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113B1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113B1
KR101766113B1 KR1020160008491A KR20160008491A KR101766113B1 KR 101766113 B1 KR101766113 B1 KR 101766113B1 KR 1020160008491 A KR1020160008491 A KR 1020160008491A KR 20160008491 A KR20160008491 A KR 20160008491A KR 101766113 B1 KR101766113 B1 KR 10176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engaging
coupling
bra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529A (ko
Inventor
박진귀
Original Assignee
박진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귀 filed Critical 박진귀
Priority to KR102016000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1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A47B96/1483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and radial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조립식 선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기둥에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부 단면이 하부 단면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재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갖는 센터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브라켓과, 결합부에 고정되는 선반을 포함하고, 센터홀에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브라켓이 기둥에 위치 설정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SECTIONAL SHELF}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선반은 물건을 올려 놓기 위해서 벽면 등에 수직으로 고정된 판 등을 의미한다. 선반은 가정, 사무실 및 식당은 물론 진열대 및 붙박이장 등 다양한 분야 및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선반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조립식 선반이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선반은 벽면 등에 선반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선반을 용이하게 철거하거나 또는 선반을 연장, 모양 및 위치 변경에 있어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다수 개의 판이 상호 결합되어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데, 판과 판 사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결합을 위한 부재들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립된 선반을 사용함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초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10015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기둥에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부 단면이 하부 단면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재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갖는 센터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브라켓과, 결합부에 고정되는 선반을 포함하고, 센터홀에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브라켓이 기둥에 위치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는 바디부에서 상호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선반은 제1 결합부에 결합하는 배면과, 제2 결합부에 결합하는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된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은 상면을 구비하고, 상면의 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에 의해서 센터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바디부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선반은 상면을 구비하고, 제1 결합부는, 상면과 접하는 제1 상부플레이트와, 배면에 형성된 돌출면과 접하는 제1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바디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에는 인접하는 선반의 측면이 각각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선반은 상면을 구비하고, 제2 결합부는, 상면과 결합하는 제2 상부플레이트와, 측면에 형성된 돌출면과 결합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에서 선반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브라켓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에서 결합부재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결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조립식 선반에서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선반에 브라켓이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기둥에 고정부재 및 브라켓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결합부재와 선반의 배면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결합부재와 인접하는 선반의 각 측면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상면 및 측면, 정면 및 배면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은 기둥(19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기둥(190)에 결합부재(170)를 먼저 삽입하여 위치 설정한 후 브라켓(130, 200)을 결합부재(170)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삽입하여 브라켓(130, 200)을 결합부재(170)에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브라켓(130, 200)이 기둥(190)에 대해 위치 설정된다. 그리고 브라켓(130, 200)에는 선반(110)이 볼트 등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은 기둥(190)에 결합부재(170)를 삽입하고, 결합부재(170)에 브라켓(130, 200)을 끼워 맞추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결합부재(170)는 원뿔대 형상을 갖기 때문에 브라켓(130, 200)이 결합부재(170)의 하부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은 사각 형상의 선반(110)의 모서리 부분에만 브라켓(130, 200)이 결합되기 때문에 선반(110)의 상면(112) 공간을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인접하는 선반(110)과 선반(110)의 측면이 상호 접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면(112)이 단절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선반(110)이 상호 접하고 있고 1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110)은 수평 방향(즉, 기둥(19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선반(110)의 개수와, 선반(110)의 층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이 결합되는 기둥(190)은 그 개수, 단면의 형상, 단면의 크기 그리고 그 길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기둥(190)은 금속 재질로 단면이 원형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에서 선반(11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선반(110)은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나가 사용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상호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선반(110)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선반(110)은 상면(112), 정면(114), 배면(116) 및 측면(120)을 구비하고 그 하부는 돌출면(118, 122)을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다.
상면(112)은 물건(도시하지 않음) 등이 놓이는 편평한 면에 해당한다. 직사각 형상을 갖는 상면(112)의 모서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24)는 사분원 형상을 갖고 인접하는 다른 절개부(124)와 연결되어 반원 형상의 절개부를 형성한다. 절개부(124)에 의해서 브라켓(130, 200)의 센터홀(134)이 상면(112)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면(112)에는 두 개의 절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112)에는 제1 외부결합홀(112a) 및 제2 외부결합홀(11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결합홀(112a)은 선반(110)의 측면(120)을 따라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외부결합홀(112b)은 선반(110)의 배면(116)을 따라서 형성된다.
제1 외부결합홀(112a)은 브라켓(130, 200)의 제2 결합부(160)의 제2 상부결합홀(162a)과 상호 연통되고 볼트(192)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제2 외부결합홀(112b)은 브라켓(130, 200)의 제1 결합부(150)의 제1 상부결합홀(152a)와 상호 연통되고 볼트(192)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이로 인해, 선반(110)의 상면(112)이 브라켓(130, 200)에 결합된다.
선반(110)의 정면(114)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방향으로 노출된 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브라켓(130, 200)과 결합하지 않는 면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110)은 정면(114)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선반(110)의 배면(116)은 정면(114)에 평행한 면으로 정면(114)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배면(116)의 양 단부에는 절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면(116)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돌출면(118)을 구비하고, 돌출면(118)의 좌우 단부에는 각각 두 개씩의 제2 내부결합홀(118a, 점선표시)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부결합홀(118a)은 브라켓(130, 200)의 제1 결합부(150)에 형성된 제1 하부결합홀(156a)과 상호 연통되고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도 13 참조).
선반(110)의 정면(114) 및 배면(116)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브라켓(130, 200)의 제1 결합부(150)와도 평행하게 형성된다.
선반(110)은 두 개의 상호 평행한 측면(120)을 구비한다. 측면(120)은 정면(114) 및 배면(116)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면(120)은 브라켓(130, 200)의 제2 결합부(160)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120)은 배면(116)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돌출면(122)을 구비한다. 돌출면(122)의 일 단부에는 한 쌍의 제1 내부결합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부결합홀(122a)은 브라켓(130, 200)의 제2 결합부(160)에 형성된 제2 하부결합홀(166a)과 연통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상호 결합된다.
인접하는 두 개 선반(110)의 각 측면(120)은 브라켓(130)의 제2 결합부(160)에 형성된 삽입홈(168)에 삽입되어 상호 접한다. 제2 결합부(160)에 형성된 삽입홈(168)의 폭은 돌출면(122)을 포함하는 측면(120)이 하나씩 모두 두 개가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 등에 의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인접하는 두 개의 선반(110)의 측면이 상호 면 접촉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110)은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선반(110)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정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의 브라켓(13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의 브라켓(13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브라켓(13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브라켓(130)의 단면도이다.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의 브라켓(130)은 기둥(190)에 의해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지지되고 선반(110)과 결합하여 선반(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브라켓(130)은 T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브라켓(200, 도 8 내지 도 9 참조)은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거나 또는 금속 플레이트 등을 기계적인 결합 또는 용접 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센터홀(134)이 형성된 바디부(132)와, 바디부(132)에서 상호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150) 및 제2 결합부(160)를 포함한다.
바디부(132)는 센터홀(134, 도 5에서는 점선으로 표시)을 구비한다. 센터홀(134)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170)가 삽입되는데, 센터홀(134)도 결합부재(170)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갖는다. 즉, 센터홀(134)도 원뿔대 형상을 갖고 그 상부 내경(a)은 결합부재(170)의 상부 외경(a)과 동일하고, 하부 내경(b)은 결합부재(170)의 하부 외경(b)과 동일하다. 따라서 결합부재(170)는 센터홀(134)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센터홀(134)과 결합부재(170)는 동일한 형상을 갖지 않고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 약간의 오차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70) 및 센터홀(134)은 원뿔대 형상을 갖지 않고 단면이 다각형(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부(132)는 바디정면(140), 바디측면(142) 및 바디상면(144)을 구비한다. 바디상면(144)에는 센터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부(132)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바디측면(142)으로부터 제1 결합부(15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수직 돌출된다.
제1 결합부(150)는 바디부(132)의 바디측면(142)에서 수직 돌출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제1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제1 결합부(150)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선반(110)에 각각 결합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선반(110)과 선반(110)이 상호 결합하게 된다.
제1 결합부(150)는 선반(110)의 배면(116)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50)는 선반(110)의 배면(116) 및 상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50)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상부플레이트(152), 제1 수직플레이트(154) 및 제1 하부플레이트(156)를 포함한다.
제1 상부플레이트(152)는 바디상면(144) 및 제2 상부플레이트(162)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는 면에 해당한다. 제1 상부플레이트(152)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제1 상부결합홀(15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상부플레이트(152)는 선반(110)에서 상면(112)의 하면(도면부호 없음)과 결합하는데, 이때 제1 상부결합홀(152a)은 제2 외부결합홀(112b)과 상호 연통되어 볼트(192) 등에 의해서 상호 체결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선반(110)의 상면(112)에 의해서 제1 상부플레이트(152)가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수직플레이트(154)는 제1 상부플레이트(152)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제1 수직플레이트(154)는 제1 상부플레이트(152) 및 제1 하부플레이트(156)를 상호 연결하는데, 이로 인해 제1 결합부(150)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제1 수직플레이트(154)의 높이는 바디부(132)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하부플레이트(156)는 제1 수직플레이트(154)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제1 상부플레이트(152)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플레이트(156)는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제1 하부결합홀(156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하부플레이트(156)는 선반(110)에서 배면(116)에 형성된 돌출면(118)의 하면과 결합하는데, 이때 제1 하부결합홀(156a)은 제2 내부결합홀(118a)과 상호 연통되어 볼트 등에 의해서 상호 체결된다.
제1 결합부(150) 및 제2 결합부(160) 중에서 어느 하나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브라켓은 제2 결합부(160)를 구비하지 않고 제1 결합부(150)만 구비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결합부(150)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제1 상부플레이트(152), 제1 수직플레이트(154) 및 제1 하부플레이트(15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제1 수직플레이트(154) 및 제1 하부플레이트(156)를 구비하지 않고 제1 상부플레이트만(152)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60)는 제1 결합부(150)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2개의 제2 결합부(160)가 도 4의 점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도 4에서 점선은 두 개의 제2 결합부(160)를 구분하는 가상의 선에 해당한다.
제2 결합부(160)는 제1 결합부(150)와 유사하게 제2 상부플레이트(162), 제2 수직플레이트(164) 및 제2 하부플레이트(16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두 개의 제2 결합부(160)가 대칭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삽입홈(168)을 형성한다.
제2 상부플레이트(162)는 제1 상부플레이트(152)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고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제2 상부플레이트(162)에는 제2 상부결합홀(16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상부결합홀(162a)은 선반(110)에 형성된 제1 외부결합홀(112a)과 연통되고 볼트(192) 등에 의해서 상호 체결된다.
브라켓(130)은 두 개의 제2 상부플레이트(162)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제2 상부플레이트(162)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선반(110)에 각각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브라켓(130)에 의해서 인접하는 두 개의 선반(110)이 상호 결합된다.
제2 수직플레이트(164)는 제2 상부플레이트(162) 및 제2 하부플레이트(166)를 상호 연결한다. 제2 상부플레이트(162), 제2 수직플레이트(164) 및 제2 하부플레이트(166)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제2 결합부(160)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두 개의 제2 하부플레이트(166)는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면을 형성한다. 하나의 제2 하부플레이트(166)는 두 개의 제2 하부결합홀(166a)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하나의 제2 하부플레이트(166)는 선반(110)의 측면(120)에 형성된 돌출면(122)의 하면과 접하면서 상호 결합한다. 즉, 제2 하부플레이트(166)에 형성된 제2 하부결합홀(166a)은 돌출면(122)에 형성된 제1 내부결합홀(122a)과 연통되고 볼트 등에 의해서 상호 체결된다.
삽입홈(168)은, 상호 연결된 두 개의 제2 하부플레이트(166)와,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제2 수직플레이트(164)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해당하고, 그 상면 및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삽입홈(168)의 내부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선반(110)의 측면(120)이 각각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선반(110)의 측면(120)과 측면(120)이 상호 접촉하여 결합력이 강화된다.
제2 결합부(160)도 제2 상부플레이트(162), 제2 수직플레이트(164) 및 제2 하부플레이트(16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결합부(160)는 제2 수직플레이트(164) 및 제2 하부플레이트(166)를 구비하지 않고 제2 상부플레이트(162)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제2 결합부(16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하나의 제2 결합부(160)를 구비하거나 또는 제2 결합부(16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선반(110)에 대해 볼트(192)에 의해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 결합 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은 브라켓(130)이 선반(110)에 대해 삽입 구조를 갖는 돌기(도시하지 않음) 및 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결합하거나, 리벳(rivet) 또는 핀(pin) 등에 의해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의 결합부재(17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에서 결합부재(170)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결합부재(170)의 단면도이다.
결합부재(170)는 기둥(190)에 삽입 및 위치 설정되고, 그 둘레에는 브라켓(130, 200)이 삽입되어 위치 설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170)는 브라켓(130, 200)을 기둥(190)에 대해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삽입하는 것으로, 원뿔대 형상을 가져서 브라켓(130, 200)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결합부재(170)는 중공(中空)의 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경은 원뿔대 형상을 갖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결합부재(170)는 제1 결합부재(172) 및 제2 결합부재(178)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제1 결합부재(172) 및 제2 결합부재(178)는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부재(170)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재(172) 및 제2 결합부재(178)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호 결합하여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170)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재(172)는 중공의 원뿔대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한 부분에 해당한다. 제1 결합부재(172)는 반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그 단부에는 제1 결합돌기(174) 및 제1 결합홈(17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돌기(174)는 제2 결합부재(178)에 형성된 제2 결합홈(182)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결합홈(176)에는 제2 결합부재(178)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18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174, 180) 및 결합홈(176, 182)의 결합에 의해서, 제1 결합부재(172) 및 제2 결합부재(178)가 상호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제2 결합부재(178)는 중공의 원뿔대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다른 부분에 해당한다. 제2 결합부재(178)는 제2 결합돌기(180) 및 제2 결합홈(18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결합부재(178)는 그 측면에 고정홀(184)을 구비한다. 고정홀(184)에는 볼트(192)가 삽입되어 기둥(190)에 나사 체결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결합부재(170)가 기둥(190)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고정홀(184)에 삽입된 볼트(192)는 결합부재(17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홀(184)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재(170)는 두 개 이상의 고정홀(184)을 가지고 볼트 및 핀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기둥(19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170)는 제1 결합부재(172) 및 제2 결합부재(178)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둥(190)의 둘레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재(172)를 기둥(190)의 원하는 위치에 밀착한 후 제2 결합부재(178)를 제1 결합부재(172)에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결합부재(170)는 삽입공간(186)을 갖는데, 삽입공간(186)은 결합부재(17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서 기둥(190)이 삽입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삽입공간(186)은 결합부재(17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데, 이로 인해 삽입공간(186)을 형성하는 내면은 기둥(190)의 둘레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170)가 기둥(190)의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결합부재(170)가 기둥(190)에 대해 위치 설정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결합부재(170)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상부 외경(a)이 하부 외경(b)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70)의 상부 외경 및 하부 외경은, 브라켓(130, 200)에 형성된 센터홀(134)의 상부 내경 및 하부 내경과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터홀(134)에는 결합부재(170)가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고, 결합부재(170)는 하부 외경이 상부 외경에 의해 크기 때문에, 브라켓(130, 200)은 결합부재(170)에 걸려서 아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결합부재(170)는 브라켓(130, 200)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삽입되기 때문에, 브라켓(130, 200)은 결합부재(170)의 상부 방향으로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결합부재(17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결합부재(170)의 재질 및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부재(170)는 두 개의 부분(172, 178)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재(170)는 기둥(190)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부터 삽입되어 원하는 높이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에서 브라켓(200)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예시된 브라켓(200)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하나의 선반(110)에만 결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하나의 제1 결합부(150) 및 하나의 제2 결합부(160)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바디부(132)와, 제1 결합부(150) 및 제2 결합부(160)를 구비하는데, 이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설명한 브라켓(13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선반(110)에 브라켓(130, 200)이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1 결합부(150)와 선반(110)의 배면(116)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2 결합부(160)와 인접하는 선반(110)의 각 측면(120)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그리고 도 10 내지 도13을 참고하면, 조립식 선반(100)을 조립하는 순서는, 기둥(190)에 결합부재(170)를 결합하여 위치 설정하고, 결합부재(170)에 브라켓(130, 200)을 결합하여 위치 설정하며, 브라켓(130, 200)에 선반(110)을 결합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물론, 조립식 선반(100)의 분해는 조립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기둥(190)에 결합부재(170)를 결합하기 위해서, 제1 결합부재(172) 및 제2 결합부재(178)를 기둥(190)의 둘레에 밀착한 후 상호 결합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70)에서 기둥(19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86)의 내경은 기둥(19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이내에 있기 때문에, 결합부재(170)는 기둥(190)에 대해 밀착되어 용이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기둥(190)에 결합부재(17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고정홀(184)에 볼트(192)를 삽입한 후 기둥(190)에 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기둥(190)에 결합부재(170)를 위치 고정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과 같이 두 개 이상의 기둥(190)에 결합부재(170)를 각각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결합한 후, 결합부재(170)에 브라켓(130, 200)을 결합한다. 두 가지 종류의 브라켓(130, 200) 중에서 양 끝 부분에 위치하는 선반(110)에는 ㄱ 형상을 갖는 브라켓(200)을 결합하고, 양 끝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두 개의 선반(110)과 결합하기 위해서 T 형상을 갖는 브라켓(130)을 결합한다.
기둥(190)의 상단부에서 브라켓(130, 200)을 삽입하여서 결합부재(170)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하강시킨다. 도 11을 참고하면, 브라켓(130, 200)의 하강 과정에서 센터홀(134)은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170)의 둘레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삽입되면서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브라켓(130, 200)은 결합부재(170)에 의해서 기둥(190)의 아래 부분으로 빠질 수 없게 되고, 위쪽으로도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물론, 브라켓(130, 200)에 선반(110)이 결합하고 선반(110) 상에 물건이 놓여지면 브라켓(130, 200)은 결합부재(170)의 상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0)은 결합부재(170)에 브라켓(130, 200)을 단순 삽입하면 결합부재(170)의 형상(즉, 원뿔대 형상)에 의해서 브라켓(130)이 기둥(190)에 대해서 위치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은 물론 분해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고, 구성도 매우 간소하게 된다.
브라켓(130, 200)을 기둥(190)에 대해 위치 설정한 후 선반(110)을 브라켓(130, 200)에 결합한다.
T 형상을 갖는 브라켓(130)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선반(110)이 각각 결합한다. 즉, 브라켓(130)에 구비된 제1 결합부(150)에는 선반(110)의 상면(112) 및 배면(116)이 나사 체결 등에 의해서 결합하고, 다른 제1 결합부(150)에는 인접하는 다른 선반(110)의 상면(112) 및 배면(116)이 나사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30)에 구비된 제2 결합부(160)에는 선반(110)의 상면(112) 및 측면(120)이 나사 체결 등에 의해서 결합하고, 다른 제2 결합부(160)에도 다른 선반(110)의 상면(112) 및 측면(120)이 나사 결합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제2 결합부(160)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홈(168)에는 두 개의 측면(120)이 각각 삽입된다.
도 12를 참고하면, 브라켓(130, 200)에 구비된 제1 결합부(150)의 제1 상부플레이트(152)는 선반(110)의 상면(112)과 접하면서 볼트(192) 등에 의해서 상호 결합하고, 제1 하부플레이트(156)는 선반(110)의 배면(116)에 형성된 돌출면(118)과 접하면서 볼트(192) 등에 의해서 상호 결합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130)의 제1 결합부(150)는 선반(110)의 두 개의 면(112, 118)과 결합하기 때문에 브라켓(13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192)는 그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모두 내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볼트(192)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ㄱ 형상을 갖는 브라켓(200)은 하나의 선반(110)에만 결합한다. 즉, 브라켓(200)은 하나의 제1 결합부(150) 및 하나의 제2 결합부(160)를 구비하기 때문에 하나의 선반(110)에만 결합한다. 브라켓(200)을 선반에 결합하는 방법은, T 형상을 갖는 브라켓(130)을 선반(110)에 결합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직사각 형상의 선반(110)에 두 개의 절개부(124)가 형성되고 절개부(124)에 브라켓(130, 200)이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절개부(124) 및 브라켓(130, 200)이 결합되는 위치 및 개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전부 또는 일부가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개부도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21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선반(210)은 직사각 형상을 갖고 네 개의 모서리에 모두 절개부(1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부(124)가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는 브라켓(130, 200)이 결합될 수 있는 홀(112a, 112b)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210)을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은 적어도 네 개의 기둥(190)을 이용하여 선반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선반(2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8개의 기둥(190)을 이용하여 조립식 선반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조립식 선반
110: 선반
130, 200: 브라켓
150: 제1 결합부
160: 제2 결합부
170: 결합부재
190: 기둥

Claims (10)

  1. 기둥에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둘레에 삽입되어 상기 기둥에 위치 설정되도록 하는 센터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하는 배면과,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하는 측면과, 절개부가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에 의해서 상기 센터홀이 외부로 노출되며,
    두 개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선반의 각각의 상기 배면과 하나씩 결합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상면과 접하는 제1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배면에 형성된 돌출면과 접하는 제1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선반의 상기 측면이 각각 삽입되어 상호 접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상면과 결합하는 제2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측면에 형성된 돌출면과 결합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조립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원뿔대 형상을 갖고 상기 센터홀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된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08491A 2016-01-25 2016-01-25 조립식 선반 KR101766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491A KR101766113B1 (ko) 2016-01-25 2016-01-25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491A KR101766113B1 (ko) 2016-01-25 2016-01-25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29A KR20170088529A (ko) 2017-08-02
KR101766113B1 true KR101766113B1 (ko) 2017-08-07

Family

ID=5965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491A KR101766113B1 (ko) 2016-01-25 2016-01-25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96B1 (ko) 2020-05-31 2020-08-07 (주)이안비즈 제품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32B1 (ko) * 2018-11-27 2020-12-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작업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74B2 (ja) * 1988-09-09 1997-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棚の連結部構造
JP4749150B2 (ja) * 2005-12-27 2011-08-17 セイキ住工株式会社 ラックの中間棚取付け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74B2 (ja) * 1988-09-09 1997-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棚の連結部構造
JP4749150B2 (ja) * 2005-12-27 2011-08-17 セイキ住工株式会社 ラックの中間棚取付け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96B1 (ko) 2020-05-31 2020-08-07 (주)이안비즈 제품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29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347B1 (ko) 테넌에 의하여 스냅으로 상호 연결되는 완구 조립 세트
US6257426B1 (en) Shelf engagement mechanism
US20140241791A1 (en) Link mechanism and universal coupler based on the same
KR101409772B1 (ko) 조립식 수납함
SK280501B6 (sk) Súbor stavebnicových prvkov
JPH07163428A (ja) モジュラー組立体及びその構成要素
KR101766113B1 (ko) 조립식 선반
EP0012030A1 (en) Connecting devices for interconnecting two components at right angles
US20070170138A1 (en) Tray fastening devices for modular shelving
WO2006132499A1 (en) Structure of knocked down furniture
US20090020527A1 (en) Modular container
KR102259228B1 (ko) 고정 키를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캣타워
KR102024919B1 (ko) 기둥 결합 구조
JP2017210993A (ja) 接続部材および棚
US6036033A (en) Construction assembly having a quick coupler
KR200442669Y1 (ko) 조립식 선반의 고정구
KR101927250B1 (ko) 조립식 테이블
KR200477690Y1 (ko) 단자함
JP3220035U (ja) 組立式ラックの連結部材
JP2001292837A (ja) 組立式の棚
KR200481114Y1 (ko) 적층 조립식 공구함
KR200450696Y1 (ko) 조립식 선반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1719784B1 (ko) 블록 조립식 키트
JP4518436B1 (ja) 組立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