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014B1 - 결로 방지 창호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014B1
KR101768014B1 KR1020140176037A KR20140176037A KR101768014B1 KR 101768014 B1 KR101768014 B1 KR 101768014B1 KR 1020140176037 A KR1020140176037 A KR 1020140176037A KR 20140176037 A KR20140176037 A KR 20140176037A KR 101768014 B1 KR101768014 B1 KR 10176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hape
windowpane
condensation
inclin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283A (ko
Inventor
장철용
정학근
김종훈
류승환
안병립
김정국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0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6/00Batteries: thermoelectric and photoelectric
    • Y10S136/291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창유리 및 제1창유리를 둘러싸는 제1창틀을 포함하는 제1창문, 제2창유리 및 제2창유리를 둘러싸는 제2창틀을 포함하는 제2창문 및 제1창문과 제2창문을 둘러싸며 제1창문과 제2창문으로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외곽틀을 포함하고, 제1창문은 실외측에 위치하며 제2창문은 실내측에 위치하며, 제2창틀 중 제1창틀과 중첩되는 일 변의 하측 일부 혹은 전부가 창문의 이동 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제1창유리 표면의 일부 기류가 경사진 형상을 통해 제2창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창유리의 결로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결로 방지 창호{ANTI-CONDENSATION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결로를 방지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 표면의 온도가 그 위치 공기의 노점 이하로 되었을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액체로 되는데, 이러한 액체가 창호의 표면에 맺히는 현상을 결로라고 한다.
이러한 결로는 창호의 여러 위치 중에서도 특정 위치에 자주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창호에서 결로가 자주 발생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창호(10)는 창유리(32, 42) 및 창틀(34, 44)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좌측 창문(30) 및 우측 창문(40), 그리고, 외곽틀(2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창호(10)에서 실내측에 가깝게 위치한 우측 창문(40)보다 실외측에 위치한 좌측 창문(30)에 결로가 더 많이 발생한다.
특히, 좌측 창문(30) 중에서도 우측 창문(40)과의 경계부분에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데, 도 1을 참조할 때, 결로에 특히 취약한 부분은, 좌측 창문(30) 창유리(32)의 우측 하단(A)이다.
실내측 결로 발생부위에서는 곰팡이 및 세균의 증식가능성이 높아 재실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로 발생부위에 접하는 창유리와 창틀의 실링부위 내구성 저하로 인하여 창의 열적성능을 저할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창호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종래 창호(10)에서 단열 성능을 강화하여도 전술한 A 부분에서는 지속적으로 결로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결로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창호(10)에서 A 부분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결로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창유리 및 상기 제1창유리를 둘러싸는 제1창틀을 포함하는 제1창문; 제2창유리 및 상기 제2창유리를 둘러싸는 제2창틀을 포함하는 제2창문; 및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을 둘러싸며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으로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외곽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창문은 실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창문은 실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창틀 중 상기 제1창틀과 중첩되는 일 변의 하측 일부 혹은 전부가 창문의 이동 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창유리 표면의 일부 기류가 상기 경사진 형상을 통해 상기 제2창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창유리의 결로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에서 결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 창호(10)에서 단열 성능을 강화하여도 해결되지 않는 A 부분의 결로 문제가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에서 결로가 자주 발생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창문과 제2창문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의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 중 창틀이 중첩되는 부분 근처에서의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창호에 대한 결로 시험 시뮬레이션의 온도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에 대한 결로 시험 시뮬레이션의 온도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결로가 자주 발생하는 위치에 대한 종래 창호와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들에 따른 제2창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들에 따른 제2창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들에 따른 제2창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창호(100)는 두 개의 창문(110, 15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측에 가깝게 위치한 창문을 제1창문(110)이라고 하고, 실내측에 가깝게 위치한 창문을 제2창문(150)이라고 한다.
제1창문(110)은 제1창유리(120) 및 제1창유리(120)를 둘러싸는 제1창틀(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창문(150)은 제2창유리(160) 및 제2창유리(160)를 둘러싸는 제2창틀(170)을 포함한다.
창호(100)는 이러한 제1창문(110), 제2창문(150) 및 제1창문(110)과 제2창문(150)을 둘러싸며 제1창문(110)과 제2창문(150)으로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외곽틀(26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창틀(170) 중 제1창틀(130)과 중첩되는 일 변의 하측 일부가 창문의 이동 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사진 형상을 통해 제1창유리(120) 표면의 일부 기류가 제2창문(15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창유리(120)의 결로가 방지된다.
도 3은 도 2의 제1창문과 제2창문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의 절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창문(110)은 네 변(131 내지 134)을 가지는 4각형의 제1창틀(130) 및 제1창유리(120)을 포함하고 있고, 제2창문(150)은 네 변(171 내지 174)을 가지는 4각형의 제2창틀(170) 및 제2창유리(160)을 포함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창호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창호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1창틀(130)의 제3변(133) 및 제2창틀(170)의 제1변(171)은 서로 중첩되게 된다.
이때, 제1창유리(120)에서 제3변(133)과 인접한 부분(A)이 결로에 취약한 부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에서는 A 부분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제2창틀(170)의 제1변(171)이 하측 일부에 경사진 형상(171a)을 가지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경사진 형상(171a)은 창문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경사져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경사진 형상(171a)은 제1창유리(120) 쪽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이다.
도 3을 다시 참조할 때, 제2창틀(170)의 제1변(171)에서 경사진 형상(171a)이 나타나는 부분은 결로에 취약한 A 부분의 상하 방향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사진 형상(171a)의 하단은 A 부분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경사진 형상(171a)의 상단은 A 부분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A 부분은 제1창틀(130)의 하변(132)의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진 형상(171a)의 하단은 제1창틀(130)의 하변(132)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I-I' 중 창틀이 중첩되는 부분 근처에서의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3의 I-I' 중 창틀이 중첩되는 부분 근처에서의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비교를 위해 종래 창호(10)에서 도 5의 (a)와 동일한 위치에서의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의 A'부분과 도 5의 (b)의 A''부분을 비교해 보면, A'의 기류가 A''의 기류보다 좀더 빠르고 좀더 조밀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창유리(120)와 창틀(133, 171)이 만나는 부분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A'부분에서는 좀더 깊숙한 부분까지 기류가 형성되는데 반해 A''부분에서는 창유리(32)와 창틀(34 및 44)이 만나는 부분에서 기류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의 (b)에서 창유리(32)와 창틀(34 및 44)이 만나는 부분에서 기류가 형성되지 않고 공기가 정체되고 있다.
통풍이 잘 되지 않는 곳에 결로가 쉽게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종래 창호(10)에서는 도 5의 (b)와 같이 기류가 정체되는 위치가 존재하여 이러한 위치에서 결로가 쉽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반해,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는 창틀(171)의 일부분에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이러한 경사진 형상을 통해 기류가 활발히 일어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기류 차이는 창호 표면 온도에서도 차이를 만든다.
도 6은 종래 창호에 대한 결로 시험 시뮬레이션의 온도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에 대한 결로 시험 시뮬레이션의 온도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같은 조건에서의 결로 시험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서, 창호의 총 크기는 2,000(mm) x 2,000(mm)이고, 창유리의 두께는 16mm이며, 창틀은 PVC 재질이다. 시험에서 실내 온도는 섭씨 25도로 유지되었으며, 실외 온도는 섭씨 -15도로 유지되었다.
도 6 및 도 7을 비교하면, 결로 취약 부위에서 종래 창호(10)에 비해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의 온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결로 취약 부위인 A부분에 해당되는 도 6의 (c)와 도 7의 (c)를 비교해 보면, 종래 창호(10)에 비해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결로가 자주 발생하는 위치에 대한 종래 창호와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A부분에서 높이에 따른 종래 창호(10)에 대한 시뮬레이션 온도이며, 실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A부분에서 높이에 따른 제1실시예 창호(100)에 대한 시뮬레이션 온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의 해당 위치 온도가 종래 창호(10)에 비해 높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내 온도와 표면 온도의 차이가 클 수록 결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의 결로 확률이 종래 창호(10)의 결로 확률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율을 보더라도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의 온도 변화율이 종래 창호(10)에 비해 높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율은 상하 방향으로 기류가 얼마나 빠르게 발생하는지가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온도 변화율이 클 수록 기류가 빠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상하 방향에서도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가 종래 창호(10)보다 빠른 기류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100)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창유리(120) 표면의 기류가 제2창문(150) 방향으로 좀더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는 구조는 본 발명에 해당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이외의 다른 형상의 실시예들을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들에 따른 제2창문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창문(150)에서 제2창틀(170)의 제1변(171) 전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사진 형상은 도 9의 (a)와 같이 삼각 모양으로 절삭된 형상일 수 있고, 도 9의 (b)와 같이 라운드지게 절삭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경사진 형상은 도 9의 (c)와 같이 다층으로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들에 따른 제2창문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창문(150)에서 제2창틀(170)의 제1변(171) 일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사진 형상은 도 10의 (a)와 같이 삼각 모양으로 절삭된 형상일 수 있고, 도 10의 (b) 및 (c)와 같이 라운드지게 절삭된 형상일 수 있다.
경사진 형상은 도 10의 (a) 및 (b)와 같이 제2창틀(170)의 제1변(171)의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들에 따른 제2창문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창문(150)에서 제2창틀(170)의 제1변(171)은 사각 기둥의 기본 형상에서 일부가 들어간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들어간 부분에 경사진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창문(150)에서 제2창틀(170)의 제1변(171)에는 복수의 위치에 들어간 부분이 위치하고 각각의 들어간 부분에 경사진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형상은 도 11의 (a) 및 (c)와 같이 삼각 모양으로 절삭된 형상일 수 있고, 도 11의 (b) 및 (d)와 같이 라운드지게 절삭된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들어간 부분에 형성된 경사의 폭은 도 11의 (c) 및 (d)와 같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진 형상의 폭은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창유리 및 상기 제1창유리를 둘러싸는 제1창틀을 포함하는 제1창문;
    제2창유리 및 상기 제2창유리를 둘러싸는 제2창틀을 포함하는 제2창문; 및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을 둘러싸며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으로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외곽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창문은 실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창문은 실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창틀 중 상기 제1창틀과 중첩되는 일 변의 하측의 일정 부분만 창문의 이동 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창유리 하측 표면의 일부 기류가 상기 경사진 형상을 통해 상기 제2창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창유리의 결로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부분은 상기 일 변의 하단과 맞닿아 있고 상기 일정 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1창틀의 하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변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진 형상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형상은 라운드지게 절삭되거나 삼각 모양으로 절삭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변은 사각 기둥의 기본 형상에서 일부가 들어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들어간 부분에 상기 경사진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 변은 복수의 위치에 상기 들어간 부분이 위치하고 각각의 들어간 부분에 상기 경사진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들어간 부분에 형성된 경사의 폭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 변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진 형상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변은 다층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변을 제외한 상기 제2창틀의 나머지 변들과 상기 제1창틀의 모든 변들은 전체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창호.
KR1020140176037A 2014-12-09 2014-12-09 결로 방지 창호 KR10176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037A KR101768014B1 (ko) 2014-12-09 2014-12-09 결로 방지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037A KR101768014B1 (ko) 2014-12-09 2014-12-09 결로 방지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83A KR20160070283A (ko) 2016-06-20
KR101768014B1 true KR101768014B1 (ko) 2017-08-16

Family

ID=5635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037A KR101768014B1 (ko) 2014-12-09 2014-12-09 결로 방지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0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83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743B1 (ko) 프로젝트 창호 및 커튼 월 창호
KR102027317B1 (ko) 차열용 방화문
JP2015031150A (ja) 窓扉用防風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窓扉
KR101768014B1 (ko) 결로 방지 창호
KR102231117B1 (ko)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KR101265522B1 (ko) 밀착부재와 차폐바를 이용한 밀폐형 창문시스템
KR101468682B1 (ko) 협소한 시공 구조 여건에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입면 분할 창호
KR200476917Y1 (ko) 창호 단열구조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277683B1 (ko) 고기밀성능과 고단열성능을 가진 창문구조
DE202019105379U1 (de) Schwingtürsystem und Tiefkühlgerät mit einem Schwingtürsystem
CN108138532B (zh) 具有防风部件的窗
KR102402693B1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JP6124017B2 (ja) サッシ上枠
JP6758883B2 (ja) サッシ窓の気密/断熱構造
JP2015196944A (ja) サッシ構造
KR102325103B1 (ko) 빗물의 역류를 방지 가능한 보온형 창문틀
JP6472630B2 (ja) 断熱サッシ
KR102190513B1 (ko) 환기 효율이 향상된 시스템 방범 창호
KR101722301B1 (ko) 문틈막이
KR101606751B1 (ko) 풍지 겸용 추락방지 구조를 구비한 미서기창호
JP6775931B2 (ja) 建具
KR102528020B1 (ko) 창문 틈새 차단형 방풍구
KR20130005407U (ko) 단열성이 개선된 자동출입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