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28B1 -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228B1
KR101764228B1 KR1020150136664A KR20150136664A KR101764228B1 KR 101764228 B1 KR101764228 B1 KR 101764228B1 KR 1020150136664 A KR1020150136664 A KR 1020150136664A KR 20150136664 A KR20150136664 A KR 20150136664A KR 101764228 B1 KR101764228 B1 KR 10176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hip
fuel storage
storage tank
shi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284A (ko
Inventor
박종명
임재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B270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선박 본체로부터 탱크 교체부를 분리하는 단계, 탱크 교체부로부터 컨테이너를 철거하는 단계, 탱크 교체부에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상기 탱크 교체부를 상기 선박 본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METHOD FOR INSTALLING GAS FUEL TANK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해 항공으로 운송되는 물류가 증대되고 있지만, 많은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하기에는 선박이 최적의 운송 수단이라 할 것이다. 컨테이너에 화물을 실어 운송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선박이 건조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대규모 선박을 운항하기 위해 소모되는 연료도 많은 양이 소모된다.
그러나 대형 선박을 운항하면서, 대형 선박의 침몰 사고로 인한 중유, 디젤유와 같은 석유 연료의 유출 및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같은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석유 연료의 고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연료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술한 중유, 디젤유와 같은 석유 연료의 사용을 대체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것이 바로 천연 가스(Natural Gas, NG)다. 천연 가스의 경우, 상온에서 기체 상태이기 때문에 유출에 따른 사고의 위험이 적으며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석유 연료에 비하여 훨씬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석유에 비하여 아직 매장량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고갈의 위험 역시 적다.
그러나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천연 가스는 상온에서 기체상태이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위하여, 천연 가스에 가해지는 압력과 온도를 제어하여 액화시킬 수 있다. 이를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라 한다.
액화 천연 가스를 선박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화 천연 가스를 저장하는 LNG 저장 탱크 또는 LNG 화물 탱크와 같은 연료 저장 탱크와, 저장 탱크에 저장된 증발 가스 또는 액화 천연 가스를 연료로 이용 가능하도록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여 상태를 변환시켜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으로는 저장탱크의 증발가스를 다단의 압축기에서 공급조건에 맞도록 압축한 후 엔진으로 공급하는 방식, 저장탱크에서 직접 LNG를 빼내어 고압펌프를 이용해 높은 압력으로 상승시킨 후 고압 기화기에서 기화한 다음 엔진으로 공급하는 방식, 저장탱크의 증발가스를 압축기에서 압축한 후 극저온 열 교환기에서 재액화하여 고압펌프 쪽으로 공급하는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연료 저장 탱크와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을 모두 갖추기 위해서는 매우 넓은 장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연료 저장 탱크를 대체하여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를 포함하는 대형 선박을 신규 건조하는 경우, 설계에서부터 선박의 건조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연료를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선박을 건조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석유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 저장 탱크를 선박에 설치하여 선박을 운항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은, 선박 본체로부터 탱크 교체부를 분리하는 단계, 탱크 교체부로부터 컨테이너를 철거하는 단계, 탱크 교체부에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를 선박 본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는, 하부 블록을 탱크 교체부에 탑재하는 단계 및 하부 블록 상에 상부 블록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부 블록을 탑재하기 이전에 선박용 족장을 하부 블록 상에 탑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블록 및 상부 블록은 해상 크레인에 의하여 탱크 교체부에 탑재될 수 있다.
선박 본체로부터 탱크 교체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플로팅 도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선박 본체로부터 탱크 교체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선박 본체 및 탱크 교체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플로팅 도크에 탑재하여 결속시키는 단계, 플로팅 도크를 상승시키는 단계, 선박 본체와 탱크 교체부를 분리시키는 단계, 플로팅 도크를 하강시키는 단계 및 선박 본체를 플로팅 도크의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 교체부로부터 컨테이너를 철거하는 단계 및 탱크 교체부에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는, 탱크 교체부가 탑재된 플로팅 도크가 해수면 위로 상승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를 선박 본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를 탑재한 플로팅 도크를 하강시키는 단계, 선박 본체를 플로팅 도크 내로 인입하는 단계 및 탱크 교체부와 선박 본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저장 탱크에 사용되는 가스 연료는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 선박뿐만 아니라, 신규로 건조되는 컨테이너 선박에도 추후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할 수 있어,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신규로 건조하지 않아도 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원 고갈의 우려가 없이 선박을 운항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선박을 신규로 건조할 때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해수면 상에 플로팅되어 있는 선박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선박 본체와 탱크 교체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선박 본체로부터 분리된 탱크 교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연료 저장 탱크 중 하부 블록을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플로팅 도크 상에 탑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플로팅 도크를 배제하고, 탱크 교체부에 하부 블록이 탑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하부 블록 상에 선박용 족장이 탑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하부 블록 상에 선박용 족장이 탑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도 6의 하부 블록 상에 상부 블록을 탑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하부 블록 상에 상부 블록을 탑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설치가 완료된 연료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선박 본체와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를 결합시키기 위해, 선박 본체를 탱크 교체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선박 본체와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탱크를 교체하는 방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120) 설치 방법은 선박 본체(200)(cargo hold)로부터 탱크 교체부(100)를 분리하는 단계, 탱크 교체부(100)로부터 컨테이너(110)를 철거하는 단계, 탱크 교체부(100)에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100)를 선박 본체(20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에는 해수면(1) 상에 플로팅되어 있는 선박의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박 본체(200)와 탱크 교체부(100)를 포함한다.
선박 본체(200)로부터 탱크 교체부(100)를 분리하는 단계는,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될 부분인 탱크 교체부(100)를 선박 본체(200)로부터 절단하여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탱크 교체부(100) 분리 단계는 플로팅 도크(300)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본체(200)로부터 탱크 교체부(100)를 분리하는 단계는 선박 본체(200) 및 탱크 교체부(100)를 포함하는 선박을 플로팅 도크(300)에 탑재하여 결속시키는 단계, 선박 본체(200)에 물막이 공사를 하는 단계, 선박 본체(200)와 탱크 교체부(100)를 절단하는 단계 및 선박 본체(200)를 플로팅 도크(300)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플로팅 도크(300)를 하강시켜 선박 본체(200)와 탱크 교체부(100)를 포함하는 선박을 해수면(1)에 플로팅시킨 뒤 플로팅 도크(300) 내로 이동시켜, 플로팅 도크(300)에 선박을 탑재한다. 플로팅 도크(300)에 선박이 탑재되고 나면, 선박이 플로팅 도크(300)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이를 결속시켜 고정시킨다.
이후 플로팅 도크(300)를 상승시켜 선박이 해수면(1) 위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선박 본체(200)와 연료 교체부를 분리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는 선박 본체(200)와 연료 교체부 사이를 절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선박 본체(20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선박의 절단 이전에 선박 본체(200)에 물막이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선박 본체(200)와 탱크 교체부(100)가 분리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선박 본체(200)와 탱크 교체부(100)가 분리되고 나면 플로팅 도크(300)를 하강시켜 선박 본체(200)와 탱크 교체부(100)를 다시 해수면(1) 위에 플로팅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박 본체(200)와 탱크 교체부(100)가 해수면(1) 위에 플로팅되면, 예인선(tug boat, 10)이 선박 본체(200)로 다가와 무어링 로프(mooring rope, 20)로 선박 본체(200)를 고정시키고, 플로팅 도크(300) 외부로 선박 본체(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플로팅 도크(300)의 외부로 이동된 선박 본체(200)는 안벽으로 이동되어 접안될 수 있다.
한편, 탱크 교체부(100)에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하기 위해서 다시 플로팅 도크(300)를 상승시켜 플로팅 도크(300)에 잔류하는 탱크 교체부(100)가 해수면(1) 위에 노출되도록 한다. 탱크 교체부(100)가 해수면(1) 위에 노출되면, 탱크 교체부(100)에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될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컨테이너(110)를 철거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된다.
도 3에는 선박 본체(200)로부터 분리된 탱크 교체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탱크 교체부(100)는 선박 본체(200)로부터 분리 직후에는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될 위치에 컨테이너(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연료 저장 탱크(120)에 사용되는 가스는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일 수 있다. 액화 천연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유 연료를 사용할 때보다 부피를 더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석유 연료 탱크를 대체하여 설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 교체부(100)에 배치되어 있는 컨테이너(110)를 철거하고 철거된 컨테이너(110)가 배치되어 있던 자리에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한다.
도 4 내지 도 1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저장 탱크(120)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와 정면도가 번갈아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연료 저장 탱크(120) 중 하부 블록(122)을 해상 크레인(400)을 이용하여 플로팅 도크(300) 상에 탑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플로팅 도크(300)를 배제하고, 탱크 교체부(100)에 하부 블록(122)이 탑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하부 블록(122) 상에 선박용 족장(126)이 탑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하부 블록(122) 상에 선박용 족장(126)이 탑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해상 크레인(400)을 이용하여 도 6의 하부 블록(122) 상에 상부 블록(124)을 탑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하부 블록(122) 상에 상부 블록(124)을 탑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설치가 완료된 연료 저장 탱크(120)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저장 탱크(120)는 하부 블록(122) 및 상부 블록(124)을 포함하여, 블록 단위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하는 단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하부 블록(122)을 탱크 교체부(100)에 탑재하는 단계 및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탱크 교체부(100)에 탑재된 하부 블록(122) 상에 상부 블록(124)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하는 단계는 선박용 족장(126)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박용 족장(126)은 연료 저장 탱크(120) 내에 배치되어, 이후 작업자가 연료 저장 탱크(120)의 설치 작업을 완료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126)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블록(124)을 탑재하기 이전에, 하부 블록(122)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연료 저장 탱크(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부 블록(124)을 하부 블록(122) 상에 먼저 탑재한 이후 족장(126)을 설치하려면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상당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저장 탱크(120)는 블록 단위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하부 블록(122)을 먼저 탱크 교체부(100)에 탑재하고, 하부 블록(122) 상에 상부 블록(124)보다 먼저 선박용 족장(126)을 탑재함으로써, 선박용 족장(126)의 설치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선박용 족장(126)을 연료 저장 탱크(12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설치가 완료된 연료 저장 탱크(12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하는 단계는 해상 크레인(4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탱크 교체부(100)에 탑재되는 하부 블록(122)과 상부 블록(124) 역시 해상 크레인(400)에 의해 옮겨져 탱크 교체부(100)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박용 족장(126) 역시 해상 크레인(400)에 의해 이동되어 탱크 교체부(100)에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
탱크 교체부(100)에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되고 나면, 이를 선박 본체(200)에 결합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선박 본체(200)와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1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선박 본체(200)를 탱크 교체부(100) 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100)를 선박 본체(2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우선 탱크 교체부(100)가 탑재된 플로팅 도크(300)가 다시 하강하여 탱크 교체부(100)를 해수면(1) 위에 플로팅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벽에 접안되어 있던 선박 본체(200)가 다시 플로팅 도크(300) 내부로 인입되어 탱크 교체부(100)와 결합될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도 12에는 선박 본체(200)와 연료 저장 탱크(120)가 설치된 탱크 교체부(100)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로팅 도크(300)는 다시 상승하여 탱크 교체부(100) 및 선박 본체(200)를 해수면(1) 위로 이동시키고, 탱크 교체부(100)와 선박 본체(200)를 결합시키면, 도 12와 같이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120)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120)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치 순서 및 설치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법들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규한 선박뿐만 아니라, 컨테이너(110)를 이송하면서 석유 연료를 사용하던 선박에도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컨테이너(110)를 운반하는 컨테이너(110) 선박뿐만 아니라, 신규로 건조되는 컨테이너(110) 선박에도 추후 연료 저장 탱크(120)를 설치할 수 있어,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신규로 건조하지 않아도 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원 고갈의 우려가 없이 선박을 운항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저장 탱크(120)를 구비하는 선박을 신규로 건조할 때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해수면
10: 예인선
20: 무어링 로프
100: 탱크 교체부
110: 컨테이너
120: 연료 저장 탱크
122: 하부 블록
124: 상부 블록
126: 선박용 족장
200: 선박 본체
300: 플로팅 도크
400: 해상 크레인

Claims (8)

  1. 선박 본체로부터 탱크 교체부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탱크 교체부로부터 컨테이너를 철거하는 단계;
    상기 탱크 교체부에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상기 탱크 교체부를 상기 선박 본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박 본체로부터 상기 탱크 교체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플로팅 도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선박 본체 및 상기 탱크 교체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플로팅 도크에 탑재하여 결속시키는 단계;
    상기 플로팅 도크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선박 본체와 상기 탱크 교체부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플로팅 도크를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박 본체를 상기 플로팅 도크의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는,
    하부 블록을 상기 탱크 교체부에 탑재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블록 상에 상부 블록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블록을 탑재하기 이전에 선박용 족장을 상기 하부 블록 상에 탑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은 해상 크레인에 의하여 상기 탱크 교체부에 탑재되는,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교체부로부터 컨테이너를 철거하는 단계 및 상기 탱크 교체부에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탱크 교체부가 탑재된 상기 플로팅 도크가 해수면 위로 상승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상기 탱크 교체부를 상기 선박 본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료 저장 탱크가 설치된 상기 탱크 교체부를 탑재한 상기 플로팅 도크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선박 본체를 상기 플로팅 도크 내로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탱크 교체부와 상기 선박 본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 탱크에 사용되는 가스 연료는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인,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KR1020150136664A 2015-09-25 2015-09-25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KR10176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64A KR101764228B1 (ko) 2015-09-25 2015-09-25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64A KR101764228B1 (ko) 2015-09-25 2015-09-25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84A KR20170037284A (ko) 2017-04-04
KR101764228B1 true KR101764228B1 (ko) 2017-08-03

Family

ID=5858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664A KR101764228B1 (ko) 2015-09-25 2015-09-25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2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43B1 (ko) * 2006-08-23 2007-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9% 니켈강을 적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탱크건조방법
KR100774822B1 (ko) * 2006-10-11 2007-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멤브레인 lng선 대형 비계 리프팅 장치
KR100978066B1 (ko) * 2009-10-16 2010-08-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종연료 배관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43B1 (ko) * 2006-08-23 2007-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9% 니켈강을 적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탱크건조방법
KR100774822B1 (ko) * 2006-10-11 2007-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멤브레인 lng선 대형 비계 리프팅 장치
KR100978066B1 (ko) * 2009-10-16 2010-08-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종연료 배관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84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360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ейнер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ей морским судном
FI121876B (fi) Menetelmä LNG:tä polttoaineenaan käyttävän vesialuksen käyttämiseksi ja vastaava vesialus
CN108027108B (zh) 海上船舶的燃料罐装置
RU2570854C2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3530865A (ja) 甲板上部に燃料タンクを有する浮遊式構造物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US20190135379A1 (en) Method for conversion of a vessel for use as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y
KR20190111135A (ko) 선박
KR102375719B1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KR20150004087U (ko) 선박의 연료가스공급시스템
CN104890820A (zh) 一种适应恶劣海况的浮式液化天然气生产储卸装置
CN202320725U (zh) 一种液化气运输船舶
KR101635061B1 (ko) 액화천연가스 하역 시스템
KR20130021204A (ko) 전기 추진식 엘엔지 연료급유선
KR101764228B1 (ko)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설치 방법
KR20100065828A (ko)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한 해상 부유물 및 상기 해상 부유물의 운용방법
KR102473947B1 (ko) Lng 재기화 선박
CN103101604A (zh) 一种液化气运输船舶
KR20170031651A (ko) 액화가스 수송선, 및 액화가스 수송선의 설계방법
KR20200082578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101599355B1 (ko)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20015559A (ko) 연료 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12468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0821743B1 (ko) 연료유 공급선 기능을 겸하는 해저 채굴자원 수송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