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158B1 -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158B1
KR101768158B1 KR1020157026316A KR20157026316A KR101768158B1 KR 101768158 B1 KR101768158 B1 KR 101768158B1 KR 1020157026316 A KR1020157026316 A KR 1020157026316A KR 20157026316 A KR20157026316 A KR 20157026316A KR 101768158 B1 KR101768158 B1 KR 10176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beacon
transmitter
provisioning
signal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128A (ko
Inventor
더글라스 엔. 로위치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포지셔닝 동작들에서 사용하도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개시된다. 비콘 전송기는 전력 케이블에서 유틸리티 그레이드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비콘 전송기는 또한, 비콘 전송기에 대한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들을 복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POSITIONING BEACON TRANSMITTER}
관련 출원들
본 출원은 2013년 3월 7일자로 출원된 "POSITIONING BEACON TRANSMITTER"란 명칭의 미국 정식 특허 출원 제 13/789,504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PCT 출원이며, 상기 미국 정식 특허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통합된다.
분야
[0001]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바일 내비게이션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정보
[0002] GNSS들(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및 다른 유사한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들은 실외 환경들에서 모바일 핸드셋들에 대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하였다. 다수의 기술들은, 단지 몇몇 예들을 들자면, 예컨대, (a) 고감도 GNSS, (b) WiFi 포지셔닝, (c) 셀룰러 포지셔닝, (d) 관성 센서 증강, (e) 다른 비콘 포지셔닝(예를 들면, BT, UWB, RFID, NFC 등)을 비롯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정확한 실내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도록 고려중이다. 하나의 특정 기술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포착을 위해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들의 설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에서, 비콘 신호를 포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위치 또는 아이덴티티와 같은 포착된 신호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한 비콘 신호는 RF, 오디오 또는 광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03]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이고 비포괄적인 양상들이 설명되며,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다양한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지칭한다.
[0004] 도 1은 구현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특정 특징들을 예시하는 시스템 도면이다.
[0005]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기에 커플링된 유틸리티 전력 아웃렛들을 포함하는 빌딩 인프라구조의 개략도이다.
[0006] 도 3은 구현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0007]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비콘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0008] 도 5는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비저닝 엔티티를 예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0009] 도 6은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팅 플랫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개요
[00010] 간략하게, 특정한 구현들은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에서, 케이블 매체를 통해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utility-grade power source)으로부터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매체를 통해 프로비저닝 엔티티(provisioning entity)로부터 프로비저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프로비저닝 신호는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를 포함함 ― , 및 상기 위치 비콘의 상기 위치의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11] 다른 특정한 구현은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전송기는, 유틸리티-그레이드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케이블 매체에 접속되는 전력 회로, 상기 케이블 매체 상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매체에 접속되는 복조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기, 및 상기 복조된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된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기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00012] 다른 특정한 구현은 물품에 관한 것이며, 상기 물품은 기계-판독 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판독 가능 명령들은,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에 접속된 케이블 매체를 통해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 수신되는 프로비저닝 신호를 획득하고 ― 상기 프로비저닝 신호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를 포함함 ― ,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도록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00013] 다른 특정한 구현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케이블 매체를 통해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케이블 매체를 통해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 프로비저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프로비저닝 신호는 위치 비콘의 위치의 표시를 포함함 ― , 및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14] 다른 특정한 구현은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프로비저닝 엔티티에서,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와이어들을 통한 전송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변조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상기 와이어들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한다.
[00015] 다른 특정한 구현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와이어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의 상기 와이어들을 통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의 전송을 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한다.
[00016] 다른 특정한 구현은 물품에 관한 것이며, 상기 물품은 기계-판독 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판독 가능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의 와이어들을 통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한다.
[00017] 다른 특정한 구현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와이어들을 통한 전송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 및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상기 와이어들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한다.
[00018] 전술한 구현들은 단지 예시적인 구현들이며, 청구되는 요지는 반드시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들의 임의의 특정한 양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상세한 설명
[00019] 특정 구현들에서, 비콘은 적절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 또는 프로비저닝될 수 있다. 간단한 저가 비콘은 외부 전원(예를 들면, 유틸리티-그레이드 벽 아웃렛)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을 가질 수 있지만, 전용 데이터 통신 포트(예를 들면, 유선 이더넷, 블루투스, USB 또는 WiFi 포트)를 가질 필요는 없다. 여기서, 영역에 걸쳐 특정 위치에 비콘의 설치 다음에, 기술자는, 예를 들면, 특정 위치를 포함하도록 현장에서 별개의 비콘을 수동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비콘들의 다수의 설치들은 비콘들을 수동으로 프로비저닝하는 지루한 작업을 수반할 수 있어서, 운영 비용을 추가하고 결함 프로비저닝의 기회들을 증가시킨다.
[00020]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을 갖지만, 전용 데이터 통신 포트를 갖지 않지만, 특정 구현들에서, 비콘은 중앙 엔티티에 의해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커맨드들을 수신 및/또는 이들에 응답할 수도 있다. 특정 구현에서, 이러한 커맨드들은, 홈플러그 전력라인 얼라이언스에 의해 개발된 또는 IEEE 표준 1901-2010, 전력 라인 네트워크들을 통한 광대역에 대한 IEEE 표준: 매체 액세스 제어 및 물리적 계층 규격들에 따른 기술들을 포함하는 공지된 전력 라인 시그널링 기술들을 사용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데 또한 사용되는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케이블은 벽 아웃렛과 같은 교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에 접속되거나, 예를 들면, 접합 박스(junction box)에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은 빌딩 벽들 내의 배선 등을 통해 회로 차단기 패널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프로비저닝 신호는 빌딩 벽들 내에 숨겨진 동일한 배선을 통해 중앙 프로비저닝 엔티티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을 통해 배선에 접속된 비콘 전송기는, 이에 따라 비콘을 구성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 상으로 수신되는 수신된 프로비저닝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대응하는 차단기 회로 상의) 중앙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 연장되는 식별 가능한 배선은 전력을 빌딩 내의 특정 룸 또는 인접한 룸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중앙 포지셔닝 엔티티는 식별 가능한 배선 상에서 프로비저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통해 특정 룸 또는 인접한 룸들에서 특정 비콘을 어드레싱할 수 있다. 특정 구현들에서, 비콘 전송기는, 비콘 신호에 대한 특정 전력 레벨을 수송하고, 비콘의 위치 또는 전송 전력(예를 들면, dB의 단위들로)으로 비콘 신호를 변조하거나 비콘의 고유한 식별자를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00021] 특정한 구현들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SPS) 위성들(160)로부터 SPS 신호들(159)을 수신 또는 포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SPS 위성들(160)은 GPS 또는 갈릴레오 위성 시스템들과 같은 하나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로부터의 위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실시예들에서, SPS 위성들은, GPS, Galileo, Glonass 또는 Beidou(Compass) 위성 시스템들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다수의 GNSS로부터의 위성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SPS 위성들은, 단지 몇몇 예들을 들면, 예를 들어, WAAS(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EGNOS(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와 같은 몇몇 지역적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들(RNSS)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의 위성들일 수 있다.
[00022]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라디오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라디오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기지국 트랜시버에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거나 기지국 트랜시버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링크(125)를 통해, 로컬 트랜시버(115)에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거나 로컬 트랜시버(115)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00023] 특정한 구현에서, 로컬 트랜시버(115)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기지국 트랜시버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범위에서보다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더 짧은 범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컬 트랜시버(115)는 실내 환경에 위치될 수 있다. 로컬 트랜시버(115)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예를 들면, IEEE Std. 802.11 네트워크) 또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예를 들면,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00024]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로컬 트랜시버(115)는,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통신 링크(125) 상에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펨토 셀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이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의 단지 예시들이며, 청구된 요지는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00025] 특정한 구현에서, 기지국 트랜시버(110) 및 로컬 트랜시버(115)는, 링크들(145)을 통한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버들(140, 150 및 155)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30)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에서, 네트워크(130)는, 로컬 트랜시버(115) 또는 기지국 트랜시버(15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서버들(140, 150 또는 155)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인프라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네트워크(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의 모바일 셀룰러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지국 제어기 또는 마스터 교환 센터(미도시)와 같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00026]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또한 비콘 전송기(104)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들(126)을 수동으로 포착할 수 있다. 아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포지션 픽스 또는 추정된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다수의 전송기들(비콘 전송기(104)를 포함함)로부터 신호들을 포착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전송기(104)는, 비콘 전송기(104)의 아이덴티티(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 및/또는 비콘 전송기(104)의 추정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신호(126, 125) 중 적어도 일부를 변조하도록 프로그래밍 또는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신호들(126)의 포착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의 추정을 계산하기 위해 포착된 무선 신호를 전송한 비콘 전송기의 위치 및/또는 아이덴티티를 결정할 수도 있다.
[00027] 특정 예시된 구현에서, 비콘 전송기(104)는 유틸리티 아웃렛(106)(예를 들면, 60Hz의 120V)과 같은 교류(AC) 전원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콘 전송기(104)는 비콘 전송기(104)를 유틸리티 아웃렛(106)에 접속하는 케이블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구현에서, 비콘 전송기(104)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포지셔닝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비콘 전송기(104)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콘 전송기(104)는 특정 캐리어 주파수 또는 전력 레벨에서 무선 신호들(126)을 전송하고, 단지 몇 개의 예들을 들자면, 예컨대, 비콘 전송기(104)의 위치와 같은 특정 정보로 무선 신호들(126)을 변조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00028] 특정한 구현들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추정된 위치 또는 포지션 픽스를 계산할 수 있는 회로 및 프로세싱 자원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4개 이상의 SPS 위성들(160)에 대한 의사거리(pseudorange) 측정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픽스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4개 이상의 SPS 위성들(160)로부터 포착된 신호들(159)에서의 의사잡음 코드 위상 검출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이러한 의사거리 측정들을 계산할 수 있다. 특정한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면, 단지 몇몇 예들을 들면, 알마낵(almanac), 에페메리스(ephemeris) 데이터, 도플러 탐색 윈도우들을 포함하는, SPS 위성들(160)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159)을 포착하는데 보조하기 위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서버(140, 150 또는 15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00029] 다른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면, AFLT(advanced forward trilateration) 및/또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와 같은 몇몇 기술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기지국 트랜시버(110)와 같은) 알려진 위치들에 고정된 지상 전송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프로세싱함으로써 포지션 픽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기술들에서, 알려진 위치들에 고정된 전송기들에 의해 전송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알려진 위치들에 고정된 이러한 지상 전송기들 중 3 개 이상의 전송기들까지의 범위가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들(140, 150 또는 155)은 AFLT 및 OTDOA 와 같은 포지셔닝 기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지상 전송기들의 위치들 및 아이덴티티들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들(140, 150 또는 155)은, 특정한 영역 또는 영역들에서 셀룰러 기지국들의 위치들 및 아이덴티티들을 나타내는 기지국 알마낵(BSA)을 포함할 수 있다.
[00030] 실내 환경들 또는 도시 협곡들과 같은 특정한 환경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충분한 수의 SPS 위성들(160)로부터 신호들(159)을 포착하지 못할 수 있거나, 포지션 픽스를 계산하기 위해 AFLT 또는 OTDOA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로컬 전송기들(예를 들면, 알려진 위치들에 위치된 WLAN 액세스 포인트들, 펨토 셀들 트랜시버들,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등)로부터 포착된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픽스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한 로컬 전송기들을 로컬 트랜시버들(115) 및 비콘 전송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알려진 위치들에 위치된 3 개 이상의 실내 지상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비콘들까지의 범위들을 측정함으로써 포지션 픽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들은, 예를 들면,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MAC ID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예를 들면, (예를 들면, 트랜시버들에 대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또는 RTT(round trip time)와 같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측정하여 액세스 포인트들까지의 범위 측정들을 획득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실내 영역의 특정한 위치들에서 예상되는 RSSI 및/또는 RTT 시그니처들을 나타내는 라디오 히트맵에, 포착된 신호들의 특성들을 적용함으로써 실내 포지션 픽스를 획득할 수 있다. 특정한 구현들에서, 라디오 히트맵은, 로컬 전송기들의 아이덴티티들(예를 들어, 로컬 전송기로부터 포착된 신호로부터 인식가능한 MAC 어드레스), 식별된 로컬 전송기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로부터의 예상되는 RSSI, 식별된 전송기들로부터의 예상되는 RTT, 및 가능하게는 이러한 예상되는 RSSI 또는 RTT로부터의 표준 편차들을 연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라디오 히트맵에 저장될 수 있는 값들의 단지 예들이며 청구된 요지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00031] 특정한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서버들(140, 150 또는 155)로부터 실내 포지셔닝 동작들에 대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예를 들면, 측정된 RSSI 및/또는 RTT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이러한 전송기들까지의 범위들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알려진 위치들에 위치된 전송기들의 위치들 및 아이덴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포지셔닝 동작들을 보조하기 위한 다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단지 몇몇 예들을 들면, 라디오 히트맵들, 전송기들의 위치들 및 아이덴티티들, 라우터빌러티 그래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다른 보조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위해 또는 내비게이션에서 보조하기 위해 실내 영역들의 로컬 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맵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특정한 실내 영역에 진입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맵은 도어들, 복도들, 입구의 통로들, 벽들 등과 같은 실내 특징들, 욕실들, 공중 전화들, 방의 명칭들, 스토어들 등과 같은 관심 지점들을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맵을 획득 및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컨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맵 상에 모바일 디바이스(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00032] 일 구현에서, 라우터빌러티 그래프 및/또는 디지털 맵은, 실내 영역 및 그에 속하는 물리적 장애물들(예를 들면, 벽들) 및 통로들(예를 들면, 벽들의 출입구들) 내에서의 내비게이션을 위한 실현가능한 영역들을 정의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을 위한 실현가능한 영역들을 정의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션 모델에 따라(예를 들면, 입자 필터 및/또는 칼만 필터에 따라) 위치들 및/또는 모션 궤적들을 추정하기 위해 측정들의 필터링의 적용시에 보조하기 위한 제한들을 적용할 수 있다.
[00033] 로컬 전송기들로부터의 신호들의 포착으로부터 획득되는 측정들에 추가하여,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추가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 또는 모션 상태를 추정할 때, 관성 센서들(예를 들면,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자력계들 등) 및/또는 환경 센서들(예를 들면, 온도 센서들, 마이크로폰들, 대기압 센서들, 주변 광 센서들, 카메라 영상장치 등)로부터 획득되는 측정들 또는 추론들에 모션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00034]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면,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의 선택을 통해 실내 보조 데이터를 요청함으로써, 서버들(140, 150 또는 155)을 통해 실내 내비게이션 보조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다. 특정한 구현들에서, 서버들(140, 150 또는 155)은, 단지 몇몇 예들을 들면, 예를 들면, 건물의 바닥들, 병원의 병동들, 공항의 터미널들, 대학 캠퍼스의 부분들, 대형 쇼핑몰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많은 상이한 실내 영역들을 커버하기 위해 실내 내비게이션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모리 자원들 및 데이터 전송 자원들이 서버들(140, 150 또는 155)에 의해 서빙되는 모든 영역들에 대한 실내 내비게이션 보조 데이터의 수신을 비현실적이거나 불가능하게 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실내 내비게이션 보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의 개략적인 또는 코스(coarse) 추정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의 개략적인 또는 코스 추정치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그에 근접한 영역들을 커버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보조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00035] 도 2는, 예를 들면, 빌딩과 같은 구조 내의 유틸리티 전력 분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차단기 패널(218)은, AC 전원을 배선(204)을 통해 접합 박스들(202) 및 유틸리티 아웃렛(208)으로 분배하기 위해 전기 유틸리티 회사에 의해 운영되는 전력 그리드에 접속될 수 있다. 배선(204)은 구조-그레이드 유틸리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패널(218)에 부가하여, 배선(204)은 또한 데이터 신호들을 배선(204)을 통해 접합 박스들(202) 및 유틸리티 아웃렛(208)으로 전송할 수 있는 프로비저닝 엔티티(212)에 접속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204)은, 차단기 패널(218)로부터의 AC 전력 신호 및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의 배선(204) 및 접합 박스들(202)을 통한 유틸리티 아웃렛들(208)로의 전송을 허용하는 스플리터들(splitters) 또는 접속기들(206)을 통해 차단기 패널(218) 및 프로비저닝 엔티티(212) 둘 모두에 커플링된다. 여기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홈플러그 전력라인 얼라이언스에 의해 개발된 것들과 같은 또는 IEEE 표준 1901-2010, 전력 라인 네트워크들을 통한 광대역에 대한 IEEE 표준: 매체 액세스 제어 및 물리적 계층 규격들에 따른 잘 알려진 전력 라인 데이터 전송 기술들을 사용하여 AC 전력 신호와 별개인 대역에서 배선(204)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00036] 특정 예시적인 구현에서, 비콘 전송기들(210)은, 전력라인 데이터 전송 기술들을 사용하여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로부터 전송된 AC 전력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을 통해 유틸리티 아웃렛들(208)에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미도시)에서, 비콘 전송기(210)의 전력 케이블은 접합 박스(예를 들면, 임의의 노출된 유틸리티 아웃렛을 우회함)에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아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비콘 전송기(210)의 전력 케이블은,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는 전력 변환 회로(예를 들면, AC/DC 변환기) 및 변조/복조 회로(214)에 커플링될 수 있다.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로부터 프로비저닝 커맨드들을 수신하는 것에 부가하여, 비콘 전송기(210)는, 예를 들면, 온/오프, 현재 전력 레벨, 에러 코드들 등을 포함하는 동작 상태를 다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에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204)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00037] 특정 구현에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포지셔닝 동작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비콘 전송기를 구성 또는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구현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콘 전송기(210)는, 예를 들면, 비콘 전송기(210)의 위치와 같은 특정 정보로 전송된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콘 전송기(210)는 몇몇의 잘 알려진 무선 신호 변조 기술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비콘 전송기의 고유한 식별자(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 및 위치에 의해 변조된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콘 전송기(210)는, 비콘 전송기(210)에 직접적으로 접속된 특정 접합 박스(2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콘 전송기의 (예를 들면, 현장에서의 또는 빌딩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들 또는 값들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00038] 일 구현에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특정 배선(204)에 접속된 접합 박스들(202)의 위치들의 선험적인 지식(a priori knowledge)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로써,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특정 접합 박스(202)의 미리 결정된 위치를 갖는 특정 접합 박스(202)에 (예를 들면, 전력 케이블 및 유틸리티 아웃렛(208)을 통해) 접속된 비콘 전송기(21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어서, 비콘 전송기(210)는 미리 결정된 위치로 비콘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에서, 별개의 접합 박스(202)는 별개의 접합 박스(202)의 위치를 갖는 접속된 비콘 전송기(21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어서, 중앙 집중화된 포지셔닝 엔티티(212)가 접속된 비콘 전송기(210)를 프로그래밍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다른 대안적인 구현에서, 비콘 전송기(210)는 벽 아웃렛에 플러깅되거나 접합 박스에 직접적으로 결선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전력 분배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콘 노드들의 발견을 수행하기 위해 비콘 전송기(210)의 변조/복조 회로(214)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배선(204)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을 전송하고, 등록에 응답하기 위해 특정 비콘 전송기들을 리스닝(listen)할 수 있다.
[00039]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특정 배선(204)은, 유틸리티 전력을 빌딩 내의 특정 룸 또는 인접한 룸들에 위치된 유틸리티 아웃렛들(208)로 전송하기 위해 특정 대응하는 전용 퓨즈 또는 회로 차단기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특정 룸 또는 인접한 룸들에 위치된 유틸리티 아웃렛들(208) 중 하나에 접속될 특정 배선(204)을 통해 전력 분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비콘 전송기(210)의 위치를 추론할 수 있다. 특정 배선(204)의 목적지 유틸리티 아웃렛(208)(예를 들면, 특정 룸 또는 인접한 룸들의 그룹 내에 있음)의 위치의 선험적인 지식을 통해,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알려진 위치를 나타내는 프로비저닝 신호를 특정 배선(204) 상에서 비콘 전송기들로 전송할 수 있다.
[00040] 일 구현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예를 들면, 빌딩 공사 또는 수리 동안에, 프로비저닝 엔티티(212) 및/또는 차단기 패널(218)의 설치 시에 기술자에 의해 사전 프로그래밍될,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특정 별개의 배선들(204)에 대한 분리된 별개의 접속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위도 및 경도 또는 다른 좌표들에서 룸 위치와 같은 특정 위치들은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00041] 다른 구현에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서비스(미도시)에 접속되고, 예를 들면,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구현에서, 기술자 또는 운영자는, 룸들의 위치들을 추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GNSS 수신기 또는 다른 수신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특정 배선(204)에 대응하는 룸 또는 인접한 룸들의 위치를 조사할 수 있다. 이어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술자는, 특정 배선(204)에 접속된 유틸리티 아웃렛들(208)과 조사된 위치를 연관시키도록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00042] 일 구현에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유틸리티 아웃렛(208)으로의 특정 비콘 전송기(212)의 접속의 발견 다음에 특정 비콘 전송기(210)를 프로비저닝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예를 들면, 유틸리티 아웃렛(208)에서) 전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비콘 전송기(212)는, 예를 들면, 자신이 아웃렛에 플러깅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콘 전송기(210)는, 비콘 전송기(210)의 식별자(예를 들면, 고유한 MAC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및/또는 비콘 전송기(210)의 능력들을 설명하는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수신인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이에 따라 비콘 전송기(212)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신호들을 비콘 전송기(210)로 어드레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배선(204)을 통해 폴링(polling)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예를 들면, 접속된 비콘 전송기(210)의 식별자 또는 능력들의 설명을 포함하는 응답을 배선(204)에 접속된 비콘 전송기(210)로부터 리스닝할 수 있다.
[00043] 특정 구현 시나리오에서, 다수의 비콘 전송기들(210)은 동일한 배선(204)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견 기술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획득된) 상이한 비콘 전송기들의 특정 어드레스들 또는 식별자들의 지식을 통해,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예를 들면, 배선(204)을 통해 전송된 프로비저닝 신호들 상에서 헤더 또는 다른 어드레스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배선(204)에 접속된 다수의 상이한 비콘 전송기들(210)을 개별적으로 어드레싱할 수 있다.
[00044] 도 3은 구현에 따른, 전력 라인 시그널링 기술들을 사용하여 비콘 전송기를 프로그래밍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도 3의 프로세스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비콘 신호를 변조하는데 사용될 비콘 전송기의 위치로 프로그래밍되는 비콘 전송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302)에서, 비콘 전송기는, 벽 아웃렛에 플러깅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 매체를 통해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예를 들면, 벽 아웃렛 또는 접합 박스와의 직접적인 접속)으로부터 교류 전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콘 전송기는 또한 전력 라인 데이터 전송 기술들을 사용하여 중앙 집중화된 프로비저닝 엔티티(예를 들면,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로부터 블록(304)에서 프로비저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프로비저닝 신호는, 단지 몇몇의 예들을 제공하면,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예를 들면, 상대적/절대적 포지션, 고도/층), 원하는 전송 전력 레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306)에서, 비콘 전송기는 블록(304)에서 수신된 프로비저닝 신호에 응답하여,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영역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포지셔닝 동작들에서 비콘 신호의 포착들을 통합할 수도 있다.
[00045] 비콘 신호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것에 관하여, 중앙 엔티티(예를 들면,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는 상이한 비콘 전송기들에 자신들 각각의 전송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엔티티는 그들 각각의 비콘 신호들을 변조하여 전송 전력 레벨의 표시를 데이터 신호에 인코딩하도록 상이한 비콘 전송기들을 프로비저닝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이러한 비콘 전송기들로부터 비콘 신호들을 포착한 모바일은 수신된 신호 세기(RSSI)를 측정할 수 있고, 비콘 신호로부터 전송 전력을 디코딩할 수 있고, 모바일은 범위 추정을 더 양호하게 결정할 수 있다.
[00046] 실시예에 따라, 중앙 엔티티가 상이한 비콘 전송기들에 전송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도록 명령하게 하는 것은, 비콘 전송기들로부터 비콘 신호들을 포착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실내 위치 내에서 포지셔닝 해결책을 튜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실내 환경을 통해 이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비콘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 라인들을 통해 비콘 전송기들과, 차례로, 통신할 수 있는 일부 중앙 엔티티(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그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전력 관측들을 업로딩 또는 보고할 수 있다. 이어서, 중앙 엔티티는, (예를 들면, 전송 전력의 감소를 위한 후보들로서, 너무 강하게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아마도 다른 비콘들을 간섭하는 것으로 관측된 비콘 전송기들을 검출함으로써, 또는 전송 전력의 증가를 위한 후보들로서, 너무 약한 것으로 관측되는 비콘 전송기들을 검출함으로써) 포지셔닝 동작들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된 비콘 전송기들의 전송 전력 레벨들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실내 위치에서 보이는 것으로 예상된 수신된 비콘 신호들의 세기를 관측할 수 있는 기술자 도구를 포함하고, 비콘들을 튜닝하기 위해 전력들을 (필요시에 업/다운)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에서, 그 도구를 사용하는 기술자는 그 주변의 다수의 비콘 전송기들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모바일로부터 중앙 엔티티로 그리고 이어서, 전력 라인을 통해, 식별된 비콘들로 전송되는 커맨드들).
[00047]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비콘 전송기(400)의 개략도이다. 비콘 전송기(400)는 도 1에 도시된 비콘 전송기(104)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전송기(210)의 적어도 일부 양상들의 특정 구현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매체(404)는 벽 아웃렛으로부터 또는 접합 박스로의 직접적인 접속을 통해 유틸리티 그레이드 전력 신호(예를 들면, 60.0 Hz의 120 V AC)를 수신하기 위한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402)는 수신된 유틸리티 그레이드 전력 신호를 더 낮은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 신호를 비콘 전송기(4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분배하기 위해 케이블 매체(404)에 직접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변조기/복조기(406)는 또한 앞서 논의된 전력라인 데이터 전송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력 와이어들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케이블 매체(404)에 접속된다. 특정 구현에서, 변조기/복조기(406)는 유틸리티 그레이드 전력 신호로부터 분리된 주파수 대역 상에서 케이블 매체(404)에서 전송된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복조기(406)에서 복원된 데이터 신호는 비콘 전송기(400)를 구성하도록 프로세서(408)(예를 들면, 범용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그래밍 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8)는, 예를 들면, 상태 또는 진단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신호들을 변조기/복조기(406)를 통해 프로비저닝 엔티티(예를 들면,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08)는, 예를 들면, 전송기(410)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전송 전력 레벨 및/또는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기(410)의 동작의 양상들을 제어할 수 있다. 특정 예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408)는 (예를 들면, 변조기/복조기(406)에서 획득된 데이터로부터 결정된) 전송기(410)의 위치를 전송하도록 전송기(410)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될수 있다.
[00048] 도 4의 특정 구현은, 비콘 전송기(400)가 프로세서(408)를 구성하기 위해 변조기/복조기(406)에서 프로그래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안적인 구현에서, 비콘 전송기는 또한 (예를 들면,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중앙 집중화된 제어기 또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케이블 매체 상에서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00049]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프로비저닝 엔티티(500)의 개략도이다. 프로비저닝 엔티티(212)(도 2)는 도 5에 도시된 프로비저닝 엔티티(500)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들(504)은 전력을 유틸리티 아웃렛들(예를 들면, 유틸리티 아웃렛들(208))로 전송하는 특정 배선들에 접속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프로비저닝 엔티티(500)는, 특정 배선들(504)에 접속된 유틸리티 아웃렛들의 위치들(예를 들면, 유틸리티 아웃렛들이 위치된 룸 또는 인접한 룸들의 위치)의 선험적인 지식을 가질 수 있다. 모뎀 디바이스들(506)은 앞서 논의된 전력라인 시그널링 기술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대응하는 배선들(504)에 접속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511 및 540)은 대응하는 배선들(504) 및 모뎀 디바이스들(506)을 통해 프로비저닝 엔티티(500)에 접속된 비콘 전송기들을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기계-판독 가능 명령들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뎀 디바이스들(506)은 (예를 들면, 예컨대,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을 표시하기 위해) 모뎀 디바이스들(506)에 접속된 비콘 전송기들로 특정 프로비저닝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508) 상의 신호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어드레싱 가능할 수 있다.
[00050]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예를 들면,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 전송 전력 레벨들 등을 비콘 전송기들에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기술자가 프로비저닝 엔티티(500)를 프로그래밍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설치 동안에(예를 들면, 공사 또는 수리 동안에) 통신 인터페이스(530)에서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입력들을 기술자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작은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예를 들면,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또는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에 통신될 수 있다.
[00051] 도 6은, 예를 들면, 도 1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기술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구현하도록 구성가능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600)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시스템(600)은,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608)를 통해 서로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제 1 디바이스(602), 제 2 디바이스(604) 및 제 3 디바이스(6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 1 디바이스(602)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608)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청구된 요지는 이와 관련하여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0005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디바이스(602), 제 2 디바이스(604) 및 제 3 디바이스(606)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608)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어플라이언스 또는 기계를 표현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 1 디바이스(602), 제 2 디바이스(604) 또는 제 3 디바이스(606) 중 임의의 것은: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디바이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플랫폼들; 예를 들면,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개인용 컴퓨팅 또는 통신 디바이스들 또는 어플라이언스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저장 서비스 제공자/시스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시스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서비스 제공자/시스템, 포털 또는 탐색 엔진 서비스 제공자/시스템,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자/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 또는 연관 서비스 제공자 능력;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디바이스들(602, 604 및 606) 중 임의의 것은 각각, 본원에서 설명된 예들에 따른 기지국 알마낵 서버, 기지국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053] 유사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608)는, 제 1 디바이스(602), 제 2 디바이스(604) 및 제 3 디바이스(606) 중 적어도 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지원하도록 구성가능한 하나 이상의 통신 링크들, 프로세스들 또는 자원들을 나타낸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608)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링크들, 전화 또는 전기통신 시스템들, 데이터 버스들 또는 채널들, 광섬유들, 지상 또는 우주 비행체 자원들,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 광역 네트워크들, 인트라넷들, 인터넷, 라우터들 또는 스위치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디바이스(606)의 부분적으로 가려져 예시된 파선 박스로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608)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추가적인 유사한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수 있다.
[00054] 시스템(600)에 도시된 다양한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들의 일부 또는 전부, 및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00055]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 2 디바이스(604)는, 버스(628)를 통해 메모리(622)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620)을 포함할 수 있다.
[00056] 프로세싱 유닛(620)은, 데이터 컴퓨팅 절차 또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표현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로세싱 유닛(62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057] 메모리(622)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을 표현한다. 메모리(622)는 예를 들면, 1차 메모리(624) 또는 2차 메모리(626)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메모리(624)는,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프로세싱 유닛(620)으로부터 별개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1차 메모리(624)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싱 유닛(620) 내에 제공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과 콜로케이팅/커플링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058] 2차 메모리(626)는, 예를 들면, 1차 메모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의 메모리, 또는 예를 들면,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고체 상태 메모리 드라이브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들에서, 2차 메모리(626)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640)를 동작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에 커플링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640)는, 예를 들면, 시스템(600)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액세스가능한 데이터, 코드 또는 명령들을 반송 또는 행할 수 있는 임의의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640)는 또한 저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00059] 제 2 디바이스(604)는, 예를 들면, 적어도 무선 통신 네트워크(608)에 대한 제 2 디바이스(604)의 동작가능한 커플링을 제공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를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63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6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또는 카드, 모뎀, 라우터, 스위치,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060] 제 2 디바이스(604)는, 예를 들면, 입/출력 디바이스(632)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632)는 인간의 또는 기계의 입력들을 수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도입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또는 특징부들, 또는 인간의 또는 기계의 출력들을 전달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공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또는 특징부들을 표현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입/출력 디바이스(632)는 동작가능하게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 스크린, 데이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061]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은 특정한 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에 따라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예를 들면,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s"),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SPD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PLD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FPGAs"),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디바이스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062] 본원에 포함된 상세한 설명의 몇몇 부분들은 특정한 장치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2진 디지털 신호들에 대한 동작들의 알고리즘들 또는 심볼 표현들의 관점에서 제공된다. 본 특정한 명세서의 맥락에서, 용어 특정한 장치 등은,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 특정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일단 프로그래밍되면 범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알고리즘 설명들 또는 심볼 표현들은 다른 당업자들에게 자신들의 작업의 실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신호 프로세싱 또는 관련 기술들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이용되는 기술들의 예들이다. 알고리즘은 여기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동작들의 자기-모순없는 시퀀스 또는 원하는 결과를 야기하는 유사한 신호 프로세싱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 맥락에서, 동작들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적 양들의 물리적 조작을 수반한다. 통상적으로, 비록 필수적은 아니지만, 이러한 양들은 저장되거나, 전달되거나, 결합되거나, 비교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들을 비트들, 데이터, 값들, 엘리먼트들, 심볼들, 문자들, 용어들, 숫자들, 수사들(numerals) 등으로서 지칭하는 것은 주로 일반적인 용도 때문에 때때로 편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들 또는 유사한 용어들 모두가 적절한 물리적 양들과 연관될 것이며 단순히 편리한 라벨들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의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등과 같은 용어들을 이용한 논의들은 특수 목적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특정한 장치의 동작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지칭하는 것이 인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디바이스들, 전송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의 물리적 전자 또는 자기 양들로서 통상적으로 표현되는 신호들을 조작 또는 변환할 수 있다.
[00063] 본원에서 설명되는 무선 통신 기술들은,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과 관련될 수 있다.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WWAN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네트워크, 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네트워크 또는 상기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조합 등일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단지 몇 개의 라디오 기술들을 들면, cdma2000, 광대역-CDMA("W-CDMA")와 같은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RATs")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cdma2000은 IS-95, IS-2000 및 IS-856 표준들에 따라 구현된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TDMA 네트워크는 모바일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 디지털 어드밴스드 모바일 폰 시스템("D-AMPS") 또는 몇몇 다른 RAT를 구현할 수 있다. GSM 및 W-CDMA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콘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콘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3GPP 및 3GPP2 문헌들은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하다. 4G 롱텀 에볼루션("LTE") 통신 네트워크들은 또한 일 양상에서, 청구된 요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WLAN은 IEEE 802.11x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WPAN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네트워크, IEEE 802.15x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무선 통신 구현들은 또한, WWAN, WLAN 또는 WPAN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00064] 다른 양상에서,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전송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는, 셀룰러 전화 서비스를 비즈니스 또는 가정으로 확장하는데 활용되는 펨토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펨토 셀과 통신할 수 있고, 펨토 셀은, 인터넷과 같은 다른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더 큰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00065]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몇몇 GNSS 중 어느 하나 및/또는 GNSS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SPS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기술들은, "의사위성들"로서 동작하는 지상 전송기들 또는 SV들과 이러한 지상 전송기들의 조합을 활용하는 포지셔닝 시스템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지상 전송기들은, 예를 들면, PN 코드 또는 (예를 들면, GPS 또는 CDMA 셀룰러 신호와 유사한) 다른 레인징 코드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지상-기반 전송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기는 원격 수신기에 의한 식별을 허용하기 위해 고유 PN 코드를 할당받을 수 있다. 지상 전송기들은, 예를 들면, 터널들, 광산들, 건물들, 도시 협곡들 또는 다른 폐쇄된 영역들과 같은, 궤도 SV로부터의 SPS 신호들이 이용불가능할 수 있는 상황들에서 SPS를 증강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의사위성들의 다른 구현은 라디오-비콘들로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SV"는 의사위성들, 의사위성들의 균등물들 및 가능하게는 다른 것들로서 동작하는 지상 전송기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들 "SPS 신호들" 및/또는 "SV 신호들"은, 의사위성들 또는 의사위성들의 균등물들로서 동작하는 지상 전송기들을 포함하는 지상 전송기들로부터의 SPS-유사 신호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00066]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및" 및 "또는"은 이러한 용어들이 사용되는 맥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다양한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또는"은, A, B 또는 C와 같은 리스트와 연관되도록 사용되면, 여기서는 배타적 관점에서 사용되는 A, B 또는 C 뿐만 아니라, 여기서는 내포적 관점에서 사용되는 A, B 및 C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예" 또는 "예"에 대한 참조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청구된 요지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위치들에서 구(phrase) "일 예에서", 또는 "예"의 출현들이 반드시 동일한 예 모두를 참조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정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조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들은, 디지털 신호들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기계들, 디바이스들, 엔진들 또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들은, 위치들 사이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들, 광 신호들, 전자기 신호들 또는 임의의 형태의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
[00067] 예시적인 특징들인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것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형들이 수행될 수 있고 균등물들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중심되는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청구된 요지의 교시들에 특정한 상황을 적응시키도록 많은 변형들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요지는 개시된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지만, 이러한 청구된 요지들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양상들 및 이의 균등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27)

  1.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positioning beacon transmitter)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에서,
    프로비저닝 엔티티(provisioning entity)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프로브(probe) 신호들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은 전력 분배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콘 노드들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은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utility-grade power source)에 접속된 케이블 매체로부터 수신됨 ―;
    상기 케이블 매체를 통해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매체를 통해 상기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 프로비저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프로비저닝 신호는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를 포함함 ―; 및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상기 위치의 상기 표시에 의해 변조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신호는 고유한 식별자, 절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상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도시의 어드레스, 고도 또는 층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표시에 의해 변조된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는 단계는 특정 지정된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력 차단(powered-off) 상태로부터 전력 공급(powered) 상태로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는 단계는 전력 차단 상태로부터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유틸리티 벽 소켓으로부터 상기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7.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로서,
    유틸리티-그레이드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의 수신에 응답하여 프로비저닝 엔티티에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등록하기 위해 케이블 매체에 접속되는 전력 회로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은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발견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케이블 매체 상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매체에 접속되는 복조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기; 및
    상기 복조된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내의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에 의해 변조된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기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된 데이터 신호는, 상기 교류 전력 신호로부터 분리된 주파수 대역 상에서 상기 케이블 매체 상에서 전송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의 표시는 고유한 식별자, 절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상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도시의 어드레스, 고도 또는 층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조된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콘 신호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표시에 의해 변조된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기를 추가로 구성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11. 삭제
  12. 컴퓨터-판독 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명령들은,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의 수신에 응답하여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등록하고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은 전력 분배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콘 노드들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은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에 접속된 케이블 매체로부터 수신됨 ―;
    상기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 매체를 통해 상기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 수신되는 프로비저닝 신호를 획득하고 ― 상기 프로비저닝 신호는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를 포함함 ―;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에 의해 변조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13.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로서,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의 전력 분배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콘 노드들을 발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의 수신에 응답하여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등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은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에 접속된 케이블 매체로부터 수신됨 ― ,
    상기 케이블 매체를 통해 상기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케이블 매체를 통해 상기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 프로비저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프로비저닝 신호는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위치의 표시를 포함함 ― , 및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의 상기 위치의 상기 표시에 의해 변조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14. 프로비저닝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비저닝 엔티티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에 의한 수신에 응답하여, 와이어들에 접속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발견하는 단계, ― 상기 와이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등록하고,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을 사용하여 교류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됨 ―;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들을 통한 전송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변조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상기 와이어들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들의 표시는 고유한 식별자, 절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상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도시의 어드레스, 고도 또는 층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들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표시를 더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특정 지정된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력 차단 상태로부터 전력 공급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전력 차단 상태로부터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9. 프로비저닝 엔티티로서,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발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부터 등록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트랜시버 ― 상기 트랜시버는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와이어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들을 부가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임 ―;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의 상기 와이어들을 통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의 전송을 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의 표시는 고유한 식별자, 절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상대적인 전송기 포지션, 도시의 어드레스, 고도 또는 층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들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표시를 더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특정 지정된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력 차단 상태로부터 전력 공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표시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전력 차단 상태로부터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표시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
  24. 컴퓨터-판독 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명령들은,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와이어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발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부터 등록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브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고;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빌딩 내의 상기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상기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의 상기 와이어들을 통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25. 프로비저닝 엔티티로서,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발견하고,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와이어들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발견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이 프로비저닝 엔티티로부터 프로브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프로브 신호들에 응답하여 등록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는 것임 ―;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빌딩 내의 유틸리티-그레이드 전원으로서 상기 교류 전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상기 와이어들을 통한 전송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 및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상기 와이어들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신호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프로비저닝 엔티티.
  26. 삭제
  27. 삭제
KR1020157026316A 2013-03-07 2014-03-05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KR101768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89,504 2013-03-07
US13/789,504 US9244146B2 (en) 2013-03-07 2013-03-07 Positioning beacon transmitter
PCT/US2014/020443 WO2014138138A1 (en) 2013-03-07 2014-03-05 Positioning beacon transm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128A KR20150127128A (ko) 2015-11-16
KR101768158B1 true KR101768158B1 (ko) 2017-08-16

Family

ID=5043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316A KR101768158B1 (ko) 2013-03-07 2014-03-05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4146B2 (ko)
EP (1) EP2965109B1 (ko)
JP (1) JP6042570B2 (ko)
KR (1) KR101768158B1 (ko)
CN (1) CN105026949B (ko)
WO (1) WO2014138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093B2 (en) * 2013-12-20 2017-11-14 Apple Inc. Programmable beacon payloads
WO2015130969A1 (en) 2014-02-26 2015-09-03 Blazer And Flip Flops, Inc. Dba The Experience Engine, Inc. Live branded dynamic mapping
WO2015130971A1 (en) 2014-02-26 2015-09-03 Blazer And Flip Flops, Inc. Dba The Experience Engine, Inc. Increasing customer monetization
US20170011348A1 (en) 2014-02-26 2017-01-12 Blazer and Flip Flops, Inc. dba The Experience Engine Venue notifications
TWI599261B (zh) * 2014-04-23 2017-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無線網路連線方法
US9756477B2 (en) * 2014-10-25 2017-09-05 Emmanuel Azih Device, methods, and systems for proximity localization using beacon switches
US10332140B2 (en) * 2014-11-26 2019-06-25 Paypal, Inc. Line management based on user tolerance
US9813855B2 (en) 2015-04-23 2017-11-07 Blazer and Flip Flops, Inc. Targeted venue message distribution
WO2016176506A1 (en) 2015-04-28 2016-11-03 Blazer And Flip Flops, Inc Dba The Experience Engine Intelligent prediction of queue wait times
WO2016179098A1 (en) * 2015-05-01 2016-11-10 Blazer and Flip Flops, Inc. dba The Experience Engine Map based beacon management
EP3566455A4 (en) 2015-12-07 2020-07-22 Blazer and Flip Flops, Inc. DBA The Experience Engine WEARABLE DEVICE
AU2017268026B2 (en) 2016-05-20 2022-08-04 Myriota Pty Ltd Position estimation in a low earth orbit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WO2018111525A1 (en) * 2016-12-12 2018-06-21 Kepleria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pace object position determination
CN108616854B (zh) * 2017-03-28 2021-11-12 集速智能标签(上海)有限公司 一种室内定位的方法及系统
KR101903706B1 (ko) * 2017-06-05 2018-10-05 네이버 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충전기를 활용하여 전자 기기가 위치한 공간을 파악하는 방법, 상기 전자 기기 및 상기 충전기
CN107290718A (zh) * 2017-08-11 2017-10-24 苏州真趣信息科技有限公司 定位系统
US10470155B2 (en) 2017-11-30 2019-11-05 Abl Ip Holding Llc Commissioning of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a secondary positioning system
EP3858099A1 (en) * 2018-09-24 2021-08-04 Sony Group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TWI674030B (zh) * 2018-12-05 2019-10-01 PopWorld Inc. 智慧多媒體傳送系統及方法
EP3736596A1 (de) * 2019-05-06 2020-11-11 Siemens Healthcare GmbH Zusatzmodul für ein gerät, servereinrichtung, lokalisierungs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entsprechendes speichermedium
US11948184B2 (en) * 2019-11-27 2024-04-02 Ncr Voyi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loorspace measurement
EP4024246A1 (en) 2020-12-29 2022-07-06 Good Way Technology Co., Ltd.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for check in and out using beacon technolog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638A (ja) 2003-06-20 2005-01-13 Seiko Epson Corp 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
US20070201540A1 (en) 2006-02-14 2007-08-30 Berkman William H Hybrid power lin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009460A1 (en) 2007-06-27 2008-12-31 NTT DoCoMo, Inc. Position estimation system
JP2009290282A (ja) 2008-05-27 2009-12-10 Softbank Bb Corp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
EP2383901A1 (en) 2010-04-29 2011-11-02 Gigle Networks SL Wireless network devices configurable via powerline communications networks
US20120087212A1 (en) 2010-10-08 2012-04-12 Harry Vartani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location or position determination of object devices using building information and/or powerlines
US20120315890A1 (en) 2010-02-12 2012-12-13 Takashi Suzuki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1829B2 (en) * 2003-09-22 2010-07-06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mini-beacons
US7528716B2 (en) 2004-09-15 2009-05-05 Radarfind Corporation Methods, location circuit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ed location and monitoring of mobile devices
AU2011232897B2 (en) 2010-03-31 2015-11-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Localization services in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communications components a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638A (ja) 2003-06-20 2005-01-13 Seiko Epson Corp 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
US20070201540A1 (en) 2006-02-14 2007-08-30 Berkman William H Hybrid power lin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009460A1 (en) 2007-06-27 2008-12-31 NTT DoCoMo, Inc. Position estimation system
JP2009010638A (ja) 2007-06-27 2009-01-15 Ntt Docomo Inc 位置推定システム
JP2009290282A (ja) 2008-05-27 2009-12-10 Softbank Bb Corp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
US20120315890A1 (en) 2010-02-12 2012-12-13 Takashi Suzuki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EP2383901A1 (en) 2010-04-29 2011-11-02 Gigle Networks SL Wireless network devices configurable via powerline communications networks
US20120087212A1 (en) 2010-10-08 2012-04-12 Harry Vartani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location or position determination of object devices using building information and/or power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8138A1 (en) 2014-09-12
CN105026949A (zh) 2015-11-04
JP2016516981A (ja) 2016-06-09
CN105026949B (zh) 2017-06-27
US20140253383A1 (en) 2014-09-11
JP6042570B2 (ja) 2016-12-14
KR20150127128A (ko) 2015-11-16
US9244146B2 (en) 2016-01-26
EP2965109A1 (en) 2016-01-13
EP2965109B1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158B1 (ko) 포지셔닝 비콘 전송기
KR101793165B1 (ko) 장소 포지셔닝 능력들에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US9544923B2 (en) System and/or method of locating a portable service access transceiver
KR102355389B1 (ko) 로케이션-관련 데이터의 선택적 크라우드소싱
US9131347B2 (en) Utilizing a pressure profile to determine a location context identifier
EP3353571B1 (en) Ranging and/or localization service based on mobile device privilege
US103418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ontrol of privacy for crowdsourcing
KR20150132369A (ko) 감춰진 인프라구조로 주입된 신호들에 기초한 포지셔닝
WO2016195879A2 (en) Hybrid positioning techniques based on rtt and toa/tdoa
WO2013154948A1 (en) Access point measurements for received signal prediction
KR20150030718A (ko) 일 장소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160078469A (ko) 라디오 열 지도의 파라미터들을 학습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용
WO2018038904A1 (en) Otdoa positioning via local wireless transmitters
EP3721249A1 (en) Positioning of low-capability devices in indoor position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