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350B1 - 유압 수문 - Google Patents

유압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350B1
KR101763350B1 KR1020150032539A KR20150032539A KR101763350B1 KR 101763350 B1 KR101763350 B1 KR 101763350B1 KR 1020150032539 A KR1020150032539 A KR 1020150032539A KR 20150032539 A KR20150032539 A KR 20150032539A KR 101763350 B1 KR101763350 B1 KR 10176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fixing roller
water
gate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989A (ko
Inventor
구슬
구송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3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35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하여 닫히게 되는 수문에서, 자중을 크게 하지 않고도 수문이 완전히 닫히게 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압 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수문은 수문 프레임에 끼워진 채로 상하 이동되며 수로를 개폐함에 있어서, 수문의 내측에서 측면을 향하여 고정롤러가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롤러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수문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캡에 끼워지면서 수문을 하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문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된 후 고정롤러를 돌출시켜 고정캡을 타고 추가 하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문의 저면 밀착력이 확대되어 자중을 높이지 않고도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압 수문{SEAL APPARATUS OF FLOODGATE}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하여 닫히게 되는 수문에서, 자중을 크게 하지 않고도 수문이 완전히 닫히게 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압 수문에 관한 것이다.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수문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들어 올린 후 자중에 의하여 내려가게 하거나, 유압 실린더의 붐대를 수문의 상부에 결합시켜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수문을 개폐시키도록 하거나, 권양기를 이용하여 수문의 상부에 연결된 개폐봉을 상부로 당기거나 하부로 밀어주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된 방식은 수문의 상부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와이어 드럼을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게 설치하거나 붐대가 수문에 고정된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거나, 수문의 상부에 고정된 개폐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권양기를 설치하는 관계로, 수문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수문의 상부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설치되기 때문에 수문의 상부로 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한편 수평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문 프레임을 타고 수문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특허가 10-1201998호로 등록 되어 있으나, 상기 선특허는 유압실린더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수문을 개폐시키는 한편 수문이 자중에 의해 닫힐 때 완전한 닫힘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문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된 수문 닫힘장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피니언이 래크를 타고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확실한 수밀을 보장할 수 없으며, 자중에 의한 수문 닫힘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자중을 높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구조를 갖는 수문은 수문이 닫힌 상태에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문의 자중을 높이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일 수밖에 없으나, 수문의 자중을 높일 경우, 자중에 의한 수밀력을 향상될 수 있으나, 그만큼 수문을 들어올리기가 쉽지 않고, 또한 과도한 자중을 주기위하여 구조물이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201998호(2012.11.09.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97604호(2006.06.29.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38340호(2004.01.02.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4-0127058호(2014.11.03. 공개)
본 발명은 수문의 상부로 돌출되는 유압실린더와 수문의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수문 프레임을 타고 수문을 상하 개폐시키되 수문의 자중이 낮을 경우 수문의 수밀이 확실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누수가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문의 자중을 높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문이 닫힐 때 유압실린더가 수문의 외측으로 고정롤러를 돌출시켜 수문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캡에 끼워지면서 수문의 저면이 바닥에 설치된 지수고무와 밀착되어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수문은 수문 프레임에 끼워진 채로 상하 이동되며 수로를 개폐함에 있어서, 수문의 내측에서 측면을 향하여 고정롤러가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롤러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수문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캡에 끼워지면서 수문을 하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문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된 후 고정롤러를 돌출시켜 고정캡을 타고 추가 하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문의 저면 밀착력이 확대되어 자중을 높이지 않고도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의 측면에서 고정롤러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롤러는 수문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캡의 내측면이 밀착되게 하되 상기 고정롤러가 고정캡의 내측을 타고 하강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수문의 하강에 의한 밀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하여 닫히게 되는 수문에서, 자중에 의하여 수문이 닫힌 후에 수문의 측면으로 고정롤러를 돌출시켜 수문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캡의 내측면을 타고 수문의 추가 하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문의 하부가 지수고무에 완전 밀착이 이루어져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고정롤러가 고정캡의 내측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한편 수밀의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문이 닫힌 상태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문이 닫힌 상태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문 프레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문 일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문이 수문 프레임에 끼워진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전 요부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 후 요부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롤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롤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롤러가 돌출되기 전 상태의 요부 이미지 그림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롤러가 돌출된 상태의 요부 이미지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 그림
본 발명은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고 전면에서 볼 때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1
자 형태를 갖는 수문 프레임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수문을 구비하되 상기 수문 프레임은 수문의 2배 높이를 갖게 하는 한편 수문의 상부에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수문의 양측면은 수문 프레임의 상측과 와이어로 매달린 형태가 되게 하되 유압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어 수문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함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측면으로 고정롤러를 돌출시키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수문 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롤러가 끼워지는 고정캡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캡은 상하측보다 중앙이 먼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2
자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롤러는 고정캡의 내측면을 타고 하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정면에서 볼 때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3
자 형태를 갖고 수로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편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고 내측으로 수문이 끼워지는 수문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수문 프레임에 끼워진 수문에는 중앙에 유압실린더를 세워서 설치하되 붐대가 수문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수문의 중앙과 수문 프레임의 상부에는 와이어를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는 수문의 내부에서 붐대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이동롤러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어지게 함으로써 수문이 상부로 이동하여 열리거나,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닫히게 되는 것으로, 수문이 닫힐 때 자중에 의해서만 닫히는 경우 수문이 저면에서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은 수문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수문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롤러를 측면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롤러는 수문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단면이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4
형상의 고정캡의 내벽을 타고 이동하게 함으로써 수문이 자중에 의해 닫힐 때 고정캡의 내측면 경사를 따라 추가로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추가 하강으로 인하여 수문의 저면에 설치된 지수고무의 밀착이 이루어져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수문을 상승시킬 경우는 고정롤러를 후퇴시켜 수문의 측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수문의 개폐에 고정롤러가 하등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는 수문(10)에 관한 것으로, 수문(10)이 닫힐 때 수문(10)의 측면에서 고정롤러(60)를 돌출시킨 후 상기 고정롤러(60)가 수문 프레임(20)의 측면에 형성된 단면이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5
형태를 갖는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이동되게 함으로써, 결국 수문(10)이 자중에 의해 닫힌 후 고정롤러(60)가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이동하는 만큼 추가로 하강이 이루어져 수문(10)의 저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정롤러(60)는 수문(10)의 측면에 힌지로 고정된 회동바(61)의 선단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61)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밀음대(62)를 고정한 후 상기 밀음대(62)의 선단에는 유압실린더(50)의 붐대(51)가 힌지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50)의 붐대(51)를 신장시키면 밀음대(62)가 외측으로 밀리면서 회동대(61)를 외측으로 펼치게 되고, 회동대(61)가 펼쳐지면서 고정롤러(60)가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고정롤러(60)의 돌출 부위에 대향된 위치의 수문 프레임(20)에는 단면이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6
형상의 고정캡(70)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캡(70)에서 하측을 향하는 경사면(71)을 타고 고정롤러(60)가 이동할 때 수문(10)이 자중에 의해 닫힌 후 추가로 닫히게 되어 완전 닫히게 되고, 고정캡(70)의 내측에 형성된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72)은 고정캡(70)의 내측으로 토사나 이물질 끼워지지 않고 빠져 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10)을 닫을 때 수문(10)의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하되 유압실린더(50)를 작동시켜 고정롤러(60)를 외측으로 밀어주면, 고정롤러(60)는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수문(10)의 저면을 하측의 지수고무와 밀착되게 함으로써 수문(10)의 저면을 통한 누수가 방지된다.
이 상태로 수문(10)이 닫혀 있다가, 수문(10)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50)로 회동바(61)를 당기게 되면, 회동바(61)가 수문(10)의 측면에 세워지면서 고정롤러(60)도 수문(1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고정롤러(60)는 수문 프레임(20)과 닿지 않아 수문(10)의 개방에 하등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정롤러(60)와 회동바(61)는 수문(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수문 프레임(20)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수문(10)의 측면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수문 프레임(20)의 측면을 타고 이동되게 하는 좌우받침롤러(11)와 전후면을 타고 이동되게 하는 전후받침롤러(12)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후받침롤러(12)와 좌우받침롤러(11)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도면으로 도시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문(10)은 와이어(40)를 당기거나 풀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문(10)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수문(10)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7
자 형태를 갖는 수문 프레임(20)에 끼워져 이동된다.
본 발명의 수문(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것으로, 중앙에 유압실린더(3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30)의 붐대(31)는 수문(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붐대(31)의 선단에는 한 쌍의 이동롤러(41)를 설치하고, 상기 수문(10)의 내부 상측에는 유압 실린더(30)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고정롤러(42)(43)를 설치하되 고정롤러(42)(43)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동롤러(41)와 고정롤러(42)(43)에 걸쳐진 와이어(40)은 수문 프레임(20)의 상부와 수문(10)의 중앙 상측에 고정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30)의 붐대(31)를 신장시키면 이동롤러(41)가 와이어(40)를 당기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문(10)은 수문 프레임(20)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여 수문(10)을 열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유압실린더(30)의 붐대(31)를 수축시키면 와이어(40)를 당기지 못하여 수문(10)을 자중에 의해 수문 프레임(20)을 타고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문(10)은 측면에 고정롤러(60)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롤러(60)는 회동대(61)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대(61)는 수문(10)의 측면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회동대(6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밀음대(62)에는 유압실린더(50)의 붐대(51)를 힌지로 결합하고, 상기 유압실린더(50)는 수문(10)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시켜 고정한다.
수문(10)이 열릴 때는 유압실린더(50)의 붐대(51)를 수축시켜 회동대(61)가 세워지게 함으로써 고정롤러(60)가 수문 프레임(20)에 닿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문 프레임(20)에는 양쪽으로 단면이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8
형태의 고정캡(70)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캡(70)이 설치되는 위치는 수문(10)이 자중으로 닫힌 후 고정롤러(60)가 외측으로 돌출될 때 고정롤러(60)가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위치가 되게 하고, 상기 고정캡(70)은 고정롤러(60)와 같이 수문 프레임(20)의 양쪽에 설치한다.
수문(10)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는 경우 자중을 크게 하지 않는 한 수문(10)의 저면이 지수고무를 강하게 압착하지 못하여 누수가 되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문(10)이 자중에 의해 닫힌 후 고정롤러(60)를 펼치는 힘에 의해 고정롤러(60)가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하강하면서 수문(10)을 추가로 하강시킴으로써 수문(10)의 저면에서 지수고무의 압착으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된 수문(10)의 개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수문(10)이 수문 프레임(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수로를 막아준 상태에서, 수문(10)을 열기 위하여 유압실린더(30)의 붐대(31)를 신장시키면, 붐대(3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이동롤러(41)를 하부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40)가 하부로 당겨지면서 수문(10)은 수문 프레임(20)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여 열리게 된다.
다시 수문(10)을 닫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30)의 붐대(31)를 수축시키도록 하고, 붐대(31)의 수축에 따라 이동롤러(41)가 상부로 이동하면, 수문(10)은 자중에 의하여 수문 프레임(20)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닫히게 된다.
수문(10)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는 경우 자중을 크게 하지 않는 한 수문(10)의 저면이 지수고무를 강하게 압착하지 못하게 되어 누수가 진행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수문(10)이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면, 유압실린더(50)의 붐대(51)를 신장시켜 밀음대(62)를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동대(61)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결국 고정롤러(60)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고정롤러(60)가 외측으로 펼쳐질 때 고정롤러(60)는 수문 프레임(20)에 형성된 단면이
Figure 112015022879615-pat00009
형상을 갖는 고정캡(70)의 경사면(71)에 밀착되므로, 고정롤러(60)는 경사면(7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문(10)도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수문(10)의 저면이 바닥에 설치된 지수고무와 밀착되게 함으로써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고정롤러(60)가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할 때 수문(10)도 같이 이동하면서 수밀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고정롤러(60)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수문(10)의 저면에 대한 수밀이 이루어지게 되고, 고정캡(70)의 하측 경사면(72)을 경사지게 형성한 이유는 고정캡(70)의 내부로 토사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바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수문(10)의 자중을 크게 하지 않고도, 수문(10)이 자중에 의해 닫힌 후에는 고정롤러(60)를 외부로 돌출시켜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수문(10)과 함께 하부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수문(10)의 저면이 지수고무와 밀착되어 수밀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50)를 이용하여 수문(10)의 누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보다 정확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수문 20 : 수문 프레임
30 : 유압실린더 31 : 붐대
40 : 와이어 41 : 이동롤러
42,43 : 고정롤러 50 : 유압실린더
51 : 붐대 60 : 고정롤러
61 : 회동대 62 : 밀음대
70 : 고정캡 71,72 : 경사면

Claims (5)

  1. 수로의 양쪽에 세워지고 단면이 ㄷ형태를 갖고 정면에서 볼 때
    Figure 112017023782677-pat00024
    형상의 수문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상기 수문 프레임(20)에 끼워져 상하 이동되며 개폐가 이루어지되 자중에 의하여 닫히게 되는 수문(10)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의 측면으로 고정롤러(60)가 돌출되게 하되 상기 고정롤러(60)는 수문(10)의 측면에 힌지로 고정된 회동바(61)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61)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된 밀음대(62)에는 유압실린더(50)의 붐대(51)를 힌지 고정시키며,
    상기 유압실린더(50)는 수문(10)의 내부에서 측면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수문 프레임(20)에는 단면이
    Figure 112017023782677-pat00025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캡(70)을 양쪽으로 설치하여 수문(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롤러(60)가 끼워지게 고정롤러(60)가 돌출되는 부위의 대향된 위치에 고정캡(70)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롤러(60)가 수문(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문 프레임(20)에 설치된 고정캡(70)의 경사면(71)을 타고 끼워지면서 수문(10)을 하향 이동시켜 수문(10)의 저면을 지수고무와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수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수문 프레임(20)에 형성되는 고정캡(70)은 고정롤러(60)를 하향 이동시키는 경사면(71)을 형성하는 한편 고정캡(70)의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이 배출되게 경사면(7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수문.
  4. 삭제
  5. 삭제
KR1020150032539A 2015-03-09 2015-03-09 유압 수문 KR10176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39A KR101763350B1 (ko) 2015-03-09 2015-03-09 유압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39A KR101763350B1 (ko) 2015-03-09 2015-03-09 유압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89A KR20160108989A (ko) 2016-09-21
KR101763350B1 true KR101763350B1 (ko) 2017-08-03

Family

ID=5708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539A KR101763350B1 (ko) 2015-03-09 2015-03-09 유압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102B1 (ko) * 2020-06-03 2022-04-27 (주)청수산업 자유로운 위치 고정이 가능한 게이트 펌프
KR102296203B1 (ko) * 2021-03-12 2021-08-31 금전기업 주식회사 해일방지수문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812B1 (ko) * 2003-06-09 2006-04-28 (주) 삼안산업 롤러 위치 변경형 수문
KR100611568B1 (ko) * 2004-04-10 2006-08-17 한상관 장축의 구조에 의해 개폐단속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 수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40Y1 (ko) 2003-10-21 2004-01-13 이청규 수문 잠금장치
KR100597604B1 (ko) 2004-12-06 2006-07-06 주식회사 금성기공 유압 권양 장치
KR101201998B1 (ko) 2011-08-29 2012-11-15 구슬 수문 권양장치
KR20140127058A (ko) 2013-04-24 2014-11-03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일체식 수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812B1 (ko) * 2003-06-09 2006-04-28 (주) 삼안산업 롤러 위치 변경형 수문
KR100611568B1 (ko) * 2004-04-10 2006-08-17 한상관 장축의 구조에 의해 개폐단속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 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89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350B1 (ko) 유압 수문
CN107476247B (zh) 滑轮牵引的埋入式防洪墙
CN206128134U (zh) 一种窨井盖组件
KR101788624B1 (ko) 유지관리가 편리한 유압식 인양수문
CN107476248B (zh) 浮球摆杆驱动的埋入式防洪墙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KR20090000991A (ko) 수문
KR100838201B1 (ko) 장애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수문
KR101201998B1 (ko) 수문 권양장치
KR101946342B1 (ko) 개선된 이물질 차단부를 구비한 전도 수문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KR101062162B1 (ko)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KR20044630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200316524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294017Y1 (ko) 수압자동수문
JP6022219B2 (ja) 門柱レスゲート開閉装置
KR101428633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WO2001032991A1 (en) Constitution method of automatic flood-gate of discharge type in the lower part
KR102198358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스크린 및 수문 훼손방지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문
KR20160108988A (ko) 전도 게이트
KR101269112B1 (ko)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KR100945588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CN217026547U (zh) 一种透水沥青道路排水装置
KR101569069B1 (ko) 지하공간 침수방지용 방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