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295B1 -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295B1
KR101769295B1 KR1020160182980A KR20160182980A KR101769295B1 KR 101769295 B1 KR101769295 B1 KR 101769295B1 KR 1020160182980 A KR1020160182980 A KR 1020160182980A KR 20160182980 A KR20160182980 A KR 20160182980A KR 101769295 B1 KR101769295 B1 KR 10176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eight
pressure
air suspension
measur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호
Original Assignee
동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in motion
    • G01G19/02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in motion us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중량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체 프레임을 따라 다수 개의 축이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에 복수 개의 중량 측정수단인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각각 배치하며,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통해 차량 중량을 측정하여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of weight in motion}
본 발명은 차량 중량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프레임을 따라 다수 개의 축이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에 복수 개의 중량 측정수단인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각각 배치하며,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통해 차량 중량을 측정하여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 인프라 정비가 불충분한 고도 성장기에는 경제 발전을 지지하는 중요한 테마로써 교통 용량의 확대나 효율적인 활용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져 교통 관리에 필요한 교통량, 평균속도, 점유율(주로 시간 점유율) 등의 계측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도로 활용의 최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지금까지와 같이 교통정보의 수집은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지만, 구축된 도로 인프라의 유지관리라고 하는 새로운 과제가 도로 관리자에게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로의 유지관리는 도로관련 사회간접자본과 국가 경제적 측면, 교통에 영향, 도로안전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도로상에서 운행하는 대형차량의 중량을 계측하여 도로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중량계측은 정지 또는 저속상태에서 계측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주행중 차량의 중량을 높은 정확도로 계측할 수 있는 동적 중량계측 기술의 개발이 필수가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 차량에 센서가 부착되어 차량의 중량이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는 방식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식 중 하나로 종래 공개특허 제10-2012-0056503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에 스트레인게이지를 설치하여 차량의 적재중량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스트레인게이지는 판스프링과 면접촉되도록 접착되어 동일하게 변형되는 것으로, 판스프링의 변형량이 클 경우, 접촉면적의 변형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가 판스프링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행 중, 충격에 의해 분리되어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 서스펜션에 압력를 측정하는 센서가 부착되는 방식의 차량은 에어 서스펜션의 재질 특성상 환경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여 반응속도가 느려지거나,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로 인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정확한 측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068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63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중량측정을 위해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는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이 조합된 자동차에,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서스펜션에 의해 측정되는 차량중량값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하게 하고,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서스펜션에 차량 소유주가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이 배치되는 각각의 축에 식별코드를 두어 상기 판스프링 또는 에어 서스펜션을 통해 차량 중량이 측정되면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보통 화물차 차량의 종류에 따라 또는 차량 제작사의 정책에 따라 차량에 형성되는 축의 갯수와 상기 축의 갯수에 따라 설치되는 중량측정수단의 갯수 및 위치가 달라지는데, 상기 차량 소유주는 자신 차량의 각 축에 필요한 중량측정수단을 장착한후 상기 중량측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 단말을 통해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에 형성된 축의 갯수와 상기 해당 축에 장착된 판스프링용 혹은 에어 서스펜션에 해당하는 중량측정수단을 직접 선택함으로써 어떠한 차량이라도 용이하게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 프레임을 따라 다수 개의 축이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에 복수 개의 중량 측정수단인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각각 배치하며,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통해 차량 중량을 측정하여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각 바퀴가 위치되는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각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판스프링,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양단부가 상기 판스프링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스트레인게이지, 상기 차체프레임을 따라 축이 다수 개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 사이에 상호 압력 발란스가 유지되도록 한 쌍 이상 구비된 에어 서스펜션, 상기 에어 서스펜션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압력측정수단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수단의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압력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에 해당하는 값에 해당하는 특성값을 제공받아 연산하며, 상기 연산하여 산출된 차량총중량을 저장한 후,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통신 가능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모니터 단말과 통신되고, 상기 차량총중량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체 프레임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축은 상기 차량에 좌, 우로 배치된 한 쌍의 바퀴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는 각각 한 쌍의 판 스프링 또는 한 쌍의 에어 서스펜션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축의 상단에는 상기 바퀴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축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위치에 상기 차량의 균형을 잡아주는 밸런스에어를 더 배치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바퀴를 연결하는 각 축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코드를 설정하고, 상기 각 축에 구비된 중량측정수단이 판스프링인지 에어 서스펜션인지의 여부를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부는 판스프링에 고정된 각각의 고정위치가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고, 차량 무게 변화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의 변형 시, 동일하게 변형되어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양단부 이격거리보다 넓은 이격거리를 제공함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화량을 증대시켜 측정한다.
상기 압력측정수단은 각 에어 서스펜션의 공기 입력부위와 배출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 입력부위 압력과 배출부위의 압력을 측정하여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값을 연산하되,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값은 상기 측정된 공기 입력부위 압력과 상기 측정된 공기 배출부위 압력의 평균값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압력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값에 해당하는 특성값이 저장된 특성값저장부와, 상기 특성값으로 상기 에어 서스펜션 압력값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변화량을 보상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상된 에어 서스펜션 압력값 및 스트레인게이지 변화량을 사용해 차량총중량을 연산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와 통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차량에 구비된 축의 갯수와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및 초기설정이 가능한 아이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선택 및 초기 설정이 가능한 아이콘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 단말기를 통해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아이콘 데이터는 상기 차량에 형성된 축의 갯수 선택메뉴 데이터이다.
상기 축의 갯수 선택이 완료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 종류의 선택 또는 설정이 가능한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또는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전송받은 각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 정보를 상기 각 축의 식별코드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상기 축과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및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각 축에 해당하는 차량총중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와 측정센서는 상기 압력측정수단 또는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차량의 중량이 측정되는 경우에만 작동되고, 차량의 중량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모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중량 측정 장치는 차체프레임에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이 차량 소유주에 의해 별도로 설치되도록하되,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이 배치되는 각각의 축에 식별코드를 두고, 상기 차량 중량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모니터 단말을 통해 해당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장치에 대한 직접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측정된 차량중량 데이터가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어 주기적으로 차량중량의 확인 가능한 양방향성 모니터링 시스템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의 스트레인게이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서스펜션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의 스트레인게이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서스펜션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을 따라 다수 개의 축이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에 복수 개의 중량 측정수단인 판스프링(100)과 에어 서스펜션(300)을 각각 배치하며, 상기 판스프링(100)과 에어 서스펜션(300)을 통해 차량 중량을 측정하여 모니터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상기 차량에는 각 바퀴가 위치되는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각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판스프링(100)과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양단부가 상기 판스프링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스트레인게이지(1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측정센서(150)는 스트레인게이지(120)가 포함된 판스프링(100)과 연결되어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측정센서가 구비되는 위치는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을 따라 축이 다수 개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 사이에 상호 압력 발란스가 유지되도록 한 쌍 이상 구비된 에어 서스펜션(300)과 상기 에어 서스펜션(300)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 서스펜션(30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20)가 구비된 압력측정수단(310)이 더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20)의 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수단(310)의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2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압력측정수단(31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에 해당하는 값에 해당하는 특성값을 제공받아 연산하며, 상기 연산하여 산출된 차량총중량을 저장한 후, 상기 모니터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00)와 통신 가능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400)와 모니터 단말(200)과 통신되고, 상기 차량총중량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 단말(200)에는 각 축마다 측정된 중량값을 나타내는 중량 데이터가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가능하고, 총 합산된 차량총중량 데이터도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차체 프레임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축은 상기 차량에 좌, 우로 배치된 한 쌍의 바퀴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바퀴를 연결하는 축(A)에는 각각 한 쌍의 판 스프링(100)이나 한 쌍의 에어 서스펜션(30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바퀴를 연결하는 각각의 축에 식별 가능한 식별코드를 설정하고, 상기 각 축에 구비된 중량측정수단이 판스프링(100)인지 에어 서스펜션(300)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한다.
차량의 무게를 재는 경우, 각 축(A)마다 무게를 따로 측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각 축에 식별번호를 설정함으로써 각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중량값이 상기 모니터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판스프링(100) 또는 에어 서스펜션(300)에 결함이나 문제가 생기는 경우, 위치를 빠르고 정확히 파악하여 수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양단부는 판스프링(100)에 고정된 각각의 고정위치가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고, 차량 무게 변화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100)의 변형시, 동일하게 변형되어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20)의 양단부 이격거리보다 넓은 이격거리를 제공함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120)의 변화량을 증대시켜 측정한다.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에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20)를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설치하기 위한 스틸판의 연결부재(130)가 더 포함되고, 제1 연결부재(131)와 제2 연결부재(132)로 구성되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격된 부위에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20)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측정수단(310)은 각 에어 서스펜션의 공기 입력부위와 배출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 입력부위 압력(311)과 배출부위의 압력(312)을 측정하여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값을 연산하되, 상기 에어 서스펜션(300)의 압력값은 상기 측정된 공기 입력부위 압력과 상기 측정된 공기 배출부위 압력의 평균값이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상기 압력측정수단(310)에 의해 측정된 에어 서스펜션(300)의 압력값에 해당하는 특성값이 저장된 특성값저장부(600)와 상기 특성값으로 상기 에어 서스펜션 압력값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변화량을 보상하는 보상부(700) 및 상기 보상된 에어 서스펜션 압력값 및 스트레인게이지 변화량을 사용해 차량총중량을 연산하는 연산부(80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차량 총 중량이 연산된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20)를 사용해 상기 판스프링(100)의 변형율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중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상기 특허문헌 1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서술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에어 서스펜션(300)과 함께 구비되는 압력측정수단(310)을 통해 산출된 압력값을 상기 압력값에 해당하는 특성값으로 변환하고, 보상하여 차량총중량을 연산하는 방법은 상기 특허문헌 2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서술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400)와 통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해당 차량에 구비된 축의 갯수와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및 초기설정이 가능한 아이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선택 및 초기 설정이 가능한 아이콘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 단말(200)을 통해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아이콘 데이터는 상기 차량에 형성된 축의 갯수 선택메뉴 데이터이다.
보통 화물차 차량의 종류에 따라 또는 차량 제작사의 정책에 따라 차량에 형성되는 축의 갯수와 상기 축의 갯수에 따라 설치되는 중량측정수단인 판스프링과 에어서스팬션의 갯수와 위치가 달라지게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초기 설정을 위해 차량 소유주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차량의 소유주는 상기 모니터 단말(200)을 통해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에 형성된 축의 갯수와 상기 해당 축에 장착된 중량측정수단이(100,300) 판스프링(100)용인지 에어 서스펜션(300)인지의 해당 여부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축의 갯수는 상기 차량에 형성된 바퀴의 갯수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축의 갯수 선택이 완료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각각의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 종류의 선택 또는 설정 가능한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또는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부터 전송받은 각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 정보를 상기 각 축의 식별코드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이때, 상기 중량측정수단의 설정은 초기화 설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과 중량측정수단(100,300)의 선택 및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각 축에 해당하는 차량총중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양방향성 시스템인 것을 알 수 있다.
일 예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퀴가 6쌍으로 형성된 5톤(t) 이상의 트럭에 중량측정수단인 판스프링(100) 또는 에어 서스펜션(300)이 설치되어 차량 중량측정이 가능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운전석을 앞이라 하고, 상기 앞과 가까운 부분부터 1축, 2축, 3축, 4축, 5축, 6축이라 가정하고, 상기 중량측정수단으로 상기 1축에는 판스프링(100)이 형성되고, 상기 2축 및 3축에는 판스프링(100)이 형성되며, 4축에는 에어 서스펜션(300)이 형성되며, 5축 및 6측에는 판스프링(1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100)은 각 바퀴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거나, 상기 양 측에 형성된 바퀴의 이격된 거리에 한 개의 판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2축과 3축, 5축과 6축과 같이 인접한 축에 장착된 각각의 판 스프링(100)은 하나의 판 스프링(100)으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축에 장착된 중량측정수단을 통해 각각 한 축씩 중량을 측정하여 합한 값이 차량 총 중량이 된다.
이때, 상기 4축에 형성된 에어 서스펜션(300)을 통해 측정된 압력에 따른 압력값에 해당되는 특성값과 보상값을 통해 중량값으로 변환되고, 상기 1축과 2축, 3축, 5축 및 6축에 형성된 판스프링(100)을 통해 길에 변화량에 따른 측정값을 보상하여 중량값으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두 중량값이 연산부(800)를 통해 연산되어 차량 총 중량이 산출된다.
또한, 상기 압력측정센서에 구비된 압력센서와 판스프링에 구비된 측정센서는 상기 압력측정수단 또는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차량의 중량이 측정되는 경우에만 작동되고, 차량의 중량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모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슬립모드란 차량 중량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게 되는 절전모드 상태를 말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중량측정수단의 형성 위치나 축의 순서는 일 예일뿐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축의 상단에는 상기 바퀴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축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차량의 균형을 잡아주는 밸런스에어가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중량측정장치 100 : 판스프링
110 : 고정프레임 120 : 스트레인게이지
150 : 측정센서 200 : 모니터 단말
300 : 에어 서스펜션 310 : 압력측정수단
320 : 압력센서 400 : 제어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특성값저장부
700 : 보상부 800 : 연산부

Claims (10)

  1. 차체 프레임을 따라 다수 개의 축이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에 복수 개의 중량 측정수단을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각각 배치하며, 상기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통해 차량 중량을 측정하여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종류에 따라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각 축의 갯수가 서로 다른 차량에 대해, 해당 차량에 해당하는 중량측정수단을 선택하여 해당위치에 장착함에 따라 축의 갯수나 판스프링과 에어 서스펜션의 구성이 다른 차량이라도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에는 각 바퀴가 위치되는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각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판스프링;과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양단부가 상기 판스프링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차체프레임을 따라 축이 다수 개 형성되고, 각 축과 차체프레임 사이에 상호 압력 발란스가 유지되도록 한 쌍 이상 구비된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에서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에어 서스펜션를 구비한 축의 갯수를 확인하고, 상기 축의 갯수에 맞추어 상기 중량측정수단을 구비하여 장착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스트레인 게이지;와
    상기 에어 서스펜션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압력측정수단;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수단의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압력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에 해당하는 값에 해당하는 특성값을 제공받아 연산하며, 상기 연산하여 산출된 차량총중량을 저장한 후,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통신 가능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모니터 단말과 통신되고, 상기 차량총중량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바퀴를 연결하는 각각의 축에 식별 가능한 식별코드를 설정하고,
    상기 각 축이 판스프링인지 에어 서스펜션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통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차량에 구비된 축의 갯수와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및 초기설정이 가능한 아이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아이콘 데이터를 통해 해당차량 축의 갯수와 장착한 중량측정수단을 설정하도록 하며, 상기 축의 갯수는 선택메뉴를 통해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축의 갯수 선택이 완료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 종류의 선택 또는 설정이 가능한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여 각 축에 형성된 중략측정수단의 선택 또는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각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또는 설정이 완료되도록 하며,
    상기 중량측정수단의 선택 및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로부터 각 축에 해당하는 차량총중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모니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전송받은 각 축에 형성된 중량측정수단 정보를 상기 각 축의 식별코드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압력측정수단은 각 에어 서스펜션의 공기 입력부위와 배출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 입력부위 압력과 배출부위의 압력을 측정하여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값을 연산하되,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값은 상기 측정된 공기 입력부위 압력과 상기 측정된 공기 배출부위 압력의 평균값이며,
    상기 압력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에어 서스펜션의 압력값에 해당하는 특성값이 저장된 특성값저장부와, 상기 특성값으로 상기 에어 서스펜션 압력값과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변화량을 보상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상된 에어 서스펜션 압력값 및 스트레인게이지 변화량을 사용해 차량총중량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차량소유주가 자신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에 형성된 축의 갯수와 상기 해당 축에 장착된 판스프링용 혹은 에어 서스펜션에 해당하는 중량측정수단을 직접 선택하여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부는 판스프링에 고정된 각각의 고정위치가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고,
    차량 무게 변화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의 변형 시,
    동일하게 변형되어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양단부 이격거리보다 넓은 이격거리를 제공함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화량을 증대시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상단에는,
    상기 바퀴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축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위치에 상기 차량의 균형을 잡아주는 밸런스에어; 를 더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와 측정센서는,
    상기 압력측정수단 또는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차량의 중량이 측정되는 경우에만 작동되고,
    차량의 중량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모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182980A 2016-12-29 2016-12-29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6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980A KR101769295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980A KR101769295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295B1 true KR101769295B1 (ko) 2017-08-18

Family

ID=5975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980A KR101769295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868B1 (ko) 2019-09-06 2021-01-19 주식회사기원전자 Iso 11783호환 차량의 중량 모니터링시스템
CN114993435A (zh) * 2022-06-14 2022-09-02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新型载重监测系统及监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51B1 (ko) * 2012-11-13 2013-09-10 내외 코리아 주식회사 차량 중량 측정 장치
KR101478760B1 (ko) * 2014-08-25 2015-01-05 주식회사 유디코 차량의 가동축 하중 측정장치 및 하중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51B1 (ko) * 2012-11-13 2013-09-10 내외 코리아 주식회사 차량 중량 측정 장치
KR101478760B1 (ko) * 2014-08-25 2015-01-05 주식회사 유디코 차량의 가동축 하중 측정장치 및 하중 측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868B1 (ko) 2019-09-06 2021-01-19 주식회사기원전자 Iso 11783호환 차량의 중량 모니터링시스템
CN114993435A (zh) * 2022-06-14 2022-09-02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新型载重监测系统及监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2988B1 (en) Method for onboard vehicle weight measurement
KR101478760B1 (ko) 차량의 가동축 하중 측정장치 및 하중 측정방법
EP3243673B1 (en) Tyre deflection monitoring
CN205607509U (zh) 车辆动态实时监控系统
CN202782852U (zh) 车辆载重自测量装置和汽车
KR101769295B1 (ko) 차량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차량 중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05865598A (zh) 车辆动态实时监控系统及监控方法
EP3378681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el load
JP2020164127A (ja) 演算モデル生成システム、摩耗量推定システムおよび演算モデル生成方法
CN112880785A (zh) 一种基于激光位移传感器的半挂车车载称重系统
US20060109099A1 (en) Weight overload warning system
KR102129946B1 (ko) 화물 차량의 중량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167635A (zh) 车载传送装置和移动终端以及包含它们的装载载荷信息显示系统
KR20130125108A (ko) 차량 네트워크를 이용한 타이어 안전지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EP1811275A1 (en) Load mesurement system
CN102788635A (zh) 一种矿车称重系统及其方法
JP6292742B2 (ja) 車両運転支援装置
JPH08210905A (ja) 貨物自動車の積載重量測定装置
US20100300190A1 (en) Monocoque of vehicle capable of detecting strain
JP2009504483A (ja) 荷重感知車輪サポートナックル組立及び使用方法
CN214583586U (zh) 一种基于激光位移传感器的半挂车车载称重系统
WO2015060767A1 (en) Load-sensing element, method and calculation unit in vehicle
EP2105717B1 (en) Method for defining the load weighing on an axle with mechanical suspension in a vehicle provided with at least an axle with pneumatic suspension provided with load detection system
EP20751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load of a vehicle equipped with non-pneumatic suspensions
WO2005075948A1 (en) A device, a method and a vehicle for showing at least one load-related para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