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749B1 -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749B1
KR101763749B1 KR1020110027461A KR20110027461A KR101763749B1 KR 101763749 B1 KR101763749 B1 KR 101763749B1 KR 1020110027461 A KR1020110027461 A KR 1020110027461A KR 20110027461 A KR20110027461 A KR 20110027461A KR 101763749 B1 KR101763749 B1 KR 10176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eception sensitivity
list
alternative
cumul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822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49B1/ko
Priority to US13/412,053 priority patent/US9172478B2/en
Priority to EP12158544.2A priority patent/EP2506463B1/en
Publication of KR2012010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3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radio data system/radio broadcast data system [RDS/RB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에서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대체주파수(Alternative Frequency)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은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Main Frequency)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대체주파수(Alternative Frequency)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까지 수신된 대체주파수 목록들로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 수신 감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CHANGING FREQUENCY OF RADIO DATA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에서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대체주파수(Alternative Frequency)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adio Data System, RDS)은 스테레오(stereo)를 전송하는 FM 라디오 방송에서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무선호출, 자동튜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기 등의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알디에스(RDS)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알디에스 데이터에는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방송국의 주파수 정보인 대체주파수 목록(AF List : Alternative Frequency List), 방송국명, 방송국의 국적, 송신 위치 등의 식별부호인 프로그램 식별코드(PI code: Program Identification code)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기는 자동튜닝 기능을 제공하며, 대체주파수 목록의 주파수로 자동 전환을 수행한다. 즉, 청취자가 주파수를 일일이 바꿀 필요 없이, 단말기가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일정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대체주파수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라디오 방송을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단말기가 대체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프로그램 식별자(PI)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음 단절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음 단절 현상이란 라디오 청취 중에 짧게는 수 ms에서 길게는 수 초 동안 아무 소리도 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대체주파수로의 전환 기능은 전계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는 환경에 맞추어져서 설정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빠른 주기로 체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주파수 수신 감도 체크 주기는 비교적 길게 설정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긴 주파수 수신 감도 체크 주기를 급격한 전계 변화가 발생하는 환경에 적용하는 경우, 적절한 시기에 양호한 대체주파수로 전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라디오 주파수가 중첩된 지역의 예시도이다. 도 1의 영역 '11'은 세 개의 채널 (102.4Mhz, 105.1Mhz, 88.3Mhz)이 중첩되는 영역이다. 영역(11)에서는 전계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하면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 때, 대체주파수의 수신 감도는 양호한 상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말기는 신속하게 대체주파수로의 전환을 수행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주파수 수신 감도 체크 주기를 짧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현재 주파수 수신 감도 체크 주기를 짧게 하면,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빈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음 단절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신호가 미약한 건물이나 지하로 진입하는 경우, 현재 주파수뿐만 아니라 대체주파수의 수신 감도도 불량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더라도 대체주파수의 수신 감도 역시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전환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단말기가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불량하다는 이유로 반복적으로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다 보면, 주파수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음 단절 현상만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또한 터널을 통과하거나 단말기의 안테나 상태 변경으로 인해 일시적인 약 전계 환경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은 일시적인 현상으로서 곧 소멸할 것이므로, 주파수 전환 없이 현재 주파수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말기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불량하다는 이유로 반복적으로 주파수 전환을 시도할 것이며, 이로 인해 음 단절 현상이 빈번히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라디오 청취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음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라디오 청취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음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은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Main Frequency)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대체주파수(Alternative Frequency)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까지 수신된 대체주파수 목록들로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 수신 감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는 대체주파수(Alternative Frequency) 목록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DS 튜너(tuner);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대체주파수 목록을 추출하는 RDS 데이터 처리부; 현재까지 수신된 대체주파수 목록들로 구성되는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저장하는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데이터베이스;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며,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Main Frequency)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 수신 감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주파수 전환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은 라디오 청취 환경을 고려하여 대체주파수로의 전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주파수 전환 동작을 줄일 수 있으며, 주파수 전환을 시도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음 단절 현상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라디오 주파수가 중첩된 지역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을 이용하는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및 '수신 감도'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감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기준 RSSI' 및 '기준 수신 감도'는 현재 청취중인 주파수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또는 대체주파수로의 전환을 시도할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수신 감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준 RSSI가 10이고, 현재 주파수의 RSSI가 9이면, 단말기는 대체주파수로의 전환을 시도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 RSSI' 및 '유효 수신 감도'는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내의 주파수를 각각 측정했을 때, 해당 주파수가 청취할 만한 감도를 갖는 주파수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수신 감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효 RSSI는 10이고,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내의 102.3MHz의 RSSI는 9, 98.2MHz의 RSSI는 11인 경우, 단말기는 98.2MHz를 청취할 만한 감도를 갖는 주파수로 판단한다. 단말기는 RSSI가 유효 RSSI 이상인 대체주파수에 대해 주파수 전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실시간 AF(Alternative Frequency) 목록' 및 '실시간 대체주파수 목록'은 라디오를 청취하는 동안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각각의 대체주파수 목록을 의미한다. 실시간 AF 목록은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며, 단말기는 실시간 AF 목록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실시간 AF 목록을 새로 수신한 실시간 AF 목록으로 대체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누적 AF 목록' 및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은 수신되는 대체주파수 목록이 누적되어 구성된 대체주파수 목록을 의미한다. 누적 AF 목록은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며, 단말기는 AF 목록을 수신할 때마다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 내에 누적시켜 저장한다. 이 때, 단말기는 누적 AF 목록과 수신한 AF 목록을 비교하여, 중복되지 않는 AF에 대해서만 누적 AF 목록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또한 누적 AF 목록에는 포함할 수 있는 AF의 최대 개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는 상기 최대 개수만큼 누적 AF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F RSSI 목록' 및 '대체주파수 수신 감도 목록'은 단말기가 측정한 AF의 수신 감도들로 구성되는 목록으로서, 단말기는 AF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측정한 RSSI를 AF RSSI 목록에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서 '양호 RSSI' 및 '양호 수신 감도'는 현재 전계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에 해당한다. 양호 수신 감도는 기준 수신 감도 및 유효 수신 감도보다는 작은 값으로 구성된다. 단말기는 AF RSSI 목록에서 RSSI가 양호 RSSI 이상을 만족하는 AF의 비율이 일정값 이상인지 판단하여, 일정값 이상인 경우, 현재 전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누적 AF 목록을 유지한다. 또한 일정값 미만인 경우, 단말기는 현재 전계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누적 AF 목록을 삭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RDS 튜너(tuner)를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을 이용하는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RDS 튜너(11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 또는 변경 신호에 따라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안테나를 통해 라디오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처리부(120) 및 RDS 데이터 처리부(161)로 출력한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출력부인 스피커(SPK)와 입력부인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20)는 복조부(미도시) 및 증폭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복조부는 RDS 튜너(110)로부터 입력되는 라디오 데이터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오디오 신호를 증폭부로 출력한다. 증폭부는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음량을 조절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저장부(130)는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부(130)는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및 AF RSSR 목록 데이터베이스(133)를 포함한다.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는 현재까지 수신된 AF 목록들로 구성되는 누적 AF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92.2MHz, 105.9MHz로 구성되는 AF 목록을 수신하고, 다음 주기에서 88.3MHz, 102.4MHz로 구성되는 AF 목록을 수신하는 경우,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는 92.2MHz, 105.9MHz, 88.3MHz, 102.4MHz가 누적 AF 목록으로 저장된다. 또한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는 저장 가능한 AF의 최대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누적 AF 목록은 단말기(100)가 주파수 전환 수행 시 AF를 선택하는 목록으로 사용된다.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단말기(100)가 가장 최근에 수신한 AF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92.2MHz, 105.9MHz로 구성되는 AF 목록을 수신하면,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는 92.2MHz, 105.9MHz가 저장되고, 다음 주기에서 88.3MHz, 102.4MHz로 구성되는 AF 목록을 수신하면, 92.2MHz, 105.9MHz는 88.3MHz, 102.4MHz로 대체되어 저장된다. 실시간 AF 목록은 단말기(100)가 주파수 전환을 시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단말기(100)의 구성요소에서 생략될 수 있다.
AF RSSI 목록 데이터베이스(133)는 단말기(100)가 측정한 AF의 RSSI들 중 기 설정된 유효 RSSI 미만인 RSSI로 구성되는 AF RSSI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단말기(100)는 AF의 RSSI를 측정하여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측정한 RSSI를 AF RSSI 목록에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F RSSI 목록 데이터베이스(133)는 단말기(100)의 구성요소에서 생략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입력부(140)는 버튼 식의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140)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 내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50)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현재 수신 중인 주파수 값을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RDS 데이터 처리부(161),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 및 기준 RSSI 설정부(163)를 포함한다.
RDS 데이터 처리부(161)는 RDS 튜너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라디오 데이터 방송 신호 중 AF 목록을 포함하는 RDS 데이터를 추출하여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로 출력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DS 데이터 처리부(161)로부터 수신하는 AF 목록을 통해 AF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DS 데이터 처리부(161)로부터 수신하는 AF 목록을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업데이트한다. 이 때,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까지 수신한 AF 목록들에 상기 수신한 AF 목록을 포함시켜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업데이트하게 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 RSSI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면, AF로의 전환을 시도하며,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누적 AF 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AF에 대해 순차적으로 RSSI를 측정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어느 하나의 AF의 RSSI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유효 RSSI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AF의 PI 코드(프로그램 식별코드)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AF로 전환을 수행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어느 하나의 AF의 RSSI를 측정하여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누적 AF 목록 전체에 대해 RSSI 측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누적 AF 목록 전체에 대해 RSSI 측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면,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누적 AF 목록을 삭제하고, 수신되는 AF 목록을 이용하여 누적 AF 목록을 새로 구성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의 PI 코드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누적 AF 목록의 다음 순위의 AF에 대해 RSSI 측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의 PI 코드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PI 코드의 일치 여부 판단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하며,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더라도 AF의 PI 코드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누적 AF 목록의 다음 순위의 AF에 대해 RSSI 측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DS 데이터 처리부(161)로부터 수신하는 AF 목록을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 뿐만 아니라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업데이트 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AF 목록을 새로 수신한 AF 목록으로 대체하여 저장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주파수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면,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하나 이상의 AF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AF 전환을 시도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 전환 시도 과정에서 누적 AF 목록의 RSSI를 측정하여, 유효 RSSI 미만인 AF의 RSSI를 AF RSSI 목록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의 AF 전체가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AF RSSI 목록에서 기 설정된 양호 RSSI를 만족하는 AF의 비율이 일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일정값 이상인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을 유지하며, 상기 일정값 미만인 경우, 현재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AF 목록을 삭제한다.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가변 설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기준 RSSI 설정부(163)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준 RSSI를 제1값으로 설정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의 모든 AF의 RSSI를 측정하여, 모두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기준 RSSI 변경 신호를 기준 RSSI 설정부(163)로 송신하며,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제1값보다 작은 값인 제2값으로 설정한다.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제2값으로 설정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하며, 기 설정된 시간(T)이 경과되면 기준 RSSI를 다시 제1값으로 변경 설정한다.
이상으로 주파수 전환을 수행하는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주파수 전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여러 주파수들이 중첩되는 지역과 같이 근거리 이동 시 수신 감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환경에 적합한 주파수 전환 방법에 해당한다.
3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인식하고,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302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기 설정된 주기로 RDS 튜너(110)를 통해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RDS 튜너(110)는 방송국으로부터 AF 목록을 포함하는 라디오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RDS 데이터 처리부(161) 및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로 송신한다. RDS 데이터 처리부(161)는 라디오 데이터 방송 신호에서 AF 목록을 추출하여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로 송신하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DS 튜너(110)로부터 수신하는 라디오 데이터 방송 신호의 RSSI를 측정한다. 여기서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하는 주기는 5초 이내(예를 들면, 3초)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수신 감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환경에서는 신속한 AF로의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자주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30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 목록을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업데이트 한다.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는 현재까지 수신된 AF 목록들로 구성되는 누적 AF 목록이 저장되며, AF 목록을 새로 수신하면 누적 AF 목록에 누적시켜 업데이트 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과 새로 수신한 AF 목록을 비교하여 중복되지 않는 AF에 대해서만 누적 AF 목록에 업데이트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누적 AF 목록에는 포함될 수 있는 AF의 최대 개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상기 최대 개수만큼 누적 AF 목록을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누적 AF 목록에 포함될 수 있는 AF의 최대 개수가 25개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최대 25개의 AF로 AF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304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주파수 RSSI와 기 설정된 기준 RSSI를 비교한다. 본 발명에서 기준 RSSI는 현재 청취중인 주파수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또는 AF로의 전환을 시도할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수신 감도를 의미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 AF로의 전환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기준 RSSI가 10이고, 현재 주파수의 RSSI가 9인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로의 전환을 수행하게 된다.
AF로의 전환 시도 과정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305단계에서 n(AF 목록에서의 AF 순번)을 1로 설정한다. 이는 RSSI를 측정할 AF로 누적 AF 목록의 첫 번째 AF를 선택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후, 306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의 RSSI를 측정한다. n이 1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첫 번째 AF의 RSSI를 측정하게 된다.
307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측정한 n번째 AF의 RSSI가 기 설정된 유효 RSSI 이상인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 RSSI는 누적 AF 목록 내의 각각의 AF에 대해 RSSI를 측정했을 때, 해당 AF가 청취할 만한 RSSI를 갖는 AF인지 판단 기준이 되는 RSSI를 의미한다.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308단계에서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309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307단계에서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310단계로 진행하고 n이 N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즉, 310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 측정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한다. 310단계에서 n이 N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311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1을 n에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306단계로 복귀하여 n번째 AF(다음 순위의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다.
310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면, 312단계로 진행하여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 내의 누적 AF 목록을 삭제한다. 이후, 302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기 설정된 주기로 AF 목록을 수신하고 303단계에서 새로운 누적 AF 목록을 구성하게 된다.
308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313단계로 진행하여 PI 코드 비교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K)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제1실시예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PI 코드의 비교 과정을 복수 회 수행한다.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AF의 PI 코드가 실제로 동일하지만 전계 불량 상황일 때 다르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오류에 해당하며, 이를 줄이기 위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PI 코드 비교 과정을 복수 회 수행한다. PI 코드 비교 반복 횟수는 5회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313단계에서 PI 코드 비교 횟수가 K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314단계로 진행하여 n에 n+1을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n번째 AF(다음 순위의 AF)의 RSSI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측정하는 주기를 3초 등의 짧은 주기로 설정하기 때문에 수신 감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환경에서 빠르게 AF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AF 목록뿐만 아니라 누적 AF 목록을 이용하기 때문에 AF의 선택 폭이 확대되어 AF로의 전환 성공률이 향상된다. 또한 PI 코드의 비교 과정을 복수 회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에 1회만 수행할 때보다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지하철, 빌딩 내부, 건물의 지하와 같이 계속적으로 약전계가 유지되는 환경에 적합한 주파수 전환 방법에 해당한다.
4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402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기 설정된 주기로 RDS 튜너(110)를 통해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40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 목록을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 및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업데이트 한다.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는 현재까지 수신된 AF 목록들로 구성되는 누적 AF 목록이 저장되는데 반해,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는 새로 수신한 AF 목록만이 저장된다.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업데이트 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기존에 저장된 AF 목록을 삭제하고 새로 수신한 AF 목록으로 대체하여 저장한다.
404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주파수 RSSI와 기 설정된 기준 RSSI를 비교하여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은 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하나 이상의 AF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404단계에서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로의 전환을 시도하지 않고, 402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405단계에서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하나 이상의 AF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406단계에서 n(AF 목록에서의 AF 순번)을 1로 설정한다. 405단계에서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AF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로의 전환을 시도하지 않고, 402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AF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현재 상황이 AF로 전환할만한 상황이 아님을 의미한다.
407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의 RSSI를 측정한다. n이 1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첫 번째 AF의 RSSI를 측정하게 된다. 408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측정한 n번째 AF의 RSSI가 기 설정된 유효 RSSI 이상인지 판단한다.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409단계에서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410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408단계에서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411단계로 진행하고 n번째 AF이 RSSI를 AF RSSI 목록 데이터베이스(133)에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서 AF RSSI 목록은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측정한 RSSI들 중 유효 RSSI 미만인 RSSI들로 구성되는 목록으로서, 현재 상황이 AF로의 전환을 시도할만한 상황인지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된다.
412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이 N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즉, 412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 측정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한다. 412단계에서 n이 N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41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1을 n에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407단계로 복귀하여 n번째 AF(다음 순위의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다.
412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면, 414단계로 진행하여 AF RSSI 목록에서 양호 RSSI를 만족하는 AF의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값(M)%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양호 RSSI는 현재 전계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기준 수신 감도 및 유효 수신 감도보다는 작은 값으로 구성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 RSSI 목록에서 양호 RSSI 이상인 RSSI의 비율이 M% 이상인지 판단한다.
양호 RSSI 이상인 RSSI의 비율이 M%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전계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415단계로 진행하여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누적 AF 목록을 삭제한다. 이후, 402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기 설정된 주기로 AF 목록을 수신하고 403단계에서 누적 AF 목록 및 실시간 AF 목록을 새로 구성하게 된다.
414단계에서 양호 RSSI 이상인 RSSI의 비율이 M%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전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누적 AF 목록을 유지하면서 402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409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416단계로 진행하여 n에 n+1을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n번째 AF(다음 순위의 AF)의 RSSI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AF RSSI 목록을 사용하고, AF RSSI 목록 중 RSSI가 양호 RSSI 이상인 AF의 비율이 일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정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누적 AF 목록을 삭제하여 불필요한 AF로의 전환 시도를 예방한다. 또한 누적 AF 목록뿐만 아니라 실시간 AF 목록을 함께 사용하고, 실시간 AF 목록에 하나 이상의 AF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AF로의 전환 시도를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AF 전환을 시도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터널 통과, 단말기(100)의 안테나 파지 등과 같이 일시적으로 약전계가 유지되는 환경에 적합한 주파수 전환 방법의 실시예이다.
5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502단계에서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P1으로 설정한다. P1은 기준 RSSI의 기본값으로서 최초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기준 RSSI 설정부(163)가 설정하는 값이다.
50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기 설정된 주기로 RDS 튜너(110)를 통해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이후, 504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주파수 RSSI와 기 설정된 기준 RSSI를 비교하여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은 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505단계에서 n(AF 목록에서의 AF 순번)을 1로 설정한다. 504단계에서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로의 전환을 시도하지 않고, 503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506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의 RSSI를 측정한다. n이 1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첫 번째 AF의 RSSI를 측정하게 된다. 507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측정한 n번째 AF의 RSSI가 기 설정된 유효 RSSI 이상인지 판단한다.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508단계에서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509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507단계에서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510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이 N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즉, 510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 측정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한다. 510단계에서 n이 N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511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1을 n에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506단계로 복귀하여 다음 순위의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다.
510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면,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가 유효 RSSI 미만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준 RSSI 설정부(163)로 송신하며, 512단계에서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P2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 P2는 P1보다 작은 값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P1은 10, P2는 2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 기준 RSSI 설정부(163)는 513단계에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514단계에서 일정 시간(T)이 경과되는지 판단한다. 514단계에서 일정 시간(T)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515단계에서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P1으로 재설정한다.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504단계에서 현재 주파수의 RSSI와 기준 RSSI 비교 과정 수행 시, 현재 주파수의 RSSI를 P1 또는 P2와 비교하게 된다.
508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516단계로 진행하여 n에 n+1을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n번째 AF(다음 순위의 AF)의 RSSI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일정 조건에서 기준 RSSI를 낮추어 불필요하게 AF로의 전환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다시 기준 RSSI를 높여서 AF 전환이 필요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주파수 전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모두 적용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6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602단계에서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P1으로 설정한다. 60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기 설정된 주기로 RDS 튜너(110)를 통해 현재 주파수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604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 목록을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 및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업데이트 한다.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업데이트 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기존에 저장된 AF 목록을 삭제하고 새로 수신한 AF 목록으로 대체하여 저장한다.
605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주파수 RSSI와 기 설정된 기준 RSSI를 비교하여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은 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606단계로 진행하여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하나 이상의 AF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605단계에서 현재 주파수 RSSI가 기준 RSSI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로의 전환을 시도하지 않고, 603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 RSSI를 측정하고 AF 목록을 수신한다.
606단계에서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하나 이상의 AF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로의 전환을 시도하며 607단계에서 n(AF 목록에서의 AF 순번)을 1로 설정한다. 이는 RSSI를 측정할 AF로 첫 번째 AF를 선택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606단계에서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AF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AF로의 전환을 시도하지 않고 603단계로 진행한다.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AF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현재 상황이 AF로 전환할만한 상황이 아님을 의미한다.
608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의 RSSI를 측정한다. n이 1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첫 번째 AF의 RSSI를 측정하게 된다. 609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측정한 n번째 AF의 RSSI가 기 설정된 유효 RSSI 이상인지 판단한다.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610단계에서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611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번째 AF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609단계에서 n번째 AF의 RSSI가 유효 RSSI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612단계로 진행하고 n번째 AF이 RSSI를 AF RSSI 목록 데이터베이스(133)에 업데이트한다. 61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이 N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즉, 61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 측정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한다. 613단계에서 n이 N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614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n+1을 n에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608단계로 복귀하여 n번째 AF(다음 순위의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다.
613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에 대해 RSSI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하면, 615단계로 진행하여 AF RSSI 목록에서 양호 RSSI를 만족하는 AF의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값(M)%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양호 RSSI 이상인 RSSI의 비율이 M%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현재 전계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616단계로 진행하여 누적 AF 목록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누적 AF 목록을 삭제한다. 이후,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누적 AF 목록 내에 있는 모든 AF가 유효 RSSI 미만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준 RSSI 설정부(163)로 송신하며, 617단계에서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P2로 설정한다. 기준 RSSI 설정부(163)는 618단계에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619단계에서 일정 시간(T)이 경과되는지 판단한다. 619단계에서 일정 시간(T)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620단계에서 기준 RSSI 설정부(163)는 기준 RSSI를 P1으로 재설정한다.
610단계에서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가 n번째 AF의 PI 코드가 현재 주파수의 PI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621단계로 진행하여 PI 코드 비교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K)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621단계에서 PI 코드 비교 횟수가 K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622단계로 진행하여 n에 n+1을 설정한다. 즉,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RSSI를 측정할 AF를 다음 순위의 AF로 설정한다. 이어, 주파수 전환 수행부(162)는 608단계로 진행하여 n번째 AF(다음 순위의 AF)의 RSSI를 측정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단말기(100)는 라디오 청취 환경을 고려하여 대체주파수로의 전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주파수 전환 동작을 줄일 수 있으며, 주파수 전환을 시도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음 단절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RDS(Radio Data System) 튜너
120 : 오디오처리부
130 : 저장부
131 : 누적 AF(Alternative Frequency) 목록 데이터베이스
132 : 실시간 AF 목록 데이터베이스
133 : AF RSSI 목록 데이터베이스
140 : 입력부 161 : RDS 데이터 처리부
150 : 표시부 162 : 주파수 전환 수행부
160 : 제어부 163 : 기준 RSSI 설정부

Claims (17)

  1.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adio Data System)의 주파수 전환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Main Frequency)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대체주파수(Alternative Frequency)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까지 수신된 대체주파수 목록들에 포함된 모든 대체주파수들을 포함하는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 수신 감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에 포함된 대체주파수들 각각의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양호 수신 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에 포함된 대체주파수들 중에서 수신 감도가 상기 양호 수신 감도 미만인 대체주파수의 비율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대체주파수들에 대해 차례로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유효 수신 감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대체주파수의 프로그램 식별코드(PI code)가 상기 현재 주파수의 프로그램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램 식별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해당 대체주파수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측정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유효 수신 감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대체주파수가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중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저장된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삭제하고, 기 설정된 주기로 대체주파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최종 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 순위의 대체주파수에 대해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식별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그램 식별코드 일치 여부 판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음 순위의 대체주파수에 대해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식별 코드 일치 여부를 재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대체주파수 목록으로 실시간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 수신 감도보다 작고, 상기 실시간 대체주파수 목록에 하나 이상의 대체주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대체주파수들에 대해 차례로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유효 수신 감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대체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대체주파수 수신 감도 목록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해당 대체주파수가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중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체주파수 수신 감도 목록에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양호 수신 감도 이상에 해당하는 대체주파수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비율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삭제하고, 기 설정된 주기로 대체주파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
    상기 기준 수신 감도를 제1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대체주파수들에 대해 차례로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유효 수신 감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대체주파수가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중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기준 수신 감도를 상기 제1값보다 작은 제2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수신 감도가 상기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값으로 설정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측정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와 상기 제2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기준 수신 감도를 제1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와 상기 제1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전환 방법.
  10. 대체주파수(Alternative Frequency) 목록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DS 튜너(tuner);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대체주파수 목록을 추출하는 RDS 데이터 처리부;
    현재까지 수신된 대체주파수 목록들에 포함된 모든 대체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저장하는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데이터베이스;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며,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주파수(Main Frequency)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 수신 감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주파수 전환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전환 수행부는,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에 포함된 대체주파수들 각각의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양호 수신 감도를 비교하고,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에 포함된 대체주파수들 중에서 수신 감도가 상기 양호 수신 감도 미만인 대체주파수의 비율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환 수행부는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대체주파수들에 대해 차례로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유효 수신 감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대체주파수가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중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최종 순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삭제하고, 최종 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 순위의 대체주파수에 대해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환 수행부는
    상기 측정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유효 수신 감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대체주파수의 프로그램 식별코드(PI code)가 상기 현재 주파수의 프로그램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프로그램 식별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그램 식별코드 일치 여부 판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음 순위의 대체주파수에 대해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식별 코드 일치 여부를 재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대체주파수 목록으로 구성되는 실시간 대체주파수 목록을 저장하는 실시간 대체주파수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환 수행부는
    상기 현재 주파수의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 수신 감도보다 작고, 상기 실시간 대체주파수 목록에 하나 이상의 대체주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전환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유효 수신 감도 미만인 대체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저장하는 대체주파수 수신 감도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환 수행부는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구성하는 대체주파수들에 대해 차례로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유효 수신 감도 미만인 대체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상기 대체주파수 수신 감도 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 전체가 상기 유효 수신 감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체주파수 수신 감도 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기 설정된 양호 수신 감도 이상에 해당하는 대체주파수의 비율이 일정 수치 이상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일정 수치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누적 대체주파수 목록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수신 감도를 기본값으로 제1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주파수 전환 수행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준 수신 감도를 제2값으로 변경 설정하며, 상기 제2값으로 변경 설정하면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기준 수신 감도를 상기 제1값으로 재설정하는 기준 수신 감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장치.
KR1020110027461A 2011-03-28 2011-03-28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76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461A KR101763749B1 (ko) 2011-03-28 2011-03-28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3/412,053 US9172478B2 (en) 2011-03-28 2012-03-05 Frequency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data system
EP12158544.2A EP2506463B1 (en) 2011-03-28 2012-03-08 Method for managing alternative frequency lists and apparatus for r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461A KR101763749B1 (ko) 2011-03-28 2011-03-28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22A KR20120109822A (ko) 2012-10-09
KR101763749B1 true KR101763749B1 (ko) 2017-08-14

Family

ID=4583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461A KR101763749B1 (ko) 2011-03-28 2011-03-28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2478B2 (ko)
EP (1) EP2506463B1 (ko)
KR (1) KR101763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2252B2 (en) * 2012-12-04 2016-12-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agnosis of cellular network element states using radio frequency measurements
KR102131862B1 (ko) * 2014-01-03 2020-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라디오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FR3021827A1 (fr) * 2014-06-02 2015-12-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pour assurer la continuite de reception d'un programme radiophonique a bord d'un vehicule
US10425939B2 (en) * 2015-11-30 2019-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ignal analysis and reporting among RF receiver devices
US11019544B2 (en) 2017-02-02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90177A (ko) * 2017-02-02 2018-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유무에 따른 셀 재선택 방안
CN113259030B (zh) * 2021-05-19 2023-11-17 扬州万方电子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rssi无线网络通信系统的频率自适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0828A (ja) 1988-02-05 1989-08-14 Pioneer Electron Corp Rds受信機の制御方法
JP2658538B2 (ja) * 1990-09-14 1997-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Rds受信機
US6141536A (en) * 1998-06-23 2000-10-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iversity radio system with RDS
EP1032128A1 (en) 1999-02-23 2000-08-30 Mannesmann VDO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cessing transmitter and program related data in an FM RDS receiver
US7542746B2 (en) * 2005-12-02 2009-06-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DS radio unit
US7756464B2 (en) * 2007-06-12 2010-07-13 Broadcom Corporation Alternate radio channel selection adapted per user patterns
US8548408B2 (en) * 2010-06-11 2013-10-01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dulation based audio correl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dynamic FM station list in single tuner variant and assisting alternate frequency switching methodology in single tuner and dual tuner vari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6463B1 (en) 2019-05-01
KR20120109822A (ko) 2012-10-09
EP2506463A2 (en) 2012-10-03
US9172478B2 (en) 2015-10-27
US20120252388A1 (en) 2012-10-04
EP2506463A3 (en)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749B1 (ko)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의 주파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581698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location discovery
KR20090095681A (ko) 셀 서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JP6131396B1 (ja) ワイヤレス接続品質ガイダン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20027608A (ko) 휴대 단말기의 eplmn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6095423A1 (zh) 收音机播放频道的更新方法及装置
WO2008062249A1 (en) Assisted determination of free and blocked channels
US201300457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in a portable terminal
CN105049642A (zh) 移动终端提示音的音量调节方法及装置
US20150357996A1 (en) Radio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frequencies of radio stations
EP2632065A2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broadcasting station
WO2020171931A1 (en) Intelligent duplication detection for wireless emergency alerts in devices
KR20150008409A (ko) Tv 무선 방송 신호의 수신 방법 및 장치
US993606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emergency services information
JP5787788B2 (ja) 受信装置、放送局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CN109936822B (zh) 广播消息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设备及广播系统
KR20170075729A (ko) 매핑 및 긴급 서비스 유형을 이용한 긴급 서비스 정보의 프로비저닝
JP5973265B2 (ja) 放送受信機及び受信困難エリア判定方法
JP2022063423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プログラム
KR101375882B1 (ko)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P22910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mtocell search
JP200926081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10925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080022421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파수 튜닝방법 및 이의 단말장치
KR101953373B1 (ko)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자동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