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452B1 -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452B1
KR101763452B1 KR1020140073092A KR20140073092A KR101763452B1 KR 101763452 B1 KR101763452 B1 KR 101763452B1 KR 1020140073092 A KR1020140073092 A KR 1020140073092A KR 20140073092 A KR20140073092 A KR 20140073092A KR 101763452 B1 KR101763452 B1 KR 10176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ll
jig
side wa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216A (ko
Inventor
손승현
황성태
이향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7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4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지그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로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는 석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환경 및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적층을 위한 설비 상에 구비되므로 별도의 설비 부동 시간 없이 이송 지그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ransfer JIG}
본 발명은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러한 이차전지를 생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한 전극과, 분리막을 교대로 배치하여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형성하고, 이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기본 단위체를 적층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 지그(1)와 이를 이송하기 위한 고정부(3) 및 이송부(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지그(1)에는 기본 단위체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이 마련된다. 이송 지그(1)는 이송부(5)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연결된 고정부(3)와 연결되어, 이송부(5)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며 적층 공정이 실시된다.
한편, 적층 공정 중에는 분진과 같은 이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은 제품에 전이되어 쇼트 및 저전압 불량을 일으킨다. 이에,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송 지그(1)의 이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송 지그(1)의 이물을 제거하는 것은 청소 환경 및 편의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물 제거를 위한 별도의 설비 부동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을 별도의 설비 부동 시간 없이 제거할 수 있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지그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로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는 석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블로잉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이물이 송풍되고, 석션부에 의해 공기와 이물을 흡입하여 이송 지그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따르면, 청소 환경 및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적층을 위한 설비 상에 구비되므로 별도의 설비 부동 시간 없이 이송 지그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이송 지그와 고정부 및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지그 이물 제거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지그(1)의 이물 제거 장치는, 이송 지그(1)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1)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이송 지그(1)로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잉부(20)와; 하우징(10)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는 석션부(30)를 포함한다.
이송 지그(1)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적층을 위해 이송하는 지그를 말한다. 이송 지그(1)에는 이와 같은 기본 단위체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이 마련된다. 이러한 이송 지그(1)는 이송부(5)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연결된 고정부(3)와 연결되어, 이송부(5)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며 적층 공정이 실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지그 이물 제거 장치의 하우징(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이송부(5)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 지그(1)의 이송 경로 상에 마련되고, 이송 지그(1)가 하우징(10)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0)은 이송 지그(1)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입구벽(11)과, 입구벽(11)과 대향하며 이송 지그(1)과 반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출구벽(12)과, 출구벽(12)과 입구벽(11) 사이를 이송 지그(1)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일측 측벽인 제1 측벽(13)과, 제1 측벽(13)의 타측 측벽인 제2 측벽(15)과, 입구벽(11)과 출구벽(12)과 제1 측벽(13)과 제2 측벽(15)을 천정에서 연결하는 천정벽(17)이 마련된다.
블로잉부(20)는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제2 측벽(15), 천정벽(17), 입구벽(11) 및 출구벽(12)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로 공기를 분사한다. 이에, 블로잉부(2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이송 지그(1)상의 이물이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된다.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제2 측벽(15), 천정벽(17), 입구벽(11) 및 출구벽(12)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블로잉부(2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 및 이물을 흡입한다. 블로잉부(2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되는 이송 지그(1)의 이물은 공기와 함께 석션부(30)를 통해 흡입되어 이송 지그(1)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는 전극과 분리막의 적층 공정을 위한 설비 상에 구비되므로 청소 환경 및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설비 부동 시간 없이 이송 지그(1)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블로잉부(20) 및 석션부(30)의 형상, 하우징(10)에서의 형성 위치 및 형성 개수에 따른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의 이물 제거 장치를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에 블로잉부(20)가 마련된다. 블로잉부(2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 지그(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블로잉부(20)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즉, 이송 지그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에어나이프로 구비된다.
석션부(30)는 블로잉부(20)와 대향하도록 제2 측벽(15)에 마련된다. 석션부(3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한편, 석션부(30)를 보조하기 위한 제2 석션부(35)가 하우징(10)의 천정벽(17)에 마련된다. 석션부(30)와 제2 석션부(35)는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0) 외부의 집진 장치와 연통되는 홀로 구비된다. 이에,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되는 이송 지그(1)의 이물 및 공기는 석션부(30)와 제2 석션부(35)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제거된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의 공기 및 이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에 마련되는 블로잉부(2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이송 지그(1)상의 이물이 블로잉된다. 블로잉된 이물은 공기와 함께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되고, 하우징(10)의 제2 측벽(15)에 마련되는 석션부(30)와, 천정부에 마련되는 제2 석션부(35)를 통하여 공기화 함께 흡입됨으로써 제거된다.
<제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의 이물 제거 장치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제2 측벽(15)에 블로잉부(20)가 마련된다. 블로잉부(2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 지그(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블로잉부(20)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즉, 이송 지그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에어나이프로 구비된다.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및 제2 측벽(15)에 복수 개 마련된다. 하우징(10)의 제1 측벽(13)에 구비되는 석션부(30)는 복수 개가 각각 이송 지그(1)보다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2 측벽(15)에 구비되는 석션부(30)는 이송 지그(1)보다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0) 외부의 집진 장치와 연통되는 홀로 구비된다. 이에,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되는 이송 지그(1)의 이물 및 공기는 석션부(30)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제거된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의 공기 및 이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2 측벽(15)에 마련되는 블로잉부(2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이송 지그(1)상의 이물이 블로잉된다. 블로잉된 이물은 공기와 함께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되고,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및 제2 측벽(15)에 복수 개 마련되는 석션부(30)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제거된다.
<제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잉부(20)가 하우징(10)의 제1 측벽(13)과 제2 측벽(15)에 각각 마련되어, 이송 지그(1)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각각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블로잉부(20)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로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에어 노즐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즉, 이송 지그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과 제2 측벽(15)에 각각 마련된다. 블로잉부(2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 지그(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석션부(30)는 복수 개 마련되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제2 측벽(15), 입구벽(11) 및 출구벽(12)에 각각 마련된다. 하우징(10)의 제1 측벽(13)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석션부(30)는 각각 이송 지그(1)보다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2 측벽(15)에 구비되는 석션부(30)는 이송 지그(1)보다 하부에 구비된다. 하우징(10)의 입구벽(11)에 마련되는 석션부(3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출구벽(12)에 마련되는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입구벽(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0) 외부의 집진 장치와 연통되는 홀로 구비된다. 이에,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되는 이송 지그(1)의 이물 및 공기는 석션부(30)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제거된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의 이물 제거 장치의 공기 및 이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및 제2 측벽(15)에 마련되는 블로잉부(2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이송 지그(1)상의 이물이 블로잉된다. 블로잉된 이물은 공기와 함께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되고,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제2 측벽(15), 입구벽(11) 및 출구벽(12)에 복수 개 마련되는 석션부(30)를 통하여 공기화 함께 흡입되어 제거된다.
<제4 실시예 >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를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출구벽(12)에 블로잉부(20)가 마련된다. 블로잉부(2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 지그(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블로잉부(20)는 하우징(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에어나이프로 구비된다.
석션부(30)는 블로잉부(20)와 대향하도록 입구벽(11)에 마련된다. 석션부(3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석션부(30)는 블로잉부(20)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홀로 구비된다. 이러한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0) 외부의 집진 장치와 연통된다. 이에,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되는 이송 지그(1)의 이물 및 공기는 석션부(30)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제거된다.
도 10은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의 공기 및 이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출구벽(12)에 마련되는 블로잉부(2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이송 지그(1)상의 이물이 블로잉된다. 블로잉된 이물은 공기와 함께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되고, 하우징(10)의 입구벽(11)에 마련되는 석션부(30)를 통하여 공기화 함께 흡입되어 제거된다.
<제5 실시예 >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를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에 블로잉부(20)가 마련된다. 블로잉부(2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 지그(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블로잉부(20)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에어나이프로 구비된다.
석션부(30)는 블로잉부(20)와 대향하도록 제2 측벽(15)에 마련된다. 석션부(3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0) 외부의 집진 장치와 연통되는 홀로 구비된다. 이에,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되는 이송 지그(1)의 이물 및 공기는 석션부(30)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제거된다.
도 1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의 공기 및 이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에 마련되는 블로잉부(2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이송 지그(1)상의 이물이 블로잉된다. 블로잉된 이물은 공기와 함께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되고, 하우징(10)의 제2 측벽(15)에 마련되는 석션부(30)를 통하여 공기화 함께 흡입되어 제거된다.
<제6 실시예 >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를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잉부(20)가 하우징(10)의 제1 측벽(13)과 제2 측벽(15)에 각각 마련되어, 이송 지그(1)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각각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블로잉부(20)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로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에어 노즐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과 제2 측벽(15)에 각각 마련된다. 블로잉부(20)는 이송 지그(1)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 지그(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석션부(30)는 복수 개 마련되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제2 측벽(15)에 각각 마련된다. 하우징(10)의 제1 측벽(13)과 제2 측벽(15)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석션부(30)는 각각 이송 지그(1)보다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석션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0) 외부의 집진 장치와 연통되는 홀로 구비된다. 이에, 하우징(10) 내부에서 블로잉되는 이송 지그(1)의 이물 및 공기는 석션부(30)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제거된다.
도 1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그(1) 이물 제거 장치의 공기 및 이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및 제2 측벽(15)에 마련되는 블로잉부(2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이송 지그(1)상의 이물이 블로잉된다. 블로잉된 이물은 공기와 함께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되고, 하우징(10)의 제1 측벽(13), 제2 측벽(15)에 위치하고 이송 지그(1)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석션부(30)를 통하여 공기화 함께 흡입되어 제거된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송지그
10: 하우징
20: 블로잉부
30: 석션부

Claims (16)

  1.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지그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로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는 석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가 형성된 입구벽과, 상기 입구벽에 대향하고 상기 출구가 형성된 출구벽과, 상기 입구벽과 상기 출구벽을 연결하는 측벽인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에 대향하는 측벽인 제2 측벽을 가지며,
    상기 블로잉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블로잉부와 대향하게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벽과 함께 상기 입구벽과 상기 출구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5.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지그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로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는 석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가 형성된 입구벽과, 상기 입구벽에 대향하고 상기 출구가 형성된 출구벽과, 상기 입구벽과 상기 출구벽을 연결하는 측벽인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에 대향하는 측벽인 제2 측벽을 가지며,
    상기 블로잉부는 상기 출구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블로잉부와 대향하게 상기 입구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부는 상기 이송 지그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지그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이송 지그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이송 지그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석션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 지그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 모두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입구벽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벽과, 상기 출구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상부를 연결하는 천정벽을 더 가지며,
    상기 천정벽에 구비되어 상기 석션부를 보조하는 제2 석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부는 에어나이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에어나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부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KR1020140073092A 2014-06-16 2014-06-16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KR10176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92A KR101763452B1 (ko) 2014-06-16 2014-06-16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92A KR101763452B1 (ko) 2014-06-16 2014-06-16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16A KR20150144216A (ko) 2015-12-24
KR101763452B1 true KR101763452B1 (ko) 2017-07-31

Family

ID=5508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092A KR101763452B1 (ko) 2014-06-16 2014-06-16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72B1 (ko) * 2016-02-22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조 공정 시, 전극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이물의 실시간 제거가 가능한 전극조립체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16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869B1 (ko) 반송 장치
KR101763453B1 (ko) 전극조립체의 권취장치
TWI573637B (zh) Cleaning head
US9895869B2 (en) Sheet material adhesive agent application method
JP5521839B2 (ja) 電極積層装置
WO2017073677A1 (ja) 積層装置、及び電極積層方法
TW201611374A (zh) 二次電池的電極板的供給裝置及其控制方法
KR101763452B1 (ko) 이송 지그의 이물 제거 장치
JP2013202139A (ja) 紙粉除去装置及び紙粉除去装置を用いた衛生用紙の製造方法
TW201834952A (zh) 玻璃板的製造方法及保護薄片的分離裝置
JP6544195B2 (ja) 電極箔の搬送装置および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JP6950512B2 (ja) 電極振り分け装置
KR101850689B1 (ko) 분진제거장치
JP6481562B2 (ja) 電池セル収納装置
KR101237630B1 (ko) 이송장치의 이물질 집진장치
JP5831374B2 (ja) 紙粉除去装置
JP6097159B2 (ja) パーツフィーダー用除電器
JP5313612B2 (ja) 紙粉の除去装置および紙粉の除去方法
JP2019038674A (ja) 搬送装置
KR101719027B1 (ko) 적층된 셀의 분리 장치
JP2008024456A (ja) シート集積装置
JP2018107075A (ja) 電極検査装置
JP2021526958A (ja) 空気洗浄装置及び容器を洗浄するシステム
JP6462444B2 (ja) ウェーハ搬送装置
KR102114930B1 (ko) 시트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