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659B1 -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 Google Patents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659B1
KR101764659B1 KR1020150094293A KR20150094293A KR101764659B1 KR 101764659 B1 KR101764659 B1 KR 101764659B1 KR 1020150094293 A KR1020150094293 A KR 1020150094293A KR 20150094293 A KR20150094293 A KR 20150094293A KR 101764659 B1 KR101764659 B1 KR 10176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verter
tuning range
current
wide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244A (ko
Inventor
차형우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6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1Voltage to current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선형성과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전압-전류(V-I)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CMOS VCO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는 차동증폭기, 전압감쇠기, 소스폴로어 및 적응형 전류미러로 구성되고, 상기 VCO는 상기 V-I 컨버터, 스위치, 캐패시터 및 슈미트트리거로 구성되어, 0.2V에서 3.0V의 공급전압에 이르는 튜닝범위를 가지며, 비선형성 에러는 상기 튜닝범위에서 0.5%보다 더 적을 뿐만 아니라 1mW의 전력손실을 갖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Voltage-to-current converter with high linearity and wide tuning range and its application t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본 발명은 전압-전류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급전압까지 파형 발생을 위한 넓은 튜닝 범위와 함께 높은 선형성을 갖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와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삼각파와 구형파를 생성하는 전압제어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는 주파수 합성발진기, PLL(Phase Locked Loop), PLG(Piecewise Linear Generators) 등 많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 시스템들에서 요구된다.
VCO의 중요한 특징은 넓은 주파수 튜닝 범위와 몇몇 응용부분에서 신호들을 정확하고 제어 가능한 진폭으로 동작시키는 능력이다. VCO의 넓은 주파수 튜닝 범위에 대한 특징은 0V에서 공급전압까지 제어를 위해 선형적인 튜닝 발진주파수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넓은 튜닝 범위와 함께 고선형성을 갖는 VCO가 개발되지 못하였다. 넓은 튜닝 범위와 함께 높은 선형성을 갖는 VCO를 위해서는 높은 선형성과 함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전압-전류 컨버터(Voltage-to-current converter, V-I 컨버터)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V-I 컨버터는 곱셈기, 연속시간 필터(continuous-time filter), 데이터 변환기(Data converter), 고성능 센서 인터페이스, 가변이득증폭기 등과 같은 많은 아날로그 및 혼합신호 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빌딩 블록(Building block)이다. 상기 여러 시스템의 성능은 V-I 분기회로(subcircuit)의 성능에 크게 좌우된다. V-I 분기회로의 성능은 높은 선형 범위와 적절한 대역폭을 가지며, 시간, 온도 및 공급 전압에 독립적인 상호컨덕턴스(Transconductance)의 필요성으로 이어진다.
또한, 초소형 응용제품들에 내장된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보형금속산화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전압-주파수 컨버터(Voltage-to-Frequency Converter, VFC)와 VCO의 입력단(Input stage)을 구성하는 V-I 컨버터로 제공되어야 하며, VFC 및 VCO의 성능을 위해 V-I 컨버터는 공급전압까지 고선형성과 넓은 제어범위를 가져야 한다.
최근, 공급 전압까지 높은 선형성과 넓은 제어범위를 가진 V-I 컨버터가 제안되었다(Highly-linear rail-to-rail 1.2 V-0.18 mm CMOS V-I converter" 및 Low-Voltage Low-Power CMOS Rail-to-Rail Voltage-to-Current Converters 참조).
종래기술에 따른 V-I 컨버터는 단일 공급전압에서 VFC와 VCO에 적용되는 좋은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V-I 컨버터는 두 개의 rail-to-rail OTA(Operation Transconductance Amplifier)와 두 개의 저항을 사용하는 전압감쇠기(Voltage attenuator)로 인해 매우 복잡한 회로 구성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253667 B1 (2000.01.25) KR 10-0619227 B1 (2006.08.25)
A. Demosthenous and M. Panovic, "Low-voltage MOS linear transconductor/squarer and four-quadrant multiplier for analog VLSI," IEEE Trans. Circuits Syst. I, Reg. Papers, vol. 52, no. 9, pp.1721-1731, Sep. 2005. J. M. Algueta-Miguel, A. J. Lopez-Martin, L. Acosta, J. Ram?rez-Angulo,and R.Gonzalez-Carvajal, "Using floating gate and quasi-floating gate techniques for rail-to-rail tunable CMOS transconductor design," IEEE Trans. Circuits Syst. I, Reg. Papers, vol. 58, no. 7, pp. 1604-1614, Jul. 2011. C. Azcona, B. Calvo, S. Celma and N. Medrano.: 'Highly-linear rail-to-rail 1.2 V-0.18 mm CMOS V-I converter', ELECTRONICS Letters, vol. 47 no. 18. Sep. 2011 C. Azcona, B. Calvo, S. Celma, N. Medrano, and Pedro A. Martinez, " Low-Voltage Low-Power CMOS Rail-to-Rail Voltage-to-Current Converters," IEEE Trans. Circuits Syst. I, Reg. Papers, vol. 60, no. 9, pp. 2333-2342, Sep.. 2013 H.-W. Cha and K. Watanabe, "Wideband CMOS Current Conveyor, "IEE Electronic Letters, vol. 32, no. 14, pp. 1245-1246, July 1996 WKIC, B. L, "CMOS Schmitt triggers," IEE Proc. vol. 131, Pt. G, no. 5, . pp. 19-7202, Oct. 1984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 출력과 계측 시스템을 위하여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는, 4개의 C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상기 차동증폭기의 (-)입력 및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감쇠기(Voltage attenuator); 상기 전압감쇠기를 이루는 2개의 저항 사이에 형성되는 출력단에 게이트 입력단이 연결된 1개의 C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소스폴로어(Source follower); 및 상기 소스폴로어의 소스단자와 입력단이 연결된 2개의 C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적응형 전류미러(Adaptive current mirr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는, 기준전압(VBIAS)를 안정시키는 MOS형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는, 상기 적응형 전류미러의 출력단 CMOS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공급전압까지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고선형 V-I 컨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는, 상기 전압-전류 컨버터(Voltage-current converter); 전류 싱크 및 소스(Current sink and source)와 2개의 스위치(switch)로 구성되는 전류 스위치(Current SW); 상기 2개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충방전을 반복하는 캐패시터(Capacitor); 및 상기 2개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상하 임계값을 제공하는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는, 4개의 BJT로 이루어진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상기 차동증폭기의 (-)입력 및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감쇠기(Voltage attenuator); 상기 전압감쇠기를 이루는 2개의 저항 사이에 형성되는 출력단에 게이트 입력단이 연결된 1개의 BJT로 이루어진 이미터폴로어(Emitter follower); 및 상기 이미터폴로어의 이미터단자와 입력단이 연결된 2개의 BJT로 이루어진 적응형 전류미러(Adaptive current mirr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는, 기준전압(VBIAS)를 안정시키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는, 상기 적응형 전류미러의 출력단 BJT와 직렬로 연결된 npn형 BJT;를 더 포함함으로써, 공급전압까지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고선형 V-I 컨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선형성과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전압-전류 컨버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아날로그 및 혼합신호 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빌딩 블록(Building block)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계측 응용시스템에 사용되는 VFC, VCO 등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V-I 컨버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CMOS 선형 V-I 컨버터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BJT 선형 V-I 컨버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MOS VCO의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도 4의 CMOS VCO를 슈미트트리거를 사용하여 구성한 회로도,
도 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의 선형성 및 제어범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7은 도 2의 CMOS 선형 V-I 컨버터의 저항에 따른 선형성 및 제어범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8은 도 5의 CMOS VCO의 제어전압 및 저항에 따른 발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9는 도 5의 CMOS VCO의 제어전압에 따른 발진 주파수 파형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낸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rail-to-rail OTA를 사용함으로써 매우 복잡한 회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V-I 컨버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OTA(또는 OP-AMP)가 필요 없는 V-I 컨버터와 이를 이용한 VCO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 및 VCO는 CMOS 트랜지스터 및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공급전압에 대하여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V-I 컨버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의 회로는 와이드 스윙(wide swing) V-I 컨버터(OTA1, M1, R), 전압감쇠기(OTA2, M2, R1, R2) 및 기준전압(VB)의 안정화를 위한 MOS캐패시터(MCAP)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컨버터에서, OTA는 넓은 튜닝범위를 위해 rail-to-rail로 구성되어야 한다.
모든 OTA가 이상적이라고 가정할 때, 전압감쇠기가 OTA2의 (+)단자에서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1
로 전압을 떨어뜨리므로, 노드(node)A의 전압은 αVCON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출력전류IO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2
만일, M1과, 이득 K를 갖는 다른 pMOS 트렌지스터로 구성된 전류미러(Current mirror)를 사용한다면, 공급전압까지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고선형 V-I 컨버터를 구현할 수 있다. VCO의 응용을 위해 V-I 컨버터의 전류출력을 안정시키도록 MOS 캐패시터(MCAP)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전압에 대하여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CMOS 선형 V-I 컨버터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는 차동증폭기(M1 내지 M4), 전압감쇠기(R1, R2), 소스폴로어(M5, Source follower), 적응형 전류미러(M6 내지 M8) 및 MOS 캐패시터(MCAP)를 포함한다. MOS 캐패시터(MCAP)는 기준전압(VBIAS)를 안정시킨다.
상기 차동증폭기(M1 내지 M4)가 출력과 입력이 연결되는 전압폴로어(Voltage follower)로 동작하기 때문에,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3
이 되고, 이에 따라 M5의 게이트전압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4
M7 내지 M8로 구성되는 적응형 전류미러이기 때문에 M5와 M6의 크기(L/W)를 미세하게 조정하면 M5의 전압 VSG5는 M6의 전압 VGS6과 같아진다. 그러므로 VB = VG5이고, 이에 따라 출력전류 IO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5
여기서, M8을 가진 전류미러와 이득 K의 다른 p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공급전압까지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고선형 V-I 컨버터를 구현할 수 있다. V-I 컨버터의 전류출력을 안정시키기 위해, 상기 MOS 캐패시터(MCAP)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공급전압까지 넓은 튜닝범위를 갖는 BJT 선형 V-I 컨버터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는 차동증폭기(Q1 내지 Q4), 전압감쇠기(R1, R2), 이미터 폴로어(Q5, Emitter follower), 적응형 전류미러(Q6 내지 Q8) 및 캐패시터(CCAP)를 포함한다. 캐패시터(CCAP)는 기준전압(VBIAS)를 안정시킨다.
도 3의 컨버터는 도 2의 CMOS V-I 컨버터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그 작동 원리와 출력전류 또한 동일하다.
도 2의 선형 V-I 컨버터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VCO의 블록다이어그램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의 VCO는 전류 싱크 및 소스, 두 개의 스위치, 하나의 캐패시터 및 슈미트트리거를 갖는 선형 V-I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V-I 컨버터는 제어전압을 위한 선형 전류출력으로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6
를 가지며, 이 전류는 슈미트트리거의 임계전압이 VH와 VL이 될 때까지 각각 스위치(S1)가 ON일 때 캐패시터(C)에 충전되고, 스위치(S2)가 ON일 때 방전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충방전 반복 루프는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주어지는 발진주파수를 갖는다.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7
여기서, a, K, VH 및 VL은 각각 전압감쇠기 상수, 전류미러의 전류이득팩터, 슈미트트리거의 상하 임계전압이다.
상기 VCO는 공급전압에 대해 고선형성과 넓은 튜닝범위를 위한 V-I 컨버터를 설계하는데 필요하다. 도 4에 슈미트트리거를 사용하여 완성한 CMOS VCO 회로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회로에서, 노드 VBIAS는 도 2의 노드 VBIAS와 연결되고, M8K1, M8K2 및 M8은 전류이득 1:K1:K2를 갖는 전류미러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캐패시터(C)에 흐르는 전류 IC는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쓸 수 있고, 발진주파수는 상기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8
도 1 내지 3에 도시한 V-I 컨버터와 도 4에 도시한 VCO를 0.35㎛ TSMC CMOS의 모든 파라미터를 가지고 Cadence PSpice로 시뮬레이션 하였다.
장비의 값들은 VDD = 3.0V, R1 = 100㏀, R2 =50㏀, K1=K2=1, MCAP(W/L) = (200/200)㎛, CCAP = 1㎊ 및 C = 12㎊로 설정하였고, V-I 컨버터의 모든 바이어스 전류 I(OTA1, OTA2포함)는 I = 100μA로 설정하였다.
동작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V-I 컨버터와 VCO의 저항 R은 10㏀, 20㏀, and 50㏀ 로 설정하였다.
도 6은 저항 R = 20㏀일 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V-I 컨버터의 선형성 및 제어범위 특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에서 실선, 점선 및 일점쇄선은 각각 도 1, 2, 3의 출력전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V-I 컨버터는 M1이 VDD보다 높은 컷오프 동작을 하기 때문에 0V에서 VDD-VM1(sat)까지의 제어범위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BJT V-I 컨버터는 0V에서 3VDD - (VQ5(sat) + VQ7(sat)), CMOS V-I 컨버터는 0.2V에서 3VDD - (VM5(sat) + VM7(sat))의 제어범위를 갖는다.
CMOS V-I 컨버터는 차동증폭기의 유한이득과 M5 및 M6 사이의 부정합(mismatching)으로 인해 오프셋 전류를 갖는다. 선형성 에러율은 0.5%이고 제어전압범위는 공급전압이 VDD = 3.0V일 때, 0.2V에서 2.8V까지 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CMOS V-I 컨버터의 출력전류에 대한 선형성 및 제어범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선, 점선 및 일점쇄선은 각각 저항이 10㏀, 20㏀ 및 50㏀ 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출력전류 IC는 0.2V에서 VDD = 3.0V의 공급전압까지 제어될 수 있다. IC의 비선형성 에러는 0.2V에서 공급전압까지의 범위에 대하여 0.5%보다 작다.
도 8은 제어전압 VCON에 대한 VCO의 발진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선, 점선 및 일점쇄선은 각각 저항 R이 10㏀, 20㏀ 및 50㏀일 때의 출력전류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fOSC는 0.2V에서 VDD = 3.0V의 공급전압까지 제어될 수 있고, fOSC의 비선형성 에러는 0.2V에서 공급전압까지의 범위에 대하여 0.6%보다 작다.
도 9는 제어전압 VCON이 각각 0.2V(upper), 1.5V(middle), 및 3.0V(lower)일 때 VCO의 발진주파수를 보인 발진특성도이다.
하기의 표 1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V-I 컨버터의 성능결과를 각각 정리하였다.
Figure 112015064112521-pat00009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VCO는 0.2V에서 공급전압까지 높은 선형성과 넓은 튜닝범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VCO는 다양한 아날로그 및 혼합신호 파형 출력과 계측 시스템을 위한 높은 선형성 및 공급전압까지의 넓은 튜닝 범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I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VCO는 다양한 아날로그 및 혼합신호 설계를 위한 빌딩 블록(Building block)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양한 계측 응용시스템에 사용되는 VFC, VCO 등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4개의 C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상기 차동증폭기의 (-)입력 및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감쇠기(Voltage attenuator);
    상기 전압감쇠기를 이루는 2개의 저항 사이에 형성되는 출력단에 게이트 입력단이 연결된 1개의 C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소스폴로어(Source follower); 및
    상기 소스폴로어의 소스단자와 입력단이 연결된 2개의 C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적응형 전류미러(Adaptive current mirror);를 포함하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2. 제 1항에 있어서,
    기준전압(VBIAS)를 안정시키는 MOS형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전류미러의 출력단 CMOS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압-전류 컨버터(Voltage-current converter);
    전류 싱크 및 소스(Current sink and source)와 2개의 스위치(switch)로 구성되는 전류 스위치(Current SW);
    상기 2개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충방전을 반복하는 캐패시터(Capacitor); 및
    상기 2개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상하 임계값을 제공하는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를 포함하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5. 4개의 BJT로 이루어진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상기 차동증폭기의 (-)입력 및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감쇠기(Voltage attenuator);
    상기 전압감쇠기를 이루는 2개의 저항 사이에 형성되는 출력단에 게이트 입력단이 연결된 1개의 BJT로 이루어진 이미터폴로어(Emitter follower); 및
    상기 이미터폴로어의 이미터단자와 입력단이 연결된 2개의 BJT로 이루어진 적응형 전류미러(Adaptive current mirror);를 포함하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6. 제 5항에 있어서,
    기준전압(VBIAS)를 안정시키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전류미러의 출력단 BJT와 직렬로 연결된 npn형 BJ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KR1020150094293A 2015-07-01 2015-07-01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KR10176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293A KR101764659B1 (ko) 2015-07-01 2015-07-01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293A KR101764659B1 (ko) 2015-07-01 2015-07-01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44A KR20170005244A (ko) 2017-01-12
KR101764659B1 true KR101764659B1 (ko) 2017-08-04

Family

ID=5781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293A KR101764659B1 (ko) 2015-07-01 2015-07-01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2365B2 (en) 2019-01-03 2022-02-15 SK Hynix Inc. Clock generator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899A (ko) 2019-06-17 202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나믹 증폭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666A (ja) 2000-07-06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圧電流変換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5452A (en) 1991-11-12 1992-10-13 Silicon Systems, Inc. Linearized and delay compensated all CMOS VCO
EP1101285A4 (en) 1998-07-24 2001-10-04 Global Comm Technology Inc SINGLE CHIP CMOS TRANSMITTER / RECEIVER AND MIXER STRUCTURE WITH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666A (ja) 2000-07-06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圧電流変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2365B2 (en) 2019-01-03 2022-02-15 SK Hynix Inc. Clock generator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44A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6981B (zh) 差分输入电路及放大电路、显示装置
Akbari et al. A high input dynamic range, low voltage cascode current mirror and enhanced phase-margin folded cascode amplifier
Safari et al. CMOS first-order current-mode all-pass filter with electronic tuning capability and its applications
Yucel et al. A new electronically fine tunable grounded voltage controlled positive resistor
TW201643591A (zh) 參考電壓技術
EP1384324A1 (en) A cmos circuit with constant output swing and variable time delay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0462467B1 (ko) 자동이득제어의 가변이득증폭회로
KR101764659B1 (ko)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고선형 전압-전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CN114252684A (zh) 基于降压转换器的高速电流采样电路
US9729126B2 (en) Method and implementation for accurate gain-bandwidth product tuning
JP7337561B2 (ja) アナログスイッチ回路、ボリウム回路、半導体集積回路
CN108781062B (zh) 可变增益放大器
Xiang et al. Tunable linear MOS resistor for RF applications
JP4682419B2 (ja) 可変利得増幅回路
Maundy et al. Novel pseudo-exponential circuits
CN108075739B (zh) 可变增益放大器
CN110890868A (zh) 电阻电路和可变增益放大电路
Song et al. A highly linear wide range continuous tuning CMOS OTA
Bonteanu A review of capacitance multiplication techniques
Hamdaouy et al. Applicationof the operational transconductanceamplifier (ota) based low pass filter (lpf)
Urvashi et al. A new large bandwidth flipped voltage follower based current mirror with low power dissipation
WO2019244271A1 (ja) 周波数変換器
Goel Novel DTMOS±0.5 V CCCII with multifunction filter
Song et al. A new CMOS electronically tunable current conveyor based on programmable current amplifier
JP2006157376A (ja) 差動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