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392B1 -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392B1
KR101767392B1 KR1020150144460A KR20150144460A KR101767392B1 KR 101767392 B1 KR101767392 B1 KR 101767392B1 KR 1020150144460 A KR1020150144460 A KR 1020150144460A KR 20150144460 A KR20150144460 A KR 20150144460A KR 101767392 B1 KR101767392 B1 KR 10176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ccessory
interfering
brack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848A (ko
Inventor
문광수
Original Assignee
문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수 filed Critical 문광수
Priority to KR102015014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3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6Special supports, platforms or trolleys for supporting machines on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장치의 본체와 이에 부속하는 부속 기구를 빠르고 쉽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 유닛과, 이를 구비한 프린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착탈 결합 유닛은, 장치의 본체에 부속하는 부속 기구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닛으로, 본체에 구비된 제1 간섭부, 및 부속 기구에 구비되며, 부속 기구가 본체에 장착되면 제1 간섭부와 접촉 간섭되어 부속 기구가 본체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2 간섭부를 구비한다. 제1 간섭부 또는 제2 간섭부는,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 및 본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부속 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간섭부와 제2 간섭부가 미리 정한 기준값보다 큰 힘으로 접촉되는 경우에 부속 기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변형된다.

Description

프린팅 장치{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의 본체와 이에 부속하는 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 유닛과, 이를 구비한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현금 입출금기, 자동 발권기, 자동 판매기, 셀프 주유기, 의료 기기,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와 같은 장치에는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고, 정보가 인쇄된 부분을 잘라내 배출하는 프린터(printer)가 삽입 탑재된다. 인쇄 방식 측면으로 보면, 상기 프린터는 주로 감열식 프린터(thermal printer)에 해당하고, 감열지 롤(thermal printing paper roll)이 용지로 사용된다.
상기 프린터는 사용 빈도가 매우 높고, 특히 키오스크(kiosk)에 탑재된 프린터의 경우에는 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의 미숙하고 거친 조작으로 인해 고장이 빈번이 발생한다. 프린터에 고장 또는 작동 불량이 발생하면, 프린터를 포함한 장치의 전면(前面)을 열고, 프린터를 상기 장치로부터 분리해서 고장이나 작동 불량을 해결하고, 상기 장치에 프린터를 다시 탑재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요구된다. 프린터의 고장이나 작동 불량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장치를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없어 고객 불만이 증대되고 매출이 감소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4010호
본 발명은, 장치의 본체와 이에 부속하는 부속 기구를 빠르고 쉽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 유닛과, 이를 구비한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본체에 부속하는 부속 기구를 상기 본체에 끼워 결합하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부속 기구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부속 기구의 커넥터(connector)들도 별도의 조작 없이 연결되고, 상기 부속 기구를 상기 본체에서 빼내 분리하면 상기 본체와 상기 부속 기구의 커넥터들도 별도의 조작 없이 분리되는 착탈 결합 유닛과, 이를 구비한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치의 본체에 부속하는 부속 기구를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닛으로,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제1 간섭부, 및 상기 부속 기구에 구비되며, 상기 부속 기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제1 간섭부와 접촉 간섭되어 상기 부속 기구가 상기 본체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2 간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간섭부 또는 상기 제2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 및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부속 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가 미리 정한 기준값보다 큰 힘으로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부속 기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변형되는 착탈 결합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탈 결합 유닛과,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기능을 갖는 부속 기구를 구비한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부속 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대편 간섭부에 접촉되는, 경사진 장착 지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다른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부속 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대편 간섭부에 접촉되는, 경사진 이탈 지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상기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부속 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간섭부의 이탈 지원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진 이탈 지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상기 다른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부속 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나의 간섭부의 장착 지원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진 장착 지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탈 결합 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부속 기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부속 기구가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된 브라켓(bracket)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간섭부는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간섭부는 상기 부속 기구의 하우징(housing)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과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 중 하나에는 상기 부속 기구가 상기 본체에 대해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 결합 유닛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본체에서 상기 부속 기구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브라켓 커넥터(connector), 및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에 고정된 PCB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브라켓 커넥터에 연결되는 부속 기구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가 접촉 간섭되어 상기 부속 기구가 상기 본체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기 브라켓 커넥터 및 상기 부속 기구 커넥터가 통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가 분리되면 상기 브라켓 커넥터 및 상기 부속 기구 커넥터도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커넥터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PCB에 표면 실장(surface mount)되고, 상기 부속 기구 커넥터는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에 고정된 PCB에 표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부속 기구는 감열식 프린터(thermal print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부속된 부속 기구의 작동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부속 기구를 본체로부터 빠르고 쉽게 분리하고, 예비적으로 보유하는 동종의 부속 기구를 본체에 빠르고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속 기구의 작동 오류나 고장으로 인한 본체의 멈춤 기간을 최소화하여 고객의 시간 낭비와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부속 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별도로 잡아주는 동작 없이, 부속 기구의 하우징 만을 잡고 본체에 탑재하는 동작 또는 분리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므로, 부속 기구를 본체에 탑재하거나 부속 기구를 본체에서 분리하는 동작이 매우 쉽고 빠르게 진행된다.
도 1은 프린팅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 결합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2는 앞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뒤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브라켓을 내측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를 V-V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 결합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팅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프린팅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팅 장치(1)는 주유용 키오스크(kiosk)로서, 본체(2)의 전면(前面)에 UI(User Interface)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3)과 주유기를 구비하고, 본체(2)에 부속하는 부속 기구로서, 결제 영수증이 인쇄 및 출력되는 프린터(printer)(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프린팅 장치(1)는 프린터(30)를 구비하여 인쇄 기능을 갖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기능은 없이 인쇄 기능만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프린팅 장치(1)는 예컨대, 현금 입출금기, 자동 발권기, 자동 판매기, 의료 기기,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 결합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2는 앞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뒤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브라켓을 내측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를 V-V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부속 기구(30)는 소위 감열식 프린터(thermal printer)로서, 부속 기구 하우징(housing)(31)과, 전면 도어(front door)(40)와, 급지 롤러(46)와, TPH(thermal printing head)(45)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39)을 구비한다.
부속 기구 하우징(31)에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며 롤(roll) 형태로 감긴 감열 용지(미도시)가 탑재되는 용지 탑재 홈(32)이 형성된다. 전면 도어(40)는 부속 기구 하우징(31)의 하단부에 힌지(hinge) 결합되어, 상기 용지 탑재 홈(32)이 노출되지 않도록 닫히거나, 상기 용지 탑재 홈(32)이 노출되도록 열린다. 전면 도어(40)는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되며, 부속 기구 하우징(31) 일 측면의 레버(43)를 조작하여 전면 도어(40)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급지 롤러(46)는 롤(roll) 형태로 감긴 감열 용지를 풀어 전방으로 배출한다. 감열 용지와 접촉된 때 마찰력이 커지도록 급지 롤러(46)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TPH(45)는 급지 롤러(46)와 마주보도록 급지 롤러(46)의 아래에 배치되어 감열 용지에 문자 및 문양(文樣)을 인쇄한다. TPH(45)의 열선(미도시)이 선택적으로 발열(發熱)하면 TPH(45)에 밀착된 감열 용지로 열이 전달되어 감열 용지가 부분적으로 변색되면서 문자 및 문양이 인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9)에는 인쇄 상황이 표시되거거나, 인쇄와 관련된 주의 사항이 표시된다. 전면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TPH(45)를 통과하여 인쇄된 용지는 디스플레이 패널(39)과 전면 도어(40) 사이의 틈으로 배출된다. 전면 도어(40)의 말단 모서리에는 용지 절단 톱날(41)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9)과 전면 도어(40) 사이의 틈으로 배출되는 인쇄된 용지를 잡고 아래로 당기면 용지 절단 톱날(41)에 인쇄된 용지가 밀착되면서 프린터(30)의 전방으로 배출된 용지가 절단된다.
프린팅 장치(1)(도 1 참조)는 부속 기구인 프린터(30)를 상기 본체(2)(도 1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 결합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착탈 결합 유닛은 브라켓(11)과,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와, 브라켓 커넥터(bracket connector)(27)와, 부속 기구 커넥터(50)를 구비한다. 브라켓(11)은 부속 기구(30)가 본체(2)(도 1 참조)에 장착될 때 부속 기구(30)가 안착되는, 전면(前面)이 개방된 부속 기구 안착 홈(12)이 형성된다. 브라켓(11)은 본체(2)의 전면(前面)에 고정된다. 상기 홈(12)의 입구 주변부(13)와 브라켓(11)의 측벽 사이에는 단차진 스토퍼(stopper)(15)가 형성되고, 부속 기구 하우징(31)에는 상기 스토퍼(15)에 걸리도록 확장된 걸림턱(34) 형성된다. 부속 기구(30)를 브라켓(11)의 부속 기구 안착 홈(12)의 입구를 통해 밀어 넣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34)이 스토퍼(15)에 걸려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되면 부속 기구(30)가 브라켓(11)에 장착된 것이다.
브라켓(11)의 일 측벽에는 전면 도어(40) 개방 조작을 위한 레버(43)와 그 주변부가 부속 기구 안착 홈(12) 내부 진입시 브라켓(11) 측벽에 충돌하지 않도록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11)의 상부 측벽의 내측면에는 부속 기구(30)가 본체(2)에 대해 장착되는 방향, 즉 부속 기구(30)를 브라켓(11)의 부속 기구 안착 홈(12)에 끼워 넣기 위해 부속 기구(30)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18)가 형성된다. 부속 기구 하우징(31)의 상측면에는, 상기 부속 기구(30)를 부속 기구 안착 홈(12)으로 끼워 넣을 때 상기 가이드 그루브(18)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그루브(18)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3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35)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18)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브라켓(11)에 가이드 그루브(18)가 형성되고 부속 기구 하우징(31)에 가이드 돌기(35)가 형성되나, 이와 반대로 브라켓(11)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부속 기구 하우징(31)에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간섭부(20)는 브라켓(11)의 양 측 측벽에 한 쌍이 구비되고, 제2 간섭부(36)는 부속 기구 하우징(31)의 양 측 측면에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2 간섭부(36)는 부속 기구(30)가 브라켓(11)에 장착되면 제1 간섭부(20)와 간섭되어 부속 기구(30)가 브라켓(11)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간섭부(20)는 부속 기구(30)가 본체(2)(도 1 참조), 구체적으로는 브라켓(11)에 장착되는 방향 및 본체(2)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부속 기구(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가 미리 정한 기준값보다 큰 힘으로 접촉되는 경우에 부속 기구(30)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변형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간섭부(20)의 일 단(21)이 브라켓(11)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고 타 단(22)은 브라켓(11)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되어, 제1 간섭부(20)가 탄성 변형되고(도 5 참조) 제2 간섭부(36)는 탄성 변형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간섭부가 탄성 변형되지 않고 제2 간섭부가 탄성 변형되게 구성되거나, 제1 간섭부와 제2 간섭부가 조금씩 탄성 변형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는 각각 경사진 장착 지원 경사면(23, 37)과 이탈 지원 경사면(24, 38)을 구비한다. 제1 간섭부(20)의 장착 지원 경사면(23)과 이탈 지원 경사면(24)은 부속 기구 안착 홈(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고, 제2 간섭부(36)의 장착 지원 경사면(37)과 이탈 지원 경사면(38)은 부속 기구 하우징(31)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부속 기구(30)가 본체(2)(도 1 참조), 구체적으로 브라켓(11)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의 장착 지원 경사면(23, 37)은 서로 접촉되고, 그 접촉 지점에서 제1 간섭부(20)의 장착 지원 경사면(23)에 가해지는 힘이 특정 기준값보다 크면, 제1 간섭부(20)가 일 단(21)을 중심으로 탄성 회전하여 타 단(22)이 도 5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이동한다. 부속 기구(30)의 걸림턱(34)이 스토퍼(15)에 걸릴 때까지 이동하여 부속 기구(30)가 브라켓(11)에 장착되면 제2 간섭부(36)의 장착 지원 경사면(37)과 이탈 지원 경사면(38)이 제1 간섭부(20)의 장착 지원 경사면(23)과 이탈 지원 경사면(24)을 지나가고 제1 간섭부(20)는 원래 형태로 탄성 복원된다. 부속 기구(30)를 브라켓(11)에 장착하는 것은 부속 기구(30)를 손으로 잡고 부속 기구 안착 홈(12)의 입구를 통해 부속 기구(30)를 상기 안착 홈(12)의 내부로 밀어 넣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부속 기구(30)가 브라켓(11)에 장착된 상태로부터 브라켓(11)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의 이탈 지원 경사면(24, 38)은 서로 접촉되고, 그 접촉 지점에서 제1 간섭부(20)의 이탈 지원 경사면(24)에 가해지는 힘이 특정 기준값보다 크면, 제1 간섭부(20)가 일 단(21)을 중심으로 탄성 회전하여 타 단(22)이 도 5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이동한다. 부속 기구(30)가 브라켓(11)에서 분리되어 제2 간섭부(36)의 장착 지원 경사면(37)과 이탈 지원 경사면(38)이 제1 간섭부(20)의 장착 지원 경사면(23)과 이탈 지원 경사면(24)을 지나가고 제1 간섭부(20)는 원래 형태로 탄성 복원된다. 부속 기구(30)를 브라켓(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시키는 것은 부속 기구(30)를 손으로 잡고 본체(2)(도 1 참조)의 전방으로 빼내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에 각각 장착 지원 경사면(23, 37)과 이탈 지원 경사면(24, 38)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간섭부(20) 및 제2 간섭부(36) 중 하나에는 장착 지원 경사면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탈 지원 경사면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착 지원 경사면과 이탈 지원 경사면은 경사진 평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일 수도 있다.
브라켓(11)의 후방 내측면에는 브라켓 PCB(printed circuit board)(25)가 고정 결합되고, 브라켓 PCB(25)의 중앙부에는 브라켓 커넥터(connector)(27)가 전방으로 노출되게 표면 실장(surface mount)되어 있다. 또한, 부속 기구 하우징(31)에는 부속 기구 PCB(48)가 고정 결합되고, 부속 기구 PCB(48)의 중앙부에는 부속 기구 커넥터(50)가 후방으로 노출되게 표면 실장되어 있다. 브라켓 PCB(25)의 모서리에는 본체 연결 커넥터(26)가 마련되고, 브라켓(11)의 후방 내측면에 형성된 커넥터 연결 개구(開口)(17)를 통해 본체(2)(도 2 참조)의 회로와 연결된다.
브라켓 커넥터(27)는 암형 커넥터로서, 브라켓 PCB(25)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커넥터 돌기(28)를 구비하고, 복수의 커넥터 돌기(28) 사이에 슬롯(slot)(29)이 형성된다. 부속 기구 커넥터(50)는 수형 커넥터로서, 부속 기구 PCB(48)의 후방으로 돌출된 커넥터 하우징(51)과, 커넥터 하우징(51)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금속편(片) 단자(53)를 구비한다. 커넥터 하우징(51)의 배면은 개방되어 상기 복수의 금속편 단자(53)가 부속 기구 PCB(48)의 후방으로 노출되지만, 상기 복수의 금속편 단자(53)가 커넥터 하우징(51)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지는 않는다.
브라켓 커넥터(27)와 부속 기구 커넥터(50)를 정렬하여 밀착시키면 브라켓 커넥터(27)의 복수의 커넥터 돌기(28)가 부속 기구 커넥터(50)의 커넥터 하우징(51)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돌기(28) 사이의 슬롯(29)에 복수의 금속편 단자(53)가 끼워져 상기 슬롯(29) 내측면에 마련된 금속 단자와 접촉되어 브라켓 커넥터(27)와 부속 기구 커넥터(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형 커넥터인 부속 기구 커넥터(50)에 후방으로 돌출된 핀(pin) 형태의 단자가 없으므로, 커넥터(27, 50)의 연결시에 단자 핀의 손상으로 인한 연결 불량 가능성이 없으며, 커넥터(27, 50) 사이에 고도로 정밀한 정렬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브라켓 커넥터(27)와 부속 기구 커넥터(50)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고,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커넥터의 손상 가능성이 적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브라켓 커넥터(27)가 암형 커넥터이고 부속 기구 커넥터(50)가 수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브라켓 커넥터가 수형 커넥터이고 부속 기구 커넥터가 암형 커넥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부속 기구(30)를 부속 기구 안착 홈(12)의 입구를 통해 브라켓(11)에 밀어 넣어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가 접촉 간섭되어 부속 기구(30)가 브라켓(11)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브라켓 커넥터(27)와 부속 기구 커넥터(50)는 별도의 정렬 과정이나 연결 과정 없이도 자동으로 정렬되어 통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이로써 본체(2)로부터 부속 기구(30)로 전력과 부속 기구 제어 신호가 전달되고, 본체(2)는 부속 기구(30)를 인식하게 된다. 반대로, 브라켓(11)에 장착된 부속 기구(30)를 본체(2)의 전방으로 빼내어 제1 간섭부(20)와 제2 간섭부(36)가 분리되면, 브라켓 커넥터(27) 및 부속 기구 커넥터(50)는 별도의 분리 과정 없이도 서로 분리된다. 이로써 본체(2)는 부속 기구(3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하게 된다.
상술한 착탈 결합 유닛으로 인하여, 부속 기구(30)의 작동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부속 기구(30)를 본체(2)로부터 빠르고 쉽게 분리하고, 예비적으로 보유하는 동종의 부속 기구(30)를 본체에 빠르고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는 동종의 부속 기구가 아니더라도 브라켓(11)의 안착 홈(12)에 삽입 가능하고, 제1 간섭부(20), 가이드 그루브(18), 및 브라켓 커넥터(27)에 각각 대응되는 제2 간섭부(36), 가이드 돌기(35) 및 부속 기구 커넥터(50)를 구비한 기능 향상된 부속 기구를 본체에 빠르고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프린팅 장치 2: 본체
11: 브라켓 20: 제1 간섭부
25: 브라켓 PCB 27: 브라켓 커넥터
30: 부속 기구 31: 부속 기구 하우징
36: 제2 간섭부 40: 전면 도어
48: 부속 기구 PCB 50: 부속 기구 커넥터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감열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부속 기구인 감열식 프린터(thermal printer); 및, 상기 감열식 프린터를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 결합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열식 프린터는, 상기 감열 용지가 롤(roll) 형태로 감겨 탑재되는 용지 탑재 홈이 형성된 부속 기구 하우징(housing),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의 하단부에 힌지(hinge) 결합되어 상기 용지 탑재 홈이 노출되지 않도록 닫히거나 상기 용지 탑재 홈이 노출되도록 열리는 전면 도어, 상기 용지 탑재 홈에 탑재된 감열 용지를 풀어 전방으로 배출하는 급지 롤러, 및 상기 급지 롤러와 마주보도록 상기 급지 롤러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감열 용지에 문자 및 문양을 인쇄하는 TPH(thermal printing head)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 결합 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안착되는, 전면(前面)이 개방된 홈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 브라켓 PCB(printed circuit board)에 표면 실장된 것으로,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감열식 프린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브라켓 커넥터(connector),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에 고정 결합된 부속 기구 PCB에 표면 실장된 것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브라켓 커넥터에 연결되는 부속 기구 커넥터, 상기 브라켓에 마련된 제1 간섭부, 및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제1 간섭부와 접촉 간섭되어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상기 본체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2 간섭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 및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가 미리 정한 기준값보다 큰 힘으로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간섭부 또는 상기 제2 간섭부는 상기 감열식 프린터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변형되고,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가 접촉 간섭되어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상기 본체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기 브라켓 커넥터 및 상기 부속 기구 커넥터가 통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가 분리되면 상기 브라켓 커넥터 및 상기 부속 기구 커넥터도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대편 간섭부에 접촉되는, 경사진 장착 지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다른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대편 간섭부에 접촉되는, 경사진 이탈 지원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상기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간섭부의 이탈 지원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진 이탈 지원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섭부 및 상기 제2 간섭부 중 상기 다른 하나의 간섭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감열식 프린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나의 간섭부의 장착 지원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진 장착 지원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 중 하나에는 상기 부속 기구가 상기 본체에 대해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부속 기구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44460A 2015-10-16 2015-10-16 프린팅 장치 KR10176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460A KR101767392B1 (ko) 2015-10-16 2015-10-16 프린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460A KR101767392B1 (ko) 2015-10-16 2015-10-16 프린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848A KR20170044848A (ko) 2017-04-26
KR101767392B1 true KR101767392B1 (ko) 2017-08-23

Family

ID=5870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460A KR101767392B1 (ko) 2015-10-16 2015-10-16 프린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178B1 (ko) * 2019-09-27 2020-08-04 주식회사 덴텀 탈착식 프린터 및 이를 구비한 택배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247B2 (ja) * 1999-04-16 2001-07-16 株式会社 武田吾慎商店 単管フープ足場及びその仮設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247B2 (ja) * 1999-04-16 2001-07-16 株式会社 武田吾慎商店 単管フープ足場及びその仮設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178B1 (ko) * 2019-09-27 2020-08-04 주식회사 덴텀 탈착식 프린터 및 이를 구비한 택배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848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7667B1 (en) Label printer having two different peel modes
CN106364174B (zh) 打印装置
CN103030017B (zh) 图像记录设备
KR101767392B1 (ko) 프린팅 장치
WO2012165009A1 (ja) 電子機器
CN111376618B (zh) 装配于带印刷装置的盒
JP3574169B2 (ja) プリンタ
US99757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option devic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apparatus main body
US91889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0824075A2 (en) Printing apparatus with removable electric power unit
JP2014104701A (ja) 印刷装置
CN111123673B (zh) 图像形成装置
JP2004266901A (ja) コネクタによる活電挿脱の防止方法並びにユニットの着脱構造及び画像出力装置
EP3597440B1 (en) Printer
CN107402507B (zh) 图像形成装置
JP2006232470A (ja) 記録装置
CN108227444B (zh) 显影盒、处理盒及使用该处理盒的图像形成装置
CN112445095A (zh) 图像形成设备
JP5945957B2 (ja) 印刷装置
JP6010862B2 (ja) 印刷装置
JP2007196759A (ja) ミラー搭載型etc車載装置
JP2597967Y2 (ja) 電子機器
US9144164B2 (en) Printer and printing system
JP2004344549A (ja) 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玉払出し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およびパチンコ遊技機
JP2014104697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