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160B1 -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160B1
KR101767160B1 KR1020150052491A KR20150052491A KR101767160B1 KR 101767160 B1 KR101767160 B1 KR 101767160B1 KR 1020150052491 A KR1020150052491 A KR 1020150052491A KR 20150052491 A KR20150052491 A KR 20150052491A KR 101767160 B1 KR101767160 B1 KR 10176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hydrogen
supply port
hydrogen generato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505A (ko
Inventor
이대훈
송영훈
김관태
변성현
조성권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1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4Removing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피독된 촉매로부터 무기 물질을 산화 제거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는, CO 및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의 불순물이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를 유통시키는 관체, 상기 관체에 연결되어 CO 및 상기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는 촉매를 내장하는 촉매탑, 상기 촉매의 후방에서 상기 촉매탑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방향 전환 밸브를 개재하여 다른 일측으로 상기 관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체, 및 상기 촉매의 전방에서 상기 촉매탑에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발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CO AND POLLUTED MATERIAL REMOVAL DEVICE WITH REGENERATING MEANS OF POLLUTED CATALYST}
본 발명은 CO와 같은 가연성 성분이 유무기 불순물과 함께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에서 CO 및 가연성 성분의 촉매 산화 반응 시 오염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촉매 비활성화를 재생하는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산업현장에서 발생, 배출되는 CO 또는 가연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산화 촉매가 사용된다. CO 및 HC 등을 포함한 공정 배출 가스는 산화 촉매를 통하여 산화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공정의 종류에 따라 배출 가스 중에 포함된 미량의 유기 물질 및 무기 물질에 의하여 촉매가 급속히 피독될 수 있다.
고온 조건에서 촉매를 재생하면, 유기 물질이 촉매로부터 산화 제거되어 촉매의 반응성이 회복될 수 있다. 그러나 무기 물질의 경우, 촉매를 단순히 고온 처리하는 것만으로 촉매의 반응성이 회복되지 않는다.
즉 무기 물질이 산화 제거되는 무기 물질의 전환율이 제1고온 조건에서 제1수준을 유지하다가 촉매가 피독되면 무기 물질의 전환율이 제1수준보다 낮은 제2수준으로 급격이 저하된다.
이 상태에서 촉매를 재생하면 제1고온 조건보다 더 높은 제2고온 조건에서 무기 물질의 전환율이 제1수준에 이른다. 따라서 잔류 무기 물질로 인하여 촉매의 활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CO 또는 가연성 성분과 유무기 불순물이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에서 오염물질로 인한 촉매의 활성 저하를 재생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독된 촉매로부터 무기 물질(X)을 제거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는, CO 및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의 불순물이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를 유통시키는 관체, 상기 관체에 연결되어 CO 및 상기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는 촉매를 내장하는 촉매탑, 상기 촉매의 후방에서 상기 촉매탑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방향 전환 밸브를 개재하여 다른 일측으로 상기 관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체, 및 상기 촉매의 전방에서 상기 촉매탑에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소 발생기는 플라즈마 반응을 통하여 일측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로부터 수소를 포함한 합성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소 발생기는 일측에 연료 공급구와 공기 공급구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 수소가 포함된 합성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접지되는 하우징, 및 상기 연료 공급구와 상기 공기 공급구 사이에 구비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극의 전방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확장된 플라즈마 반응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라즈마 반응 공간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개질 촉매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는,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의 불순물이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를 유통시키는 관체, 상기 관체에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는 제1촉매를 내장하는 제1촉매탑, 상기 관체에 방향 전환 밸브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는 제2촉매를 내장하는 제2촉매탑, 및 상기 제1촉매탑과 상기 제2촉매탑에 연결되어 상기 제1촉매와 상기 제2촉매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소 발생기에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공급 관로는, 방향 전환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제1촉매탑과 상기 제2촉매탑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촉매 및 상기 제2촉매는, 상기 제1촉매탑 및 상기 제2촉매탑 내에서 1단 또는 복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는 CO 또는 가연성 성분과 유무기 불순물이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를 바이패스 관체로 촉매를 바이패스 할 때, 플라즈마 반응으로 수소 발생기에서 생성된 고온의 수소를 촉매에 공급함으로써 촉매로부터 무기 물질(X)을 HnXm의 형태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수소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다른 수소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1)는 공정 배출 가스를 유통시키는 관체(10), 관체(10)에 연결되어 촉매(21)를 내장하는 촉매탑(20), 촉매(21)를 바이패스 하여 촉매탑(20)과 관체(1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체(30) 및 촉매(21)의 전방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발생기(40)를 포함한다. 공정 배출 가스는 CO, HC, 유기 물질 및 무기 물질과 같은 오염 물질을 포함한다.
촉매탑(20)은 관체(10)를 통하여 유통되는 공정 배출 가스를 내장된 촉매(21)로 유통시키면서 공정 배출 가스에 포함된 CO 및 오염 물질들을 산화 제거 후, 출구(22)로 배출한다. 일례로써, 촉매탑(20)은 관체(10)에 연결되는 하측으로 공정 배출 가스를 유입하여, 촉매(21)에서 CO 및 오염 물질을 산화 제거시켜 이 과정에서 승온된 공정 배출 가스를 상측의 출구(22)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공정 배출 가스에 포함된 CO 및 HC는 촉매(21)가 산화 촉매인 경우, 산화 처리될 수 있다. 공정 배출 가스에 포함된 유기 물질은 촉매(21)를 피독시키는데, 유기 물질로 피독된 촉매(21)는 고온 조건에서 재생되어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공정 배출 가스에 포함된 무기 물질에 의하여 피독된 촉매(21)는 500 내지 600도씨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수소 발생기(40)에서 공급되는 수소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다. 피독된 촉매(21)의 무기 물질(X)은 수소와 HnXm의 형태로 결합되어 촉매(21)로부터 분리,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바이패스 관체(30)는 일측으로 관체(1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으로 촉매(21)의 후방에서 촉매탑(20)에 연결되어, 관체(10)를 유통하는 공정 배출 가스가 촉매(21)를 경유하지 않고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바이패스 관체(30)는 방향 전환 밸브(50)를 개재하여 관체(10)에 연결된다. 즉 방향 전환 밸브(50)의 선택에 따라 관체(10)를 유통하는 공정 배출 가스는 촉매탑(20)으로 공급되어 촉매(21)를 경유하거나, 바이패스 관체(30)로 공급되어 촉매(21)를 바이패스 하여 촉매탑(20)의 출구(22)로 배출될 수 있다.
수소 발생기(40)는 촉매탑(20)에 연결되어 플라즈마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수소가 포함된 합성가스를 촉매(21)의 전방으로 공급한다. 수소 발생기(40)는 일측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로 플라즈마 반응을 일으켜서 수소를 포함한 합성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수소(H2)는 피독된 촉매(21)로부터 무기 물질(X)을 HnXm의 형태로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수소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소 발생기(40)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에 내장되어 전압(V)을 인가하는 전극(42)을 포함한다.
하우징(41)은 하우징(41)의 일측에 연료 공급구(43)와 공기 공급구(44)를 구비하여 연료와 공기를 방전갭(G)으로 공급하고, 다른 일측에 수소가 포함된 합성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구(45)를 구비한다. 전극(42)은 연료와 공기가 공급되는 하우징(41)의 유입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써, 전극(42)은 연료 공급구(43)와 공기 공급구(44)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41)이 접지된 상태에서 전극(42)에 전압(V)을 인가하면 전극(42)과 하우징(41) 사이에 설정되는 방전갭(G)에서 아크가 발생되어,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반응을 발생시킨다. 연료는 LNG와 같이 수소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계의 연료일 수 있다.
하우징(41)은 연료 공급구(43)와 공기 공급구(44)에서 토출구(45)에 이르는 사이에 플라즈마 반응 공간(S)을 구비한다. 따라서 전극(42)과 하우징(41) 사이에 설정된 방전갭(G)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라즈마 반응 공간(S)에서 플라즈마 반응으로 확산되면서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하우징(41)의 내부에 확장 형성된 플라즈마 반응 공간(S)은 플라즈마 반응을 원활하게 하고, 토출구(45)를 통하여 고온의 수소 및 합성가스를 분출 가능케 한다. 공정 배출 가스는 산업 공정에서 생성되어, 관체(10)를 통하여 대유량으로 연속 공급될 수 있다.
수소 발생기(40)는 부분 산화 반응인 플라즈마 반응을 일으켜 수소를 생성하므로 가장 빠른 시간에 수소를 촉매(21)에 공급할 수 있다. 부분 산화 반응의 부산물은 플라즈마 반응 공간(S)에서 토출구(45)를 통하여 고온 상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별도의 가열 단계를 거치지 않고 500 내지 600도씨 이상의 수소를 함유한 합성가스가 생성 및 공급될 수 있다. 즉 아크 형태의 플라즈마는 수소 발생기(40) 내의 플라즈마 반응 공간(S)에 비교적 높은 온도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1)가 CO 및 오염 물질을 정상적으로 산화 제거할 때, 방향 전환 밸브(50)는 관체(10)를 촉매탑(20)에 연통시킨다. 따라서 공정 배출 가스는 관체(10)를 유통하여 촉매탑(20)으로 공급된다. 이때 촉매탑(20) 내의 촉매(21)는 공정 배출 가스에 포함된 CO 및 오염 물질들을 산화 제거한다.
대유량의 공정 배출 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장기간 산화 제거 처리하면, 촉매(21)가 피독된다. 즉 촉매(21)의 활성이 저하될 때, 방향 전환 밸브(50)는 바이패스 관체(30)를 통하여 관체(10)와 촉매탑(20)을 서로 연통시킨다. 따라서 관체(10)를 유통하는 공정 배출 가스는 촉매(21)를 바이패스 하여 촉매탑(20)을 통하여 출구(22)로 배출된다. 공정 배출 가스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여 일시적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소 발생기(40)는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반응으로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수소 발생기(40)에서 생성된 많은 양의 수소가 촉매탑(20) 내의 촉매(21)로 공급됨에 따라 피독된 촉매(21)로부터 무기 물질이 수소에 의해 제거된다.
공정 배출 가스가 대유량인 경우, 방향 전환 밸브(50)는 주기적으로 전환되어 관체(10)를 촉매탑(20)과 바이패스 관체(30)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즉 수소 발생기(40)는 주기적으로 구동되어 수소 및 수소가 포함된 합성가스를 촉매(21)에 주기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촉매(21)는 주기적으로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재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다른 수소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수소 발생기(60)는 도 2의 수소 발생기(40)의 플라즈마 반응 공간(S)과 토출구(45) 사이에 개질 촉매(61)를 더 내장하고 있다.
개질 촉매(61)를 사용할 경우 촉매로 인한 개질 반응을 추가로 야기 하여, 플라즈마 반응에 소요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생성을 위하여 전극(42)에 전압(V)으로 인가되는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고, 공정 배출 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산화 제거하는 처리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질 촉매(61)가 자발열 개질 촉매인 경우, 부분 산화 반응에 물을 추가하여 별도의 가열 수단 없이 자발열 조건으로 부분 산화 반응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소 함량의 개질 가스가 생산될 수 있고, 촉매 부분 산화 공정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탄소 침적이 방지될 수 있다.
플라즈마의 사용은 자발열 개질 촉매의 기동 시간을 수초 이내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개질 촉매(61)의 정상 운전 조건에서 플라즈마로 공급되는 전력을 최소화 하거나 차단하여 수소 발생기(40)의 운전을 위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하는 수소 발생기는 회전 아크를 이용한 플라즈마 반응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1)는 산화 반응을 통해 CO 1000 ppm 당 배출 가스에서 9도씨 정도의 승온을 가능케 할 수 있다.
공정 배출 가스가 대유량인 경우에도, 제1실시예의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1)는 공정 배출 가스 전체를 가열하지 않게 하므로 많은 에너지와 대형 버너와 같은 큰 설비를 불필요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3)는 관체(310)와 관체(310)에 방향 전환 밸브(350)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1촉매탑(321)과 제2촉매탑(322) 및 수소 발생기(340)를 포함한다.
제1촉매탑(321)은 제1촉매(211)를 내장하고, 제2촉매탑(322)은 제2촉매(212)를 내장한다. 제1, 제2촉매(211, 212)는 제1, 제2촉매탑(321, 322) 내에서 1단 또는 복수 단으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촉매탑(321, 322)은 방향 전환 밸브(350)를 개재하여 관체(310)에 연결되므로 방향 전환 밸브(35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정 배출 가스를 공급 받을 수 있다.
수소 발생기(340)는 제1, 제2촉매탑(321, 322)에 연결되어, 제1, 제2촉매(211, 212)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소 발생기(340)에 연결되어 수소 및 합성가스를 공급하는 수소 공급 관로(341)는 방향 전환 밸브(342)를 개재하여 제1, 제2촉매탑(321, 322)에 연결된다.
즉 관체(310)에 구비되는 방향 전환 밸브(350)는 공정 배출 가스를 제1, 제2촉매탑(321, 322)으로 공급할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수소 발생기(340)에 연결되는 방향 전환 밸브(342)는 수소 및 합성가스를 제1, 제2촉매탑(321, 322)으로 공급할 것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제2촉매(212)가 피독된 경우, 방향 전환 밸브(350)는 공정 배출 가스를 제1촉매탑(321)으로 공급하고, 방향 전환 밸브(342)는 수소 및 합성가스를 제2촉매탑(322)으로 공급하여 피독된 제2촉매(212)를 재생한다.
또한 제1촉매(211)가 피독된 경우, 방향 전환 밸브(350)는 공정 배출 가스를 제2촉매탑(322)으로 공급하고, 방향 전환 밸브(342)는 수소 및 합성가스를 제1촉매탑(321)으로 공급하여 피독된 제1촉매(211)를 재생한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3)는 제2 또는 제1촉매(212, 211)를 재생하면서 제1 또는 제2촉매탑(321, 322)의 제1 또는 제2촉매(211, 212)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공정 배출 가스를 산화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2, 3: 제거 장치 10, 310: 관체
20: 촉매탑 21: 촉매
22: 출구 30: 바이패스 관체
40, 60, 360: 수소 발생기 41: 하우징
42: 전극 43, 44: 연료, 공기 공급구
45: 토출구 50, 350, 352: 방향 전환 밸브
61: 개질 촉매 211, 212: 제1, 제2촉매
321, 322: 제1, 제2촉매탑 341: 수소 공급 관로
G: 방전갭 S: 플라즈마 반응 공간

Claims (8)

  1. CO 및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X)의 불순물이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를 유통시키는 관체;
    상기 관체에 연결되어 CO 및 상기 불순물을 HnXm 형태로 제거하는 촉매를 내장하는 촉매탑;
    상기 촉매의 후방에서 상기 촉매탑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방향 전환 밸브를 개재하여 다른 일측으로 상기 관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체; 및
    상기 촉매의 전방에서 상기 촉매탑에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발생기
    를 포함하며,
    상기 수소 발생기는
    일측에 연료 공급구와 공기 공급구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 수소가 포함된 합성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접지되는 하우징, 및
    상기 연료 공급구와 상기 공기 공급구 사이에 구비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극의 전방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확장된 플라즈마 반응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구로 고온의 수소 및 합성가스를 분출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발생기는
    플라즈마 반응을 통하여 일측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로부터 수소를 포함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라즈마 반응 공간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개질 촉매를 내장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6. CO 및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X)의 불순물이 포함된 공정 배출 가스를 유통시키는 관체;
    상기 관체에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을 HnXm 형태로 제거하는 제1촉매를 내장하는 제1촉매탑;
    상기 관체에 방향 전환 밸브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을 HnXm 형태로 제거하는 제2촉매를 내장하는 제2촉매탑; 및
    상기 제1촉매탑과 상기 제2촉매탑에 연결되어 상기 제1촉매와 상기 제2촉매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발생기
    를 포함하며,
    상기 수소 발생기는
    일측에 연료 공급구와 공기 공급구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 수소가 포함된 합성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접지되는 하우징, 및
    상기 연료 공급구와 상기 공기 공급구 사이에 구비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극의 전방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확장된 플라즈마 반응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구로 고온의 수소 및 합성가스를 분출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발생기에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공급 관로는
    방향 전환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제1촉매탑과 상기 제2촉매탑에 연결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촉매 및 상기 제2촉매는
    상기 제1촉매탑 및 상기 제2촉매탑 내에서 1단 또는 복수 단으로 형성되는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KR1020150052491A 2015-04-14 2015-04-14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KR101767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491A KR101767160B1 (ko) 2015-04-14 2015-04-14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491A KR101767160B1 (ko) 2015-04-14 2015-04-14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05A KR20160122505A (ko) 2016-10-24
KR101767160B1 true KR101767160B1 (ko) 2017-08-23

Family

ID=5725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491A KR101767160B1 (ko) 2015-04-14 2015-04-14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1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3497A (ja) 2006-07-25 2008-02-07 Toyota Boshoku Corp 大気中の不純物除去システム
JP2011122477A (ja) 2009-12-08 2011-06-23 Toyota Central R&D Labs Inc 排気浄化装置及びその被毒回復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3497A (ja) 2006-07-25 2008-02-07 Toyota Boshoku Corp 大気中の不純物除去システム
JP2011122477A (ja) 2009-12-08 2011-06-23 Toyota Central R&D Labs Inc 排気浄化装置及びその被毒回復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학술논문, 박철웅 등, 연료 개질장치의 적용에 따른 디젤 LNT 환원성능 개선 특성,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 제34권 제7호, pp. 689~696(2010.)
학술논문, 이대훈 등, Plasma Burner for Active Regeneration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Plasma Chem Plasma Process (2014) 34:159-173(2013.11.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05A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239B1 (ko) 가스 정화 시스템, 가스 정화 방법 및 가스 정화 시스템에사용되는 방전 반응 장치
KR101828458B1 (ko) 오염된 산화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
JP4254751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7006886B2 (ja) 水素製造装置及び水素製造方法
US7611793B2 (en) Fuel cell system, hydrogen gas supply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JP5846546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有する排ガス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5540337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1607647B1 (ko) 촉매의 피독 재생 장치
KR101767160B1 (ko)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오염 물질 제거 장치
KR101767157B1 (ko) 오염 촉매의 재생 수단이 포함된 일산화탄소와 오염 물질 제거 장치 및 오염 촉매의 재생이 포함된 일산화탄소와 오염 물질 제거 방법
JP2008501607A (ja) ハイブリッド式水性ガスシフト反応装置
KR20060037181A (ko) 저온 플라즈마 광촉매와 열촉매의 하이브리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
JPS6367090B2 (ko)
CN108472585B (zh) 具有污染氧化催化剂的再生装置的工艺排气污染材料去除设备
JP6332586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システム
EP31618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reverse current decay in fuel cells
JP4685523B2 (ja) 循環精製装置
JP2019155242A (ja) 被処理ガス中のメタン除去システム及び被処理ガス中のメタン除去方法
JP2000282844A (ja) メタン主成分の炭化水素含有ガス中の炭化水素の分解除去方法
JP2001031402A (ja) 改質装置
JP2017019672A (ja) 水素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並びに水素生成装置の運転方法
JP2006169013A (ja) 水素生成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運転方法
JP4166656B2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0433587Y1 (ko) 촉매재생장치
JP5334535B2 (ja) 排ガス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