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252B1 -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252B1
KR101766252B1 KR1020150121865A KR20150121865A KR101766252B1 KR 101766252 B1 KR101766252 B1 KR 101766252B1 KR 1020150121865 A KR1020150121865 A KR 1020150121865A KR 20150121865 A KR20150121865 A KR 20150121865A KR 101766252 B1 KR101766252 B1 KR 10176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inlet
plastic board
discharge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431A (ko
Inventor
유재필
Original Assignee
유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필 filed Critical 유재필
Priority to KR102015012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2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보드의 성능을 개선한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제조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이다. 본 장치는, 플라스틱에 혼합하여 후판 플라스틱 보드의 특성을 결정하는 복합재료가 플라스틱에 혼합 및 가열되고, 플라스틱이 용융되면서 복합재료와 반죽되어 배출구(14)에서 봉상으로 배출되게 하는 다수의 압출기(12)들과, 상기 압출기 다수 개를 일렬로 배열하여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이 일렬로 인접하여 나오도록 구성한 압출기세트(10)와, 상기 압출기세트에서 배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을 입구(32)로 받아서 상하에서 압축하여 출구(34)에서 하나의 판상으로 배출하는 형틀(30)과, 상기 형틀에서 배출되는 판상의 배출물을 더욱 압착하는 한쌍의 롤러세트(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Thick Complex Plastic Board}
본 발명은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에 여러 가지 복합재료를 혼합하여 소정의 특성을 가지는 보드를 개발하여 다양한 용도에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용도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료 대신 사용하기에 알맞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절연특성이나 가공성 내구성 등이 뛰어나다. 그래서 두꺼운 플라스틱 재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후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얇은 시트들을 여러 겹으로 겹쳐서 두껍게 만들거나, 특별히 용융플라스틱을 금형에 넣어서 성형하는 방식으로 후판 플라스틱보드를 제조하기도 하였다.
톱밥을 가소성 플라스틱과 혼합하여 보드를 만드는 종래의 방법은 분말 또는 알갱이 상태의 플라스틱을 톱밥과 먼저 혼합한 후 스크류와 가열기를 가진 압출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을 용융시켜 압출하며 판 형태로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2004년 6월 23일자 공고된 특허등록 10-0437272호에서는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패널에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여기에 공개된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폐기물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혼합 폐플라스틱 분쇄물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분쇄물을 혼합하여 얻어진 폐플라스틱 혼합물을 150~200℃에서 용융, 압출시켜 판상의 기판을 성형하고, 기판의 상하부면 각각에 강화시트를 적층시키고, 이어서 강화시트가 기판의 상하부면에 고착될 수 있도록 강화시트에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ABS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를 용융, 도포하고, 이 상태에서 압출, 경화시킴으로써 기판의 상하부면에 강화시트층 및 표면수지층이 형성되어 제조된 합성수지 판재를 만드는 것이다
또 2008년04월17일 등록된 특허 10-0824752호에는, 톱밥을 혼합한 플라스틱 보드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는 본 출원자의 선출원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시키는 압출기와, 압출기에서 나오는 용융플라스틱을 일시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톱밥과 저장탱크의 용융플라스틱을 받아서 혼합하는 믹서와, 믹서로부터 나오는 톱밥과 혼합된 용융플라스틱을 보드형태로 성형하는 롤러와, 롤러 후단에 이어서 연결되어 톱밥과 혼합된 용융플라스틱을 상하에서 압축하는 컨베어벨트장치를 포함하는 제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2010년06월01일 공고된 등록 특허 10-0961056호에는 본 발명자가 발명한 용융 수지 상태에서 적층시켜서 티다이와 냉각압축롤러세트를 통과 시킴으로써 두겹이상으로 적층된 수지시트를 생산하는 방법과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융 수지를 만드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에서 나오는 용융수지를 받아서, 시트 형태로 만들면서 용융 수지의 흐르는 량을 제어한 후 티다이에 보내는 조절기를 포함한다. 본 제조 장치에서, 용융 수지를 만드는 2개 이상의 압출기와, 상기 2개 이상의 압출기에서 나오는 2줄 이상의 용융수지를 받아서, 각각 시트 형태로 만들면서 중첩되게 하며, 그 중첩되는 용융 수지의 량을 각각 제어하면서 티다이에 보내는 용융수지 중첩 조절기를 가지는 것이다.
또 2013년01월25일 공고된 특허 등록번호 10-1226859 호에는 본 발명자의 선출원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시키며 배출하는 압출기와, 압출기에서 나오는 용융수지를 소정의 두께를 지니도록 성형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지는 면베어링과, 면베어링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가열부 및 냉각부를 포함하는, "두꺼운 플라스틱 보드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이 공개되어 있다.
열가소성 수지, 즉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수지, 나일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에 기계적 강도나 화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을 성형할 때 플라스틱 수지에 여러가지 복합재료를 첨가하여 성형하는 기술들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플라스틱 재료에 대하여 성형공정 온도에서 용해되지 아니하는 물질이 많이 혼합되면 용융압출기에서 압출되는 혼합물의 유동성이 떨어져서, 종래의 제조방식으로 제조할 경우 압출기에서 나오는 봉상의 용융혼합물이 티다이에서 판상으로 넓혀지지 못하거나 혼합물이 불균일하게 되어서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서는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제작할 때 일반적인 티다이를 사용하는데, 복합재료가 많은 비율로 플라스틱에 혼합이 되면 압출기에서 배출된 후 티다이에서 넓은 판 형상으로 잘 펴지지 못하여 품질이 균등하여 지지 못하게 되고 혼합물이 균등하게 분포하지 못하고 한곳으로 쏠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하나의 압출기에서 출력되어 판 형상으로 펴질 때 용융된 플라스틱의 유동성은 좋아서 잘 펴지지만, 복합재료는 용융상태가 아니므로 이동하는데 저항이 서로 달라서, 판상 재료의 위치에 따라 재질이 균일하게 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복합재료들 예로 들어, 파이버, 유리섬유, 목분, 섬유소재, 탄소섬유, 그래스파이버, 유리, 등 프라스틱 재료에 혼합하여 플라스틱보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제조할 때, 복합재료의 혼합비율을 많게 하여도 제조의 어려움 없이, 치수의 정확성과 균질한 품질을 가지는 복합플라스틱 보드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보드의 성능을 개선한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플라스틱보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복합재료를 플라스틱과 혼합하고 가열하여, 플라스틱이 용융상태가 되면서 복합재료와 반죽되게 하고, 2개 이상 다수개의 봉상 배출물로 나란히 배출되게 하는 일련배출공정과; 일련배출공정에서 배출되는 일련의 봉상 배출물들을 입구로 받아서 상하에서 압축하므로 인접하는 봉상 배출물들이 서로 접착하고 두께가 동일하게 되어서 판상 배출물이 되도록 하는 압축공정과, 압축공정으로부터 나오는 판상 배출물을 회전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하면서 판상배출물이 더욱 압착되어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가 되도록 하는 인출공정을 포함하여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인출공정 후에 보온 및 냉각 기능을 가진 면베어링 사이에 넣어 더욱 압축하고 냉각시키는 압축냉각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고, 또한 복합재료는 플라스틱에 대하여 부피비율이 50 ~ 85%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장치는, 플라스틱 보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복합재료가 플라스틱에 혼합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료 혼합물을 가열하여 플라스틱이 용융상태가 되면서 복합재료와 반죽되게 하고 봉 막대 형상으로 배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를 2개 이상 다수 개 일렬로 배열하여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이 인접하여 일렬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압출기세트와, 압출기세트에서 배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을 입구에서 받아서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하나의 판상으로 배출하는 형틀다이와, 형틀다이에서 배출되는 판상의 배출물을 더욱 압착하는 한쌍의 롤러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형틀(다이)은 일련의 배출물들을 받아들이는 직사각형의 입구와, 이 입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또 입구의 폭보다는 같거나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출구를 가지고, 입구와 출구 사이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은 입구와 출구의 대응되는 부분들끼리 연결이 되며 그 연결면의 곡률이 최소화되어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쌍의 롤러세트 후단에 이어서 연결되어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상하에서 압축하는 컨베어벨트 두 개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컨베어벨트 두개 사이 간격이 입구 측에서 출구 측으로 진행할수록 서서히 작아지도록 하고, 두 개의 컨베어벨트에는 가열기 또는 냉각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에 비하여, 복합재료가 더욱 균등하게 분포하게 되어 보드의 품질 성능이 제고된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생산할 수 있다. 정확한 치수의 제품을 조절할 수가 있어서, 제품의 불량률이 적어 수율이 높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의 균등한 품질을 가지게 하고, 외형치수를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압출기 둘 이상을 설치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만드는 종래기술의 형틀(다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을 보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수평단면 부분을 보인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와 직각되는 단면을 보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압출기세트와 형틀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장치는 열가소성 수지인 플라스틱과 복합재료 혼합물을 섭씨 150 ~ 200도로 가열하여 스크류로 밀어 내는 압출기(12) 다수개를 일렬로 정렬하여 고정한 압출기세트(10)와 압출기세트에서 배출되는 각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용융물들을 입구(32)로 받아서 평판 형상으로 만들어 출구(34)로 내보내는 형틀(다이, 30)과, 이 형틀의 출구(34)로부터 용융플라스틱판을 인출하여 내는 한쌍의 롤러세트(40)을 가진다.
열가소성 수지에 혼합하는 복합재료는 제조하려는 평판 보드의 용도에 따라 그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재료들을 선택하는데, 파이버, 유리섬유, 목분, 섬유소재, 탄소섬유, 그래스파이버, 유리, 등의 재료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압출기(12)들은 호퍼(50)에서 공급되는 플라스틱과 복합재료의 혼합물을 히터로 가열하여 플라스틱이 용융상태가 되도록 하고, 플라스틱과 복합재료가 잘 혼합되도록 하면서 배출구(14)로 밀어낸다. 후판 플라스틱 보드의 특성을 결정하는 복합재료들은 용융상태의 플라스틱과 잘 혼합되어 반죽되어 배출구(14)에서 봉상으로 배출된다.
압출기세트(10)는 다수 개 압출기(12)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이 서로 인접하여 일렬로 나오도록 구성한 것이다.
형틀(30)은 압출기세트로부터 배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을 입구(32)로 받아서 상하에서 압축하여 출구(34)로 나가도록 하며,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개별적으로 배출된 압출물들이 인접한 것들끼리 서로 접착되도록 형틀의 내부 공간 체적이 접차 줄어들게 제작된 다이이다. 이 다이, 형틀은 직사각형의 입구(32)와 입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입구의 폭보다는 같거나 넓은 폭을 가지는 출구(34)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와 출구 사이의 상하좌우 측면은 입구와 출구의 대응되는 부분이 연결될때 곡률이 최소화되어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형틀에서 배출되는 판상의 배출물이 한 쌍의 롤러세트(40) 사이에 물려서 더욱 압착된다.
한 쌍의 롤러세트(40) 후단에 생산할 후판의 두께를 최종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면베어링 및/또는 컨베어벨트 두 개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상하에서 압축하도록 한다. 컨베어벨트 두개 또는 면베어링 두개 사이 간격이 입구 측에서 출구 측으로 진행할수록 서서히 작아지도록 하고, 또 컨베어벨트 또는 면베어링에는 가열기 또는 냉각기를 설치하여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의 품질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후판 플라스틱보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혼합할 복합재료, 즉 플라스틱 PE, PP, PS, 등 플라스틱콤파운드들과 복합재료들, 즉 파이버, 유리섬유, 목분, 섬유소재, 탄소섬유, 그래스파이버, 유리, 등을 혼합하고, 압출기에서 가열하여, 플라스틱이 용융상태가 되면서 복합재료와 반죽되게 하고, 다수개 압출기들의 출구에서 다수개의 봉상 배출물로 나란히 배출되게 한다(일련배출공정).
일련배출공정에서 배출되는 일련의 봉상 배출물들을 형틀 다이의 입구로 받아서 상하에서 압축하므로 인접하는 봉상 배출물들이 서로 접착하게 하고 두께가 동일하되도록 되어서 판상 배출물로 성형한다(압축공정).
압축공정으로부터 나오는 판상 배출물을 회전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하면서 판상배출물이 더욱 압착되어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가 되게 한다(인출공정)
인출공정 후에는 보온 및 냉각 기능을 가진 면베어링 또는 콘베어벨트 사이에 넣어 더욱 압축하고 냉각시키는 압축냉각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에 추가하는 복합재료는 플라스틱에 대하여 부피비율이 50 ~ 8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86% 이상 혼합하게 되면 보드 자체의 접착력이 작아서 부서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장치는 생산설비의 일부분이며, 전체 장치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다.
호퍼에 플라스틱과 복합재료가 충진되어 있고,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모터(62)가 동작하여 벨트로 연결된 풀리(65)가 회전하고, 이 풀리는 기어박스(60)에 있는 회전축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들에 의하여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개별 압출기(12)들의 스크류를 회전시킨다.
개별 압출기들은 히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복합재료와 플라스틱 컴파운드를 가열하여 용융상태가 되게 하면서 스크류 회전에 의하여 배출구(14)로 압출되게 한다. 모터, 기어박스, 압출기세트, 다이 형틀, 등은 프레임(1)에 배치되어서 전체 시스템을 이룬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에 비하여, 복합재료가 더욱 균등하게 분포하게 되어 보드의 품질 성능이 제고된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생산할 수 있고, 제조방법에서 균등한 품질을 가지게 하고, 외형치수를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10: 압출기세트, 12: 압출기 14: 압출기 배출구
30: 다이 형틀 32: 다이형틀입구 34: 다이출구
40: 한쌍의 롤러세트 50: 홉퍼 55:축지지대
57: 기어 60: 기어박스 62: 모터
65: 풀리

Claims (6)

  1.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으로서,
    플라스틱보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복합재료를 플라스틱과 혼합하고 가열하여, 플라스틱이 용융상태가 되면서 복합재료와 반죽되게 하고, 다수개의 봉상 배출물로 나란히 배출되게 하는 일련배출공정과;
    상기 일련배출공정에서 배출되는 2 이상의 봉상 배출물들을 입구로 받아서 상하에서 압축하므로 인접하는 봉상 배출물들이 서로 접착하고 두께가 동일하게 되어서 판상배출물이 되도록 하는 압축공정과,
    상기 압축공정으로부터 나오는 판상배출물을 회전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하면서 판상배출물이 더욱 압착되어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로 되게 하는 인출공정을 포함하는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정 후에 보온 및 냉각 기능을 가진 면베어링 사이에 넣어 더욱 압축하고 냉각시키는 압축냉각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는 플라스틱에 대하여 부피비율이 50 ~ 85%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특징인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4.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장치로서,
    플라스틱과, 플라스틱에 혼합되어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의 특성을 결정하는 복합재료가 혼합되어 있는 재료혼합물을 가열하여 플라스틱이 용융상태가 되면서 복합재료와 반죽하여 배출구(14)에서 봉상으로 배출하는 압출기(12)들과,
    상기 압출기 2개 이상을 일렬로 배열하여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이 일렬로 인접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압출기세트(10)와,
    상기 압출기세트에서 배출되는 봉상의 배출물들을 입구(32)로 받아서 상하에서 압축하여 출구(34)에서 하나의 판상으로 배출하는 형틀(30)과,
    상기 형틀에서 배출되는 판상의 배출물을 더욱 압착하는 한쌍의 롤러세트(40)를 포함하는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직사각형의 입구(32)와, 상기 입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입구의 폭보다는 같거나 넓은 폭을 가지는 출구(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상하좌우 측면은 입구와 출구의 대응되는 부분이 연결되어 곡률이 최소화되고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롤러세트(40) 후단에 이어서 연결되어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를 상하에서 압축하는 컨베어벨트 두 개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기 컨베어벨트 두개 사이 간격이 입구 측에서 출구 측으로 진행할수록 서서히 작아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두 개의 컨베어벨트에는 가열기 또는 냉각기가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장치.
KR1020150121865A 2015-08-28 2015-08-28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76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865A KR101766252B1 (ko) 2015-08-28 2015-08-28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865A KR101766252B1 (ko) 2015-08-28 2015-08-28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431A KR20170025431A (ko) 2017-03-08
KR101766252B1 true KR101766252B1 (ko) 2017-08-08

Family

ID=5840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865A KR101766252B1 (ko) 2015-08-28 2015-08-28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2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725A (ja) 2003-01-15 2004-08-05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成型方法およびリボン状ゴム押出機
KR100824752B1 (ko) 2005-10-24 2008-04-23 김소자 톱밥 플라스틱 보드,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961056B1 (ko) 2008-03-03 2010-06-01 김소자 수지시트 제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725A (ja) 2003-01-15 2004-08-05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成型方法およびリボン状ゴム押出機
KR100824752B1 (ko) 2005-10-24 2008-04-23 김소자 톱밥 플라스틱 보드,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961056B1 (ko) 2008-03-03 2010-06-01 김소자 수지시트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431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709B1 (ko) 벨트프레스식 플라스틱시트 제조장치
KR20020006002A (ko) 수지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장치
KR20100082957A (ko) 고강도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그 합성목재
JPH0452106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CN101066620A (zh) 挤出法制备发泡烯烃聚合物制品的装置及方法
CN102205655A (zh) 一种连续式pe透气膜生产工艺
JP3973625B2 (ja) 成型品を製造する方法
KR20190001420A (ko) 카렌다 및 t-다이 일체형 열가소성 필름/시트 제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필름/시트의 제조방법
KR101766252B1 (ko) 후판 복합 플라스틱 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02205654A (zh) 一种一步式pe透气膜生产工艺
JP5161123B2 (ja) 複合木材の製造方法
KR20190029351A (ko)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패널의 제조방법
KR100824752B1 (ko) 톱밥 플라스틱 보드,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90044892A (ko) 복합재료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18342B1 (ko) 합성수지 패널의 이중 압출 성형장치
CN107841155B (zh) 一种麦秸秆/p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EP4039445A1 (e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sheets
CN108099227B (zh) 竹纤维/聚氯乙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基于该方法制备得到的复合材料
RU242227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труктурного поликарбонатного листа
CN102009507A (zh) 一种超宽铝塑复合板的制备方法及其专用装置
CN111267286A (zh) 回收废旧热固性聚氨酯制造板材的用途、制造工艺及设备
CN108045029B (zh) 一种秸秆橡胶层合体及其制备方法
KR20160115157A (ko)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펠릿 및 그 제조 방법
CN218928396U (zh) 一种lvt板生产线
CN103341980A (zh) 多层复合式打包带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