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017B1 -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017B1
KR101764017B1 KR1020150152671A KR20150152671A KR101764017B1 KR 101764017 B1 KR101764017 B1 KR 101764017B1 KR 1020150152671 A KR1020150152671 A KR 1020150152671A KR 20150152671 A KR20150152671 A KR 20150152671A KR 101764017 B1 KR101764017 B1 KR 10176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sheet
liquid crystal
prism sheet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788A (ko
Inventor
이건우
전현우
한상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017B1/ko
Priority to US15/297,796 priority patent/US10108040B2/en
Priority to CN201610946966.3A priority patent/CN106959476B/zh
Publication of KR2017005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편광판, 지지 시트, 제1 UV 레진층, 및 제1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편광판은 표시패널의 하면에 합착된다. 지지 시트는 편광판 하면에 위치하여 편광판과 일체화된다. 제1 UV 레진층은 지지 시트 하면에 위치한다. 제1 프리즘 시트는 제1 UV 레진층의 하면에 위치하여 지지 시트와 일체화된다. 또한, 제1 프리즘 시트는 제1 기저 시트, 및 제1 기저 시트 상에 위치하며, 제1 소수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제1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이 내장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 라이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백 라이트의 균일도와 집광성을 위한 광학 필름이 하부 편광판에 합지된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과형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백 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대별된다.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은 액정 표시패널의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광원이 배치되고 액정 표시패널과 도광판 사이에 다수의 광학 필름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도광판의 일측에 빛을 조사하고 도광판이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한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보다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자른,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패널(LCP), 액정 표시패널(LCP)의 아래에 배치되는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EBLU)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상부 유리 기판(SU)과 하부 유리 기판(SL)사이에 액정 층(LC)이 형성되며, 어떠한 액정 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EBLU)은 광원(LS), 도광판(LG) 및 광학 필름(OPT)을 포함하여, 광원(LS)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도광판(LG)과 광학 필름들(OPT)을 통해 균일한 면 광원으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패널(LCP)에 제공한다. 또한, 도광판(LG)의 아래에는 도광판(LG)의 하면을 통해 누설된 빛을 도광판(LG)으로 되 돌려주는 반사판(REF)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반사판(REF) 아래에는 커버 버텀(CB)이 배치된다. 커버 버텀(CB)은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EBLU)를 내부에 수납하는 그릇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버텀(CB)은 광원(LS)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원할히 방출할 수 있도록 높은 열 전도율과 고강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한다. 일 예로, 커버 버텀(CB)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스테인레스(SUS), 갈바륨(SGLC), 알루미늄도금강판(일명 ALCOSTA), 주석도금강판(SPTE) 등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판에는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고전도율 소재가 코팅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패널(GP)과 탑 케이스(TC)가 배치된다. 가이드 패널(GP)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등의 합성수지 내에 유리섬유가 혼입된 직사각형 몰드 프레임으로써 액정 표시패널(LCP)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을 감싸고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EBLU)의 측면을 감싼다. 이 가이드 패널(GP)은 액정 표시패널(LCP)을 지지하고 액정 표시패널(LCP)과 광학 필름(OPT)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탑 케이스(TC)는 아연도금강판 등 금속소재로 제작되어 가이드 패널(GP)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패널(GP) 및 커버 버텀(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후크나 스크류로 고정된다.
광원(LS)은 LED와 같이 저 전력으로 높은 휘도를 갖는 발광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LS)은 도광판(LG)으로 빛을 공급한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EBLU)에서는 광원(LS)이 액정 표시패널(LCP)의 측면에 위치한다. 즉, 광원(LS)은 도광판(LG)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대응하여 도광판(LG)의 측면으로 빛을 공급한다.
도광판(LG)은 액정 표시패널(LCP)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을 갖는 패널형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도광판(LG)의 상면은 액정 표시패널(LCP)과 대향하고 있다. 도광판(LG)의 측면에 설치된 광원(LS)에서 빛을 받아 내부에서 빛을 확산 분포시켜, 도광판(LG) 내부에서 고르게 분포하도록 확산하고, 액정 표시패널(LCP)이 배치된 상면으로 빛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LG)에 의해 액정 표시패널(LCP)로 유도된 빛은 백 라이트로 활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상태이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LCP)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른 휘도 분포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액정 표시패널(LCP)의 표면에 대해, 주된 관측자 방향으로 집광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백 라이트로서 온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빛을 집광 및 확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도광판(LG)과 액정 표시패널(LCP) 사이에는 광학 필름(OPT)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광학 필름들(OPT)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에서, 확산필름을 구비한 광학 필름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액정 표시패널(LCP)의 하부에 배치된 광학 필름들(OPT)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광학 필름들(OPT)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부 프리즘 시트(PRL), 상부 프리즘 시트(PRU) 그리고 확산 시트(DIF)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프리즘 시트(PRL)의 상부 표면 위에는 삼각 기둥 형상의 프리즘 패턴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볼록한 산부와 오목한 골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뾰족한 산부가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다. 상부 프리즘 시트(PRU)도 하부 프리즘 시트(PRL)과 동일한 프리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부 프리즘 시트(PRU)의 상부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LG)에서 출사한 빛은 하부 프리즘 시트(PRL)와 상부 프리즘 시트(PRU)를 통과하면서, 액정 표시패널(LCP)의 표면에 대한 법선을 중심으로 가우시안 분포의 형태로 집광된다.
확산 시트(DIF)는 프리즘 시트들(PRL, PRU)을 통과한 빛들이 액정 표시패널(LCP) 전체 표면에 걸쳐 고른 휘도 분포를 갖도록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에지형 백 라이트의 경우, 광원이 위치하는 측변이 그 반대되는 측변보다 더 밝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직하형 백 라이트의 경우, 광원이 위치한 부분이 광원의 주변 부분보다 더 밝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확산 시트(DIF)는 액정 표시패널(LCP)의 전체 표면에 대해 균일하지 않은 빛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확산 시킨다. 확산 기능을 위해 확산 시트(DIF)에는 상부 표면에는 비드(BD)들이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프리즘 시트들(PRL, PRU) 및 확산 시트(DIF)에 의해 빛이 백 라이트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만들어지지만, 광학 필름들을 통과하면서 휘도 자체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백 라이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확산 시트(DIF)에 의한 휘도 저하가 상당히 심한 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휘도 확산필름(DBEF)이 제안된 바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에서, 고휘도 확산필름을 구비한 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고휘도 확산필름(DBEF)은 고굴절층과 저굴절층이 적층되어, 반사에 의해 손실되는 빛을 다시 상부 표면으로 재 반사함으로써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의한 구조와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확산필름(DIF) 대신에 고휘도 확산필름(DBEF)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광학 필름들은, 액정 표시패널(LCP)과 도광판(LG)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프리즘 시트(PRU)은 하부 프리즘 시트(PRL) 위에 얹어진(lay-down)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프리즘 시트(PRU)와 하부 프리즘 시트(PRL) 사이에는 소정의 공기층이 존재한다. 공기층은 프리즘 시트들(PRL, PRU)와 굴절율이 다르므로, 이를 통과하는 빛들이 확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확산필름(DIF) 혹은 고휘도 확산필름(DBEF)도 상부 프리즘 시트(PRU) 위에 얹어진(lay-down)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부 프리즘 시트(PRU)와 확산필름(DIF) 사이 혹은 상부 프리즘 시트(PRU)와 고휘도 확산필름(DBEF) 사이에도 공기층이 존재하다. 이들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빛들이 확산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광학 필름들(OPT)이 단순히 적층되는 구조로 인해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는 액정 표시장치를 박형화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다. 이를 합지하여 초 박형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단순히 합지할 경우, 공기층이 없어지므로, 공기층에 의한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없어, 휘도 분포가 균일하지 않게 된다. 또한, 모아레(Moire), 무지개형 무늬(Rainbow Mura) 혹은 핫-스팟(hot-spot) 형태의 무늬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프리즘 시트의 산과 산 사이에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이 침투되어, 화질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휘도 불균일, 무늬 발생, 수분 침투 등은 백 라이트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수준으로 평가되므로, 액정 표시장치를 초 박형화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광학 필름을 일체형으로 구비한 초박형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부의 일부를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리즘부의 골에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편광판, 지지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합지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일체화한 초 박형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편광판, 지지 시트, 제1 UV 레진층, 및 제1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편광판은 표시패널의 하면에 합착된다. 지지 시트는 편광판 하면에 위치하여 편광판과 일체화된다. 제1 UV 레진층은 지지 시트 하면에 위치한다. 제1 프리즘 시트는 제1 UV 레진층의 하면에 위치하여 지지 시트와 일체화된다. 또한, 제1 프리즘 시트는 제1 기저 시트, 및 제1 기저 시트 상에 위치하며, 제1 소수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제1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제1 프리즘 패턴은 제1 소수성부, 및 제1 소수성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친수성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제1 소수성부는 소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친수성부는 친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친수성부는 제1 UV 레진층 내로 삽입된 영역이며, 제1 소수성부는 제1 프리즘 패턴에서 친수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일례로, 프리즘부는 제1 프리즘 패턴보다 높이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리즘 패턴을 더 포함하며, 제2 프리즘 패턴은 전체가 제2 소수성부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제1 프리즘 패턴 전체 높이 100%에 대해 친수성부의 높이는 1 내지 20%이다.
일례로, 친수성부의 높이는 1 내지 10㎛이다.
일례로, 제1 프리즘 시트 전체 평면 면적 100%에 대해 친수성부의 전체 평면 면적은 1 내지 10%이다.
일례로, 제1 프리즘 시트 하면에 형성된 제2 UV 레진층, 및 제2 UV 레진층 하면에 형성된 제2 프리즘 시트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제2 프리즘 시트는, 제2 기저 시트, 및 제2 기저 시트 상에 위치하며, 제3 소수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제3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편광판은 적어도 코어층을 포함한다.
일례로, 편광판은 코어층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일례로, 표시패널 하부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도광판 및 반사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저 시트를 제1 롤러에 장착하여 소수성 레진과 친수성 레진이 혼합된 혼합 레진을 기저 시트에 도포하고, 하드 몰드를 이용하여 제1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롤러에 프리즘 시트 원단을 장착하는 단계, 제3 롤러에 지지 시트 원단을 장착하고 지지 시트 원단에 UV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프리즘 시트 원단과 지지 시트 원단을 합지하고 UV 경화하여, 프리즘 시트 원단의 제1 프리즘 패턴에 소수성부와 친수성부를 형성하는 단계, 합지된 프리즘 시트 원단과 지지 시트 원단을 편광판 원단과 합지하고 재단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광학 필름을 액정 표시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로, 프리즘 시트 원단의 제1 프리즘 패턴에 소수성부와 친수성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프리즘 시트 원단이 UV 경화되면, 제1 프리즘 패턴을 이루는 혼합 레진이 소수성부와 친수성부로 상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는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패턴들 중 UV 레진층에 삽입되는 부분은 친수성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은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리즘 패턴들 사이에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편광판, 지지 시트, 프리즘 시트들을 합지함으로써, 일체화된 광학 필름을 제공하여 초박형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자른,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에서, 확산 필름을 구비한 광학 필름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에서, DBEF 필름을 구비한 광학 필름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프리즘 시트와 지지 시트를 합지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침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
도 14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고온/고습 평가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LCD)는 액정 표시패널(LCP), 상부 편광판(UPOL), 하부 편광판(LPOL), 지지 시트(SSP) 및 프리즘 시트(PS)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패널(LCP)는 액정 층을 사이에 두고 면 합착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상부 표면에는 상부 편광판(UPOL)이 합착되어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하부 표면에는 하부 편광판(LPOL)이 합착되어 있다.
상부 편광판(UPOL)은 제1 방향으로 정렬된 광 투과축 혹은 광 차단축을 갖는다. 하부 편광판(LPOL)은 제2 방향으로 정렬된 광 투과축 혹은 광 차단축을 갖는다. 액정 표시장치(LCD)가 노멀리 블랙(Normally Black)인 경우, 제1 광 투과축과 제2 광 투과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노멀리 화이트(Normally White)인 경우에는, 제1 광 투과축과 제2 광 투과축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편광판(LPOL)은 코어층(PVA)과 이의 양면에 각각 합착된 상부 보호층(UPL)과 하부 보호층(LPL)을 포함한다. 코어층(PVA)은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코어층(PVA)의 양면에는 각각 상부 보호층(UPL)과 하부 보호층(LPL)이 합착된다. 하부 편광판(LPOL)은 접착층(미도시)을 통해 액정 표시패널(LCP)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 편광판(LPOL)이 상부 보호층(UPL)과 하부 보호층(LPL) 및 이들의 사이에 위치한 코어층(PVA)의 구조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부 보호층(UPL) 또는 하부 보호층(LPL)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편광판(LPOL)의 하부 표면에는 감압접착층(DPSA)이 위치한다. 감압접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DPSA)은 하부 편광판(LPOL)과 지지 시트(SSP)를 접착하는 것으로서, 탄성율과 접착 특성이 좋고 미세한 기포의 발생을 줄여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압접착층(DPSA)은 접착 역할뿐만 아니라, 일정한 탄성을 가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시트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감압접착층(DPSA)은 복수의 비드들을 포함하여 확산의 특성도 겸할 수 있다.
감압접착층(DPSA)을 통해 하부 편광판(LPOL) 하부에는 지지 시트(SSP)가 위치한다. 지지 시트(SSP)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고 하부의 프리즘 시트(PS)를 하부 편광판(LPOL)과 접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 시트(SSP)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고 공기 중의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큰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및 폴리에폭시(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시트(SSP)는 백 라이트 유닛의 박형화에 부응하여 얇은 두께, 예를 들어, 10㎛ 내지 25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시트(SSP)가 10㎛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백 라이트 유닛을 최대한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시트(SSP)가 250㎛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의 박형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광학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지지 시트(SSP)의 하부에 UV 레진층(UR)이 위치한다. UV 레진층(UR)은 지지 시트(SSP)에 프리즘 시트(PS)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접착 특성과 UV 경화 특성을 가진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레진층(UR)은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우레탄계 레진 등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UV 레진층(UR)은 하부의 프리즘 시트(PS)와 지지 시트(SSP)를 효과적으로 접착하기 위해, 1 내지 5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레진층(UR) 하부에 프리즘 시트(PS)가 위치한다. 프리즘 시트(PS)는 기저 시트(SS) 상에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부(PP)를 포함한다.
기저 시트(SS)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고 프리즘 시트(PS)의 프리즘부(PP)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기저 시트(SS)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고 공기 중의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큰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및 폴리에폭시(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저 시트(SS)는 백 라이트 유닛의 박형화에 부응하여 얇은 두께, 예를 들어, 10㎛ 내지 25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저 시트(SS)가 10㎛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백 라이트 유닛을 최대한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기저 시트(SS)가 250㎛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의 박형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광학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프리즘부(PP)는 기저 시트(SS)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프리즘 패턴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프리즘부(PP)는 제1 높이를 가진 제1 프리즘 패턴(P1)과 제2 높이를 가진 제2 프리즘 패턴(P2)을 포함한다. 제1 높이와 제2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는, UV 레진층(UR)에 의해, 프리즘 시트(PS)가 지지 시트(SSP)에 합지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프리즘 시트(PS)에 형성된 프리즘부(PP)의 복수의 프리즘 패턴들(P1, P2) 중 일부가 UV 레진층(UR)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즘 시트(PS)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프리즘 패턴들(P1)과 제2 높이를 갖는 제2 프리즘 패턴들(P2)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높이와 제2 높이 중 더 높은 높이를 가진 산의 일부가 UV 레진층(UR)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높이가 제2 높이보다 더 높다면, 제1 높이를 갖는 제1 프리즘 패턴들(P1)의 일부가 UV 레진층(UR)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즘 패턴들(P1)의 일부가 UV 접착층(UR)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제2 프리즘 패턴들(P2)은 UV 레진층(UR)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즉, UV 레진층(UR)과 제2 프리즘 패턴들(P2)의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 프리즘 시트(PS)의 프리즘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산들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모든 프리즘부(PP)의 산들이 UV 레진층(UR) 내부로 삽입되므로 공기층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고 집광 특성이 저하된다. 그 결과, 빛의 굴절이 충분하지 않아 휘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리즘 패턴들(P1)과 제2 프리즘 패턴들(P2)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리즘 시트(PS)의 프리즘부(PP)의 프리즘 패턴들(P1, P2)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UV 레진층(UR)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휘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즘 시트(PS)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즘 패턴(P1)은 친수성부(CH)와 제1 소수성부(SH1)를 포함하고, 제2 프리즘 패턴(P2)은 제2 소수성부(SH2)를 포함한다.
제1 프리즘 패턴(P1)은 UV 레진층(UR)에 일부가 삽입된 패턴들로, UV 레진층(UR)에 삽입된 영역인 친수성부(CH)와, 친수성부(CH)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 소수성부(SH1)를 포함한다.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는 친수성(hydrophilic)을 나타내는 재료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UV 레진층(UR)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프리즘 시트(PS)가 접착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는 친수성을 나타내어 UV 레진층(UR)에 잘 접착될 수 있다.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제1 소수성부(SH1)는 소수성(hydrophobic)을 나타내는 재료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친수성부(CH)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제1 소수성부(SH1)는 액체와의 접촉각이 90도 이상으로 수분과의 접촉 특성이 낮다. 제2 프리즘 패턴(P2)은 UV 레진층(UR)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영역이 제2 소수성부(SH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제1 소수성부(SH1)와 제2 프리즘 패턴(P2)의 제2 소수성부(SH2)는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acrylate), o-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o-Phenoxyethylacrylate), 비스페놀-A에폭시아크릴레이트(Bisphenol-A epoxyacrylate), 비스페닐플루오렌아크릴레이트(Bisphenylfluoreneacry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는 프리즘 레진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Polyester Acrylate-oligomer), 에폭시아크릴레이트(epoxyacrylate),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aneacrylate )의 합성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PS)는 UV 레진층(UR)을 통해 지지 시트(SSP)와 합지된 구조이다. 따라서, 프리즘 시트(PS)의 프리즘부(PP)와 UV 레진층(UR) 사이가 외부와 통하여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들 시트들이 외부의 수분에 노출되면, 프리즘부(PP)의 제1 프리즘 패턴(P1)과 제2 프리즘 패턴(P2) 사이가 관 역할을 하여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수분이 침투된다. 모세관 현상은 가는 관(모세관)을 따라 액체가 흡수되는 현상으로, 부착력, 응집력, 및 표면장력에 의한 다공성 물질 공간 내에서의 액체의 이동이다. 모세관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착력, 응집력 및 표면장력 중 어느 하나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미약하게 만들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리즘 시트(PS) 중 외부에 노출되는 프리즘부(PP)의 일부를 소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하여, 프리즘부(PP)와 액체 간의 부착력을 낮춰 모세관 현상을 줄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PS)의 프리즘부(PP)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제1 소수성부(SH1)와 제2 프리즘 패턴(P2)의 제2 소수성부(SH2)를 소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프리즘 시트(PS)와 UV 레진층(UR) 사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와 제1 소수성부(SH1)는 일정 높이로 이루어진다.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1)의 높이(H1)는 전체 제1 프리즘 패턴(P1)의 높이(HH)에 대해 1 내지 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1)의 높이(H1)가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전체 높이(HH)에 대해 1% 이상이면 UV 레진층(UR)과 프리즘 시트(PS)의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1)의 높이(H1)가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전체 높이(HH)에 대해 20% 이하이면 프리즘 시트(PS)와 UV 레진층(UR) 사이에 공기층의 양이 줄어들어 빛의 굴절이 충분하지 않아 집광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제1 소수성부(SH1)의 높이(H2)는 제1 프리즘 패턴(P1)의 전체 높이(HH)에 대해 80 내지 99%로 이루어진다.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1)의 높이(H1)는 1 내지 1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프리즘 시트(PS)의 제1 프리즘 패턴(P1)들의 친수성부(CH1)는 프리즘 시트(PS)와 UV 레진층(UR)과의 접착력을 위해 일정 면적 이상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리즘 시트(PS)의 제1 프리즘 패턴(P1)들의 친수성부(CH1)의 평면 면적(A)은 전체 프리즘 시트(PS)의 평면 면적(B) 100%에 대해 1 내지 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리즘 패턴(P1)들의 친수성부(CH1)의 평면 면적(A)이 전체 프리즘 시트(PS)의 평면 면적(B) 100%에 대해 1% 이상이면 UV 레진층(UR)과 프리즘 시트(PS)의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프리즘 패턴(P1)들의 친수성부(CH1)의 평면 면적(A)이 전체 프리즘 시트(PS)의 평면 면적(B) 100%에 대해 10% 이하이면 프리즘 시트의 집광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리즘 패턴(P1)들의 제1 소수성부(CH1)의 평면 면적(C)은 전체 프리즘 시트(PS)의 평면 면적(B) 100%에 대해 90% 이하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PS)의 프리즘부(PP)의 제1 프리즘 패턴(P1)들과 제2 프리즘 패턴(P2)들은 서로 중첩될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리즘 패턴(P1)들과 제2 프리즘 패턴(P2)들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프리즘 패턴(P1)들과 제2 프리즘 패턴(P2)들은 길이 방향으로 산의 높이가 일정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리즘 패턴(P1)들과 제2 프리즘 패턴(P2)들은 피치가 일정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길이와 형상을 갖는 프리즘부(PP)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PS)는 전술한 바와 달리, 기저 시트(SS) 상에 제1 프리즘 패턴(P1)들로만 이루어진 프리즘부(PP)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프리즘 패턴(P1)들은 모두 UV 레진층(UR)에 삽입되어 친수성부(CH)와 제1 소수성부(SH1)를 포함한다. 친수성부(CH)와 제1 소수성부(SH1)의 특징들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는 전술한 광학 필름이 합착된 액정 표시패널(LCP)의 하부에 백 라이트 유닛이 구비된다. 백 라이트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백 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광원(LS), 도광판(LG) 및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백 라이트 유닛에 별도의 광학 필름이 구비되지 않고, 액정 표시패널(LCP)에 부착된 광학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백 라이트 유닛에 확산 시트 등의 추가의 광학 필름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패널(LCP)의 하부에 구비된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이 액정 표시패널(LCP)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패널 하부에 하부 편광판, 지지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일체화하여 합착함으로써, 별도의 광학 필름들을 생략할 수 있고 백 라이트 유닛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장치를 최대한 박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프리즘 시트와 지지 시트를 합지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롤러(R1)에 프리즘 시트의 기저 시트 원단(SSF)을 장착하고 소수성 레진과 친수성 레진이 혼합된 혼합 레진(resin)을 준비한다. 형성하고자 하는 프리즘 패턴의 역상이 형성된 하드 몰드(HM)를 구비한다. 제1 롤러(R1)를 회전시켜 기저 시트 원단(SSF)을 하드 몰드(HM)로 이송시키고 혼합 레진(resin)을 투입한다. 기저 시트 원단(SSF)에 레진이 도포되고 하드 몰드(HM)에 의해 레진이 압착되고 UV 큐어링(UV Curing)되면, 제1 프리즘 패턴(P1)과 제2 프리즘 패턴(P2)을 포함하는 프리즘부(PP)가 형성된 프리즘 시트 원단(PSF)이 제조된다. 이때, 프리즘부(PP)는 소수성 레진과 친수성 레진이 혼합된 채로 존재한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롤러(R2)에 프리즘 시트 원단(PSF)을 장착하고, 제3 롤러(R3)에 지지 시트 원단(SSPF)을 장착한다. 제3 롤러(R3)를 회전시켜 지지 시트 원단(SSPF)을 이동시켜, 그라비아 롤(GR)을 통해 지지 시트 원단(SSPF)의 일면에 UV 레진층(UR)을 도포한다. UV 레진층(UR)이 도포된 지지 시트 원단(SSPF)은 열경화 챔버에서 열경화된다. 이어, 제2 롤러(R2)를 회전시켜 프리즘 시트 원단(PSF)을 압착 롤러(LR)로 이송하고, 열경화된 지지 시트 원단(SSPF)이 압착 롤러(LR)로 이송된다. 압착 롤러(LR)에서 프리즘 시트 원단(PSF)과 지지 시트 원단(SSPF)이 압착되어 합지된다. 합지된 프리즘 시트 원단(PSF)과 지지 시트 원단(SSPF)은 UV 경화 챔버에서 UV 경화된다. 이때, 프리즘 시트 원단(PSF)의 소수성 레진과 친수성 레진은 상분리되어 친수성 레진이 윗쪽에 배치되고 소수성 레진이 아래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프리즘 시트 원단(PSF)의 제1 프리즘 패턴(P1)의 상부에 친수성부(CH)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소수성부(SH1)가 형성되며, 제2 프리즘 패턴(P2) 전체에 제2 소수성부(SH2)가 형성된다.
이후, 합지된 프리즘 시트 원단(PSF)과 지지 시트 원단(SSPF)은 편광판 시트 원단과 라미네이션되어, 편광판 시트 원단, 지지 시트 원단(SSPF) 및 프리즘 시트 원단(PSF)이 일체로 합지된다. 이렇게 제조된 광학 필름은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액정 표시장치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는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패턴들 중 UV 레진층에 삽입되는 부분은 친수성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은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리즘 패턴들 사이에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예>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LCD)는, 액정 표시패널(LCP), 상부 편광판(UPOL), 하부 편광판(LPOL), 지지 시트(SSP), 제1 UV 레진층(UR1), 제1 프리즘 시트(PS1), 제2 UV 레진층(UR2) 및 제2 프리즘 시트(PS2)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LCD)와는 달리, 제1 프리즘 시트(PS1) 하부에 제2 UV 레진층(UR2)으로 접착된 제2 프리즘 시트(PS2)를 더 포함한다. 액정 표시패널(LCP), 상부 편광판(UPOL), 하부 편광판(LPOL), 지지 시트(SSP), 제1 UV 레진층(UR1) 및 제1 프리즘 시트(PS1)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프리즘 시트(PS1) 하부에 제2 UV 레진층(UR2)이 위치한다. 제2 UV 레진층(UR2)은 제1 프리즘 시트(PS1)에 제2 프리즘 시트(PS2)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접착 특성과 UV 경화 특성을 가진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UV 레진층(UR2)은 하부의 제2 프리즘 시트(PS2)와 상부의 제1 프리즘 시트(PS1)를 효과적으로 접착하기 위해, 1 내지 5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UV 레진층(UR2) 하부에 제2 프리즘 시트(PS2)가 위치한다. 제2 프리즘 시트(PS2)는 제2 기저 시트(SS2) 상에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제2 프리즘부(PP2)를 포함한다. 제2 프리즘부(PP3)는 제1 높이를 가진 제3 프리즘 패턴(P3)과 제2 높이를 가진 제2 프리즘 패턴(P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는, 제2 UV 레진층(UR2)에 의해, 제2 프리즘 시트(PS2)가 제1 프리즘 시트(PS1)에 합지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제2 프리즘 시트(PS2)에 형성된 제2 프리즘부(PP3)의 복수의 프리즘 패턴들(P3, P4) 중 일부가 제2 UV 레진층(UR2)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프리즘 시트(PS2)의 적어도 하나의 제3 프리즘 패턴(P3)은 제2 친수성부(CH3)와 제3 소수성부(SH3)를 포함하고, 제4 프리즘 패턴(P4)은 제4 소수성부(SH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프리즘 시트(PS2) 중 외부에 노출되는 제2 프리즘부(PP2)의 일부를 소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하여, 제2 프리즘부(PP2)와 액체 간의 부착력을 낮춰 모세관 현상을 줄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프리즘 시트(PS2)의 제2 프리즘부(PP2)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3 프리즘 패턴(P3)의 제3 소수성부(SH3)와 제4 프리즘 패턴(P4)의 제4 소수성부(SH4)를 소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제2 프리즘 시트(PS2)와 제2 UV 레진층(UR2) 사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프리즘 시트(PS1)는 제1 프리즘부(PP1)의 제1 프리즘 패턴(P1)과 제2 프리즘 패턴(P2)의 산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2 프리즘 시트(PS2)는 제2 프리즘부(PP2)의 제3 프리즘 패턴(P3)과 제4 프리즘 패턴(P4)의 산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프리즘 시트(PS1)는 제1 프리즘부(PP1)의 제1 프리즘 패턴(P1)과 제2 프리즘 패턴(P2)의 산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2 프리즘 시트(PS2)는 제2 프리즘부(PP2)의 제3 프리즘 패턴(P3)과 제4 프리즘 패턴(P4)의 산의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제1 프리즘 시트(PS1)와 제2 프리즘 시트(PS2)를 통과하면서 액정 표시패널(LCP)의 표면에 대한 법선을 중심으로 가우시안 분포의 형태로 집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LCD)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제2 프리즘 시트 원단을 추가의 하드 몰드를 통해 제조한다. 그리고, 제1 프리즘 시트 원단과 지지 시트 원단을 압착 롤러로 라미네이션하는 공정에서 제1 프리즘 시트 원단의 하부 표면에 UV 레진층을 형성한 후 제2 프리즘 시트 원단을 함께 라미네이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후, 편광판 원단과 라미네이션함으로써, 하부 편광판, 지지 시트, 제1 UV 레진층, 제1 프리즘 시트, 제2 UV 레진층, 제2 프리즘 시트가 합지된 광학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광학 필름은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액정 표시장치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는 하부 편광판, 지지 시트, 제1 프리즘 시트 및 제2 프리즘 시트를 합지하여 일체화된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패턴들 중 UV 레진층에 삽입되는 부분은 친수성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은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리즘 패턴들 사이에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비교 예 1 및 실시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에 대해 실험한 데이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비교 예 1 및 실시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의 침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비교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고온/고습 평가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비교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은 프리즘부(PP)의 제1 프리즘 패턴(P1)과 제2 프리즘 패턴(P2) 전부를 친수성을 나타내는 레진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도 6과 같은 구조로 제조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다른 광학 필름은 프리즘부(PP)의 제1 프리즘 패턴(P1)의 친수성부(CH)에는 친수성을 나타내는 레진으로 형성하고, 제1 소수성부(SH1)와 제2 프리즘 패턴(P2)의 제2 소수성부(SH2)에는 소수성을 나타내는 레진으로 형성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 예 1 및 실시 예 1에 따라 제조된 광학 필름의 일부를 물이 담긴 컵에 수 분간 담궈 놓은 결과, 비교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은 수분이 최상부에 가깝게 침투되었으나, 실시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은 수분이 하부에만 침투되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고온/고습 평가 결과 광학 필름에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수분이 침투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패턴들 중 UV 레진층에 삽입되는 부분은 친수성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은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부가 지지 시트의 UV 레진층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박리력과 액정 표시장치의 휘도 특성에 대해 살펴본다.
전술한 본 발명의 도 5의 액정 표시장치에서, 프리즘 시트의 하부에 확산 시트를 추가하여 액정 표시장치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에 따른 휘도, 색좌표 및 휘도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에 따른 프리즘 시트의 박리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2 #3 #4 #5 #6 #7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
(㎛)
0 3.5 5.5 7.5 8.5 10 11
휘도(nit) 231.4 216 211 203.9 197 190.1 182.2
색좌표(Wx/Wy) 0.275/0.278 0.271/0.275 0.273/0.276 0.273/0.275 0.273/0.275 0.273/0.275 0.273/0.275
휘도비(색좌표 반영)(%) 101 94.3 92.1 89 86 83 79.5

샘플
UV레진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
(㎛)
3.5 4.5 5.5
박리력(N)



#1 2.248 2.534 2.791
#2 2.270 2.485 2.959
#3 2.400 2.591 2.959
#4 2.400 2.674 2.960
#5 2.505 2.395 2.597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가 0, 3.5㎛, 5.5㎛, 7.5㎛, 8.5㎛, 10㎛, 및 11㎛인 경우, 동등한 화이트(W) 색좌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가 11㎛인 경우 182.2nit의 휘도와, 79.5%의 휘도비를 나타내어 휘도와 휘도비가 현저히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가 3.5㎛, 4.5㎛ 및 5.5㎛인 경우, 최저 2.248N 에서 최고 2.960N의 박리력을 나타내었다. 즉,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가 높을수록 박리력이 증가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박리력은 1.485(상수)+(0.2444×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인 것을 도출해 내었다. 따라서, 실험된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 외의 다른 높이는 위 관계식에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를 대입하여 도출해 낼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가 높을수록 박리력은 커지나, 휘도와 휘도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휘도와 휘도비가 너무 낮은 것을 방지하고 적정한 박리력을 유지하기 위해, 제1 프리즘 패턴 중 UV 레진층에 삽입된 친수성부의 높이를 1 내지 10㎛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프리즘 시트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는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패턴들 중 UV 레진층에 삽입되는 부분은 친수성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은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리즘 패턴들 사이에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BLU: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 LCP: 액정 표시패널
LS: 광원: LG: 도광판
CB: 커버 버텀 REF: 반사판
OPT: 광학 필름 SU: 상부 유리 기판
SL: 하부 유리 기판 LC: 액정층
LPOL : 하부 편광판 UPOL : 상부 편광판
SSP : 지지 시트 UR : UV 레진층
PS : 프리즘 시트 CH : 친수성부
SH1 : 제1 소수성부

Claims (15)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하면에 합착된 편광판;
    상기 편광판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판과 일체화된 지지 시트;
    상기 지지 시트 하면에 위치하는 제1 UV 레진층; 및
    상기 제1 UV 레진층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시트와 일체화된 제1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리즘 시트는,
    제1 기저 시트; 및
    상기 제1 기저 시트 상에 위치하며, 제1 소수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제1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리즘 패턴은 상기 제1 소수성부, 및 상기 제1 소수성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친수성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수성부는 소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친수성부는 친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부는 상기 제1 UV 레진층 내로 삽입된 영역이며, 상기 제1 소수성부는 상기 제1 프리즘 패턴에서 상기 친수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액정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제1 프리즘 패턴보다 높이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리즘 패턴을 더 포함하며, 제2 프리즘 패턴은 전체가 제2 소수성부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 패턴 전체 높이 100%에 대해 상기 친수성부의 높이는 1 내지 20%인 액정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부의 높이는 1 내지 10㎛인 액정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 시트 전체 평면 면적 100%에 대해 상기 친수성부의 전체 평면 면적은 1 내지 10%인 액정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 시트 하면에 형성된 제2 UV 레진층, 및 상기 제2 UV 레진층 하면에 형성된 제2 프리즘 시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즘 시트는,
    제2 기저 시트; 및
    상기 제2 기저 시트 상에 위치하며, 제3 소수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제3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적어도 코어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코어층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도광판 및 반사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14. 기저 시트를 제1 롤러에 장착하여 소수성 레진과 친수성 레진이 혼합된 혼합 레진을 기저 시트에 도포하고, 하드 몰드를 이용하여 제1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롤러에 프리즘 시트 원단을 장착하는 단계;
    제3 롤러에 지지 시트 원단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 시트 원단에 UV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즘 시트 원단과 상기 지지 시트 원단을 합지하고 UV 경화하여, 상기 프리즘 시트 원단의 제1 프리즘 패턴에 소수성부와 친수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프리즘 시트 원단과 상기 지지 시트 원단을 편광판 원단과 합지하고 재단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광학 필름을 액정 표시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 원단의 제1 프리즘 패턴에 소수성부와 친수성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즘 시트 원단이 UV 경화되면, 상기 제1 프리즘 패턴을 이루는 상기 혼합 레진이 소수성부와 친수성부로 상분리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50152671A 2015-10-30 2015-10-30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6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671A KR101764017B1 (ko) 2015-10-30 2015-10-30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5/297,796 US10108040B2 (en) 2015-10-30 2016-10-19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10946966.3A CN106959476B (zh) 2015-10-30 2016-10-26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671A KR101764017B1 (ko) 2015-10-30 2015-10-30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788A KR20170051788A (ko) 2017-05-12
KR101764017B1 true KR101764017B1 (ko) 2017-08-02

Family

ID=5863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671A KR101764017B1 (ko) 2015-10-30 2015-10-30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08040B2 (ko)
KR (1) KR101764017B1 (ko)
CN (1) CN106959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631A (ko) * 2015-12-01 2017-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841542B2 (en) * 2016-03-01 2017-12-12 Ubright Optronics Corporation Optical assembly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CN107121822B (zh) 2017-07-05 2019-12-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以及一种透明光学胶层结构
CN110389475B (zh) * 2018-04-20 2022-04-05 奇美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突起部的光学板、光学结构、背光模块及显示装置
US11106086B2 (en) * 2018-04-20 2021-08-31 Chimei Corporation Optical plate with protrusions, optical structur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010A (ja) * 2003-05-16 2007-02-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表面構造化光学フィルムの積み重ね方法
JP2010262094A (ja) 2009-05-01 2010-11-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037683A (ja) 2010-08-06 2012-02-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パネル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3543990A (ja) * 2010-10-28 2013-12-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超疎水性フィルム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0010A1 (en) * 2004-01-15 2008-04-17 Newsouth Innovations Pty Limited Hydrophobic Coating Composition
JP5132117B2 (ja) * 2006-10-10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832710B1 (ko) * 2006-12-07 2008-05-28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098654A (ja) * 2007-09-28 2009-05-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8865274B2 (en) * 2010-04-02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ignment film,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14460A (ko) * 2010-08-09 2012-02-17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일체형 광학시트
KR20130035538A (ko) * 2011-09-30 2013-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107281A (ja) * 2011-11-21 2013-06-06 Asahi Kasei E-Materials Corp 積層体
KR20140002869A (ko) * 2012-06-28 2014-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스위칭 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6377331B2 (ja) * 2013-09-27 2018-08-2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US9869809B2 (en) * 2014-03-12 2018-01-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cklight unit, liquid-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stacked structure
CN104142578B (zh) * 2014-08-20 2016-08-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裸眼三维显示器的二维三维切换装置
JP2016186043A (ja) * 2015-03-27 2016-10-2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相分離構造を含む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相分離構造形成用樹脂組成物
US9817156B2 (en) * 2015-03-30 2017-11-14 Fujifilm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010A (ja) * 2003-05-16 2007-02-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表面構造化光学フィルムの積み重ね方法
JP2010262094A (ja) 2009-05-01 2010-11-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037683A (ja) 2010-08-06 2012-02-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パネル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3543990A (ja) * 2010-10-28 2013-12-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超疎水性フィルム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59476B (zh) 2018-12-07
CN106959476A (zh) 2017-07-18
US10108040B2 (en) 2018-10-23
KR20170051788A (ko) 2017-05-12
US20170123262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932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액정 표시장치
KR101764017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54749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5346066B2 (ja) 表面構造化光学フィルムの積み重ね方法
KR101771316B1 (ko) 광학 필름 일체형 액정 표시장치
CN106814496B (zh) 光学膜和包括光学膜的液晶显示器
US2012016996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7003558B (zh) 复合光学片、使用其的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TW201227084A (en) Backlight module
JP5217370B2 (ja) 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105717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9577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50050A (ko) 일체형 광학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8018858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720435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1965333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239943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96554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553B1 (ko) 액정 표시장치
KR20140062697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도광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 백 라이트 유닛
KR20130039127A (ko) 광학시트 구조물
US9606399B2 (en) Member for controlling luminous flux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69474B1 (ko) 프리즘 보호시트
KR20140006208A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