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635B1 -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 Google Patents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635B1
KR101768635B1 KR1020170018332A KR20170018332A KR101768635B1 KR 101768635 B1 KR101768635 B1 KR 101768635B1 KR 1020170018332 A KR1020170018332 A KR 1020170018332A KR 20170018332 A KR20170018332 A KR 20170018332A KR 101768635 B1 KR101768635 B1 KR 10176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wearer
leg
multimedia device
portabl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7001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는, 바지의 다리 착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 착용부의 내피는, 끝단과, 상기 끝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단과, 상기 제1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1단과 제2단에는, 착용자에 의해 상기 다리 착용부가 접어지는 경우, 접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지 단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어 바지가 갖고 있는 고유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바지 단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PANTS FOR OUTDOOR}
본 발명은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바지 단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어 바지 단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성복을 구매하면 착용감 증진을 위해 구매자의 체형에 맞게 손질을 한다. 바지의 경우에는 허리둘레의 길이 조절을 위한 수선,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을 위한 수선 등이 있는데, 허리둘레의 길이 조절은 허리띠 등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지만,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은 주로 접어서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허리와 바지 단을 재단하여 수선하는 것이지만, 재단하는 과정에서 바지가 갖고 있는 고유의 디자인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바지가 갖고 있는 고유의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바지 착용자가 간편하게 바지 단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8955(발명의 명칭:기능성 바지, 공개일자:2010년 02월 18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지 단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어 바지가 갖고 있는 고유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바지 단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야외활동시 바지의 밑단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어 특히, 물가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바지의 하부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접힌 면들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전기와 이 마찰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부가 구비되고, 이 배터리부와 연결된 조명부가 구비되어 특히, 야간 보행시 보행자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전방조명이 바지에 구비되어 후방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으므로 야간 보행시 전방의 지형지물을 파악하기 용이한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나 다른 보행자에게 본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후방조명이 바지에 구비되어 야간 도로 보행시 착용자의 안전이 확보됨은 물론 조난시 구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부는 바지에 구비된 통신부가 착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접속되어 착용자는 스마트폰에 기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조명부를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는, 바지의 다리 착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 착용부의 내피에는, 끝단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단과, 상기 제1단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1단과 제2단에는, 착용자에 의해 상기 제1단과 제2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개어지도록 접어지는 경우, 상기 제1단과 제2단이 접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보다 상기 제2단의 상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부재에는, 착용자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근거리 통신되는 통신부가 연결되어 상기 탈착부재의 접착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로 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과 제2단에는, 상기 탈착부재의 접착시에 의한 상기 제1단과 제2단의 접촉되면,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1단과 제2단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마찰전기로 전환하기 위한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전환된 마찰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지 착용부에는, 상기 배터리부에 의해 온/오프되는 조명부가 포함되되,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기설치된 프로그램을 상기 통신부로 전달받아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2단에 설치되며, 상기 바지 착용부의 전방을 향하여 조명을 발산하여 착용자의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전방조명과, 상기 2단에 설치되며, 상기 바지 착용부의 후방을 향하여 경고등을 점멸하여 후방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후방조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는, 바지의 다리 착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 착용부의 끝단 내면에 구비되는 탈착부재와, 상기 탈착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탈착부재와 탈착되는 탈착부가 구비되는 내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탈착부재를 탈착부에 탈착시 상기 탈착부를 개방하는 커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지 단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어 바지가 갖고 있는 고유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바지 단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야외활동시 바지의 밑단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어 특히, 물가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바지의 하부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접힌 면들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전기와 이 마찰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부가 구비되고, 이 배터리부와 연결된 조명부가 구비되어 특히, 야간 보행시 보행자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전방조명이 바지에 구비되어 후방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으므로 야간 보행시 전방의 지형지물을 파악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나 다른 보행자에게 본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후방조명이 바지에 구비되어 야간 도로 보행시 착용자의 안전이 확보됨은 물론 조난시 구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부는 바지에 구비된 통신부가 착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접속되어 착용자는 스마트폰에 기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조명부를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내부와 외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접는 순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통신부가 착용자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접속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통신부와 접속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제1단과 제2단이 접어져 탈착부재를 매개로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조명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내부와 외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접는 순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내부와 외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를 보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접는 순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통신부가 착용자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접속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통신부와 접속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제1단과 제2단이 접어져 탈착부재를 매개로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조명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도어용 바지는, 끝단(100), 제1단(200), 제2단(300), 탈착부재(400)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은 바지의 다리 착용부(10)에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바지의 외부를 보인 정면도가 좌측에, 내부를 보인 정면도가 우측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A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리 착용부(10)의 하부는 끝단(100)과 이 끝단(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단(200)과 제1단(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단(30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제1단(200)과 제2단(300)이 구별되도록 도 1 내지 도 2에는 경계선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경계선은 다리 착용부(10)의 내피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단(200)과 제2단(300)은 착용자가 다리 착용부(10)의 단부를 2단으로 접어 길이를 조절할 때, 제1단(200)과 제2단(300)에 각각 구비된 탈착부재(400)에 의해 서로 접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탈착부재(400)는 벨크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탈착부재(400)가 자석이나 버튼 등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제1단(200)과 제2단(300)은 다리 착용부(10)의 하단을 2단으로 접은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는데, 본 발명은 제1단(200)과 제2단(300)이 접촉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서로 마찰된다.
즉, 제1단(200)과 제2단(300)이 접촉/비접촉 되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움직임, 예컨대, 보행을 위해 다리를 움직이는 횟수와 비례하는 마찰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제1단(200)과 제2단(300)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의 마찰은 발전부(500)에 의해 마찰전기로 전환되며, 발전부(500)는 배터리부(600)로 마찰전기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600)는 충전식 배터리를 채택하여 상기 발전부(500)에서 전송된 마찰전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된 마찰전기는 후술할 조명부(800)와 통신부(7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부재(4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70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부(700)는 상기 제1단(200)과 제2단(300)에 구비된 탈착부재(400)가 연결되면 활성화되어 연결된 상태를 착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는 착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스마트 밴드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에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와 통신부(70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의 디스플레이부(21)에 탈착부재(400)의 연결상태를 표시하여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700)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에 기설치된 프로그램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조명부(800)는 배터리부(60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며, 전방조명(810)과 후방조명(82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조명(810)은 다리 착용부(10)를 2단으로 접었을 때 착용자의 전방을 향해 조명을 발산 가능하며, 후방조명은 반대 방향으로 조명을 발산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전방조명(810)과 후방조명(820)은 예컨대, LED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방조명(810)은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착용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후방조명(820)은 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조명(810)은 백색 또는 주백색의 LED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방조명(820)은 적색이나 녹색의 LED를 점멸하여 경고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탈착부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200)과 제2단(3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착용감의 증진을 위해 탈착부재(400)는 제1단(200)과 제2단(300)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탈착부재(400)는 제1단(200)과 제2단(300)의 상하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단(200)과 제2단(300)이 2단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위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도어용 바지를 2단으로 접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착용자는 바지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 착용부(10)의 끝단(100)을 잡은 상태에서 제1단(200)과 제2단(300)을 상측(상체방향)으로 접는데, 도 3의 (a)의 점선(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접어서 도 3의 (b)와 같이 제1단(200)과 제2단(30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도 3의 (b)의 상태는 전방조명(810)(또는 후방조명(820))이 최하단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다리 착용부(10)의 끝단(100)은 제1단(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후, 착용자는 다리 착용부(10)의 끝단(100)을 잡은 상태에서 도 3의 (b)의 점선(2)을 기준으로 하측(족부방향)으로 접는데, 이때, 다리 착용부(10)의 끝단(100)이 전방조명(또는 후방조명)의 상부에 배치되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조명(810)(또는 후방조명(8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300)은 제1단(200)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데, 전방조명(810)(또는 후방조명(8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단(300)의 상하 폭(높이)이 제1단(200)의 상하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도 3의 (c)를 측면에서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200)과 제2단(300)은 마찰되도록 서로 맞닿으며, 이렇게 제1단(200)과 제2단(300)이 맞닿은 상태, 즉, 다리 착용부(10)가 2단으로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탈착부재(400)는 서로 접착된다.
상기와 같이 탈착부재(400)가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통신부(700)는 탈착부재(400)가 서로 접착된 상태임을 착용자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로 전송하는데, 이때, 착용자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와 통신부(700)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20)에는 전방조명(810)과 후방조명(820)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후, 착용자는 전방조명(810)과 후방조명(820)을 각각 제어하여 특히, 어두운 지역이나 야간 보행시에는 전방조명(810)과 후방조명(820)이 켜지도록 하여 안전한 야간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전방조명(810)과 후방조명(820)에 의해 착용자가 조난이나 사고시에 수색대원들의 눈에 잘 띄도록 하여 착용자의 구조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리 착용부(10)를 간편하게 2단으로 접을 수 있으며, 2단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조명부(800)를 구동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야간 보행시 시야의 확보가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의 내부와 외부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B를 보인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접는 순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도어용 바지는 탈착부재(900), 내피부(910) 및 커버부(920)가 포함되며,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바지의 다리 착용부(10)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탈착부재(90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착용부(10)의 끝단(100) 내부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탈착부재(900)는 내피부(910)의 상부에 구비된 탈착부(911)에 탈착된다.
상기와 같은 탈착부재(900)와 탈착부(911)는 착용자가 다리 착용부(10)의 하부를 접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며, 벨크로 타입으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석부재, 버튼부재를 채택하여도 좋을 것이다.
상기 커버부(9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부(9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탈착부(911)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데, 탈착부재(900)를 탈착부(911)에 접착하거나 때어내는 과정에서만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부(920)는 탈착부(911)를 덮어 보행시 탈착부(911)가 착용자 다리의 피부를 자극하는 것을 방지하여 바지의 착용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를 접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착용부(10)의 하부를 접지 않은 상태에서 착용자는 끝단(100)을 잡고 다리 착용부(10)의 하부를 상측으로 접어 올리는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9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지점까지 접어 올린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9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지점까지 접어올리면 커버부(920)는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탈착부(911)는 자연스럽게 개방된다.
이후, 착용자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재(900)를 탈착부(911)에 접착시킨 다음, 끝단(100)을 잡고 하측으로 끌어당기면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착용부(10)의 기장 조절이 완료되며, 이때, 커버부(920)는 끝단(100)을 잡고 하부로 끌어내리는 과정에서 탈착부재(900)와 탈착부(911)의 접착부위를 자연스럽게 덮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점선
10-다리 착용부
20-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21-디스플레이부
100-끝단
200-제1단
300-제2단
400-탈착부재
500-발전부
600-배터리부
700-통신부
800-조명부 810-전방조명
820-후방조명

Claims (7)

  1. 바지의 다리 착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 착용부의 내피에는, 끝단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단과, 상기 제1단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1단과 제2단에는,
    착용자에 의해 상기 제1단과 제2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개어지도록 접어지는 경우, 상기 제1단과 제2단이 접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탈착부재에는,
    착용자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근거리 통신되는 통신부가 연결되어 상기 탈착부재의 접착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로 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 보다 상기 제2단의 상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과 제2단에는
    상기 탈착부재의 접착시에 의한 상기 제1단과 제2단의 접촉되면,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1단과 제2단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마찰전기로 전환하기 위한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전환된 마찰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지의 다리 착용부에는,
    상기 배터리부에 의해 온/오프되는 조명부가 포함되되,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기설치된 프로그램을 상기 통신부로 전달받아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2단에 설치되며, 상기 바지의 다리 착용부의 전방을 향하여 조명을 발산하여 착용자의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전방조명과,
    상기 제2단에 설치되며, 상기 바지의 다리 착용부의 후방을 향하여 경고등을 점멸하여 후방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후방조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7. 삭제
KR1020170018332A 2017-02-09 2017-02-09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KR10176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32A KR101768635B1 (ko) 2017-02-09 2017-02-09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32A KR101768635B1 (ko) 2017-02-09 2017-02-09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635B1 true KR101768635B1 (ko) 2017-08-30

Family

ID=5976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332A KR101768635B1 (ko) 2017-02-09 2017-02-09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361B1 (ko) 2020-06-26 2021-04-23 (주)엘앤에스갤러리 스마트폰을 이용한 바지밑단 줄임 위치의 결정방법
KR102362546B1 (ko) 2021-05-13 2022-02-14 김주현 기장 마킹용 스티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610B2 (ja) * 1992-09-22 2000-09-11 三井化学株式会社 ビスマレイミド類の製造方法
KR101525832B1 (ko) 2015-02-09 2015-06-09 주식회사 플레이즈 IoT 대응가능한 바지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바지
JP2015132035A (ja) 2014-01-15 2015-07-23 眞也 洞田 丈長さ調整式保温ズボ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610B2 (ja) * 1992-09-22 2000-09-11 三井化学株式会社 ビスマレイミド類の製造方法
JP2015132035A (ja) 2014-01-15 2015-07-23 眞也 洞田 丈長さ調整式保温ズボン
KR101525832B1 (ko) 2015-02-09 2015-06-09 주식회사 플레이즈 IoT 대응가능한 바지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바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361B1 (ko) 2020-06-26 2021-04-23 (주)엘앤에스갤러리 스마트폰을 이용한 바지밑단 줄임 위치의 결정방법
KR102362546B1 (ko) 2021-05-13 2022-02-14 김주현 기장 마킹용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127B2 (en) Single assembly EL lighting for garments
US6267482B1 (en) Safety vest
US5613756A (en) Clothing with pouch means for receiving an illuminating device
US7690049B2 (en) EL power unit
KR101768635B1 (ko) 바지 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바지
US20160088890A1 (en) Illuminated sweat band
US20090013448A1 (en) Accessory with Light Source
KR101381860B1 (ko) 발광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의류
EP1416817A2 (en) Garment lighting
KR200454338Y1 (ko) 램프가 구비된 우의
JP5737774B1 (ja)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収納ケース
TWM550556U (zh) 自主式發光背心
US11320137B2 (en) Neck supported chest and back mobile lighting system
JP2012169218A (ja) 自光式ベルト
JP3078514U (ja) ベスト
CN210891121U (zh) 一种夜跑用led照明设备
JP3053134U (ja) ライト付き認識具
JP3195078U (ja) 衣服
CN208724955U (zh) 一种多功能反光衣
KR200333128Y1 (ko) 휴대 부착 전구
CN201302080Y (zh) 可夹书包背带上的照明灯
KR200458289Y1 (ko) 야간 안전모자
JP3186617U (ja) 反射材付きレッグカバー
JP3169711U (ja) 電飾スカート
CN2673178Y (zh) 多功能学生书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