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808B1 -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 Google Patents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08B1
KR101764808B1 KR1020150171875A KR20150171875A KR101764808B1 KR 101764808 B1 KR101764808 B1 KR 101764808B1 KR 1020150171875 A KR1020150171875 A KR 1020150171875A KR 20150171875 A KR20150171875 A KR 20150171875A KR 101764808 B1 KR101764808 B1 KR 10176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ut
neutralizing agent
per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746A (ko
Inventor
최승오
Original Assignee
최승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오 filed Critical 최승오
Priority to KR102015017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8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8Protecting mantles; Shoulder-shields; Collars; B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6Hair-collecting boxes or containers for the same purpose ; Hair collecting devices, e.g. with suction mean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실이나 이발소에서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파마를 할 때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수거함에 모여지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에 관한 것으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차단막의 배출로를 통해 한곳으로 모여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신체에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신체를 둘러싸고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차단막과, 목 주위의 제1 통공과, 차단막 밑단 부위의 제 2 통공과, 차단막을 타고 흘러내린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한 곳으로 포집되도록 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로와, 배출로의 전면으로부터 30-85도 경사를 이루며 아래로 이어진 배출로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차단막을 지탱해주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을 상기 차단막의 후면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봉의 하단은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잘린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저절로 머리카락 수거함과 파마 중화제 수거함에 포집되기 때문에, 머리카락을 자른 후 곧 바로 매번 청소를 하지 않고서도 깨끗하고 쾌적한 작업장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An Instrument to Collect Hairs and Neutralizing Agent}
본 발명은 미용실이나 이발소에서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파마를 할 때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수거함에 저절로 모여지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카락과 파마 중화제가 몸에 떨어지지 않도록 신체 주위를 감싸고 있는 차단막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이어져 있으며, 차단막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로를 따라 머리카락과 파마 중화제가 흘러내려 머리카락 수거함과 파마 중화제 수거함에 자동으로 모임으로써, 미용실이나 이발소의 바닥을 깨끗하게 해주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청소시간을 절약하여 노동력을 줄여주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에 관한 것이다.
미장원이나 이발소에서 가면 바닥에 머리카락이 싸여 있는 모습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뿐더러 미용 종사자나 고객의 호흡기 기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이 다수 출시되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0353호 "이미용실 커트용 커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047호 "헤어 가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2892호 "이미용실 머리카락받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4907호 "이미용실 머리카락수거장치" 등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머리카락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기술 "이미용실 커트용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종래의 기술 "헤어 가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의 (c)는 종래의 기술 "이미용실 머리카락받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a), 도 1의 (b),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각기 형상은 다르지만 신체를 감싸고 형성된 헤어커버(1a, 1b, 1c)의 하단에 머리카락받이(2a, 2b, 2c)를 구성하여 머리카락받이(2a, 2b, 2c)에 머리카락을 포집함으로써 머리카락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바닥에 머리카락이 떨어지지만 않을 뿐 여전히 머리카락받이(2a, 2b, 2c)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다음 고객이 다시 이용하려면 헤어커버(1a, 1b, 1c)를 조심스럽게 이탈하여, 모여진 머리카락을 쓰레기통에 버리고 와서 다시 다음 고객의 신체에 씌워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버리는 과정이 번거로워 헤어디자이너의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새로운 헤어커버(1a, 1b, 1c)로 바꾸어 작업을 할 경우, 다수의 헤어커버(1a, 1b, 1c)가 필요하며, 사용된 헤어커버(1a, 1b, 1c)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게 되면 작업장의 환경이 더러워질 뿐만 아니라 모여진 헤어커버(1a, 1b, 1c)를 분류해 머리카락을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머리카락을 자르는 도중에 손을 헤어커버 밖으로 내밀지 못하고 꼼짝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긴 시간 머리카락을 자르는 도중에 머리가 간지럽거나, 휴대전화기를 긴급히 사용해야 하는 경우 손을 밖으로 꺼낼 수가 없기 때문에 간지러움이나 급한 업무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마 중화제와 같은 액체성 물질을 수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다음에, 도 1의 (d)는 종래의 기술 "이미용실머리카락수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기술 "이미용실머리카락수거장치"에서는 머리카락을 수거하기 위해 수집포켓(3)을 진공 흡입관(4)과 연결하고, 진공 흡입관(4)은 연장되어 미용실 바닥에 설치된 관(5)을 통해 진공 흡입으로 머리카락이 진공 호흡기(6)에 수거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일반인이 그 장치를 설치하기에는 어려워서 따로 시설 공사 업자에게 청탁해야 하며, 고장이 날 때마다 시설업자를 호출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으며, 한 번 설치가 되면, 이/미용실의 고정시설로 의자 주변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의자의 전면과 거울이 있는 벽 사이의 공간이 비좁은 업소에서는 통행에 장애를 주며, 수집포켓(3)이 불필요한 파마나 염색을 하는 고객들에게 거치적거리는 불편함이 있으며, 진공 흡입관(4)과 연결되어 있는 수집포켓(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에 고객의 키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어려우며, 진공 흡입관(3)과 연결되어 있는 수집포켓(3)을 고객의 목에 맞춘다 하더라도 수집포켓(3)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 흡입관(4)의 무게까지 고스란히 고객의 목으로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기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정전이 되면 사용이 불가하고, 별도로 전기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머리카락을 자르는 내내 진공청소기에서 작동되는 소음으로 인해 미용실의 쾌적한 환경에 방해가 되며, 파마 중화제와 같은 액체성 물질을 머리카락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0353호 "이미용실 커트용 커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047호 "헤어 가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2892호 "이미용실 머리카락받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24907호 "이미용실 머리카락수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머리카락을 자를 때 머리카락이 차단막의 배출구를 통해 저절로 머리카락 수거함에 자동으로 모이도록 하여 머리카락을 자른 후 따로 머리카락을 버리지 않고도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새로운 헤어커버로 교체하여 바꾸어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지속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고객이 머리카락을 자르면서도 자유롭게 팔을 움직여 간지러운 부분을 긁거나, 휴대용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파마 중화제를 신체로부터 차단하여 파마 중화제 수거함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해주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하나의 장비로 자리를 이동하며 고객의 헤어컷 작업을 할 수도 있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구석으로 옮겨놓을 수 있는 이동식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차단막을 고객의 목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하고, 고객의 어깨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무게를 다른 쪽으로 분산시켜주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7 목적은 별도로 시설 설비를 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소음이 나지 않으면서도 쾌적한 환경에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를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는 신체에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신체를 둘러싸고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상단에 형성된 제1 통공과, 상기 차단막의 하단 부위에 형성된 제 2 통공과, 상기 차단막을 타고 흘러내린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를 한 곳으로 포집하기 위해 상기 차단막의 상기 하단에 형성된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의 전면으로부터 30-85도 경사를 이루며 아래로 이어진 상기 배출로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차단막을 지탱해주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의 상단을 상기 차단막의 후면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봉의 하단은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외부 지지봉과 내부 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지지봉의 내부 공간에 상기 내부 지지봉이 중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외부 지지봉의 외측에 상기 내부 지지봉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지지봉의 상단에는 상기 차단막의 상기 후면부에 고정될 수 있는 볼헤드의 연결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볼헤드의 상기 연결바는 좌우 상하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바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는 볼 고정나사가 상기 볼헤드의 외측에 구성되고, 상기 외부지지봉의 하단을 상기 받침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머리카락 수거함과 파마 중화제 수거함을 적재해놓을 수 있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전면부 부위가 개폐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절단부와, 상기 전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부착해주는 부착부와, 상기 후면부 부위의 절개된 절단부와, 상기 후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다시 이어주는 수단으로 결합한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전면부 부위가 개폐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절단부와, 상기 전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부착해주는 부착부와, 상기 차단막의 좌측면부 부위와 우측면부 부위의 절개된 절단부와, 상기 좌측면부 부위와 상기 우측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다시 이어주는 수단으로 결합한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밖으로 팔을 내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통공과, 상기 제3 통공 속으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상기 제3 통공 주위를 감싸는 통공 차단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 밖으로 팔을 내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통공과, 상기 제3 통공 속으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상기 제3 통공 주위를 감싸는 통공 차단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로의 상기 전면 부위는 차단된 폐문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부의 좌우측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의 상기 상단은 상기 상단의 좌우측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배출호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호스의 상단은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배출호스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호스 이탈 방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에 의하면,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파마 중화제를 뿌릴 때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차단막의 배출구를 통해 저절로 머리카락 수거함이나 파마 중화제 수거함으로 자동으로 모이기 때문에 머리카락을 자른 후 따로 머리카락을 버리지 않고도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헤어커버로 바꾸어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지속적인 작업을 할 수 가 있어 헤어 디자이너의 작업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머리카락을 자르면서도 자유롭게 팔을 움직여 간지러운 부분을 긁거나, 휴대용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마 중화제를 신체로부터 차단하여 파마 중화제 수거함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로 자리를 이동하며 다른 고객의 헤어컷 작업을 할 수도 있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구석으로 옮겨놓아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커버를 고객의 머리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하고, 고객의 어깨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무게를 다른 쪽으로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시설 설비를 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소음이 나지 않으면서도 쾌적한 환경에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를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이 머리카락을 자르면서 쏟아지는 졸음이 올 때 차단막에 조금이라도 목을 지탱함으로써, 고개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편하게 머리카락을 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외부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과 배출로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의 외부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차단막과 지지봉의 연결바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과 지지봉의 결합 수단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내측에 지지봉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지지봉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받침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에 받침판이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절단부와 결합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좌측면부 부위와 우측면부 부위의 절단부와 결합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제3 통공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제3 통공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제3 통공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배출로의 폐문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배출로의 폐문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전면부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의 좌우측에 손잡이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전면부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의 좌우측에 손잡이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상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상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배출호스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배출호스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배출호스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응용사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적용사례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이용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해서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과 배출로(200)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전방에서 바라본 배출로(200)를 형성한 차단막(100)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신체에 머리카락과 파마 중화제가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신체를 둘러싸고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차단막(100)이 구성된다. 차단막(100)의 재질은 머리카락뿐만 아니라 파마 중화제가 차단막(100)에 스며들지 않기 위해 물이 스며들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
도 2의 (a)와 도 2의 (b)를 참조하면, 차단막(100)의 상단(117)에 형성된 제1 통공(121)에는 사람 목이 들어갈 여유분의 공간이 형성되고, 차단막(100)의 외부의 공기가 차단막(100) 내측으로 잘 통하도록 차단막(100)의 하단(118)과 이어져 있는 도 2(b)의 배출로(200)의 밑면(216)의 안쪽으로 신체와 간격을 둔 제2 통공(122)이 형성되고, 제1 통공(121)보다는 더 넓게 형성된다.
도 2의 (a)에서, 차단막(100)의 전면부(113)와 후면부(114), 그리고 우측면부(112)와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우측면부(112) 맞은편의 좌측면부(111)를 타고 흘러내린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한 곳으로 포집되도록 차단막(100)의 하단(118)에 배출로(200)가 연결되어 있고, 배출로(200)는 배출로(200)의 전면(211)으로부터 30-85도의 경사를 이루며 아래로 이어진 배출로(200)의 후면(212)의 끝 부분에 배출구(217)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로(200)는 구간마다 각도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로(200)의 각도를 30-85로 정한 것이다.
배출로(200)를 따라 머리카락과 파마 중화제가 흘러 내려가도록 배출로(200)의 경사면은 가파를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머리카락과 파마 중화제가 급격한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배출로(200)의 공간을 마련하고, 배출벽(213)을 구성한 후, 배출벽(213)위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이탈하지 않도록 배출로 이탈 방지부(214)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카락과 파마 중화제는 배출로(200)를 따라 흘러내려 배출구(217)로 빠져나가는데, 배출구(217)는 도 3의 (a), 도 3의 (b), 도 3의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a)는 후방에서 바라본 배출구(217)의 모습이며, 배출로(200)의 좌우 양쪽으로 배출구(217)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b)는 후방에서 바라본 또 다른 배출구(217)의 형상이며, 배출벽(213)에 구멍이 나있는 배출로(20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c)는 하방에서 바라본 또 다른 배출구(217)의 형상이다. 도 3의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로(200)의 밑면(216)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부분으로 머리카락과 파마 중화제가 배출된다. 배출구(217)의 형상은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형되어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다음에,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따른 차단막(100)과 지지봉(300)의 연결바(332a)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의 (a)에서 지지봉(300)은 내부 지지봉(300a)과 외부 지지봉(300b)으로 구성되며, 내부 지지봉(300a)의 상단에 구성된 볼헤드(330a)의 연결바(332a)를 차단막(100)의 후면부(114)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결합하고, 그 고정 수단으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332a)의 끝 부분을 나사산(334)으로 형성하여 차단막(100)의 구멍에 삽입해 너트(520)로 조이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332a)의 끝 부분을 나사홈(335)으로 형성하고 차단막(100)의 구멍에 나사산(510)을 삽입하여 연결바(332a)의 나사홈(335)과 결합시키거나, 도 5의 (c)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00)의 후면부(114)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한 소재의 결합판부(140a)를 차단막(100)의 후면부(114)에 부착하고, 그 결합판부(140a)에는 나사홈이(141)나 나사산(142)을 형성하고, 연결바(332a)에도 나사산(334)이나 나사홈(335)을 형성하여, 결합판부(140a)와 연결바(332a)를 조여 결합하거나,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332a)를 결합판부(140a)에 용접하여 결합한다.
다음에, 도 4의 (a)를 참조하면, 내부 지지봉(300a)은 외부 지지봉(300b)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외부 지지봉(300b)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어 외부 지지봉(300b) 내부 공간에 내부 지지봉(300a)이 중첩되도록 구성되며, 내부 지지봉(300a)은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도 4의 (a)와 도 4의 (b)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레버(360)의 내부에는 내부 지지봉(300a)의 높이 조절홈(310)을 고정하는 고정 돌기(361)가 구비되어 있고, 도 4의 (c)를 참조하면, 외부 지지봉(300b)에는 고정 돌기(361)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320)이 있다. 이 구멍(320)을 통하여, 도 4(b)의 고정 돌기(361)가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내부 지지봉(300a)의 높이 조절홈(310)에 삽입되어 내부 지지봉(300a)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사용자는 상기 높이 조절 레버(360)를 아래로 당기면 높이 조절 레버(360)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362)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 돌기(361)가 외부 지지봉(300b)의 구멍(320)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고정이 해제된다. 이런 식으로 내부 지지봉(300a)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데, 도 4의 (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지지봉(300b) 외측에 구성된 높이 조절 나사(370)를 이용해 내부 지지봉(300a)을 고정 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차단막(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객의 키에 맞출 수 있으며, 차단막(100)의 무게를 지지봉(300)이 지탱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차단막(100)의 하중 부담을 덜어주며, 고객이 머리카락을 자르면서 쏟아지는 졸음이 올 때도 차단막(100)에 약간의 기댐으로 목을 편안하게 해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내부 지지봉(300a)과 외부 지지봉(300b)은 단단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단막(100)의 후면부(114)의 내측에 결합판부(140b)를 구성하여 내부 지지봉(300a)의 볼헤드(300b)의 연결바(332b)와 연결할 수도 있다.
차단막(100)의 후면부(114)의 내측의 결합판부(140b)와 결합되는 내부 지지봉(300a)의 볼헤드(330b)는 차단막(100)의 후면부(114)의 내측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크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이유로, 도 4의 (a)에서 도시하는 볼헤드(330a)의 형태와는 다른 도 6의 볼헤드(330b)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부(114)의 내측에 내부 지지봉(300a)의 연결바(332b)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볼 고정 나사(341b)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차단막(100)의 외측으로 볼 고정 손잡이(340b)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 외부 지지봉(300b)의 하단을 받침대(40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등받이를 받침대(400)로 삼아, 의자 등받이 받침대(400a)에 등받이 걸이(350)를 걸쳐 이용할 수도 있고,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지지봉(300b)의 하단이 의자 등받이 받침대(400a)를 따라 의자의 팔걸이까지 연장되어 연장된 끝 부분에 고정쇠(380)를 형성하여 의자의 팔걸이에 고정한 후 고정쇠(380)를 볼트로 조이거나,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의자의 팔걸이까지 연장된 외부 지지봉(300b)의 끝부분을 팔걸이에 용접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지지봉(300b)의 하단을 받침대(40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받침대(400)를 구성할 수 있는데, 도 4의 (a)와 도 6에 도시된 차단막(100)의 무게를 지탱하고, 차단막(100)이 쉽게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받침대(400)는 무게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8의 (a), 도 8의 (b), 도 8의 (c), 도 8의 (d). 도 8의 (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 받침대(400b), 타원형 받침대(400c), 십자형 받침대(400d), “A"형상 받침대(400e), 상자 형상 받침대(400f)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A”형상 받침대(400e)는 “A”지지대를 연결해주는 받침대 연결바(420)로 구성되고 받침대 연결바(420)를 통해 도 21, 도 22, 도 23의 배출호스(220)가 들어갈 수 있도록 연결바 구멍부(421)가 형성된다. 받침대(40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4의 (a)와 도 6을 참조하면, 내부 지지봉(300a)의 상단에 구성된 볼헤드(330a, 330b)의 볼(331a, 331b)은 좌우 상하로 회전할 수 있으며, 볼(331a, 331b)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는 볼 고정 나사(341a, 341b)가 볼헤드(330a, 330b)의 외측에 구성되어 있으며, 볼 고정 나사(341a, 341b)는 볼 고정 손잡이(340a, 340b)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2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와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A"형상 받침대(400e)와 상자형상 받침대(400f)에 받침판(430a, 430b)이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의 (a)에서, "A"형상 받침대(400e)의 하단과 도 9의 (b)에서 상자형상 받침대(400f)의 하단은 머리카락 수거함(620a, 620b)과 파마 중화제 수거함(610a, 610b)을 적재해놓을 수 있는 받침판(430a, 430b)을 포함하고 있다.
도 9의 (a)와 도 9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판(430a, 430b) 위에 적재된 머리카락 수거함(620a, 620b)이나 파마 중화제 수거함(610a, 610b)을 선택해 도 21, 도 22, 도 23의 배출호스(220)를 삽입하여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3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의 절단부(115a)와 후면부(114) 부위의 절단부(115b)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의 (a)와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115a)는 차단막(100)의 상단(117)에서 부터 배출로(200)의 밑면(216)까지 직선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15a)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절단부(115a)의 좌우측에는 절단부(115a)가 닫힌 후절단부(115a)가 고착되도록 부착부(119)가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119)는 머리카락을 자르는 중에 머리카락이 차단막(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벨트로 테이프(찍찍이 테이프)나 자석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이 중 자석을 부착하면, 차단막(100)의 절단부(115a)를 닫을 때 자석의 끌어당기는 힘으로 개방 되어진 절단부(115a)가 쉽게 닫히는 효과가 있다. 차단막(100)의 전면부(113)의 부위에 절단부(115a)를 구성하면, 차단막(100)을 착용할 때 손쉽게 착용할 수가 있다.
도 10의 (b)와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차단막(100)의 후면부(114) 부위는 절개된 절단부(115b)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115b)를 다시 이어주는 수단으로 결합되는 결합부(170)가 차단막(100)의 후면부(114) 내측에 구성되어 있다. 후면부(114)의 내측에 절단부(115b)를 다시 이어주는 수단으로 결합되는 결합부(170)는 경첩(172a)이 사용되기도 하고, 접착성이 강한 접착 테이프(171a)가 사용되어 질 수 도 있다. 차단막(100)의 후면부(114) 부위의 절단부(115b)를 경첩(172a)이나 접착테이프(171a)로 다시 연결하는 목적은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의 절개된 절단부(115a)가 쉽게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다음에, 후면부(114) 부위의 절개된 절단부(115b)를 경첩(172a)으로 연결하면 절단부(115b)의 틈 사이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스며들 수 있고, 접착테이프(171a)를 후면부(114)의 내측 부위의 절단부(115b)에 붙이면, 차단막(100)의 외부에서 파마 중화제가 절단부(115b)의 갈라진 틈을 타고 차단막(100) 안쪽으로 스며들어 테이프에 닿아 테이프의 점착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막(100)의 외측 후면부(114)에 절개된 부분을 감싸고 접착막(160a)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막(160a)은 방수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4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좌측면부(111) 부위와 우측면부(112)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115c)와 그 절단부(115c)를 다시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의 절단부(115a)와, 좌측면부(111)부위와 우측면부(112)부위에 절개된 절단부(115c)가 구성되며, 상기 절단부(115c)를 다시 이어주는 수단으로 결합된 결합부(170)는 경첩(172b)이나 접착 테이프(171b)가 사용되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00)의 외측에 좌측면부(111) 부위와 우측면부(112)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115c)의 틈을 감싸고 접착막(160b)이 구성되어 있다.
차단막(100)의 좌측면부(111) 부위와 우측면부(112) 부위를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다시 이어주면, 도 10의 후면부(114)의 한쪽을 절개하여 결합한 것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00)의 절단부(115a)가 개방되는 각도의 폭이 더 좁아져서 좁은 공간의 업소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차단막(100)의 전면부(113)에 구성된 절단부(115a)를 열고 닫을 때 차단막(100)의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 부위의 절단부(115c)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로 결합부(240)로 인해 전면부(113) 부위의 절단부(115a)를 열고 닫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로 결합부(240)는 접히고 펼쳐지는 것이 용이하도록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5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단막(100)의 제3 통공(130)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차단막(100)의 우측면부(112)에 팔을 내밀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형성된 제3 통공(130)과, 제3 통공(130) 속으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제3 통공(130) 주위를 감싸는 통공 차단부(131)로 구성되어 있다.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우측면부(112)의 맞은편의 좌측면부(111)에도 제3 통공(130)과 통공 차단부(131)가 구성되어 있다.
머리카락을 자르다 보면 머리카락이 얼굴에 묻어 간지럽기도 하고, 파마 중화제가 얼굴에 흐르거나 머리에 흘러내려 얼굴이나 머리가 간지럽기도 하는데, 차단막(100)이 막혀있으면 손을 움직일 수가 없어 괴로움이 수반되며, 또한 급한 전화가 오는 경우에도 손을 쓸 수 없어 업무를 처리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차단막(100)의 좌측면부(111)와 차단막(100)의 우측면부(112)에 제3 통공(130)을 형성하여, 제3 통공(130) 밖으로 팔을 내밀어 용무를 처리함으로써 머리카락을 자르면서도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고, 용무를 처리하고 팔을 다시 넣은 후 머리카락이 제3 통공(130)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제3 통공(130)을 차단할 수 있도록 통공 차단부(131)를 형성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6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제3 통공(130)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5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의 차단막(100)의 좌측면부(111)와 차단막(100)의 우측면부(112)에 추가로 제3 통공(130)이 형성되어 있고, 제3 통공(130) 주위를 감싸며 통공 차단부(131)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7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제3 통공(130)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6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4의 차단막(100)의 좌측면부(111)와 차단막(100)의 우측면부(112)에 추가로 제3 통공(130)이 형성되어 있고, 제3 통공(130) 주위를 감싸며 통공 차단부(131)가 구성되어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8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배출로(200)의 폐문부(215)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단막(100)의 절단부(115a) 바로 아래의 배출로(200)의 전면(211) 부위에 차단된 폐문부(215)가 구성되어 있다. 폐문부(215)는 머리를 자르고 차단막(100)을 여는 순간에 머리카락이 배출로(200) 밖으로 이탈될지도 모를 경우를 대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9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배출로(200)의 페문부(215)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8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에 추가로 차단막(100)의 절단부(115a) 바로 아래에 배출로(200)의 전면(211) 부위에 차단된 폐문부(215)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10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115a)의 좌우측에 손잡이(150a)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차단막(100)의 손잡이(150a)를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가 절개된 절단부(115a)의 내측의 좌우측에 구성하며, 이를 이용하면 차단막(100)을 사용하고 있는 고객이 닫혀 있는 차단막(100)의 절단부(115a)를 직접 열고 나올 수 있다. 차단막(100)의 손잡이(150a)의 형상은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11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115a)의 좌우측에 손잡이(150a)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0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4의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에 구성된 절단부(115a)의 좌우측에 추가로 손잡이(150a)가 형성되어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12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상단(117)의 좌우측에 손잡이(150b)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차단막(100)의 상단(117)의 좌우측에 손잡이(150b)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50b)의 사용 용도는 헤어 디자이너가 고객에게 서비스를 하기 위해 머리를 다듬고 나서 차단막(100)의 상단(117)의 손잡이(150b)를 잡고 차단막(100)의 절단부(115a)를 열어주기 위해서 구성된 것이다. 손잡이(150b)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13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00)의 상단(117)의 좌우측에 손잡이(150b)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2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4의 차단막(100)의 상단(117)의 좌우측에 손잡이(150b)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14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배출호스(220)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의 (a)와 도 21의 (b)를 참조하면, 배출로(200)의 후면(212)의 끝 부분에 형성된 배출구(217)는 배출호스(220)에 연결되어 있다. 배출호스(220)를 배출벽(213)과 용접하여 결합하거나, 차단막(100)의 후면부(114)의 내측의 아래쪽에 배출호스 걸이(230)를 구성하고 배출호스(220)에 부착된 고리(221)를 배출호수 걸이(230)에 걸어 둘 수도 있다. 배출로(200)를 타고 배출구(217)로 흘러내린 이동된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는 배출호스(220)를 통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카락 수거함(620a)이나 파마 중화제 수거함(610a)에 포집된다.
배출호스(220)의 연결 수단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1의 (a)에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호스(22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호스(220)의 상단은 배출구(217)의 높이보다 좀 더 높게 형성된 배출호스 이탈 방지부(22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15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배출호스(220)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4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의 배출구(217)에 추가로 배출호스(220)가 연결되어 있고, 배출호스(220)의 상단에는 배출호스 이탈 방지부(222)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의 실시예 16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배출호스(220)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5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의 배출구(217)에 추가로 배출호스(220)에 연결되어 있고, 배출호스(220)의 상단에는 배출호스 이탈 방지부(222)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수거 도구의 동작 관계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응용사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 24의 (a)와 도 24의 (b)를 참조하면, 도 24의 (a)의 지지봉(300)의 높이 조절 레버(360)를 조절하여,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300)의 높이를 변경할 수도 있고, 도 24의 (a)의 내부 지지봉(300a)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볼헤드(330a)의 볼 고정 손잡이(340a)를 잡고 각도를 조절하면,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00)의 후면부(114)의 각도를 더 가파르게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자른 후 배출로(200)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머리카락을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머리의 점착성이 강해 몇 가닥이 차단막(100)에 붙어있게 되더라도, 솔로 아래쪽을 향하여 털어주거나, 물을 뿌려 흘러내리도록 하거나, 각도를 더 가파르게 하여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를 쉽게 머리카락 수거함(620a)이나 파마 중화제 수거함(610a)에 포집한다.
다음에, 도 25는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적용 사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의자에 사람이 앉은 후, 지지봉(300)의 높이 조절 레버(360)를 이용해 높이를 조절하고, 볼헤드(330a)의 볼 고정 손잡이(340a)를 이용해 차단막(100)을 좌우 상하를 조절해가며 사용자의 목이 제 1통공(121)에 편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조절하고, 목에 두른 수건이나 방수 천을 차단막(100)의 제1 통공(121) 밖으로 나오게 한 후,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파마 중화제를 살포하면 차단막(100)의 가파른 경사를 따라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즉시 흘러내려 배출로(200)를 따라 머리카락 수거함(620a)이나 파마 중화제 수거함(610a)으로 이동된다. 머리카락을 자를 때는 배출호스(220)를 머리카락 수거함(620a)에 연결하고, 파마 중화제를 머리카락에 살포하여 액체가 흘러내릴 경우에는 배출 호스(220)를 파마 중화제 수거함(610a)에 선택적으로 연결해 삽입하면 된다. 파마 중화제를 포집할 경우에는 파마 중화제는 대부분 머리카락 뒤쪽으로만 흘러내리기 때문에 차단막(100)의 전면부(113) 부위의 절단부(115a)를 개방한 체로도 파마 중화제 살포 작업이 가능하다. 그 다음, 볼 고정나사(341a)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이면, 차단막(100)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볼 고정나사(341a)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볼 고정나사(341a)가 풀려 사용자가 차단막(100)을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차단막(100)의 전면부(113)를 상하로 움직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미용실의 작업 환경에 따라 헤어디자이너가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머리를 자르다 급한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제3 통공(130)으로 팔을 내밀어 전화를 받은 후 다시 팔을 차단막(100) 안으로 넣으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성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단막 111: 좌측면부
112: 우측면부 113: 전면부
114: 후면부 115a, 115b, 115c: 절단부
117: 상단 118: 하단
119: 부착부 121: 제1 통공
122: 제2 통공 130: 제3 통공
131: 통공 차단부 140a, 140b: 결합판부
141: 나사홈 142: 나사산
150a, 150b: 손잡이 160a, 160b: 접착막
170: 결합부 171a, 171b: 접착테이프
172a, 172b: 경첩 200: 배출로
211: 전면 212: 후면
213: 배출벽 214: 배출로 이탈 방지부
215: 폐문부 216: 밑면
217: 배출구 220: 배출호스
221: 고리 222: 배출호스 이탈 방지부
230: 배출호스 걸이 240: 배출로 결합부
300: 지지봉 300a: 내부 지지봉
300b: 외부 지지봉 310: 높이 조절홈
320: 구멍 330a, 330b: 볼헤드
331a, 331b: 볼 332a, 332b: 연결바
334: 나사산 335: 나사홈
340a, 340b: 볼 고정 손잡이 341a, 341b: 볼 고정나사
350: 등받이 걸이 360: 높이 조절 레버
361: 고정 돌기 362: 스프링
370: 높이 조절 나사 380: 고정쇠
400: 받침대 400a: 의자 등받이 받침대
400b: 사각형 받침대 400c: 타원형 받침대
400d: 십자형 받침대 400e: “A”형상 받침대
400f: 상자형상 받침대 420: 받침대 연결바
421: 연결바 구멍부 430a, 430b: 받침판
510: 나사산 520: 너트
610a, 610b: 파마 중화제 수거함 620a, 620b: 머리카락 수거함

Claims (12)

  1.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도구에 있어서,
    신체에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신체를 둘러싸고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상단에 형성된 제1 통공과, 상기 차단막의 하단 부위에 형성된 제2 통공과, 상기 차단막의 상기 하단에 전면에서 후면으로 30-85도의 경사를 이루며 이어져 구성되어 있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를 따라 흘러내린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로의 경사면의 가장 아래 지점에 구성되어 있는 배출구와, 상기 차단막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막을 지탱해주고 상기 차단막의 각도를 좌우상하로 조절하는 볼헤드가 부착된 연결바가 구비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의 상단을 상기 차단막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봉의 하단은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외부 지지봉과 내부 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지지봉의 내부 공간에 상기 내부 지지봉이 중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외부 지지봉의 외측에 상기 내부 지지봉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바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는 볼 고정나사가 상기 볼헤드의 외측에 구성되고, 상기 외부지지봉의 하단을 상기 받침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머리카락 수거함과 파마 중화제 수거함을 적재해놓을 수 있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전면부 부위가 개폐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절단부와, 상기 전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부착해주는 부착부와, 후면부 부위의 절개된 절단부와, 상기 후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다시 이어주는 수단으로 결합한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전면부 부위가 개폐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절단부와, 상기 전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부착해주는 부착부와, 상기 차단막의 좌측면부 부위와 우측면부 부위의 절개된 절단부와, 상기 좌측면부 부위와 상기 우측면부 부위의 상기 절단부를 다시 이어주는 수단으로 결합한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밖으로 팔을 내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통공과, 상기 제3 통공 속으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상기 제3 통공 주위를 감싸는 통공 차단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7.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 밖으로 팔을 내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통공과, 상기 제3 통공 속으로 머리카락이나 파마 중화제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상기 제3 통공 주위를 감싸는 통공 차단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의 상기 전면부 부위는 차단된 폐문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배출호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12. 삭제
KR1020150171875A 2015-12-04 2015-12-04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KR10176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875A KR101764808B1 (ko) 2015-12-04 2015-12-04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875A KR101764808B1 (ko) 2015-12-04 2015-12-04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746A KR20170065746A (ko) 2017-06-14
KR101764808B1 true KR101764808B1 (ko) 2017-08-14

Family

ID=5921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875A KR101764808B1 (ko) 2015-12-04 2015-12-04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2810C1 (ru) * 2019-08-01 2020-01-31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Бобровских Парикмахерский хоме пеньюа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49Y1 (ko) * 2002-07-12 2002-12-12 백우식 커트 보
CN102940374A (zh) * 2012-12-08 2013-02-27 杨青 头发收集器
CN204378260U (zh) * 2015-01-21 2015-06-10 沈琰 碎头发收集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49Y1 (ko) * 2002-07-12 2002-12-12 백우식 커트 보
CN102940374A (zh) * 2012-12-08 2013-02-27 杨青 头发收集器
CN204378260U (zh) * 2015-01-21 2015-06-10 沈琰 碎头发收集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2810C1 (ru) * 2019-08-01 2020-01-31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Бобровских Парикмахерский хоме пеньюа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746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910B2 (en) Mobile safety compliance apparatus
US11554392B2 (en) Bag-like dust containment hood
US20100325791A1 (en) Disposable Grooming Drap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946768A (en) Mobile workstation with vacuum unit
US9603495B2 (en) Earring post wipe dispenser
US10124497B2 (en) Facial hair clippings catcher
US6367518B2 (en) Waste disposal system
KR101764808B1 (ko) 머리카락 및 파마 중화제 포집 도구
US7472455B2 (en) Portable hairstylists' station and method
US5528776A (en) Portable pump operated washing basin
KR101763923B1 (ko) 네일아트용 공기청정기
US5083337A (en) Disposable cleaning implement
KR101958795B1 (ko)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US11857061B2 (en) Grooming system, grooming collection system, grooming disposal system, portable hair trimming catcher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1764790B1 (ko) 헤어컷 차단막
US6675436B1 (en) Vacuum apparatus for salon and barber chairs
JP2004069399A (ja) 除染テント
CN213851417U (zh) 一种轻便式电焊用连把手持面罩
US20220339655A1 (en) Pressure washer with roll cage
KR20110131965A (ko) 손 미용시 사용되는 보조기구
JP5406557B2 (ja) ヘアドライヤーホルダー
KR19980022892U (ko) 이미용실용 머리카락받이
US20210059378A1 (en) Spray disinfecting of hair clipper implements
WO2007052258A2 (en) Portable manicurist work station air purification apparatus with magnifying glass
KR101384779B1 (ko) 머리카락 제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