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239B1 -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239B1
KR101767239B1 KR1020150094675A KR20150094675A KR101767239B1 KR 101767239 B1 KR101767239 B1 KR 101767239B1 KR 1020150094675 A KR1020150094675 A KR 1020150094675A KR 20150094675 A KR20150094675 A KR 20150094675A KR 101767239 B1 KR101767239 B1 KR 10176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arative example
starch
mold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386A (ko
Inventor
김평수
Original Assignee
만복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복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복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2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 향의 제조 방법은, 향가루 22.73 중량%, 침향 7.58 중량%, 백단 7.58중량%, 목향 7.58중량%, 정향 9.09중량%, 당귀 7.58중량%, 천궁 7.58중량%, 곽향 4.54중량%, 감송 4.54중량%, 감초 4.54중량%, 강진 7.58중량% 및 잔량의 계피가 총합 100중량%를 이루는 한향재 100 중량부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7 ~ 33 중량부의 접착제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탄산칼슘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 ~ 4 중량부의 호화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20 ~ 135 중량부의 물을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혼합반죽단계와; 상기 반죽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화학약품은 물론 숯이나 목분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여러 약재의 선택적인 사용과 최적의 조성을 통해 연소 속도를 조절하여 완전 연소가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하고 균일한 한방 향의 발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일직선을 갖는 스틱 형상으로 1차 성형한 후 1점을 기준으로 접은 다음 꽈배기 형상으로 꼬아 형성함으로써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여 조성에 의한 균일한 연소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특성을 통해 균일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꽈배기 형상으로 꼬인 2차성형물의 표면에 염분을 갖는 함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밝은 주간에 향이 연소될 때 불꽃이 밝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주의 미숙으로 인한 화상 발생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고, 염분을 갖는 함초는 섬유질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코팅층은 함초 외에 호화전분 및 이산화티탄이 첨가됨으로 인해 연소시 발생하는 재가 공기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아니함과 더불어, 중량비의 한정을 통해 내부의 2차성형물과 최대한 동일한 속도로 연소될 수 있으며, 코팅층에는 분쇄된 한지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2차성형물과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Oriental incens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점화된 후 연소되면서 한방 향을 발생시키는 한방 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과 목분 사용이 배제되면서 원료들이 고르게 연소되면서 일정한 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incense)은 통상적으로 제전이나 절 등에서 향불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향에 불을 붙이게 되면 서서히 연소되면서 냄새가 나도록 이루어진다.
고전적인 방식의 향은 향나무를 가루로 분쇄하여 숯불에 조금씩 태워 향냄새가 나도록 하였고, 그 후에는 식물 향풀을 분쇄하여 접착제와 함께 압축한 후 세봉 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여 왔다.
향의 제조와 관련된 기술로, "향"(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3-0013166호, 특허문헌 1)에는 분말 또는 칩으로 형성한 향나무를 연소조절용 약품을 혼합한 숯가루와 함께 혼합하여 세봉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숯이 일반적인 연소 재료와 달리 서서히 연소되는 특성을 갖는 점을 활용하여 분말상의 향나무가 서서히 연소되면서 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숯은 그 종류에 따라 연소되는 속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특허문헌1에는 연소조절용 약품을 첨가하게 되는데, 이 연소조절용 약품은 인체에 유해한 경우가 많아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점차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최근들어 향나무의 공급 난이성으로 인해 향나무를 대체할 수 있는 백송, 측백나무, 침향, 송피 등의 분말을 호화전분과 혼합하거나 향이 없는 톱밥이나 목분에 합성 또는 천연 향 성분을 첨가하여 대량 생산하기도 한다.
하지만 압출 성형 과정에서 높은 압력을 받고 있다 압이 해제되는 순간 탄성을 갖는 다공성 목분 입자들이 서서히 본래 크기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팽창이 이루어져 향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고 이 상태로 건조되므로 향대가 쉽게 부러지고 균열을 통해 향 발산율이 높아져 향의 손실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심재를 갖는 향"(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7726호, 특허문헌 2)에는 세봉의 목재심재 또는 증자처리된 목재심재에 천연향을 함침시킨 함침목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코팅 처리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심재를 이용한 기술이나 코팅 처리한 기술은 내부의 심재와 코팅부의 연소 속도 조절이 실패할 경우 심재와 코팅층이 별도로 연소되면서 미관이 저하되고, 연소시 발생하는 향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러 종류의 향 중 한방 향이라고 불리는 한약 냄새가 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한방 향은 사용하려는 소비자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경우가 대부분인데 특허문헌 1과 같이 화학약품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은 접착제를 첨가하는 것은 소비자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약 냄새가 소비자 기호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적절한 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한약재가 조합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여러 한약재의 성질이 각각 달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연소 속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 여러 약재가 동시에 타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최적의 향을 발생시키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 다량의 약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숯이나 목분의 사용량에 제한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연속속도 조절에 매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KR 20-1993-0013166 (1993.07.26) KR 10-0997726 (2010.11.25)
본 발명의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화학약품은 물론 숯이나 목분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여러 약재의 선택적인 사용과 최적의 조성을 통해 연소 속도를 조절하여 완전 연소가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하고 균일한 한방 향의 발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일직선을 갖는 스틱 형상으로 1차 성형한 후 1점을 기준으로 접은 다음 꽈배기 형상으로 꼬아 형성함으로써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여 조성에 의한 균일한 연소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특성을 통해 균일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꽈배기 형상으로 꼬인 2차성형물의 표면에 염분을 갖는 함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밝은 주간에 향이 연소될 때 불꽃이 밝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주의 미숙으로 인한 화상 발생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염분을 갖는 함초는 섬유질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코팅층은 함초 외에 호화전분 및 이산화티탄이 첨가됨으로 인해 연소시 발생하는 재가 공기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아니함과 더불어, 중량비의 한정을 통해 내부의 2차성형물과 최대한 동일한 속도로 연소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코팅층에는 분쇄된 한지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2차성형물과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 향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향가루 22.73 중량%, 침향 7.58 중량%, 백단 7.58중량%, 목향 7.58중량%, 정향 9.09중량%, 당귀 7.58중량%, 천궁 7.58중량%, 곽향 4.54중량%, 감송 4.54중량%, 감초 4.54중량%, 강진 7.58중량% 및 잔량의 계피가 총합 100중량%를 이루는 한향재 100 중량부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7 ~ 33 중량부의 접착제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탄산칼슘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 ~ 4 중량부의 호화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20 ~ 135 중량부의 물을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혼합반죽단계와; 상기 반죽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단계에서 반죽물을 선형으로 성형하여 1차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1차성형물을 미건조 상태에서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구부려 일측에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를 기준으로 나란히 배치된 2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단계를 거친 1차성형물을 트위스트 형상으로 비틀어 2차성형물을 제조하는 트위스트단계;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0.1 ~ 0.2 중량부의 이산화 티탄,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함초,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호화전분,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물이 혼합 반죽된 혼합물을 상기 2차성형물의 외부 표면을 코팅 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단계;가 상기 트위스트단계 이후에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코팅단계에서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한지 분말이 더 포함된 채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방 향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화학약품은 물론 숯이나 목분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여러 약재의 선택적인 사용과 최적의 조성을 통해 연소 속도를 조절하여 완전 연소가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하고 균일한 한방 향의 발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일직선을 갖는 스틱 형상으로 1차 성형한 후 1점을 기준으로 접은 다음 꽈배기 형상으로 꼬아 형성함으로써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여 조성에 의한 균일한 연소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특성을 통해 균일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꽈배기 형상으로 꼬인 2차성형물의 표면에 염분을 갖는 함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밝은 주간에 향이 연소될 때 불꽃이 밝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주의 미숙으로 인한 화상 발생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염분을 갖는 함초는 섬유질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코팅층은 함초 외에 호화전분 및 이산화티탄이 첨가됨으로 인해 연소시 발생하는 재가 공기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아니함과 더불어, 중량비의 한정을 통해 내부의 2차성형물과 최대한 동일한 속도로 연소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코팅층에는 분쇄된 한지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2차성형물과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방 향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한방 향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혼합반죽단계
한향재, 접착제, 탄산칼슘, 전분, 호화전분, 물을 혼합하여 반죽함으로써 반죽물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향재 100 중량부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7 ~ 33 중량부의 접착제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탄산칼슘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 ~ 4 중량부의 호화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20 ~ 135 중량부의 물을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한다.
이때, 한향재는 향가루 22.73 중량%, 침향 7.58 중량%, 백단 7.58중량%, 목향 7.58중량%, 정향 9.09중량%, 당귀 7.58중량%, 천궁 7.58중량%, 곽향 4.54중량%, 감송 4.54중량%, 감초 4.54중량%, 강진 7.58중량% 및 잔량의 계피가 총합 100중량%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한향재들은 대체적으로 연소 과정에서 향을 내는 원료들이다.
이 중 향가루나 침향, 백단, 목향, 정향 등은 단독으로 일반적인 향의 원료로 사용되며 대중적인 선호도가 높은 원료들이다.
반면 당귀, 천궁, 감송, 감초, 강진, 계피는 개별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그 향이 너무 강하거나 독해 단독으로 향의 원료로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한 향가루, 침향, 백단, 목향, 정향, 강진(강향), 곽향(藿香)에 상기한 당귀, 천궁, 감송, 감초, 계피를 수많은 실험을 통해 상기한 특정 조성을 이루었을 때 우수한 한방 향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상기 재료들의 구성을 통해 목분과 숯의 사용을 배제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향은 원료의 연소 속도를 더디게 하여 향을 발산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목분이나 숯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한 재료 중 당귀, 천궁, 감초, 강진, 계피를 상기 특정 조성비로 사용한 결과 일반적인 선향과 같은 연소속도를 갖출 수 있게 되어 숯이나 목분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한향재는 전체 중량에서 약 66% 정도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한향재, 탄산칼슘 등을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풀과 같은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전체 중량의 약 20중량%가 되도록 한다.
탄산칼슘은 일종의 석분으로 접착제를 통해 여러 한향재들과 결합되어 연소 후에도 재가 원래의 스틱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가 바람에 의해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더불어, 탄산칼슘은 물과 혼합되었을 때 고르게 분산되는 분산재의 특징을 갖는 바, 혼합 교반시 여러 재료의 고른 분산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탄산칼슘은 연소시 다른 재료들과 함께 연소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그 사용량이 과량일 경우 고른 연소를 방해하여 미연을 저하시키게 되고, 사용량이 적을 경우 재의 형상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바, 전체 중량의 6중량%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분은 물과 혼합된 상태에서 한향재들, 탄산칼슘 등이 고르게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일종의 접착 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
호화전분 역시 동일한 접착 보조 역할을 하게 되는데, 호화전분은 상온에서의 수분 흡수율이 높아 전분에 비해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게 해준다.
다만 호화전분은 상온에서의 점착력이 전분에 비해 낮기 때문에 접착 보조 역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알파전문은 성형이 완료된 후 건조된 후에도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외부 노출시 노화 발생으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되고 곰팡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분과 호화전분을 적절한 비율로 준비하여 사용함으로써 고른 분산 및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작용 발생이 적게 하였다.
그 사용량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전분은 6중량%, 호화전분은 2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은 상기 재료들이 혼합되어 성형되기 위해 반죽을 위한 것으로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20 ~ 135 중량부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2. 성형단계
상기 반죽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한다.
이때, 성형틀은 일반적인 향 제조를 위한 원형 압출 통로가 구비된 성형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 스틱 형상이 아닌 원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틀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조성을 통해 균일한 연소와 균일한 향 발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조적인 부분의 개선을 통해 균일한 연소 및 향 발산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단계에서 반죽물을 선형으로 성형하여 1차성형물을 제조하고, 절곡단계와 트위스트단계가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곡단계는 상기 선형으로 형성된 1차성형물을 미건조 상태에서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구부려 일측에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를 기준으로 나란히 배치된 2열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트위스트단계는 상기 절곡단계를 거친 1차성형물을 트위스트 형상으로 비틀어 2차성형물을 제조한다.
통상적으로 선향의 경우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소되는데 바람이 부는 환경에 노출될 경우 바람의 영향으로 평면상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측은 빠르게 연소되고, 반대면은 느리게 연소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다양한 원료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고르게 천천히 연소되어야 일정한고 균일한 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처럼 수직 방향의 스틱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바람이 불어오는 측은 빠르게 연소되고 반대 면은 느리게 연소되는 특징을 갖게 되어 연소율에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것처럼 트위스트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면 경사를 갖는 트위스트 형상을 따라 돌아가면서 연소되면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가 가능해지게 된다.
특히, 하나의 봉이 트위스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두 개로 이루어진 2열부가 서로 꼬아진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연소율이 보다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향이 어두운 환경에서는 연소되는 불꽃의 확인이 어렵지 않지만 야외에서의 주간 제례의 경우 밝은 환경으로 인해 불꽃의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잘못 향을 만질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염분을 이용하여 불꽃이 "탁탁" 튀는 소리와 함께 시각적으로 보다 확인이 용이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염분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소금을 첨가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으나, 소금을 직접 첨가할 경우 불꽃의 크기가 더 커 마치 불꽃 놀이할 때 처럼 연소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오히려 연기가 더 발생하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소금을 이용하지 않고 함초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함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밝은 주간에 향이 연소될 때 불꽃이 밝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주의 미숙으로 인한 화상 발생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위스트단계 이후에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0.1 ~ 0.2 중량부의 이산화 티탄,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함초,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호화전분,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물이 혼합 반죽된 혼합물을 상기 2차성형물의 외부 표면을 코팅 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밝은 불꽃과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함초가 단독으로 상기 혼합바죽단계에 다른 원료와 혼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염분으로 인해 튀기는 성질로 인해 연소율을 낮춰 연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함초 성분을 외부로 코팅 처리하게 된다.
함초는 섬유질을 갖기 때문에 함초의 섬유질은 연소 과정에서 연소된다.
원할한 코팅을 위해서 함초 외에 접착력을 갖는 호화전분이 포함되는데, 호화전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게 되기 때문에 장시간 공기에 노출시킬 경우 곰팡이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에 빛을 받아 살균, 곰팡이 방지 기능을 갖는 이산화티탄이 첨가된다.
더불어, 이산화티탄은 광물질이기 때문에 다른 재료의 연소시 함께 연소되지 아니하는 바, 탄산칼슘과 같이 코팅층이 연소할 때 연소재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조성은 코팅층이 내부의 2차성형물과 최대한 동일한 연소 속도를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게 된다.
이때, 코팅단계에서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한지 분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지 분말은 함초와 마찬가지로 섬유질로 이루어져 2차성형물과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함께 연소되어 코팅층의 원할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한방 향의 제조 1
향가루 15g, 침향, 백단, 목향, 당귀, 천궁, 강진 각 5g, 정향, 계피 각 6g, 곽향, 감송, 감초 각 5g을 혼합하여 총 66g의 한향재를 준비하였다.
접착제(상품명:H-1) 20g, 탄산칼슘 6g, 전분 6g, 호화전분 2g(상품명 알파 콘스탄치), 물 85g을 혼합한 후 스틱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틀에 주입하여 성형한 후 건조하여 선형의 한방 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한방 향의 제조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성형틀에서 선형으로 성형한 후 냉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중간을 기준으로 구부린 다음 트위스트 형상으로 가공하여 꽈배기 형상으로 형성한 후 건조하여 실시예 2의 한방 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한방 향의 제조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이산화티탄 0.099g, 함초 0.99g, 호화전분 0.99g, 물 0.99g을 혼합하여 실시예 2에 제조된 향의 외부에 코팅 처리한 후 건조하여 실시예 3의 한방 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한방 향의 제조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한지 0.99g을 더 첨가하여 코팅하여 실시예 4의 한방 향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 실험
한향재를 아래 표 1과 같이 조성하고, 기타 원료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원료를 준비하여 혼합 반죽한 후 성형하여 비교예의 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들의 한향재 조성
구분 향가루 침향 백단 목향 정향 당귀 천궁 곽향 감송 감초 강진 계피
비교예1 10 5 5 5 6 5 5 3 3 3 5 6
비교예2 5 5 5 5 6 5 5 3 3 3 5 6
비교예3 15 10 5 5 6 5 5 3 3 3 5 6
비교예4 15 1 5 5 6 5 5 3 3 3 5 6
비교예5 15 5 10 5 6 5 5 3 3 3 5 6
비교예6 15 5 1 5 6 5 5 3 3 3 5 6
비교예7 15 5 5 10 6 5 5 3 3 3 5 6
비교예8 15 5 5 1 6 5 5 3 3 3 5 6
비교예9 15 5 5 5 10 5 5 3 3 3 5 6
비교예10 15 5 5 5 1 5 5 3 3 3 5 6
비교예11 15 5 5 5 6 10 5 3 3 3 5 6
비교예12 15 5 5 5 6 1 5 3 3 3 5 6
비교예13 15 5 5 5 6 5 10 3 3 3 5 6
비교예14 15 5 5 5 6 5 1 3 3 3 5 6
비교예15 15 5 5 5 6 5 5 7 3 3 5 6
비교예16 15 5 5 5 6 5 5 0 3 3 5 6
비교예17 15 5 5 5 6 5 5 3 7 3 5 6
비교예18 15 5 5 5 6 5 5 3 0 3 5 6
비교예19 15 5 5 5 6 5 5 3 3 7 5 6
비교예20 15 5 5 5 6 5 5 3 3 0 5 6
비교예21 15 5 5 5 6 5 5 3 3 3 10 6
비교예22 15 5 5 5 6 5 5 3 3 3 1 6
비교예23 15 5 5 5 6 5 5 3 3 3 5 10
비교예24 15 5 5 5 6 5 5 3 3 3 5 1
이어 비교예들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관능검사는 향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냄새(향)에 대한 기호도와, 30분 간격으로 세차례 향을 맡게 하여 향의 변화 여부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였다.
향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구분 향의 변화 여부
실시예1 7.5 8.2
실시예2 8.2 8.1
실시예3 8.3 8.2
실시예4 8.1 8.3
비교예1 5.4 5.2
비교예2 4.5 6.1
비교예3 5.5 4.5
비교예4 5.1 3.7
비교예5 4.7 5.4
비교예6 4.8 4.2
비교예7 5.2 4.6
비교예8 5.6 5.1
비교예9 3.5 3.7
비교예10 4.5 3.2
비교예11 4.1 4.5
비교예12 4.6 4.7
비교예13 5.5 3.7
비교예14 5.1 3.9
비교예15 4.6 4.2
비교예16 5.0 5.7
비교예17 4.8 6.1
비교예18 3.9 5.8
비교예19 4.1 6.7
비교예20 4.6 5.4
비교예21 3.5 6.1
비교예22 3.7 4.9
비교예23 4.1 3.5
비교예24 4.6 4.7
* 관능 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변화가 없음, 5 : 보통임 0 : 아주 나쁨, 변화가 있음)
상기 표 2의 결과로 볼 때, 실시예들의 향이 비교예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향의 변화 여부에 대한 결과에서도 실시예들은 향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보였으나, 비교예들은 향을 맡는 시간에 따라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육안 관찰 실험
이어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24에서 제조된 향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관찰된 항목은 표 3에 나타냈다.
관찰 항목은 향 표면의 크랙 여부, 균일한 연소, 재 형상 유지 여부, 연소 기간을 나타냈다.
크랙여부는 성형된 제품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크랙의 발생 여부를 나타냈으며, 균일한 연소는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이 향 외주면에 수평을 따라 연소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으며, 재 형상 여부는 연소될 때 재가 3cm 이상 유지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분류하였다.
<육안 관찰 결과>
구분 크랙여부
(있음:○, 없음:×)
균일 연소
(균일:○, 비균일:×)
재 형상 유지
(유지:○, 분산×)
연소시간
(단위:분)
실시예1 × 140
실시예2 × 220
실시예3 × 224
실시예4 × 232
비교예1 × 105
비교예2 × 115
비교예3 × × 85
비교예4 × 74
비교예5 × 105
비교예6 × 120
비교예7 × × 114
비교예8 × × 121
비교예9 × 105
비교예10 × 85
비교예11 × × 98
비교예12 × 97
비교예13 × 101
비교예14 × × 95
비교예15 × 84
비교예16 × 102
비교예17 × × 54
비교예18 × × 75
비교예19 × × 102
비교예20 × × 98
비교예21 × × 85
비교예22 × 78
비교예23 × × 98
비교예24 × × × 10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한방 향은 육안 관찰 결과 표면에 크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들에서는 부분적으로 크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균일하게 연소되는지를 판단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균일하게 연소되는 것을 확인한 반면, 비교예들에서는 균일하지 않게 연소되는 것이 다수 확인되었다.
또, 연소 후 재가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살펴본 결과 비교예 4, 6, 8은 쉽게 분산되는 바, 바람에 의해 재가 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연소시간을 살펴본 결과 실시예들은 연소시간이 길게 나타난 반면, 비교예들은 연소시간이 비교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한방 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향가루 22.73 중량%, 침향 7.58 중량%, 백단 7.58중량%, 목향 7.58중량%, 정향 9.09중량%, 당귀 7.58중량%, 천궁 7.58중량%, 곽향 4.54중량%, 감송 4.54중량%, 감초 4.54중량%, 강진 7.58중량% 및 잔량의 계피가 총합 100중량%를 이루는 한향재 100 중량부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7 ~ 33 중량부의 접착제와,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탄산칼슘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7 ~ 12 중량부의 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2 ~ 4 중량부의 호화전분과,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20 ~ 135 중량부의 물을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혼합반죽단계와;
    상기 반죽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성형단계에서 반죽물을 선형으로 성형하여 1차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1차성형물을 미건조 상태에서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구부려 일측에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를 기준으로 나란히 배치된 2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단계를 거친 1차성형물을 트위스트 형상으로 비틀어 2차성형물을 제조하는 트위스트단계;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0.1 ~ 0.2 중량부의 이산화 티탄,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함초,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호화전분,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물이 혼합 반죽된 혼합물을 상기 2차성형물의 외부 표면을 코팅 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단계;가 상기 트위스트단계 이후에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향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에서 상기 한향재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한지 분말이 더 포함된 채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향의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150094675A 2015-07-02 2015-07-02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75A KR101767239B1 (ko) 2015-07-02 2015-07-02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75A KR101767239B1 (ko) 2015-07-02 2015-07-02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86A KR20170004386A (ko) 2017-01-11
KR101767239B1 true KR101767239B1 (ko) 2017-08-10

Family

ID=5783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75A KR101767239B1 (ko) 2015-07-02 2015-07-02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7361A (zh) * 2017-11-24 2018-02-27 泉州永春达盛香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防感染消毒熏香及其制备方法
CN108888797A (zh) * 2018-08-23 2018-11-27 广西宾阳县紫香缘香业有限公司 中药灭菌净化空气养生香及其制备方法
KR102605690B1 (ko) * 2022-11-23 2023-11-29 주식회사 케이센스 폐커피박이 함유된 인센스 스틱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58A (ja) * 1999-03-11 2000-09-19 Shiyoueidou:Kk 焼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2967A (ja) 2005-07-19 2007-02-01 Kunjudo:Kk 粉粒状お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68B1 (ko) 1991-12-26 1994-08-16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타발성 및 층간절연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0997726B1 (ko) 2008-06-19 2010-12-01 조호근 심재를 갖는 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58A (ja) * 1999-03-11 2000-09-19 Shiyoueidou:Kk 焼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2967A (ja) 2005-07-19 2007-02-01 Kunjudo:Kk 粉粒状お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86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239B1 (ko)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CN101322851B (zh) 带香脚的藏药草香的生产方法
CN104498126B (zh) 一种机制炭及其制备方法
CN203723852U (zh) 节能减碳香
CN107970479A (zh) 一种安神助眠耐烧熏香及其制备方法
CN108404187A (zh) 一种高密度耐燃熏香及其制备工艺
CN104430320A (zh) 一种蚊香及其制造方法
KR101761688B1 (ko) 미연 향 및 그 제조 방법
Yadav et al. Incense and incense sticks: types, components, origin and their religious beliefs and importance among different religions
CN109091694A (zh) 一种陈皮线香及其制备方法
CN101919581A (zh) 一种淡竹叶再造薄片制备方法及其在烟草制品中的应用
CN103300466A (zh) 一种用于低焦油烤烟香味补偿方法
CN102894481A (zh) 一种带阻燃功能的多层盘纸过滤嘴卷烟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TWM617998U (zh) 以炭化菱角殼製作之拜香結構
TW201422183A (zh) 一種含五穀、中葯成分之祈福香製造方法
JP3154481U (ja) お香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CN106316209A (zh) 一种复合环保养生墙衣及其制备方法
KR102103120B1 (ko)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친환경 불연성 의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2370959A (ja) 線 香
KR20100098019A (ko) 친 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CN109985132A (zh) 一种安神助眠的红花燃香及其制备方法
CN100421733C (zh) 一种固香剂的生产方法
KR20030050413A (ko)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