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547B1 -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 Google Patents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547B1
KR101764547B1 KR1020160128112A KR20160128112A KR101764547B1 KR 101764547 B1 KR101764547 B1 KR 101764547B1 KR 1020160128112 A KR1020160128112 A KR 1020160128112A KR 20160128112 A KR20160128112 A KR 20160128112A KR 101764547 B1 KR101764547 B1 KR 10176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lade
reinforcing bar
louver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근
Original Assignee
(주)두인폴리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인폴리캠 filed Critical (주)두인폴리캠
Priority to KR102016012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는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다수 마련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축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보강대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보강대를 포함하는 루버;와, 상기 다수의 루버 중 어느 하나의 루버를 개폐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브라켓의 회전중심 양측에 상기 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연결핀을 통해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GALLERY WINDOW OF ELECTROMOTIVE OPENING AND SHUTTING TYPE}
본 발명은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버의 강성을 증대시켜 루버의 중앙부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루버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고정식 루버를 채용한 갤러리 창호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갤러리 창호를 통한 통풍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루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식의 갤러리 창호가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86956호에 개시된 갤러리 창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갤러리 창호는, 창틀 내측에 다수개의 서포터를 일렬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에 루버를 삽입함으로써, 서포터의 회전에 따라 루버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 개시된 갤러리 창호는 루버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루버의 중앙부분 처짐이 발생하면서 원활한 개폐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갤러리 창의 길이를 연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루버의 고정축이 반복적인 회동작용 과정에서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므로 잦은 유지보수의 대상이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6956호 (2000.06.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루버의 강성을 증대시켜 루버의 중앙부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루버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는 보강대의 조립공차에 의해 루버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루버의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브라켓의 피벗축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다수 마련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축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보강대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보강대를 포함하는 루버;와, 상기 다수의 루버 중 어느 하나의 루버를 개폐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브라켓의 회전중심 양측에 상기 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연결핀을 통해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블레이드와 제1보강대 및 제2보강대가 수용되는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에는 블레이드의 판면에 밀착하는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하단에는 삽입홈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제1보강대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보강대의 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하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피벗축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벗축은 이중사출에 의해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보강대는 상단 외측 모서리에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대는 하단 외측 모서리에 상기 안착홈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과 돌출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실링부재가 각각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루버의 강성을 증대시켜 루버의 중앙부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루버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는 보강대의 조립공차에 의해 루버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루버의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브라켓의 피벗축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따른 루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루버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루버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따른 루버의 확대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따른 루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는 프레임(110)과, 루버(120)와, 구동부(130) 및 연결링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루버(120)는 다수 마련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사이에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다수의 루버(120)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인접한 루버(120)와 서로 맞물려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를 폐쇄하고, 실외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회동한 상태에서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루버(120)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블레이드(121)와, 상기 수직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축(122a)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122)과, 상기 블레이드(12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강대(123)와, 상기 블레이드(12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강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121)는 투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111a)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단열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111a)과 접하는 판면에 다수의 프리즘패턴이 형성되어 부드러운 조명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22)은 수직프레임(111)을 향하는 외측면 중앙에는 수직프레임(111)을 관통하는 피벗축(122a)이 형성되고, 상기 피벗축(122a)의 양측에는 연결핀(122b)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22)의 내측면에는 상기 블레이드(121)와 제1보강대(123) 및 제2보강대(124)가 수용되는 삽입홈(122d)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2d)의 양측에는 상기 블레이드(121)의 판면에 밀착하는 돌출턱(122e)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22)의 상단과 하단에는 삽입홈(122d)과 연통하는 개구부(122f)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22)의 상단 개구부(122f)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제1보강대(123)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122)의 상단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122)의 하단 개구부(122f)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제2보강대(124)의 하단은 상기 브라켓(122)의 하단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122)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피벗축(122a)과 연결핀(122b)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벗축(122a)과 연결핀(122b)은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브라켓(122)과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마주하는 상기 브라켓(122)의 외측면에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벗축(122a)을 중심으로 하는 링형의 돌출리브(122c)가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대(123)와 제2보강대(124)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12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블레이드(121)가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보강대(123)의 상단 외측 모서리에는 안착홈(123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대(124)의 하단 외측 모서리에는 상기 안착홈(123a)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124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23a)과 돌출부(124a)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실링부재(125)가 각각 블레이드(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루버(120)가 폐쇄위치로 회동한 상태에서, 제1보강대(123)의 안착홈(123a)에는 인접한 상측 루버(120)의 하단에 결합된 제2보강대(124)의 돌출부(124a)가 안착되면서,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루버(120)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가 되고, 돌출부(124a)와 안착홈(123a)에 각각 형성된 실링부재(125)가 서로 밀착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링부재(125)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튜브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튜브 형태 이외에도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다수의 루버(120) 중 어느 하나의 루버(120)를 개폐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내부공간(111a)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구동축과 루버(120)의 피벗축(122a)을 연결하는 감속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는 외부 환경을 측정하는 조도센서나 습도센서 등에 의해 생성되어 루버(120)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 타이머나 수동식 입력기를 통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전면에는 상기 구동부(130)가 설치된 내부공간(11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커버(1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140)는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22)의 회전중심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을 관통한 연결핀(122b)에 연결된다. 즉, 피벗축(122a)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에 배치되는 연결링크(140)는 피벗축(122a)의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핀(122b)을 통해 다수의 루버(120)와 연결되고, 피벗축(122a)의 타측에 배치되는 연결링크(140)는 피벗축(122a)의 타측에 위치하는 연결핀(122b)을 통해 다수의 루버(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루버(120)가 구동부(130)에 의해 회동하는 경우, 연결링크(140)로 연결된 다수의 루버(120)가 각각 피벗축(122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130)가 루버(120)의 피벗축(122a)에 연결되어 루버(120)를 직접 회전구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결링크(140)에 연결되어 연결링크(14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루버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의 루버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에 따른 루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2)으로 구성되어 사각 틀 형상으로 조립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1)에는 내부공간(111a)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전면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며, 커버(113)에 의해 선택적으로 마감된다.
루버(120)는 블레이드(121)의 상단에 제1보강대(123)가 고정되고, 하단에 제2보강대(124)가 고정된 상태에서, 블레이드(121)와 제1보강대(123) 및 제2보강대(124)의 양측 단부에 각각 브라켓(122)이 조립된 형태가 되며, 브라켓(122)의 피벗축(122a)이 수직프레임(111)에 연결되어 축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다수의 루버(120)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사이에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도 6과 같이 실외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회동한 상태, 즉 개방상태에서는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루버(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루버(120) 중 어느 하나의 루버(120)는 수직프레임(111)의 내부공간(111a)에 마련되는 구동부(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며, 복수의 루버(120)는 연결링크(14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링크가 연동한다.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11)의 내부공간(111a)에 배치된 모터(131)는 감속기(132)를 통해 복수의 루버(120) 중 어느 하나의 루버(120)의 피벗축(122a)과 연결되므로, 모터(131)의 정역회전에 따라 루버(120)가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프레임(111)의 내부공간(111a)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연결링크(140)는 복수의 루버(12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연결핀(122b) 중 피벗축(122a) 일측의 연결핀(122b)들을 상호 연결하고, 내부공간(111a) 타측에 배치된 연결링크(140)는 피벗축(122a) 타측의 연결핀(122b)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루버(120)들이 서로 연동하여 각각의 피벗축(122a)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구동부(130)의 구동을 제어하여 루버(120)의 회동 각도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130)가 구동하여, 도 7과 같이 루버(120)가 폐쇄위치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블레이드(121)의 상단에 결합된 제1보강대(123)의 안착홈(123a)에 상측에 인접 배치된 블레이드(121)의 하단에 결합된 제2보강대(124)의 돌출부(124a)가 맞물리고, 블레이드(121)의 하단에 결합된 제2보강대(124)의 돌출부(124a)는 하측에 인접 배치된 블레이드(121)의 상단에 결합된 제1보강대(123)의 안착홈(123a)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123a)과 돌출부(124a)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배치된 튜브형태의 실링부재(125)는 루버(120)가 폐쇄위치로 회동한 상태에서 서로 밀착하므로, 루버(120)간의 결합면을 통해 외기가 실내로 침투하거나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방음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마주하는 상기 브라켓(122)의 외측면에 형성된 링형의 돌출리브(122c)는 피벗축(122a)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루버(12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링형의 돌출리브(122c)의 외측면이 수직프레임(111)과 접촉하게 되므로, 루버(120)의 회동과정에서 수직프레임(111)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22)에 형성되는 피벗축(122a)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수직프레임(111)과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11)에는 피벗축(122a)이 관통하는 부위에 부싱을 추가로 마련하여 피벗축(122a)의 회전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하는 루버(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1)의 상단과 하단에 제1보강대(123)와 제2보강대(124)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121)의 양측 단부에 브라켓(122)이 결합된다.
이때, 블레이드(121)와 제1보강대(123) 및 제2보강대(124)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122)의 삽입홈(122d)에 삽입되므로, 제1보강대(123)와 제2보강대(124)가 블레이드(12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삽입홈(122d)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턱(122e)은 제1보강대(123)와 제2보강대(124) 사이영역으로 삽입되므로, 제1보강대(123)와 제2보강대(124)의 사이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보강대(123)와 제2보강대(124)의 결합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루버(12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루버(120)의 제1보강대(123) 또는 제2보강대(124)와의 불필요하게 간섭하여 루버(120)가 완전히 폐쇄위치로 회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22)은 블레이드(121)의 양측 단부를 각각 마감하고, 상기 삽입홈(122d)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턱(122e)은 블레이드(121)의 판면에 밀착되므로, 빗물이나 기타 오염물질이 블레이드(121)의 내부공간(111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프레임, 111:수직프레임, 111a:내부공간,
112:수평프레임, 113:커버, 120:루버,
121:블레이드, 122:브라켓, 122a:피벗축,
122b:연결핀, 122c:돌출리브, 122d:삽입홈,
122e:돌출턱, 122f:개구부, 123:제1보강대,
123a:안착홈, 124:제2보강대, 124a:돌출부,
125:실링부재, 130:구동부, 131:모터,
132:감속기, 140:연결링크

Claims (7)

  1.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
    다수 마련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축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보강대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보강대를 포함하는 루버;
    상기 다수의 루버 중 어느 하나의 루버를 개폐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브라켓의 회전중심 양측에 상기 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연결핀을 통해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상기 수직프레임과 마주하는 외측면에는 상기 피벗축과 동심을 이루는 링형의 돌출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블레이드와 제1보강대 및 제2보강대가 수용되는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에는 블레이드의 판면에 밀착하는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하단에는 삽입홈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제1보강대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보강대의 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하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피벗축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벗축은 이중사출에 의해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대는 상단 외측 모서리에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대는 하단 외측 모서리에 상기 안착홈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돌출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실링부재가 각각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KR1020160128112A 2016-10-05 2016-10-05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KR10176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112A KR101764547B1 (ko) 2016-10-05 2016-10-05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112A KR101764547B1 (ko) 2016-10-05 2016-10-05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547B1 true KR101764547B1 (ko) 2017-08-03

Family

ID=5965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112A KR101764547B1 (ko) 2016-10-05 2016-10-05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5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57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선우시스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CN111946230A (zh) * 2020-08-20 2020-11-17 倍莱德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推拉式百叶门窗
KR20210111571A (ko) *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20220018836A (ko) * 2020-08-07 2022-02-15 박지성 단열성의 루버 및 그 루버의 제조 방법 및 단열성의 루버가 적용된 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00Y1 (ko) * 2005-05-27 2005-08-19 호 식 박 환기창용 루버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00Y1 (ko) * 2005-05-27 2005-08-19 호 식 박 환기창용 루버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57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선우시스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KR102032838B1 (ko) * 2017-11-30 2019-10-16 주식회사 선우시스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KR20210111571A (ko) *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102441926B1 (ko) * 2020-03-03 2022-09-08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20220018836A (ko) * 2020-08-07 2022-02-15 박지성 단열성의 루버 및 그 루버의 제조 방법 및 단열성의 루버가 적용된 댐퍼
KR102425966B1 (ko) * 2020-08-07 2022-08-12 박지성 단열성의 루버가 적용된 댐퍼
CN111946230A (zh) * 2020-08-20 2020-11-17 倍莱德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推拉式百叶门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547B1 (ko) 전동 개폐식 갤러리 창호
KR1002150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414567Y1 (ko) 환풍기 이동장치
AU2007241895B8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970066497A (ko) 공기조화기
KR101192170B1 (ko)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KR200392300Y1 (ko) 환기창용 루버유닛
KR20050113678A (ko) 마그네틱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틱슬라이드방식의 윈도우 블라인딩 시스템
JP2007224691A (ja)
FI56880C (fi) Ventilator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JP5080364B2 (ja) 扉装置
KR200397324Y1 (ko) 통풍구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통풍창
JPH0247745Y2 (ko)
JP3434468B2 (ja) 扉体の換気構造
JPH0347117Y2 (ko)
JPH0211589Y2 (ko)
JP3914515B2 (ja) 窓枠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建具
KR200315127Y1 (ko) 환기창
JP4253772B2 (ja) 風向変更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322269Y1 (ko) 환풍기의 배기구 개폐장치
JP3680314B2 (ja) 建物の開口部カバー開閉装置
JP2000017963A (ja) 換気框
KR101811040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2022059370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