’라 칭함)(300)로서, 필름 또는 텍스타일 원단 등의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구조이다.
직렬병렬 소자(300)의 A-A’ 단면은 직렬 연결 소자(100)의 형태를 보이며, B-B’ 단면은 병렬 연결 소자(200)의 형태를 보일 수 있다.
즉,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무기 재료들은 직렬 연결 소자(10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무기 재료들은 병렬 연결 소자(200)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별개의 소자들을 연결할 필요 없이, 작업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에 따라서 필요한 만큼의 직렬 연결 소자(310) - 직렬 연결로 연속되는 복수의 유무기 재료를 포함함 - 를 분리하거나, 필요한 만큼의 병렬 연결 소자(320) - 병렬 연결로 연속되는 복수의 유무기 재료를 포함함 - 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직렬 연결 소자(100), 병렬 연결 소자(200) 및 직렬병렬 소자(3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직렬 연결 소자(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 상 직렬 연결로 연속되는 2개의 유무기 재료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 1 전극용 집전부(111)를 배치한다(S401).
S401 후, 제 1 전극용 집전부(111)에 제 1 유무기 재료(121)를 배치한다(S402).
여기서, 제 1 전극용 집전부(111)는 제 1 유무기 재료(121)의 양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S402 후, 배치된 제 1 유무기 재료(121)의 상부에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제 1 영역(112a)을 배치하여 적층한다(S403).
여기서,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제 1 영역(112a)은 제 1 유무기 재료(121)의 상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넓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유무기 재료(121)의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S403 후,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제 2 영역(112b)에 제 2 유무기 재료(122)를 배치한다(S404).
여기서, 제 2 전극용 집전부(112)의 제 2 영역(112b)은 제 2 유무기 재료(122)의 하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넓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전극용 집전부(112)는 서로 인접한 제 1 유무기 재료(121)와 제 2 유무기 재료(122)에 대하여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제 1 유무기 재료(121)의 음극 집전부와 제 2 유무기 재료의 양극 집전부(122)가 될 수 있다.
S404 후, 배치된 제 2 유무기 재료(122)의 상부에 제 3 전극용 집전부(113)를 배치하여 적층한다(S405).
S405 후, 직렬 연결 소자(100)에 실링을 수행한다(S406).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병렬 연결 소자(2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 상 병렬 연결로 연속되는 3개의 유무기 재료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부 전극용 집전부(212)를 배치한다(S501).
S501 후, 하부 전극용 집전부(212)에 일정 간격으로 3개의 유무기 재료들(221, 222, 223)을 각각 배치한다(S502).
S502 후, 배치된 3개의 유무기 재료(221, 222, 223)의 상부에 상부 전극용 집전부(211)를 배치하여 적층한다(S503).
여기서, 하부 전극용 집전부(212)는 3개의 유무기 재료(221, 222, 223)의 양극 집전부가 되고, 상부 전극용 집전부(211)는 3개의 유무기 재료(221, 222, 223)의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S503 후, 병렬 연결 소자(200)에 실링을 수행한다(S504).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흐름도는 도 3에 도시된 직렬병렬 소자(3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 상 병렬 연결로 연속되는 5개의 유무기 재료와 직렬 연결로 연속되는 2개의 유무기 재료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 1 전극용 집전부를 세로 방향으로 배치한다(S601).
S601 후, 배치된 제 1 전극용 집전부에 일정 간격으로 5개의 제 1 유무기 재료들을 배치한다(S602).
여기서, 제 1 전극용 집전부는 5개의 제 1 유무기 재료들의 양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S602 후, 배치된 5개의 제 1 유무기 재료들의 상부에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을 배치하여 적층한다(S603).
여기서,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은 제 1 유무기 재료들의 상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넓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유무기 재료들의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S603 후,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5개의 제 2 유무기 재료들 배치한다(S604).
여기서,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은 제 2 유무기 재료들의 하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넓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유무기 재료들의 양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극용 집전부는 서로 인접한 제 1 유무기 재료들과 제 2 유무기 재료들에 대하여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제 1 유무기 재료들의 음극 집전부와 제 2 유무기 재료들의 양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S604 후, 배치된 5개의 제 2 유무기 재료들의 상부에 제 3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여 적층한다(S605).
여기서, 제 3 전극용 집전부는 5개의 제 2 유무기 재료들의 음극 집전부가 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과정을 플렉서블 염료 감응 태양 전지를 제조 시 적용하는 경우, 상대 전극 및 겔 전해질이 제 1 유무기 재료 및 제 2 유무기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음극 집전부 상단에 광전극 및 염료가 배치될 수 있다.
음극 집전부 상단에 광전극 및 염료를 배치하는 실시예로서, 실링을 수행하기 전 공정을 모두 마친 후 각 음극 집전부 상단에 광전극 및 염료를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유무기 재료의 상부에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여 적층한 후 해당 전극용 집전부 상단에 광전극 및 염료를 배치할 수 있다.
즉, S603 후와 S605 후에 각각 광전극 및 염료를 배치할 수 있다.
S605 후, 직렬병렬 소자(300)에 실링을 수행한다(S60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플렉서블 캐패시터형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플렉서블 염료 감응 태양 전지 제조 공정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로서, 양극 집전부와 음극 집전부 사이에 상대 전극 및 겔 전해질을 배치하고, 음극 집전부 상단에 광전극 및 염료를 배치할 수 있다.
도 7의 (b)는 플렉서블 배터리 제조 공정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로서, 양극 집전부와 음극 집전부 사이에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 및 겔 전해질을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직렬 연결 소자
111, 112, 113, 114 : 전극용 집전부
121, 122, 123 : 유무기 재료
200 : 병렬 연결 소자
211 : 상부 전극용 집전부 212 : 하부 전극용 집전부
221, 222, 223 : 유무기 재료
300 : 직렬병렬 소자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직렬과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전극용 집전부를 제 1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배치된 제 1 전극용 집전부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 1 재료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배치된 복수의 제 1 재료들의 상부에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을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의 상부에 상기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 2 재료들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치된 복수의 제 2 재료들의 상부에 제 3 전극용 집전부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유기 또는 무기 재료이며,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 1 재료들과 제 2 재료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재료들, 제 2 재료들 각각은 병렬 연결 소자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는 직렬 연결 소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용 집전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재료들의 양극 집전부가 되고,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재료들의 음극 집전부가 되며,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2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2 재료들의 양극 집전부가 되고, 상기 제 3 전극용 집전부는 상기 제 2 재료들의 음극 집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제조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f) 음극 집전부인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 및 제 3 전극용 집전부에 광전극과 염료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는 상대 전극 및 겔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음극 집전부인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에 광전극과 염료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제 3 전극용 집전부에 광전극과 염료를 배치하여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는 상대 전극 및 겔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제조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는 양극 활물질, 겔 전해질 및 음극 활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제조 방법.
  12. 직렬과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전극용 집전부;
    상기 제 1 전극용 집전부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재료;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복수의 제 1 재료들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영역의 상부에 복수의 제 2 재료들이 배치되어 적층되는 제 2 전극용 집전부;
    상기 복수의 제 2 재료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 전극용 집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유기 또는 무기 재료이며,
    상기 제 2 전극용 집전부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 1 재료들과 제 2 재료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집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과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는
    직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소자로서 상기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가 연속으로 포함되도록 분리되거나,
    병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소자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재료 또는 제 2 재료가 연속으로 포함되도록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KR1020150174837A 2015-12-09 2015-12-09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37A KR101769687B1 (ko) 2015-12-09 2015-12-09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6/012374 WO2017099359A1 (ko) 2015-12-09 2016-10-31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5/339,569 US10535475B2 (en) 2015-12-09 2016-10-31 Electric/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37A KR101769687B1 (ko) 2015-12-09 2015-12-09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076A KR20170068076A (ko) 2017-06-19
KR101769687B1 true KR101769687B1 (ko) 2017-08-21

Family

ID=5901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837A KR101769687B1 (ko) 2015-12-09 2015-12-09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35475B2 (ko)
KR (1) KR101769687B1 (ko)
WO (1) WO2017099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0582B (zh) * 2020-06-16 2022-11-15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高电压电化学电容器、制备方法及其储能模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771A (ja) 2010-04-09 2011-11-04 Jsr Corp 蓄電デバイス、デバイスモジュール、及び製造方法
JP5212470B2 (ja) * 2008-10-03 2013-06-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体、全固体型電池素子および全固体型電池
JP2013153013A (ja) * 2012-01-24 2013-08-08 Tdk Corp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用電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579A (en) * 1984-01-30 1985-04-30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Large area photovoltaic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0745483A (ja) * 1993-07-31 1995-02-14 Nagano Japan Radio Co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2002151365A (ja) * 2000-11-10 2002-05-24 Ngk Insulators Ltd 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461686B2 (ja) * 2003-02-13 2010-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WO2004088783A1 (ja) * 2003-03-31 2004-10-14 Tokyo Gas Company Limited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モジュールの作製方法
FR2943854B1 (fr) * 2009-03-26 2011-06-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atterie bipolaire a fonctionnement ameliore
JP2012119189A (ja) * 2010-12-01 2012-06-21 Sekisui Chem Co Ltd 光電極及び色素増感太陽電池
KR101367754B1 (ko) * 2011-07-07 2014-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417524B1 (ko) * 2012-12-28 2014-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루프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2470B2 (ja) * 2008-10-03 2013-06-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体、全固体型電池素子および全固体型電池
JP2011222771A (ja) 2010-04-09 2011-11-04 Jsr Corp 蓄電デバイス、デバイスモジュール、及び製造方法
JP2013153013A (ja) * 2012-01-24 2013-08-08 Tdk Corp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用電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076A (ko) 2017-06-19
US20170169961A1 (en) 2017-06-15
WO2017099359A1 (ko) 2017-06-15
US10535475B2 (en)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980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 툴
US20160043375A1 (en) Stacked-type secondary battery
JP3596537B2 (ja) 薄型電池の接続構造及び組電池
KR10206513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524759A5 (ko)
KR20140100098A (ko) 배터리 팩
US10396392B2 (en) Electrochemical cell
EP2874204B1 (en) Battery assembly
KR102309630B1 (ko) Icb 조립체,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8643B1 (ko) 리세스 홈이 형성된 배터리 셀의 제작방법
CA2894906C (en) Electricity charging/discharging device with multiple-sided electric conductive terminals
US20180233721A1 (en) 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with polymer frame for battery cell components
EP3583651A1 (en) 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with internal series connection stacking
CN110050374A (zh) 电极组件及制造该电极组件的方法
KR101769687B1 (ko) 연속형 전기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P2413370A3 (en) Solar cell and electrode structure therefor
JP5524081B2 (ja) シールドモノリシック電気化学システム
CN107171017A (zh) 一种卷绕‑堆叠式电池
KR101683974B1 (ko)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ES2613079T3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a célula bipolar y una batería bipolar
KR102404239B1 (ko) Icb 조립체,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RU168023U1 (ru) Планарная батарея источников тока
KR20170100983A (ko) 플렉서블 전지셀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JP2008103593A (ja) 多層平面積層型電力貯蔵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43585B1 (ko) 플렉서블 전극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