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112B1 -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112B1
KR101269112B1 KR1020120037104A KR20120037104A KR101269112B1 KR 101269112 B1 KR101269112 B1 KR 101269112B1 KR 1020120037104 A KR1020120037104 A KR 1020120037104A KR 20120037104 A KR20120037104 A KR 20120037104A KR 101269112 B1 KR101269112 B1 KR 10126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opening
closing
plu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원
조용찬
송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힌지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모터에 의해 상기 힌지 부재에 권선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Gate control system to flow debris materials in laboratory flume}
본 발명은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룸 내부의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상 이변에 의한 집중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산사태 및 사면 붕괴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는데, 매년 여름철이면 태풍을 동반한 장마와 호우로 인하여 절취 사면 붕괴 및 자연 사면에서의 산사태로 이어져 인명 피해 및 막대한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산사태의 발생 원인은 대부분 강우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인데, 많은 비가 오게 되면, 산지가 붕괴되어 계곡 등을 따라 토사와 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토석류(debris flow)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토석류의 주된 구성물질인 사태물질(debris flow materials)은 입자의 크기가 아주 작은 점토입자(0.002 mm이하)에서 수 미터에 달하는 거력(boulder)을 포함함으로써 인근에 위치한 도로, 교량, 민가 등을 파괴하고,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산사태의 발생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66805호에 소개된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는 상부에 위치되고 특정 함수비의 시료가 내부에 담겨졌다가 방출되는 시료 방류부, 시료 방류부의 하부에 상고하저의 특정 경사도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방출되는 시료가 흘러내리는 산사태 채널부 및 산사태 채널부의 출구에 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흘러내린 시료가 상면 상에 확산되는 확산 관측부를 포함하여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 및 산사태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는 범위와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에서의 도어를 개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한편, 이러한 산사태의 발생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 즉, 사태물질을 플룸 내부에 유입시킨 후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사태물질을 방출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도어 개방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과는 상관없이 작업자가 도어(300)를 손으로 직접 개방하거나 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개방하는 등 수동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토석류 재해 재현실험을 위한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플룸 내부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힌지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모터에 의해 상기 힌지 부재에 권선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플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플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볼 포인트(ball poi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볼 포인트에 연결되며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볼 포인트를 수직 하강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하중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플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지지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양측 하단을 상기 측면 지지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도어의 양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 레일 롤러; 상기 도어의 양측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하단 레일 롤러; 및 상기 하단 레일 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하단 레일 롤러를 수직 상방으로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유연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면 지지대;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지지대; 상기 상면 지지대에 상단이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측면 지지대에 연결하거나 분리시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플룸 내부로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사태물질을 플룸 내부에서 유동시키거나 그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에서의 도어를 개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의 개방으로 토석류 구성물질의 유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100), 힌지 부재(200), 도어(300) 및 도어 개폐 부재(400)을 포함한다.
상기 플룸(100)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룸(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700)과, 상기 플룸(10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룸(100)을 일 측에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800)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재(200)는 상기 플룸(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후술할 도어(300)를 연결하여 상기 도어(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힌지 부재(200)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100)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도어(300)는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힌지 부재(200)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300)를 개폐시킬 수 있는데,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힌지 부재(200)에 권선됨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일 단이 상기 도어(30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모터(미도시)에 의해 힌지 부재(200)에 권선되는 끈(st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끈(string)은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힌지 부재(200)에 권선되어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도어(300)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되는 사태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와 동일하게, 플룸(100), 힌지 부재(200), 도어(300) 및 도어 개폐 부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룸(100), 힌지 부재(200) 및 도어(30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플룸, 힌지 부재 및 도어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의 구성과는 차이가 있는 구성이다.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플룸(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키는 지지부(410)와, 상기 지지부(41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4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410)가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부(410)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비접촉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410)가 상기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300)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회전축(420)에 권선되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지지부(410)를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접촉시켜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축(420)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410)를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비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의 개방으로 토석류 구성물질의 유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 이내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지지부(410)를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 이상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인장에 따라 상기 지지부(410)가 상기 회전축(420)를 통해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플룸(100)의 하부로 모두 유동하여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 상에 사태물질이 남아있지 않게 된 경우에는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410)를 상기 도어(300)의 전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420)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미도시), 예를 들면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값과 기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하중값이 기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회전축(4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회전축(420)과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와 동일하게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도어(300)를 개폐할 수 있는데,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에 코일 스프링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되는 사태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에 상기 제어부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의 기설정값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되는 사태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와 동일하게, 플룸(100), 힌지 부재(200), 도어(300) 및 도어 개폐 부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룸(100), 힌지 부재(200) 및 도어(30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플룸, 힌지 부재 및 도어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의 구성과는 차이가 있는 구성이다.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플룸(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키는 볼 포인트(ball point,4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볼 포인트(430)가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볼 포인트(430)가 상기 플룸(100)의 하면에서 수직 하강하여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비접촉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볼 포인트(430)에 연결되어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센서(4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하중 센서(440)는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볼 포인트(430)를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접촉시켜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볼 포인트(430)를 수직 하강시켜 상기 볼 포인트(430)를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비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하중 센서(440)의 기설정값 미만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 포인트(430)는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접촉되어 상기 도어(43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 포인트(430)의 수직 하강에 따라 상기 볼 포인트(430)가 상기 도어(300)의 후면과 비접촉됨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와 동일하게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도어(300)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중 센서(440)에 기 설정되는 설정값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되는 사태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100), 측면 지지대(500), 도어(300) 및 도어 개폐 부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룸(10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플룸과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기 도어(300) 및 도어 개폐 부재(4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및 도어 개폐 부재의 구성과는 차이가 있는 구성이다.
상기 측면 지지대(500)는 상기 플룸(100)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측면 지지대(500)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플룸(100)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도어(300)는 유연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도어(300)의 양측 하단을 상기 측면 지지대(5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상기 도어(300)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레일(450), 상단 레일 롤러(460), 하단 레일 롤러(470) 및 하중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450)은 상기 측면 지지대(5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레일 롤러(460)는 상기 도어(300)의 양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45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00)는 상기 상단 레일 롤러(460)를 통해 상기 레일(45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는 상기 도어(300)의 양측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450)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4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300)는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를 통해 상기 레일(45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가 상기 레일(45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300)를 완전히 펼친 경우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가 상기 레일(450)의 하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도어(300)를 접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가 상기 레일(450)의 상단까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상단 레일 롤러(460)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는 최대 개방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를 상기 레일(450)의 하단에 위치시켜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를 상기 레일(450)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하중 센서의 기설정값 미만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는 상기 레일(45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 레일 롤러(470)의 수직 상승에 따라 상기 도어(300)의 하단이 수직 상승함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와 동일하게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도어(300)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중 센서에 기 설정되는 설정값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되는 사태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100), 상면 지지대(600), 측면 지지대(500), 도어(300) 및 도어 개폐 부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룸(100) 및 측면 지지대(500)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플룸 및 측면 지지대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기 도어(300) 및 도어 개폐 부재(4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및 도어 개폐 부재의 구성과는 차이가 있는 구성이다.
상기 상면 지지대(600)는 상기 플룸(1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상면 지지대(600)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측면 지지대(500)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플룸(100)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상면 지지대(600)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측면 지지대(500)로부터 양측이 분리됨으로써 상기 플룸(100)에 유입된 사태물질을 유동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도어(300)는 유연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도어(300)를 상기 측면 지지대(500)에 연결하거나 분리시켜 상기 도어(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지퍼(zipper)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지퍼가 상기 도어(300)의 양측을 상기 측면 지지대(500)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켜 상기 플룸(100)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지퍼가 상기 도어(300)의 양측을 상기 측면 지지대(5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켜 상기 사태물질을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300)는 상기 지퍼를 통해 상기 측면 지지대(50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지퍼가 상기 측면 지지대(5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300)를 상기 측면 지지대(500)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지퍼가 상기 측면 지지대(500)의 하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도어(300)를 상기 측면 지지대(5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퍼가 상기 측면 지지대(500)의 상단까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도어(300)는 최대 개방면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상기 지퍼에 연결되어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지퍼를 상기 측면 지지대(500)의 하단에 위치시켜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퍼를 수직 상승시켜 상기 지퍼를 상기 측면 지지대(500)의 상단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하중 센서의 기설정값 미만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퍼는 상기 측면 지지대(5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300)를 폐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사태물질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으로 상기 도어(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퍼가 상기 측면 지지대(500)를 따라 수직 상승함으로써 상기 도어(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개폐 부재(400)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조 도어 개폐장치에 포함된 도어 개폐 부재와 동일하게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도어(300)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중 센서에 기 설정되는 설정값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되는 사태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플룸 200:힌지 부재
300:도어 400:도어 개폐 부재
410:지지부 420:회전축
430:볼 포인트 440:하중 센서
450:레일 460:상단 레일 롤러
470:하단 레일 롤러 500:측면 지지대
600:상면 지지대 700:수평 프레임
800:수직 프레임

Claims (12)

  1.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힌지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모터에 의해 상기 힌지 부재에 권선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2.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플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7.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플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볼 포인트(ball poi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볼 포인트에 연결되며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볼 포인트를 수직 하강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하중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9. 플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지지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플룸에 유입된 사태물질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양측 하단을 상기 측면 지지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도어의 양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 레일 롤러;
    상기 도어의 양측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하단 레일 롤러; 및
    상기 하단 레일 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사태물질의 하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하단 레일 롤러를 수직 상방으로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하중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유연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12. 플룸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면 지지대;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지지대;
    상기 상면 지지대에 상단이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측면 지지대에 연결하거나 분리시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도어 개폐장치.
KR1020120037104A 2012-04-10 2012-04-10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KR10126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104A KR101269112B1 (ko) 2012-04-10 2012-04-10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104A KR101269112B1 (ko) 2012-04-10 2012-04-10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112B1 true KR101269112B1 (ko) 2013-05-29

Family

ID=4866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104A KR101269112B1 (ko) 2012-04-10 2012-04-10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823A (zh) * 2021-07-23 2021-10-22 桂林理工大学 一种桩基室内模型试验装置及试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39B1 (ko) 2008-07-10 2009-01-14 이동혁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39B1 (ko) 2008-07-10 2009-01-14 이동혁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823A (zh) * 2021-07-23 2021-10-22 桂林理工大学 一种桩基室内模型试验装置及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374B2 (en) Pergola cover
Damiano et al. Steep-slope monitoring in unsaturated pyroclastic soils
KR101195407B1 (ko) 복수 개수로 및 개수로 바닥형상을 고려한 가변형 토석류 모형시험장치
CN203772517U (zh) 矿山排土场滑坡型泥石流模拟试验系统
KR101475470B1 (ko) 토석류나 사면침식의 강우환경 제공형 모의 시험장치
KR101581848B1 (ko) 토석류의 폭 가변형 모의 시험장치
KR20120120632A (ko) 토석류 실험 장치
KR101269112B1 (ko)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KR101423496B1 (ko) 비구방지용 안전망 휀스
CN106706864A (zh) 一种研究滑坡坝形态特征的模拟装置
Pirone et al. Groundwater-atmosphere interaction in unsaturated pyroclastic slopes at two sites in Italy
CN217203856U (zh) 一种翻转式出入口防洪装置
Zhang et al.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above a gobi surface in northwestern China, and implications for aeolian environments
CN106938130A (zh) 一种有保护作用的消防设备架
Chen Controlling factors of hazardous debris flow in Taiwan
Wang et al. Continual erosion of bare rocks after the Wenchuan earthquake and control strategies
CN211474179U (zh) 一种地铁施工用排水装置
KR102484676B1 (ko) 매립식 유동 지지대가 구비된 월파 및 홍수 방어벽
RU146425U1 (ru) Ворота откатные
CN214375349U (zh) 一种用于山洪灾害预警实时监测装置
FR2941738A1 (fr) Dispositif d'equilibrage mecanique, adaptable aux portails ou portillons metalliques, motorisable ou pas s'adaptant a une pente de 1 a 25%
Rodrigues et al. Modeling field load tests in lateritic unsaturated soil
CN204662375U (zh) 一种用作旱闸的挡水装置
KR101227901B1 (ko)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KR100690196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