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826B1 -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26B1
KR101763826B1 KR1020160057902A KR20160057902A KR101763826B1 KR 101763826 B1 KR101763826 B1 KR 101763826B1 KR 1020160057902 A KR1020160057902 A KR 1020160057902A KR 20160057902 A KR20160057902 A KR 20160057902A KR 101763826 B1 KR101763826 B1 KR 10176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oving body
support bar
head
appro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표
Original Assignee
(주)디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디디 filed Critical (주)디디디
Priority to KR102016005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60N2/82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using rubber-type material
    • B60N2/48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which enable a headrest to support the head of a passenger while minim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head of the passenger during a collision with a following vehicle by allowing the headrest to approach the head of the passenger doubly over two steps,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passenger. To this end, the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comprises: a rear cover forming a rear portion of the headrest and including a driving unit installed therein; a moving body reciprocating forward of the rear cover using power of the driving unit; a supporting bar installed in the moving body while being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and configured to spring forward of the moving body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 restrain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moving body and the supporting bar to restrain the support ba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retracted; a restrain releasing unit releasing the restraining member from the supporting bar by impeding the restraining member if the moving body overshoots a critical point in the course of forward movement of the moving body; and a front cover installed on the supporting bar and forming a front end portion of the headrest.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A headrest double approaching system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구간 내 차량이 추돌 전 헤드레스트가 두부(頭部)를 향해 2단계로 나뉘어 접근되도록 하되, 후방 차량의 추돌 예상 거리에 따라 탑승자 머리로의 헤드레스트 접근이 단계별로 두 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에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double approaching apparatus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ing system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double approaching apparatus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herein the headrest is divided into two steps toward the head,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that minim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by allowing the headrest access to the head of the occupant to be performed twice in accordance with the estimated distance of the vehicle, .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10)과, 등을 기댈 수 있는 시트백(20)과, 목과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레스트(30)로 구성된다.Generally, as shown in Fig. 1, an automobile seat is composed of a seat cushion 10 in which a passenger can sit, a seatback 20 capable of leaning back, and a headrest 30 capable of supporting a neck and a head do.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는 승객이 착좌했을 때 안락감을 느끼는 동시에 승객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다.Such an automobile sea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a passenger while feeling a sense of comfort when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이때, 헤드레스트(30)는 운전중 추돌 사고시, 머리나 목부위를 가장 안전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써 자동차용 시트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drest (30)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head or the neck part safel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during driving, which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in an automotive seat.

즉, 자동차의 주행 중 마주 오던 차량이나 전방 장애물에 충돌하면, 탑승자의 신체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급작스럽게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시트벨트나 에어백의 작용에 의해 상해 정도가 경감될 수 있으나, 주행 중 후방 차량의 과속에 의해 추돌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탑승자의 머리가 후방으로 급작스럽게 젖혀짐으로써 목에 심각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헤드레스트(30)가 머리(후두부)를 받쳐주어 상해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 vehicle or a front obstacle that is encountered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body of the occupant suddenly moves forward due to inertia. At this time, the degree of injury can be reduced by the action of a seat belt or an airbag. If a rear-end collision occurs due to the overspeed of the rear-end vehicle, the head of the occupant may be suddenly turned backward, resulting in serious injury to the neck. At this time, the headrest 30 supports the head The degree of injury can be reduced.

도 1 은 차량 추돌시 헤드 레스트(30)의 위치 및 사고 경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헤드 레스트(30)는 안전을 고려하여 슬라이딩이나 틸팅구조가 접목되어 있으나 이송 구간이 제한적이어서 일반적으로 탑승자의 습관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 레스트(30)간에 간격이 넓어 추돌사고시에는 헤드 레스트(30)가 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웠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and an accident state of a headrest 30 when a vehicle collision occurs. In the conventional headrest 30, a sliding or tilting structure is incorporat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30 is widened according to the habit of the occupant, so that the headrest 30 is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headrest 30.

즉,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30) 간에 간격이 넓어, 추돌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완벽히 받쳐주지 못하므로 탑승자의 머리가 순식간에 뒤로 젖혀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탑승자의 목부위에 심각한 상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30 is wide, the headrest can not completely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so that the head of the occupant is instantly turned backward. Can occur.

따라서, 헤드레스트(30)는 탑승자의 안전과 장시간 운전 시 잠시나마 두부(頭部)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자동차 주행시 헤드레스트(30)에서 탑승자의 머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으면 후방에서 추돌 발생시 탑승자의 목이 뒤로 급격히 젖혀짐은 물론 탑승자의 머리를 헤드레스트(30)가 지지해주는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헤드레스트(30)는 머리에 최대한 근접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headrest 30 is used for safety of the occupant and for comfortably supporting the head portion for a while when the occupant is operated for a long time. If the headrest 30 of the headrest 30 is very distant from the headrest 30 during driv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rest 30 is u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ead since the neck of the occupant is not suddenly bent back and the headrest 30 does not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추돌 사고 발생시 헤드레스트(30)가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줌으로써, 탑승자의 목 상해를 방지해주는 엑티브 헤드레스트(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236호)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의 엑티브 헤드레스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an active headrest (Korean Patent No. 10-0991236) which prevents head injury of the occupant by supporting the head of the occupant by moving the headrest 30 toward the head of the occupant A variety of technologies including active head rests have been developed.

하지만, 사고 발생시에 엑티브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이동되더라도, 급작스러운 사고 환경을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active headrest moves toward the head of the passenger at the time of an accid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a sudden accident environment.

즉, 기존의 고정된 헤드레스트에 비해서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효과가 있겠지만, 탑승자의 잘못된 자세나 급작스러운 추돌 사고시에 헤드레스트와 탑승자 머리 간에 간격을 효과적으로 좁히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although it would have an effect of supporting the occupant's head compared to the existing fixed headrest, it was somewhat unreasonabl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occupant's head in the wrong posture or sudden collision accident.

따라서, 추돌 사고시에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에 간격을 효과적으로 좁혀 헤드레스트의 제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n apparatus that maximizes the function of the headrest by effectivel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in a collision accid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236호Korean Patent No. 10-099123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돌 사고 예견시에는 헤드레스트를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1차로 근접시키고, 추돌 사고 직전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헤드레스트가 한번 더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중 접근을 통해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간격이 효율적으로 근접될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rest for a headres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can be efficiently brought close to each other through the double approach.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eadrest double access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드레스트의 후단부를 구성하며, 구동부가 설치된 리어커버;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통해 리어커버의 전방을 향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체;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되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도록 설치된 지지바;상기 이동체와 지지바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부재가 수축되도록 상기 지지바를 구속하는 구속부재;상기 이동체가 전방으로 직진하는 과정에서 임계점을 넘어가면 상기 구속부재를 간섭하여 지지바로부터 구속부재를 해제시키는 구속해제부;상기 지지바에 설치되며, 헤드레스트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rest comprising: a rear cover having a rear end portion of a headrest, the rear cover including a driving portion, a moving body reciprocating toward the front of the rear cover through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A restrain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oving body and the supporting bar to restrain the supporting ba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retracted, A restraint releasing part for releasing the restraint member from the support bar when the restraint member interferes with the restraining member when a straight line passes over a critical point, and a front cover which is provided on the support bar and constitutes a front end of the headrest. Device.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이동체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이동체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는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는 지지바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so as to extend and contract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f the moving body, both ends of the supporting bar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elastic members,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bracket for guiding is provided.

이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바의 양측을 지지하는 스톱퍼핀이 형성되되, 상기 스톱퍼핀은, 상기 지지바를 이동체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topper pin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ba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and the stopper pin is formed to support the support bar in an inclined manner toward the front of the moving body.

또한, 상기 지지바는, 프론트 커버의 상단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결합된 메인 지지바와, 상기 이동체와 프론트 커버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된 서브 지지바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pport bar is composed of a main support bar coup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sub support coup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obile unit and the front cover.

또한, 상기 구속부재는 이동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지지바를 걸어 구속시키는 걸쇠로 마련되고, 상기 구속해제부는 리어커버로부터 이동체를 통과해 전방으로 돌출되되 이동체가 전방으로 이동시 임계점을 지나면 상기 걸쇠를 간섭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지지바로부터 걸쇠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traint member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moving body and is provided with a latch for restraining a supporting bar. The restraint releasing portion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ar cover through the moving body. When the moving body moves forward through the critical point, So that the restraint of the latch is released from the support bar.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써, 제 5항의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가 마련되고,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 및 접근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 및 접근 속도를 2단계로 구분하여, 헤드레스트 작동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drest double access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an approach distance and an approach speed of the rear vehicle; A headrest dual approach system comprising: a controller that divides the distance and the approaching speed into two stages, in which the headrest operation is doubled.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이동체만 1차 이동시키는 옐로우 단계와, 이동체를 2차 이동시켜 구속해제부로 하여금 구속부재의 지지바 구속을 해제시키는 레드 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divides the control into a yellow step for moving only the moving body first, and a red step for moving the moving body secondarily and releasing the restraint releasing part to restrain the supporting bar of the restrain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headrest double approaching device and the headrest double approaching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센서 감지를 통해 후방 차량의 근접 상태를 2단계로 구분하고,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작 역시 각 단계에 따라 이중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추돌 사고 직전시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proximity of the rear vehicle is divided into two stages by the sensor detection and the operation in which the headrest protrudes forward is also operated in accordance with each stag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is minimized immediately before the actual collision .

즉, 후방 차량 접근이 감지되면, 헤드레스트가 1차로 돌출되도록 한 후, 실제 추돌 직전시에는 헤드레스트가 돌출된 위치로부터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추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사고시에는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효과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ear vehicle approach is detected, the headrest protrudes first, and then the headrest protrudes further from the protruded position toward the head of the occupant immediately before the actual collision, You can effectively support your head.

따라서, 추돌 사고시에 탑승자 상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occupant injury can be minimized at the time of a collision accident.

도 1은 차량 추돌 사고시 탑승자의 머리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이 작동되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d of a passenger is bent backward in a vehicle collision accid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rest double approach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rest doub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hrough 4C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drest doub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ted;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head rest double approach system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operating a headrest double access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headrest doub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C.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는, 추돌 사고 범위에 근접된 경우와 추돌 사고 직전의 경우 2단계로 구분하여 헤드레스트가 작동되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headrest double approaching device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headrest is operated by dividing into two stages, that is, in the case of approaching the collision accident range and immediately before the collision accident.

이에 따라, 추돌 사고시 헤드레스트와 탑승자의 머리 사이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head of the occupant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injury of the occupant can be minimized.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커버(100)와, 구동부(200)와, 이동체(300)와, 지지바(400)와, 구속부재(500)와, 구속해제부(600)와, 프론트 커버(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headrest double access device includes a rear cover 100, a driving unit 200, a moving body 300, a supporting bar 400, a restraint member 500, A restraining releasing part 600, and a front cover 700.

리어커버(100)는 헤드레스트의 후단부를 구성하며, 전면이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한다.The rear cover 100 constitutes a rear end portion of the headrest, and forms a space portion whose front surface is opened.

상기 공간부는 후술하는 이동체(300)가 리어커버(100)의 전방으로 왕복 운동하기 위한 공간이며, 그 내부에는 구동부(200)가 설치된다.The space portion is a space for a moving body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reciprocate forward of the rear cover 100, and a driving portion 200 is installed therein.

그리고, 리어커버(100)의 전면 개구부에는 고정패널(110)이 설치된다.A fixed panel 110 is installed at the front opening of the rear cover 100.

고정패널(110)은 후술하는 구속해제부 및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The fixed panel 11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restraining portion and a guid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고정패널(110)의 전면에는 구속해제부가 설치되고, 고정패널(110)의 배면에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다.At this time, a restraining release portion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anel 110, and a guiding means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panel 110. [

상기 고정패널(110)은 리어커버(100)의 전면 전체를 차폐시키는 것은 아니며, 리어커버(100)의 바닥에 고정되되 고정패널(110)의 측단부와 리어커버(100) 사이 및 고정패널(110)의 상단부와 리어커버(100) 사이는 이격된 상태가 된다.The fixing panel 110 does not shield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100 bu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ar cover 100 and between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ixing panel 110 and the rear cover 100, 110 and the rear cover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다음으로, 구동부(200)는 이동체(300)를 리어커버(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전,후진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리어커버(100)의 공간부에 설치된다.The driving unit 200 generates power for reciprocally moving the moving body 300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100 and is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rear cover 100.

구동부(200)는 모터(210)와 회전축(220)을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motor 210 and a rotating shaft 220.

모터(210)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축(220)은 스크류 타입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The motor 210 may include a speed reducer, and the rotation shaft 220 may be a screw type.

상기 회전축(220)은 리어커버(100) 전면의 고정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20)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리어커버(100)와 고정패널(110) 사이에 가이드수단(230)이 설치된다.The rotation shaft 220 is rotatably installed on a fixed panel 11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100 and guided between the rear cover 100 and the fixed panel 110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axis 220, (230).

가이드수단(230)은 회전축(220)의 회전동력에 의해 이동체(300)가 전,후진 되는 과정을 가이드 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수단(230)은 봉 타입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The guide means 230 guides the process of moving the movable body 300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rotary shaft 220. The guide means 230 may be a rod type.

다음으로, 이동체(300)는 구동부(200)의 동력을 받아 프론트 커버(700)를 전,후진 시키는 역할을 하며, 회전축(220) 및 가이드 수단(230)에 결합된다.The moving body 300 receives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200 to move the front cover 700 forward and backward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20 and the guide unit 230.

이때, 이동체(300)는 함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unit 300 is configured as a housing.

이동체(300)의 전면에는 프론트 커버(700)가 전방으로 튀어나가게 하기 위한 주요 구성들이 설치되며, 이동체(300)의 배면에는 회전축(220) 및 가이드수단(230)이 결합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ody 300 is provided with major components for causing the front cover 700 to protrude forward and the rotating shaft 220 and the guiding means 230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body 300.

이때, 이동체(300)와 회전축(220) 및 가이드수단(230) 사이에는 서로를 체결시키기 위한 매개체인 체결부재(31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a fastening member 310, which is a medium for fastening each other, is provided between the moving body 300, the rotary shaft 220, and the guide means 230.

이중 상기 회전축(220)과 이동체(30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310)의 내주면에는 회전축(220)과 스크류 체결된 암나사가 형성된다. A rotating shaft 220 and a screw threaded screw thread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310 coupling the rotating shaft 220 and the moving body 300.

이러한 구성의 이동체(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커버(100)의 고정패널(110)을 감싸는 공간을 구성하며, 그 공간의 간격만큼 이동체(300)의 이동 거리가 마련되는 것이다.4A, the moving body 3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onstitutes a space for enclosing the fixed panel 110 of the rear cover 100,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ody 300 is provided by the distance of the space .

그리고, 이동체(300)의 전면에는 중앙홀(320)이 형성된다.A center hole 3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ody 300.

중앙홀(320)은 고정패널(110)에 설치된 구속해제부(600)가 드나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동체(300) 이동시 구속해제부(60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The center hole 320 serves to prevent the interference with the restraining portion 600 when the movable body 300 is moved to and from the restraining portion 600 installed in the fixed panel 11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한편, 이동체(300)의 전면에는 중앙홀(320)을 기준으로 양측에 탄성부재(330) 및 가이드 브라켓(340)이 각각 설치된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ody 300, elastic members 330 and guide brackets 34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hole 320.

탄성부재(330)는 지지바(400)로 하여금 프론트 커버(700)가 앞으로 튀어 나가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동체(300)의 전면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The elastic member 330 serves to generate a force for causing the support bar 400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cover 700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unit 300 in a pair.

즉,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이용해 프론트 커버(700)가 앞으로 튀어나가는 힘을 얻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30 is utilized to obtain a force for the front cover 700 to protrude forward.

탄성부재(330)는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며, 그의 탄성력은 이동체(300)에서 상방으로 작용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mber 330 is preferably a spring, and its elastic force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act upwardly on the mobile body 300.

이때, 탄성부재(330)의 신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바(331)가 마련되며, 가이드바(331)는 이동체(300)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At this time, a guide bar 331 for guiding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elastic member 330 is provided, and the guide bar 331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ody 300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이때, 이동체(3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전방으로 절곡된 절곡편(300a)이 형성되며, 가이드바(331)의 양단부는 상기 절곡편(300a)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ing body 300 are respectively bent forwardly and the both ends of the guide bar 331 are coupled to the bending piece 300a.

또한, 상기 가이드바(331)에는 탄성부재(330)의 수축을 유지시키는 수축유지부재(332)가 결합되며, 상기 수축유지부재(332)는 탄성부재(330)가 복원될 때 가이드바(331)를 따라 상승된다.A shrinkage holding member 332 for holding the shrinkage of the elastic member 330 is coupled to the guide bar 331. The shrinkage holding member 332 is coupled to the guide bar 331 when the elastic member 330 is restored, .

그리고, 가이드 브라켓(340)은 프론트 커버(700)가 앞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체(300)의 전면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The guide bracket 340 serves to guide the front cover 700 to protrude forward,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body 300 as a pair.

이때, 가이드 브라켓(340)은 탄성부재(330)의 상방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bracket 340 is installed above the elastic member 330.

상기 가이드 브라켓(34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핀(341)이 형성된다.The guide bracket 340 is formed with a stopper pin 341 as shown in FIG.

스톱퍼핀(341)은 프론트 커버(700)가 설치된 지지바(4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가이드 브라켓(340)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The stopper pin 341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upport bar 400 provided with the front cover 700 an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340, respectively.

이때, 스톱퍼핀(341)은 가이드 브라켓(34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스톱퍼핀(341)의 배열은 이동체(300)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열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topper pins 341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guide bracket 340,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opper pins 341 is arrang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moving body 300.

이에 따라, 지지바(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핀(341)을 통해 이동체(300)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지지된다.2, the support bar 400 is supported in an inclined manner forward of the moving body 300 through the stopper pin 341.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지지바(400)는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340)을 따라 이동되며, 프론트 커버(700)를 앞으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Next, the support bar 400 is moved along the guide bracket 34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30 and serves to project the front cover 700 forward.

즉, 지지바(400)는 수축되어 있던 탄성부재(300)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340)의 스톱퍼핀(341)에 지지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bar 400 is moved upwar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topper pin 341 of the guide bracket 340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while the constricted elastic member 300 is released.

상기 지지바(400)는 메인지지바(410)와, 서브 지지바(4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bar 400 may include a main support bar 410 and a sub support bar 420.

메인 지지바(410)는 프론트 커버(700)를 실질적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탄성부재(330)와 프론트 커버(700)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된다.The main support bar 410 functions to substantially actuate the front cover 70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

메인 지지바(410)는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340) 사이의 너비에 대응되는 수평부(411)와, 상기 수평부(411)의 양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탄성부재(330)에 고정된 수직부(412)와, 상기 수평부(411)의 하방으로 평행하게 수직부(412) 사이에 고정된 평행부(4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in support bar 41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411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guide brackets 340 and a vertical portion 411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411 and fixed to the elastic member 330. [ And a parallel portion 413 fix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41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411 in parallel.

수평부(411)는 프론트 커버(70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수평부(411)와 프론트 커버(700)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호 간에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연결브라켓(430)이 설치된다.The horizontal part 41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and a connection bracket 430 is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part 411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

상기 연결브라켓(430)은 수평부(411)를 걸어 결합시키는 후크부(431)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bracket 430 includes a hook portion 431 to which the horizontal portion 411 is engaged.

수직부(412)는 탄성부재(330)와 수평부(411)를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탄성부재(330)를 수축하고 있는 수축유지부재(332)에 결합된다.The vertical portion 412 serves to link the elastic member 330 and the horizontal portion 411 and is coupled to the contraction holding member 332 which contracts the elastic member 330.

평행부(413)는 수평부(411)를 통해 탄성부재(330)를 누르고 있는 과정에서, 구속부재(500)로 하여금 탄성부재(330)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는바, 이때 구속부재(500)에 걸어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parallel portion 413 is required to hold the elastic member 330 in a pressed state while the elastic member 330 is being pressed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 411. At this time, 500, respectively.

즉, 평행부(413)는 구속부재(500)에 걸려 메인 지지바(410)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That is, the parallel portion 413 is engaged with the restricting member 500 to restrict the flow of the main support bar 410.

그리고, 서브 지지바(420)는 프론트 커버(7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체(300)와 프론트 커버(700)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다.The sub support bar 420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moving body 300 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이때에도 프론트 커버(700)의 하단부와 서브 지지바(420) 사이에는 상호 간에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연결브라켓(430)이 설치된다.At this time, a connection bracket 43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and the sub support bar 420, which i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and the sub support bar 420.

서브 지지바(420)는 연결 브라켓(430)의 후크부(431)에 걸려 결합된 수평부(421)와, 상기 수평부(421)의 양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이동체(300)에 결합된 수직부(422)로 구성된다.The sub supporting bar 42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421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431 of the connection bracket 430 and a vertical portion 421 bent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421 and coupled to the moving body 300, (422).

이때, 수직부(422)의 양단부는 이동체(300) 상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수평부(421) 역시 후크부(431) 상에서 자유 회전될 수 있으므로 프론트 커버(700)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of the vertical portion 422 are freely rotatably shaft-coupled on the moving body 300 and the horizontal portion 421 can freely rotate on the hook portion 431. Therefore, So that it can be smoothly performed.

한편, 서브 지지바(420)의 수직부(422) 길이는 메인 지지바(410)의 수직부(412)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422 of the sub support bar 420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412 of the main support bar 410.

이는, 프론트 커버(700)가 앞으로 튀어나갔을 때, 프론트 커버(700)의 전면이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700 inclined downward when the front cover 700 is projected forward.

즉,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700)의 전면이 하방을 향해 경사짐으로써, 탑승자의 머리는 더욱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700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head of the occupant can be more safely protected.

다음으로, 구속부재(500)는 메인 지지바(410)를 하방으로 구속하여 탄성부재(330)의 수축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Next, the restraint member 500 restrains the main support bar 410 downward to maintain the elastic member 330 in a contracted state.

구속부재(500)는 메인 지지바(410)의 평행부(413)를 상방에서 걸어 구속하는 걸쇠(510)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The restraint member 5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atch 510 for restricting the parallel portion 413 of the main support bar 410 from above.

이때, 걸쇠(510)는 이동체(300) 상에서 이동체(300)의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latch 51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obile unit 300 on the mobile unit 300.

즉 걸쇠(510)가 이동체(300)의 전방으로 회동되면 평행부(413)를 걸어 메인지지바(410)가 상승되지 않도록 구속시키고, 걸쇠(510)가 이동체(300)의 후방으로 젖혀지면 메인지지바(410)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atch 510 is pivoted forward of the mobile body 300, the parallel portion 413 is pushed to restrain the main support bar 410 from being lifted. When the latch 510 is bent backward of the mobile body 300, The restraint of the support bar 410 is released.

한편, 상기 걸쇠(510)는 이동체(300)에 설치된 설치브라켓(350)에 설치되되, 상부걸쇠(511)와, 하부걸쇠(512)로 분리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 510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racket 350 installed on the mobile body 300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latch 511 and the lower latch 512.

상부 걸쇠(511)는 평행부(413)를 걸어 구속시키며, 설치브라켓(350)의 상부에 축 결합된다.The upper latch 511 rests on the parallel portion 413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350.

그리고, 하부 걸쇠(512)는 상부 걸쇠(511)의 회동을 구속시키며, 설치브라켓(350)의 하부에 축 결합된다.The lower latch 512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upper latch 511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bracket 350.

즉, 하부 걸쇠(512)는 상부걸쇠(511)가 평행부(413)로부터 후방으로 젖혀지는 회동을 구속하여, 메인지지바(410)의 구속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이다.That is, the lower latch 512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upper latch 511 from being pushed back from the parallel portion 413, thereby maintaining the state of restraining the main support bar 410.

이때, 하부 걸쇠(512)의 상단부는 상부 걸쇠(511)의 하단부를 밀착하여 구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걸쇠(512)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lower latch 512 closely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upper latch 511, and a torsion spring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lower latch 512 to maintain this state.

다음으로, 구속해제부(600)는 상부 걸쇠(511)를 구속하고 있는 하부 걸쇠(512)를 회동시켜 상부 걸쇠(511)에 대한 하부 걸쇠(512)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Next, the restraining part 600 rotates the lower latch 512 restricting the upper latch 511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lower latch 512 with respect to the upper latch 511.

정확하게는, 이동체(30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부 걸쇠(512)의 하단부가 구속해제부(600)에 자동으로 간섭되도록 하여, 하부 걸쇠(512)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걸쇠(511)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Precisely the lower end of the lower latch 512 is automatically interfered with the restraint releasing part 60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bile body 300 forward so that the lower latch 512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latch 511 So that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t is released.

이를 위한 구속해제부(600)는 고정패널(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편(610)과, 돌출편(610)의 단부에 설치된 간섭부(620)로 구성된다.The restraint releasing portion 600 for this purpose includes a protruding piece 61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xed panel 110 and an interfering portion 620 provid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piece 610.

돌출편(610)은 고정패널(110)로부터 이동체(300)의 중앙홀(320)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된다.The projecting pieces 610 protrude forward from the fixed panel 110 through the center hole 320 of the moving body 300. [

간섭부(620)는 돌출편(6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회전부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ference portion 620 is provided as a rotatable member that is rotatably and axially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piece 610.

이는, 하부 걸쇠(512)와의 간섭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ake the interference with the lower latch 512 more flexible.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double approaching devic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도 4a는 헤드레스트의 최초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체(300)는 리어커버(100) 측에 위치된 상태이며, 탄성부재(330)는 구속부재(500)에 의해 수축이 유지된 상태이다.4A is a side view of the headrest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300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rear cover 100 and the elastic member 3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shrinkage is maintained by the restricting member 500 .

또한, 구속해제부(600)는 이동체(300)의 중앙홀(320)을 통해 이동체(3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이다.The restraining portion 600 is exposed forward of the moving body 300 through the center hole 320 of the moving body 300.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방 차량의 접근 속도 및 접근 거리에 따라, 이동체(300)가 1차로 이동된다.In this state, the moving object 300 is moved primarily according to the approaching speed and approach distance of the rear vehicle.

즉, 구동부(200)의 모터(210)에 의해 스크류 타입의 회전축(220)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동체(300)와 회전축(220) 사이에 결합된 체결부재(310)는 회전축(220)을 따라 리어커버(100)의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체(300) 역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커버(100)의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crew type rotary shaft 220 is rotated by the motor 210 of the driving unit 200, and the fastening member 310 coupled between the moving body 300 and the rotary shaft 220 rotates the rotary shaft 220 The moving body 300 moves to the front of the rear cover 100 as shown in FIG. 4B.

이때, 이동체(300)는 가이드수단(230)을 통해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unit 300 can be flexibly moved through the guide unit 230.

이때, 이동체(300)의 1차 이동 거리는 구속부재(500)가 구속해제부(600)의 간섭부(620)에 근접될 때까지로서, 구속부재(500)의 구속이 해제되기 전 까지의 거리이다.The primary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ody 300 is a distance until the restraint member 500 approaches the interference portion 620 of the restraint releasing portion 600 and the distance before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t member 500 is released to be.

이와 같이 이동체(300)의 1차 이동에 의해, 이동체(300)에 결합된 프론트 커버(700)는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700 coupled to the moving body 300 can be moved toward the head of the occupant by the first movement of the moving body 300. [

이후, 후방 차량의 접근 거리가 추돌사고 직전까지 근접되면, 구동부(300)에 의해 이동체(300)가 2차로 이동된다.Thereafter, when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rear vehicle approaches up to just before the collision, the mobile unit 300 is moved by the driving unit 300 by the second movement.

이때, 구속부재(500)의 하부 걸쇠(512) 하단부는 구속해제부(600)의 간섭부(620)에 의해 자동으로 올라타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lower latch 512 of the restraint member 500 is automatically lifted by the interfering portion 620 of the restraint releasing portion 600 and is pivot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4C.

이에 따라, 상부 걸쇠(511)를 밀착하고 있던 하부 걸쇠(512)의 구속력이 해제되고,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지지바(410)는 상방으로 상승된다.Thus,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lower latch 51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latch 511, is released, and the main support bar 410 is lift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30.

이때, 구속부재(500)의 상부 걸쇠(511)는 자유회전되도록 축 결합된 상태이므로, 메인지지바(410)의 상승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회동하면서 평행부(413)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upper latch 511 of the restraint member 500 is in the state of being axially coupled so as to freely rotate, the restraint to the parallel portion 413 is released while rotating to the right side in the figure by the upward force of the main support bar 410 do.

이때, 메인지지바(410)의 수직부(412)는 가이드 브라켓(340)의 스톱퍼핀(341)을 따라 상승되다가 수축유지부재(332)에 의해 상승이 억제되고, 이와 동시에 메인 지지바(410)의 수평부(411)는 수직부(412)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이동체(300)의 전방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700)가 전방으로 튀어나가게 된다.At this time, the vertical portion 412 of the main support bar 410 is lifted along the stopper pin 341 of the guide bracket 340 and is prevented from rising by the retention member 332. At the same time, the main support bar 410 The horizontal portion 411 of the vertical portion 412 is rotated toward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300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412 so that the front cover 700 protrudes forward as shown in FIG.

이때, 프론트 커버(700)의 상단부에 결합된 메인 지지바(410)의 길이가 프론트 커버(700)의 하단부에 결합된 서브 지지바(420)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론트 커버(700)의 전면은 하방을 향해 경사진 상태가 됨을 이해할 수 있다.Since the length of the main support bar 41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b support bar 4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700, Can be understood to be inclin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이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 보호가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occupant's head protection can be made safer.

한편, 전술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차량에 시스템화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headrest double approach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it in the vehicle.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is show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ttached hereto.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은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에 센서(800)와, 컨트롤러(900)를 구성하여 마련할 수 있다.The headrest double access system can be provided by configuring the sensor 800 and the controller 900 in the headrest double access system.

센서(800)는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와 후방 차량과의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800 senses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rear vehicle and the speed of the rear vehicle.

즉, 후방 차량의 근접 만으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가 작동하는 것은 아니며, 센서(800)는 후방 차량의 접근속도도 함께 감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oximity of the rear vehicle does not operate the head 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the sensor 800 should be able to sense the approach speed of the rear vehicle as well.

다음으로, 컨트롤러(900)는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이동체(300)를 레디 단계와, 엑티브단계 즉, 2단계로 구분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Next, the controller 900 controls the driving unit 200 to move the mobile unit 300 into the ready stage and the active stage, that is, two stages.

즉, 컨트롤러(900)는 추돌 경보 단계인 레디 단계를 더 두어, 헤드레스트를 탑승자의 머리에 미리 근접시켜 놓음으로써 실제 추돌사고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접근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질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900 further includes a ready step, which is a collision warning step, so that the distance that the actual head restraint can be approached toward the head of the occupant can be shortened by bringing the head rest closer to the head of the occupant in advance will be.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와 탑승자의 머리 접촉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headrest and the occupant's head contact can be made more effective.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6 attached hereto.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2단계로 구분시킨다.As shown in FIG. 6,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divided into two stages.

1단계가 실행되는 레디 존과, 2단계가 실행되는 엑티브 존으로 구분된다.A ready zone in which the first stage is executed, and an active zone in which the second stage is executed.

레디 존은 추돌 경보 단계를 위한 구역으로서, 미리 설정해 놓은 접근 거리(속도)내의 범위임과 더불어, 급제동시에는 추돌 사고를 면할 수 있는 정도의 구역을 말한다.The red zone is the zone for the collision warning phase, which is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t approach distance (speed), and is the zone where the collision accident is avoided at the same time.

레디 존에 후방 차량이 접근하면, 구동부(200)는 작동하여 이동체(300)로 하여금 프론트 커버(700)를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1차 이동시킨다.When the rear vehicle approaches the ready zone, the driving unit 200 operates to move the front body 700 toward the head of the occupant.

이때, 프론트 커버(700)의 이동 거리는 탑승자의 머리에 직접 닿을 정도는 아니며, 프론트 커버(700)의 최초 상태와 탑승자의 머리 중간 정도임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front cover 700 does not directly touch the head of the occupant, but is about the middle of the initial state of the front cover 700 and the occupant's head.

이때, 후방 차량이 레디 존에 들어온 후, 추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거나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다시 멀어지면 컨트롤러(900)는 이를 인식하여 구동부(200)의 모터(210)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프론트 커버(700)는 원위치된다.At this time, if a rear-end vehicle enters the ready zone and no collision accident occurs or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becomes farther away, the controller 900 recognizes the collision and rotates the motor 210 of the driving unit 200 to rotate the front cover 700) are in place.

한편, 엑티브 존은 후방 차량이 급제동하더라도, 추돌 사고를 면하지 못할 정도의 구역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tive zone refers to a zone where a rear-end vehicle can not avoid a collision accident even if the vehicle suddenly brakes.

이에 따라, 후방 차량이 레디 존을 지나 엑티브 존에 진입하면, 컨트롤러(900)는 이동체(300)를 1차 이동시킨 후에 재차 이동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rear vehicle passes the ready zone and enters the active zone, the controller 900 first moves the mobile body 300, and then moves it again.

즉, 컨트롤러(900)는 이동체(300)를 1차로 이동시켜 프론트 커버(700)를 탑승자의 머리에 근접시킨 후, 후방 차량이 엑티브 존에 진입할 경우 이동체(300)를 한번 더 이동시켜 지지바(400)가 앞으로 튀어나가게 함으로써 프론트 커버(700)가 탑승자의 머리를 신속하게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900 first moves the moving body 300 to bring the front cover 700 close to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n moves the moving body 300 once more when the rear vehicle enters the active zone, So that the front cover 700 rapidly protrudes from the head of the occupant.

따라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injury of the occupant can be minimiz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및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은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향해 이중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rest double approaching device and the headrest double approa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headrest can be doubly approached toward the head of a passenger.

이에 따라, 실제 추돌 사고시에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에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interval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can be minimized at the time of an actual collision accident, so that the injury of the occupant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리어 커버 110 : 고정패널
200 : 구동부 210 : 모터
220 : 회전축 230 : 가이드 수단
300 : 이동체 300a : 절곡편
310 : 체결부재 320 : 중앙홀
330 : 탄성부재 331 : 가이드바
332 : 수축유지부재 340 : 가이드 브라켓
341 : 스톱퍼핀 350 : 설치 브라켓
400 : 지지바 410 : 메인 지지바
411, 421 : 수평부 412,422 : 수직부
413 : 평행부 420 : 서브 지지바
430 : 연결브라켓 431 : 후크부
500 : 구속부재 510 : 걸쇠
511 : 상부걸쇠 512 : 하부걸쇠
600 : 구속해제부 610 : 돌출편
620 : 간섭부 700 : 프론트 커버
800 : 센서 900 : 컨트롤러
100: rear cover 110: fixed panel
200: driving unit 210: motor
220: rotation shaft 230: guide means
300: Moving body 300a: Bending piece
310: fastening member 320: center hole
330: elastic member 331: guide bar
332: shrinking holding member 340: guide bracket
341: Stopper pin 350: Mounting bracket
400: support bar 410: main support bar
411, 421: horizontal part 412, 422: vertical part
413: parallel portion 420: sub support bar
430: connection bracket 431: hook part
500: restraint member 510: latch
511: upper latch 512: lower latch
600: restraint releasing portion 610:
620: Interference part 700: Front cover
800: Sensor 900: Controller

Claims (7)

헤드레스트의 후단부를 구성하며, 구동부가 설치된 리어커버;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통해 리어커버의 전방을 향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되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도록 설치된 지지바;
상기 이동체와 지지바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부재가 수축되도록 상기 지지바를 구속하는 구속부재;
상기 이동체가 전방으로 직진하는 과정에서 임계점을 넘어가면 상기 구속부재를 간섭하여 지지바로부터 구속부재를 해제시키는 구속해제부;
상기 지지바에 설치되며, 헤드레스트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A rear cover constituting a rear end portion of the headrest and provided with a driving portion;
A moving body reciprocating toward the front of the rear cover through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A support bar installed on the moving body and elastically supported via an elastic member and protruding forward of the moving body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 restrain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oving body and the support bar to restrain the support ba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retracted;
A restrain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restraint member from the supporting bar by interfering with the restricting member when the moving body passes the critical point in the course of forward movement;
And a front cover provided on the support bar and constituting a front end portion of the headres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이동체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이동체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는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는 지지바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so as to be pushed and contrac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f the moving body,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elastic members,
Wherein a guide bracket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ba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바의 양측을 지지하는 스톱퍼핀이 형성되되,
상기 스톱퍼핀은, 상기 지지바를 이동체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bracket is provided with a stopper pin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bar,
Wherein the stopper pin is formed to support the support bar in an inclined manner toward the front of the moving body.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프론트 커버의 상단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결합된 메인 지지바와,
상기 이동체와 프론트 커버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된 서브 지지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upport bar comprises:
A main support bar coupl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sub support coupled between the moving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이동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지지바를 걸어 구속시키는 걸쇠로 마련되고,
상기 구속해제부는 리어커버로부터 이동체를 통과해 전방으로 돌출되되 이동체가 전방으로 이동시 임계점을 지나면 상기 걸쇠를 간섭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지지바로부터 걸쇠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straint member is provided on the movable body so as to be rotatable, and is provided with a latch for restraining the support bar,
Wherein the restraint releasing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restraint of the latch is released from the supporting bar by interfering with the latch when the moving body passes the critical point when the moving body moves forward through the moving body from the rear cover.
제 5항의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장치가 마련되고,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 및 접근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 및 접근 속도를 2단계로 구분하여, 헤드레스트 작동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
A head rest double approach device according to claim 5 is provided,
A sensor for detecting the approach distance and approach speed of the rear vehicl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ensor and dividing the approach distance and the approaching speed of the rear vehicle into two stages so that the headrest operation is doubl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이동체만 1차 이동시키는 레디 단계와, 이동체를 2차 이동시켜 구속해제부로 하여금 구속부재의 지지바 구속을 해제시키는 엑티브 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중 접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le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adrest dual approach system by dividing the headrest dual approach system into a ready stage in which only the moving body is moved first and an active stage in which the moving body is moved by secondary movement to release the restraining member from restraining the support bar.


KR1020160057902A 2016-05-12 2016-05-12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KR101763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02A KR101763826B1 (en) 2016-05-12 2016-05-12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02A KR101763826B1 (en) 2016-05-12 2016-05-12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26B1 true KR101763826B1 (en) 2017-08-02

Family

ID=5965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902A KR101763826B1 (en) 2016-05-12 2016-05-12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97B1 (en) 2018-07-20 2019-02-11 (주)현대기업 Power headresting apparatus
KR102107413B1 (en) * 2018-10-29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Variable vehicle se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910A (en) 2000-09-26 2002-05-21 Daimler Chrysler Ag Headre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910A (en) 2000-09-26 2002-05-21 Daimler Chrysler Ag Headre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97B1 (en) 2018-07-20 2019-02-11 (주)현대기업 Power headresting apparatus
KR102107413B1 (en) * 2018-10-29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Variable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405B2 (en) Airbag for vehicle
JP4492439B2 (en) Headrest
US8393667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1763826B1 (en) A headrest double approach device and a headrest double approach system using the same
US20200108748A1 (en) Vehicle seat
KR20210060236A (en) Front airbag divice for vehicle
CN114379437A (en) Device for preventing forward dive of folding and dive seat of vehicle
JP2019123333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KR101116704B1 (en) Active headrest device for vehicle
KR101028398B1 (en) Active Headrest
KR20180061840A (en) Dive seat for vehicle with anti-submarine function
KR101315794B1 (en) Active headrest device for vehicle
KR20170056744A (en) Walk-in apparatus for seat
JP4192913B2 (en) Crew protection device
KR20010106597A (en) Headrest
JP2019209772A (en) Child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5742769B2 (en) Vehicle seat
KR101985702B1 (en) Locking structure of active headrest for a vehicle
KR20130049401A (en) Variable width type head rest unit
KR100747876B1 (en) A structure for preventing reclining release of seat for vehicle
KR200489606Y1 (en) Apparatus of foldable headrest
JP2018150005A (en) Vehicular table device
KR101763805B1 (en) Speed-sensitive active headrest
KR20090131070A (en) Active headrest of vehicle
KR101407270B1 (en) Active headres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