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514B1 -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514B1
KR101765514B1 KR1020160000246A KR20160000246A KR101765514B1 KR 101765514 B1 KR101765514 B1 KR 101765514B1 KR 1020160000246 A KR1020160000246 A KR 1020160000246A KR 20160000246 A KR20160000246 A KR 20160000246A KR 101765514 B1 KR101765514 B1 KR 10176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orming portion
curved surface
plastic len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332A (ko
Inventor
전원택
서순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투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투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투에이
Priority to KR102016000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5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되는 초박형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출 금형은, 그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와, 상기 곡면형성부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성부가 형성된 상측코어를 갖는 상부금형; 그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와, 상기 곡면형성부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성부가 형성된 하측코어를 갖고, 상기 상부금형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부금형; 상기 상측코어와 상기 하측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사이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코어 또는 상기 하측코어에서, 상기 플랜지 형성부는 상기 곡면형성부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 형성부에서 상기 주입구의 반대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렌즈의 설계사양의 기본 치수는 수정하지 않고 상측코어 또는 하측코어의 플랜지 면에 높이차를 두어 용융 수지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금형에 의해 제작된 렌즈가 설계사양에 만족할 수 있게 성형되는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Injection mold for plastic lens}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되는 초박형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용 렌즈 모듈의 구성은 부품들이 조립되는 바렐과, 복수의 사출 성형품와, 이러한 렌즈 사이에 투입되는 스페이서와, 조립이 완료되는 사출 성형품와 스페이서를 고정해주는 백 링(Back 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품들이 설계사양에 맞게 제작되면 설계도면 기준으로 정해진 방향과 위치에 맞게 순서대로 조립되어 성능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각 부품별로 허용되는 공차가 있기 때문에 각 부품 간의 공차 관계에 따라서 성능 구현이 미흡하거나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조립 방법, 조립치공구, 조립장비 등을 개선하여 원하는 성능을 구현하게 된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고성능화로 인해 고화소의 모바일 렌즈 모듈들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성능 구현이 까다로워졌다. 또한, 모바일 렌즈 모듈의 슬림화까지 같이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제품의 성능 구현이 점점 까다로워져, 작업 방법, 설비, 치공구 등의 개선을 통해서도 성능 구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는 사출 성형품의 작업성으로 인한 영향이 크다. 사출 성형품들의 경우, 기본적인 기구적 치수 외에도 진원도, 평면도, 평행도, 동심도가 모두 0.002mm 이내로 맞춰져야 하고, 형상 오차와 렌즈경 편심량 등이 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성능 구현이 어려워진다.
모바일 렌즈 모듈의 슬림화 이전에도 이러한 기본적 치수와 형상 공차를 맞추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현재의 슬림화 이후부터는 렌즈의 두께가 더 얇아져서 원하는 치수를 만들어 내기가 더 어려워졌다.
플라스틱 사출의 경우 작업성이 좋으려면, 금형의 수지 원료(Resin)이 투입되는 게이트에서부터 수지 원료의 충진이 완료되는 지점까지 일정한 두께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러나, 렌즈의 경우 일직선도 아니고 두께도 일정하지 않아 수지 원료의 흐름이 공동 내에서 불안정하다 보니 치수 구현도 어렵고, 게다가 두께까지 얇아지면서 성형이 안되거나 렌즈면과 플랜지면이 휘어지는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플랜지 형태로는 성형이 된다고 해도 여러 형상 공차를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5670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플라스틱 렌즈용 사출 금형에서 수지 원료의 흐름을 개선하여 박형의 렌즈도 무리 없이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설계 사양에 맞추기 용이한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수지를 유입시켜 플라스틱 렌즈를 사출하는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은, 그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와, 상기 곡면형성부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성부가 형성된 상측코어를 갖는 상부금형; 그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와, 상기 곡면형성부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성부가 형성된 하측코어를 갖고, 상기 상부금형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부금형; 상기 상측코어와 상기 하측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사이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코어 또는 상기 하측코어에서, 상기 플랜지 형성부는 상기 곡면형성부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 형성부에서 상기 주입구의 반대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을 갖고, 상기 십자 형상의 가지부들 사이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고, 상기 "Y"자 형상의 가지부들 사이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렌즈는 상기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생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의 설계사양의 기본 치수는 수정하지 않고 상측코어 또는 하측코어의 플랜지 면에 높이차를 두어 용융 수지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금형에 의해 제작된 렌즈가 설계사양에 만족할 수 있게 성형되는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출 금형 중에서 상측 코어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출 금형 중에서 하측 코어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의 제1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2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플라스틱 렌즈가 경통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사출 금형에서 수지 원료의 흐름을 개선하여 초박형의 렌즈도 무리 없이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진원도, 평면도, 평행도, 동심도 등의 설계 사양에 맞추기 용이한 사출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출 금형은 상측코어(110)를 구비한 상부금형(101), 하측코어(120)를 구비하고 상부금형(101)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하부금형(102), 수지 원료를 주입하고 플라스틱 렌즈(200)를 들어올리는 러너(140), 이러한 러너(140)를 밀어붙이는 제1 밀핀(131), 러너(140)와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렌즈(200)를 들어올리는 오버플로우(145), 이러한 오버플로우(145)를 밀어붙이는 제2 밀핀(132)을 포함한다.
주입구(141)는 러너(140)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어 용융 상태의 수지 원료를 밀착된 상측코어(110)과 하측코어(120) 사이로 안내한다.
하측코어(120)는 그 중심에 플라스틱 렌즈(200)의 구면부를 형성하는 곡면형성부(121)와, 플라스틱 렌즈(200)의 구면부 둘레를 에워싸는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곡면형성부(121)의 외곽 둘레에 편평한 플랜지 형성부(122)를 갖는다.
이와 대응되게, 상측코어(110)도 그 중심에 플라스틱 렌즈(200)의 구면부를 형성하는 곡면형성부(111)와, 플라스틱 렌즈(200)의 구면부 둘레를 에워싸는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곡면형성부(111)의 외곽 둘레에 편평한 플랜지 형성부(112)를 갖는다.
상측코어(110)와 하측코어(120)는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코어(120)의 플랜지 형성부(122)와 상측코어(110)의 플랜지 형성부(112) 사이로 수지 원료를 주입하여 플라스틱 렌즈(200)를 제작한다.
주입구(141)는 사출 금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용융 상태의 수지 원료를 밀착된 상부금형(101)의 상측코어(110)와 하부금형(102)의 하측코어(120)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한다. 안내된 수지 원료는 충분히 냉각되고 압착되어 플라스틱 렌즈(200)를 형성한다.
그 후, 상부금형(101)이 하부금형(10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밀핀(131)과 제2 밀핀(132)이 구동하여, 하측코어(120) 상에 안착된 플라스틱 렌즈(200)를 위로 밀어올려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2는 도 1의 사출 금형 중에서 상측 코어(110)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출 금형 중에서 하측 코어(120)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측코어(110)를 밑에서 위로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측코어(110)는 그 중심에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111)와, 이러한 곡면형성부(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 형성부(112)를 포함한다.
곡면형성부(111)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1 면의 중심이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 형성부(112)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1 면의 둘레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상측코어(110)의 일측에는 주입구(141)가 연결되고, 이러한 주입구(141)를 통해 용융 수지가 상측코어(110)와 하측코어(120)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측코어(110) 중에서 주입구(141)가 연결되는 부분은 원형의 일부가 직선으로 잘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하측코어(120)를 위에서 밑으로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하측코어(120)는 그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121)와, 이러한 곡면형성부(121)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성부(122)가 형성된다.
곡면형성부(121)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2 면의 중심이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하측코어(120)의 일측에는 주입구(141)가 연결되고, 이러한 주입구(141)를 통해 용융 수지가 주입될 수 있다. 하측코어(120) 중에서 주입구(141)가 연결되는 부분은 원형의 일부가 직선으로 잘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 형성부(122)는 플라스틱 렌즈(200)의 제2 면의 둘레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플랜지 형성부(122)는 곡면형성부(121)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주입구(141)에 인접하는 플랜지 형성부(122)에서 주입구(141)의 반대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122a)와, 이러한 제1 플랜지부(122a)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22a)는 전체적으로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22a)는 곡면형성부(121)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주입구(141) 방향에서 주입구(141)의 반대 방향 외에 다른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플랜지부(122a)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로 연장되고 있다. 이러한 십자 형상의 가지부(122a')들 사이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하측코어(120)를 통한 용융 수지의 흐름이 제2 플랜지부(122b)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플랜지부(122b)는 제1 플랜지부(122a)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플랜지부(122a)는 제2 플랜지부(122b)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측코어(110)와 하측코어(120)가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플랜지부(122a)는 제2 플랜지부(122b)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초박형의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주입구(141)를 통해 용융 수지가 주입될 때, 용융 수지는 두께가 부분적으로 줄어든 제2 플랜지부(122b)로 유동하기보다는 더 깊게 형성된 제1 플랜지부(122a)를 따라 더 많은 용융 수지가 유동하게 된다.
종래에 초박형의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용융 수지가 주입될 때, 상측코어와 하측코어 사이의 간격이 너무 협소하여 용융 수지가 플랜지부의 단부까지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에서 주입구 쪽은 원하는 치수가 나오지만, 주입구의 반대쪽은 두께가 얇아져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 용융 수지는 더 깊은 제1 플랜지부(122a)를 따라 더 많은 수지가 유동하므로, 제1 플랜지부(122a)에 더 많은 용융 수지가 공급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2 플랜지부(122b)로는 용융 수지가 덜 공급되는 방식으로 하여,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가 원하는 설계사양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출할 때 압력 손실을 줄여줘서 성형되지 않는 부분의 발생을 적게 하고, 반드시 필요한 부분에 사출 압력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여 초박형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성형 작업에 대한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설계사양을 실현할 게 있게 한다.
또한, 제1 플랜지부(122a)는 최소한 주입구(141) 방향에서 주입구(141)의 반대 방향 단부까지 연장되어,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2개 지점은 원하는 두께가 나오도록 한다. 제1 플랜지부(122a)는 다른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에서 원하는 두께가 나오는 부분이 적어도 3개 지점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플랜지부(122a)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을 가져서, 4개 지점에서 원하는 두께가 나오도록 한다. 이러한 4개 지점에서 원하는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200)가 경통(20)에 고정될 때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플랜지부(122a)는 십자 형상 외에,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고, 이러한 "Y"자 형상의 가지부들 사이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Y"자 형상의 제1 플랜지부(122a)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3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측코어(120)에 제1 플랜지부(122a)가 형성되었지만, 제1 플랜지부(122a)와 제2 플랜지부(122b)를 갖는 하측코어(120)의 이러한 구성은 상측코어(11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측코어(110)와 하측코어(12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200)의 제1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플라스틱 렌즈(200)의 제2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플라스틱 렌즈(200)의 제1 면(예를 들어, 상면)은 곡면형성부(201)와, 이러한 곡면형성부(201)를 둘러싸는 플랜지 형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플라스틱 렌즈(200)의 제2 면(예를 들어, 하면)은 곡면형성부(201)와, 이러한 곡면형성부(201)를 둘러싸는 플랜지 형성부(202)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 형성부(202)는 곡면형성부(201)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주입구 방향에서 주입구 방향의 반대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202a)와, 이러한 제1 플랜지부(202a)보다 낮은 높이로[즉, 제1 플랜지부(202a)가 돌출됨]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2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202a)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로 형성된다. 십자 형상으로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200)는 4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렌즈(300)의 제2 면(예를 들어, 하면)은 곡면형성부(301)와, 이러한 곡면형성부(301)를 둘러싸는 플랜지 형성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 형성부(302)는 곡면형성부(301)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주입구 방향에서 주입구 방향의 반대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302a)와, 이러한 제1 플랜지부(302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3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302a)는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형성된다. "Y"자 형상으로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300)는 3점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렌즈(400)의 제2 면(예를 들어, 하면)은 곡면형성부(401)와, 이러한 곡면형성부(401)를 둘러싸는 플랜지 형성부(4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 형성부(402)는 곡면형성부(401)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주입구 방향에서 주입구 방향의 반대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402a)와, 이러한 제1 플랜지부(402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4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402a)의 좌우측 라인은 곡면형성부(401)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402a)의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렌즈(400)는 4점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플라스틱 렌즈(200)가 경통(20)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복수의 플라스틱 렌즈(200)들은 스페이서(3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이처럼 플라스틱 렌즈(200)는 경통(20)에 의해 지지되므로, 플라스틱 렌즈(200)의 단부 두께는 설계사양을 만족해야 한다. 플라스틱 렌즈(200)의 단부 두께가 설계사양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렌즈들의 정렬이 제대로 되지 않아 원하는 성능을 나타내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의 설계사양의 기본 치수는 수정하지 않고 상측코어(110) 또는 하측코어(120)의 플랜지 면에 용융 수지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을 만들어 렌즈가 설계사양에 만족할 수 있게 성형되도록 한다. 이러한 원리는 플랜지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줄여서, 두께가 줄어든 부분은 용융 수지의 흐름을 어렵게 하고, 두께가 두꺼운 쪽으로 용융 수지가 많이 흘러가도록 하여 렌즈의 중심부분과, 렌즈의 중심부 주변의 렌즈 조립에 영향을 주는 부분의 치수가 제대로 형성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1 : 상부금형
102 : 하부금형
110 : 상측코어
111 : 곡면형성부
112 : 플랜지 형성부
120 : 하측코어
121 : 곡면형성부
122 : 플랜지 형성부
122a : 제1 플랜지부
122b : 제2 플랜지부
131 : 제1 밀핀
132 : 제2 밀핀
140: 러너
141 : 주입구

Claims (4)

  1.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수지를 유입시켜 초박형의 플라스틱 렌즈를 사출하는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에 있어서,
    그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111)와, 상기 곡면형성부(111)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성부(112)가 형성된 상측코어(110)를 갖는 상부금형(101);
    그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형성부(121)와, 상기 곡면형성부(121)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성부(122)가 형성된 하측코어(120)를 갖고, 상기 상부금형(101)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부금형(102);
    상기 상측코어(110)와 상기 하측코어(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사이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41);
    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코어(110) 또는 상기 하측코어(120)에서, 상기 플랜지 형성부는 상기 곡면형성부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주입구(141)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 형성부에서 상기 주입구(141)의 반대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을 갖고, 상기 십자 형상의 가지부들 사이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연결되는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고, 상기 "Y"자 형상의 가지부들 사이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연결되는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4. 삭제
KR1020160000246A 2016-01-04 2016-01-04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KR10176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46A KR101765514B1 (ko) 2016-01-04 2016-01-04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46A KR101765514B1 (ko) 2016-01-04 2016-01-04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32A KR20170081332A (ko) 2017-07-12
KR101765514B1 true KR101765514B1 (ko) 2017-08-07

Family

ID=5935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246A KR101765514B1 (ko) 2016-01-04 2016-01-04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5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871A (ja) * 2005-03-30 2006-10-12 Fujinon Corp 光学レンズ及びそ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871A (ja) * 2005-03-30 2006-10-12 Fujinon Corp 光学レンズ及びそ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32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951B1 (ko) 플라스틱 렌즈, 렌즈 모듈, 및 렌즈 사출 금형
CA242362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boots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sin boots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8459979B2 (en) Apparatus for molding optical fiber connector
US20150226937A1 (en) Lens unit structure for molded lens and molding die for molded lens
US20160001479A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structured optical parts
US20150102513A1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device
KR101765514B1 (ko) 플라스틱 렌즈 제작을 위한 사출 금형
US20100316755A1 (en) Mold assembly for making light guide plate
US8221114B2 (en) Mold for fabricating an optical fiber connector
CN101003161B (zh) 模具
KR100930655B1 (ko)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KR200485439Y1 (ko) 광 렌즈 및 광 렌즈 몰드
KR101768801B1 (ko) 언더컷이 형성된 제품성형용 금형
JP2006227348A (ja) 光学素子、光学素子成形用金型及び光学素子の成形方法
KR101156701B1 (ko) 플라스틱 렌즈 제작용 사출 금형
KR101298468B1 (ko)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CN218749008U (zh) 一种pos机面壳模具
KR101813677B1 (ko) 사출 성형 장치
TWI746166B (zh) 光學透鏡、透鏡模組及其製造方法
KR101846196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조립장치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
KR20110051873A (ko) 렌즈 사출 금형
CN214448071U (zh) 分型面高紧密结合模具
KR101152309B1 (ko) Led렌즈의 성형금형
CN110709227B (zh) 成型模具
KR101354831B1 (ko) 렌즈 사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