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199B1 -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 Google Patents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199B1
KR101766199B1 KR1020170039962A KR20170039962A KR101766199B1 KR 101766199 B1 KR101766199 B1 KR 101766199B1 KR 1020170039962 A KR1020170039962 A KR 1020170039962A KR 20170039962 A KR20170039962 A KR 20170039962A KR 101766199 B1 KR101766199 B1 KR 10176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p
outlet
discharge port
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홍
김인호
윤현정
전유경
김유량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주)디엔컴퍼니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주)디엔컴퍼니, 주식회사 대웅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to KR102017003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199B1/ko
Priority to PCT/KR2018/003716 priority patent/WO2018182332A1/ko
Priority to PCT/KR2018/003715 priority patent/WO20181823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를 갖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장착되고, 튜브 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갖는 튜브 캡을 포함하며, 튜브 캡은, 튜브의 제1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마련된 제1 밀폐부, 제1 밀폐부를 통과한 튜브의 내용물이 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마련된 제1 유동 통로 및 튜브의 제2 토출구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유동 통로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동 통로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Tube cap and tubular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균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방부제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최근 방부제의 유해성을 없애기 위하여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균 화장품이 등장하고 있다. 이때, 외부 공기의 침입 등에 의해 무균 화장품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 구조를 갖는 튜브형 용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무방부제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초 튜브형 용기 내부에 균이 존재해서는 안되므로, 튜브형 용기의 멸균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밀폐 구조와 간섭되지 않도록 용기 전체를 멸균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을 차단하여 무균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를 갖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장착되고, 튜브 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갖는 튜브 캡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튜브 캡은, 튜브의 제1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마련된 제1 밀폐부, 제1 밀폐부를 통과한 튜브의 내용물이 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마련된 제1 유동 통로 및 튜브의 제2 토출구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유동 통로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튜브의 제1 토출구 측에 배치되며, 중공 영역을 갖는 제1 몸체와 상기 중공 영역에 제1 토출구를 덮도록 배치된 제1 밀폐부 및 제1 밀폐부와 제1 몸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리브를 포함하는 제1 캡, 제2 밀폐부를 구비하고, 제1 밀폐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캡, 유출구를 갖고, 제2 밀폐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제2 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 캡과 사이 공간에 제1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제3 캡 및 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3 캡을 둘러싸는 하우징 및 유출구를 둘러싸도록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뚜껑을 구비하는 외측 캡을 포함하는 튜브 캡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3 캡의 상승 시, 제2 밀폐부와 유출구는 분리되어 제1 유동통로 및 유출구가 외부로 개방되고, 제3 캡의 하강 시, 유출구 내에 제2 밀폐부가 삽입되어 밀폐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를 갖는 튜브 및 제1 및 제2 토출구를 둘러싸도록 튜브에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튜브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갖는 튜브 캡을 포함하며, 튜브 캡은, 튜브의 제1 토출구 측에 배치되며, 중공 영역을 갖는 제1 몸체와 상기 중공 영역에 제1 토출구를 덮도록 배치된 제1 밀폐부 및 제1 밀폐부와 제1 몸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리브를 포함하는 제1 캡, 제2 밀폐부를 구비하고, 제1 밀폐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캡, 상기 유출구가 마련되고, 제2 밀폐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제2 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캡과 사이 공간에 제1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제3 캡 및 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3 캡을 둘러싸는 하우징 및 유출구를 둘러싸도록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뚜껑을 구비하는 외측 캡을 포함하며, 제3 캡의 상승 시, 제2 밀폐부와 유출구는 분리되어 제1 유동통로 및 유출구가 외부로 개방되고, 제3 캡의 하강 시, 유출구 내에 제2 밀폐부가 삽입되어 밀폐되는 튜브형 용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튜브 캡에 하나 이상의 밀폐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 오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튜브 캡의 밀폐구조가 밀폐된 상태에서도, 내용물이 통과하는 유동 통로를 외부에서부터 멸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튜브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용기의 분리 사사도이다.
도 4는 내지 도 8은 튜브 캡의 개방 및 밀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튜브 캡을 절개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튜브형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용기의 분리 사사도이다.
또한, 도 4는 내지 도 8은 튜브 캡의 개방 및 밀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9는 튜브 캡을 절개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튜브형 용기(1)는 내용물(예를 들어, 화장품, 특히 무방부제 화장품)이 저장되는 튜브(10) 및 상기 튜브에 장착되는 튜브 캡(100)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 캡(100)은 튜브(10) 내 선택적으로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41) 및 하우징(141)에 개방 가능하게 장착된 뚜껑(14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뚜껑(142)을 개방한 상태에서 튜브(10)를 가압하면, 튜브(10) 내 내용물이 튜브 캡(100) 내부로 이동 후 튜브 캡(100) 외부로 유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튜브(10)는 제1 토출구(11) 및 제2 토출구(12)를 갖는다. 이때, 제1 토출구(11)는 제2 토출구(12)보다 유동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구(11)는 상기 제2 토출구(12)보다 튜브(10)의 중심축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10)는 제1 및 제2 토출구(11, 12)가 마련된 상부 영역(13) 및 하부 영역(14)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부 영역(13)과 하부 영역(14)이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구(11)는 튜브(10) 내 내용물을 튜브 캡(100) 내부로 이동시키는 통로로 기능하고, 제2 토출구(12)는 튜브 캡(100) 내부로 멸균 가스를 주입시키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튜브 캡(100)은 상기 튜브(1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튜브 캡(100)은 제1 및 제2 토출구(11, 12)를 둘러싸도록 튜브(1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튜브 캡(100)은 튜브(10) 내 내용물(H)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131)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튜브 캡(100)은 제1 밀폐부(112), 제1 유동통로(P1) 및 제2 유동통로(P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튜브 캡(100)은 상기 튜브(10)의 제1 토출구(11)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마련된 제1 밀폐부(112), 제1 밀폐부(112)를 통과한 튜브(10)의 내용물(H)이 유출구(131)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마련된 제1 유동 통로(P1) 및 튜브(10)의 제2 토출구(12)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유동 통로(P1)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동 통로(P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유동 통로(P2)는 제1 밀폐부(112)가 제1 토출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제2 토출구(12)를 통해 튜브(10) 내부와 제2 유동 통로(P2)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2 토출구(12)를 통해 멸균 가스를 튜브 캡(100) 내부로 주입하는 경우, 제1 밀폐부(112)가 제1 토출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멸균 가스가 제2 토출구(12) 및 제2 유동 통로(P2)를 통과하여 제1 유동 통로(P1)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 캡(100)은 제2 토출구(12)에 튜브(10) 내 내용물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필터(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160)는 튜브(10) 내 내용물(H)과 닿는 부분을 멸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160)는 내용물(H)이 제2 토출구(12)를 통해 제2 유동 통로(P2)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필터(160)는 화장품 용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TEE필터, 나일론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 내용물의 입자가 미세하여 상기 필터(160)를 통과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필터 통과 여부는 튜브 내 내용물(화장품)의 점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멸균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160)는 제2 유동 통로(P2)로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밀폐부(112)는, 튜브 내용물(H)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토출구(11)로부터 이격되어 제1 토출구(11)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폐부(112)는, 튜브 내용물(H)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상이면 제1 토출구(11)로부터 이격되어 제1 토출구(11)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폐부(112)는 튜브 내용물(H)의 토출 압력이 사라지거나 또는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하로 감소하면 제1 토출구(11)와 접촉하여 제1 토출구(11)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캡(100)은 제1 유동통로(P1)의 종단에 유출구(131)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마련된 제2 밀폐부(122) 및 제2 밀폐부(122)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밀폐부(122)는 제1 유동 통로(P1) 내 내용물(H)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상일 때, 유출구(131)과 분리되어 제1 유동 통로(P1) 및 유출구(131)이 튜브 캡(100) 외부로 개방된다.
또한, 제2 밀폐부(122)는 제1 유동 통로(P1) 내 내용물(H)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하로 감소하면 탄성부재(150)의 복원력에 의해 유출구(131)에 삽입되어 유출구(131)을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15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튜브(10) 내 제1 유동 통로(P1) 내 내용물(H)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상일 때, 유출구(131)을 향해 이동하는 내용물(H)의 이동방향을 따라 인장 변형되고, 제1 유동 통로(P1) 내 내용물(H)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하로 감소하면 변형 전 형상으로 복원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튜브(10)를 가압하면, 튜브 내 내용물(H)은 상기 제1 토출구(11)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의 가압력에 따라 결정된 토출 압력을 제1 밀폐부(112)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밀폐부(112)가 상기 제1 토출구(11)를 밀폐하는 힘은 튜브 캡(10)과 큐브(10)의 조립 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고, 토출 압력이 이러한 밀폐하는 힘 이상이 될 때, 제1 밀폐부(112)는 제1 토출구(11)로부터 이탈되고, 제1 밀폐부(112) 및 제1 토출구(11) 사이 공간을 통해 제1 유동통로(P1)로 내용물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유동통로(P1)를 이동하는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상이 되면, 유출구(131)이 제2 밀폐부(122)로부터 분리되고, 제1 유동통로(P1)와 유출구(131)이 외부로 개방됨에 따라, 내용물이 튜브 캡(10) 외부로 유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튜브 캡(10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튜브 캡(100)은 제1 캡(110), 제2 캡(120), 제3 캡(130) 및 외측 캡(140)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캡(110)은 튜브(10)의 제1 토출구(11) 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캡(110)은 제1 몸체(111), 제1 밀폐부(112) 및 제1 리브(1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캡(110)은 중공 영역을 갖는 제1 몸체(111), 상기 중공 영역에 제1 토출구(11)를 덮도록 배치된 제1 밀폐부(112) 및 제1 밀폐부(112)와 제1 몸체(1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리브(113)를 포함한다.
제1 몸체(111)는 링 형상을 가지며, 튜브(10)의 제1 토출구(11) 측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폐부(112)는 제1 토출구(11)를 덮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제2 캡을 향하여 연장된 측면을 갖는 제1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캡(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위치한 3개의 리브(113)로 제1 몸체(111)와 제1 밀폐부(11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브(113)는 이동 및 복원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LDPE/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캡(110)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리브 사이 공간에 제2 유동통로(P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밀폐부(112)가 제1 토출구(11)로부터 상승하게 될 때, 제1 토출구(11)와 제2 유동통로(P2)는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는 다르게, 제1 밀폐부(112)가 제1 토출구(11)와 접촉하여 제1 토출구(11)를 밀폐하면, 제1 토출구(11)와 제2 유동통로(P2)는 연통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캡(120)은 제2 밀폐부(122)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캡(120)은 제1 밀폐부(11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밀폐부(112)는 제2 캡(120) 내부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밀폐부(112)는 제2 캡(120) 내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캡(120)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돌기(미부호)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 돌기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캡(120)은 중공 영역을 갖는 제2 몸체(121, 예를 들어, 링 형상), 제2 밀폐부(122) 및 복수 개의 제2 리브(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밀폐부(122)는 제1 밀폐부(112)가 내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실린더(123) 및 상기 제2 실린더(123) 종단에 마련된 밀폐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린더(123)는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1 밀폐부(112) 측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제2 리브(124) 사이의 공간은 유동 공간(125)으로서 전술한 제1 유동통로(P1)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1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된 튜브(10) 내 내용물(H)은 제1 밀폐부(112)의 외주면 및 제2 밀폐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차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3 캡(130)은 유출구(131)를 갖는다. 또한, 제3 캡(130)은 제2 밀폐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3 실린더(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린더(133)는 내부에 제2 캡(120)의 제2 실린더(1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실린더(123) 측으로 개방된다. 또한, 제3 캡(130)은 제2 캡(120)의 제2 몸체(121)에 안착되는 제3 몸체(132)를 포함한다. 또한, 제3 캡(130)은 제2 캡(12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안정적인 승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2 캡(120)에는 제3 캡(130) 측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126)가 마련되고, 제3 캡(130)에는 가이드 돌기(126)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34)이 마련된다. 또한, 제3 실린더(133)에는 전술한 유출구(131)가 마련된다. 또한, 제3 캡(130)은 제2 캡(120)과 사이 공간에 제1 유동통로(P1)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실린더(123)의 외주면과 제3 실린더(133)의 내주면 사이에 제1 유동통로(P1)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3 실린더(133)의 내경은 제2 실린더(120)의 외경보다 크다. 한편, 제3 캡(130)이 제2 캡(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밀폐부(122)는 유출구(131)에 삽입되고, 유출구(131)는 밀폐된다. 이때, 제3 캡(130)의 상승에 의하여, 제3 실린더(133)가 상승하는 경우, 유출구(131)는 제2 밀폐부(122)와 분리되고, 유출구(131) 및 제1 유동통로(P1)는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튜브 캡(100)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된다. 또한, 제3 캡의 상승은, 제1 유동통로(P1)를 따라 이동하는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제3 실린더(133)의 내벽에 가해짐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외측 캡(140)은 하우징(141) 및 뚜껑(14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41)은 유출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3 캡(130)을 둘러싼다. 또한, 하우징(141)은 제1 내지 제3 캡(110, 120, 130)을 모두 둘러싸도록 마련됨에 따라, 튜브 캡(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41)은 유출구(131)가 노출되도록 제3 캡(130)이 삽입되는 중공부(143)를 갖는다. 또한, 튜브 캡(100)을 튜브(10)에 장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2 캡(120) 또는 외측 캡(140)은 상기 튜브(1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튜브 캡(100)은 튜브(1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41)과 뚜껑(142)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뚜껑(142)을 가압하여 개폐시킬 수 있다. 뚜껑(142)은 하우징(141)에 회전 가능하게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뚜껑(142)을 하우징(141)으로부터 개방하여 유출구(131)가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뚜껑(142)을 하우징(141)에 밀봉하여 유출구(131)를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최초 뚜껑(142)을 최초로 개봉 시, 뚜껑(142)와 하우징(141)의 경계영역에 배치된 식별 리브(144)가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식별 리브(144)의 분리 상태를 통해, 뚜껑(142)이 최초로 개봉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캡(110, 120, 130)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탄성 변형 및 복원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측 캡(140)의 하우징(141)은, 하나 이상의 캡(110, 120, 1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4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홈 결합 구조를 통해, 끼움 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41) 내에서 제3 캡(130)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캡(130)은 제3 캡(130)의 승강 이동 변위를 고려하여 외측 캡(14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뚜껑(142)은 하우징(141)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출구(131)를 둘러싼다. 상기 뚜껑(142)의 닫힘 상태에서, 유출구(13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뚜껑(142)의 개방 상태에서, 제3 캡(130)의 유출구(131)는 외부로 노출된다.
뚜껑(141)의 개방 상태에서, 제2 캡(120)에 대하여 제3 캡(130)의 상승 시, 제2 밀폐부(122)와 유출구(131)는 분리되어 제1 유동통로(P1) 및 유출구(131)가 외부로 개방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3 캡(130)의 하강 시, 유출구(131) 내에 제2 밀폐부(122)가 삽입되어 유출구(131)가 밀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밀폐부(112)는 제2 캡(120)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밀폐부(112)는, 제1 토출구(11)에 가해지는 튜브 내용물(H)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밀폐부(112)는 제2 캡(120) 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구(11)로부터 이격되어 제1 토출구(11)를 개방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1 토출구(11)가 개방될 때 인접하는 제1 리브(113) 사이 공간(‘제2 유동통로(P2)’라고도 함)을 통해 내용물이 제1 유동통로(P1)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유동통로(P1)를 따라 이동하는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 제3 캡(130)이 상승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튜브 캡(100)은 제3 캡(130)과 외측 캡(140) 사이에 배치되며, 양 단부가 제3 캡(130)과 외측 캡(140)에 각각 고정된 탄성부재(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탄성부재(150)는 제3 캡(130)의 상승 시, 인장 변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캡(110)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리브(113) 사이 공간에 제2 유동통로(P2)가 형성되며, 제2 유동통로(P2)는 제1 유동통로(P1)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 유동통로(P2)는 제2 토출구(12) 및 제1 유동통로(P1)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 토출구(12)에는 필터(16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필터(160)는 가스(예를 들어, 멸균 가스)를 통과시키도록 마련되고, 제2 토출구(12) 측에서 가스를 주입 시, 상기 가스는 제2 유동통로(P2)를 거쳐 제1 유동통로(P1)로 이동할 수 있다.
멸균 가스를 통한 멸균 공정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튜브(10)의 상부 영역(13) 및 하부 영역(14)이 접합되기 이전에, 상부 영역(13)에 튜브 캡(10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 영역(13)을 통해 제2 토출구(12) 측으로 멸균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제1 밀폐부(112)가 제1 토출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도, 제2 토출구(12) 및 제2 유동통로(P2)를 통해 제1 유동통로(P1)로 멸균 가스를 주입하여, 멸균 처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튜브형 용기
10: 튜브
100: 튜브 캡
110: 제1 캡
120: 제2 캡
130: 제3 캡
140: 외측 캡
150: 탄성부재
160: 필터

Claims (20)

  1. 제1 토출구 및 제2 토출구를 갖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장착되고, 튜브 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갖는 튜브 캡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 캡은, 튜브의 제1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마련된 제1 밀폐부;
    제1 밀폐부를 통과한 튜브의 내용물이 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마련된 제1 유동 통로; 및
    튜브의 제2 토출구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유동 통로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동 통로를 포함하며,
    제2 유동 통로는 제1 밀폐부가 제1 토출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제2 토출구를 통해 튜브 내부와 제2 유동 통로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튜브형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2 토출구에 튜브 내 내용물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2 유동 통로로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튜브형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밀폐부는, 튜브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토출구로부터 이격되어 제1 토출구를 개방하도록 마련된 튜브형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 밀폐부는 튜브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하로 감소하면 제1 토출구와 접촉하여 제1 토출구를 밀폐하도록 마련된 튜브형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유동통로의 종단에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마련된 제2 밀폐부; 및
    제2 밀폐부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제2 밀폐부는 제1 유동 통로 내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상일 때, 유출구와 분리되어 제1 유동 통로 및 유출구가 튜브 캡 외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튜브형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제2 밀폐부는 제1 유동 통로 내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소정 값 이하로 감소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유출구에 삽입되어 유출구를 밀폐시키는 튜브형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토출구는 제2 토출구보다 유동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제1 토출구는 제2 토출구보다 튜브의 중심축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튜브형 용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39962A 2017-03-29 2017-03-29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KR10176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962A KR101766199B1 (ko) 2017-03-29 2017-03-29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PCT/KR2018/003716 WO2018182332A1 (ko) 2017-03-29 2018-03-29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PCT/KR2018/003715 WO2018182331A1 (ko) 2017-03-29 2018-03-29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962A KR101766199B1 (ko) 2017-03-29 2017-03-29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495A Division KR101771648B1 (ko) 2017-03-29 2017-06-30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199B1 true KR101766199B1 (ko) 2017-08-09

Family

ID=5965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962A KR101766199B1 (ko) 2017-03-29 2017-03-29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6199B1 (ko)
WO (1) WO20181823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32A1 (ko) * 2017-03-29 2018-10-04 주식회사 대웅제약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430A (ja) 2001-12-13 2005-04-28 プラストン ソシエテ アノニム 容器、特にソフトチューブ、に含まれる製品を供給するための無菌システム
JP4843799B2 (ja) 2005-08-25 2011-12-21 ラボラトアール テア 容器のための破壊開放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240U (ja) * 1983-08-23 1985-03-16 吉田工業株式会社 逆流防止機構を備えたチュ−ブ容器
AU661353B2 (en) * 1991-12-24 1995-07-20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pemser container with integrally head formed segment
ITRM20070275A1 (it) * 2007-05-17 2008-11-18 Federighi Federigo Flacone erogatore multidose per preparati liquidi senza conservanti.
KR101067748B1 (ko) * 2009-10-09 2011-09-28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430A (ja) 2001-12-13 2005-04-28 プラストン ソシエテ アノニム 容器、特にソフトチューブ、に含まれる製品を供給するための無菌システム
JP4843799B2 (ja) 2005-08-25 2011-12-21 ラボラトアール テア 容器のための破壊開放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32A1 (ko) * 2017-03-29 2018-10-04 주식회사 대웅제약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331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KR102230916B1 (ko) 디스펜서용 보호 캡 및 제약용 및/또는 화장용 액체(cosmetic liquids)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장치
ES2588167T3 (es) Conjunto de dosificación de fluidos
CN109153481B (zh) 盖和排出容器
US8006868B2 (en) Dispenser cap for pressurised fluids
EP2233034A2 (en) Manual spray pump
JPWO2007111256A1 (ja) 吐出容器及び点眼容器
KR200496877Y1 (ko) 용기에 들어 있는 액체의 샘플을 모으기 위한 장치, 관련 용기 및 이 용기의 용도
JP6903189B2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JP6776044B2 (ja) 吐出キャップ
JP6084504B2 (ja) 注出容器
KR101533716B1 (ko)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KR101766199B1 (ko)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KR101771648B1 (ko)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JP5450263B2 (ja) 注出容器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2018154356A (ja) 吐出キャップ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5762923B2 (ja) 吐出容器
JP2016216050A (ja) キャップ
KR101584718B1 (ko) 단부 가압식 펌핑용기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WO2018182332A1 (ko)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JP6714027B2 (ja) 流体容器
CN111328265B (zh) 具有通过顶盖自动打开/关闭的排出孔的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