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901B1 -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901B1
KR101227901B1 KR1020120107628A KR20120107628A KR101227901B1 KR 101227901 B1 KR101227901 B1 KR 101227901B1 KR 1020120107628 A KR1020120107628 A KR 1020120107628A KR 20120107628 A KR20120107628 A KR 20120107628A KR 101227901 B1 KR101227901 B1 KR 101227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e
door
tarpaulin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찬
정승원
김경수
송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는 플룸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직각기둥 형상의 도어; 상기 플룸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포; 및 상기 방수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포는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도어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Gate control system to flow debris materials in laboratory flume}
본 발명은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룸 내부의 도어를 개폐하여 토사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토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상 이변에 의한 집중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산사태 및 사면 붕괴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는데, 매년 여름철이면 태풍을 동반한 장마와 호우로 인하여 절취 사면 붕괴 및 자연 사면에서의 산사태로 이어져 인명 피해 및 막대한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산사태의 발생 원인은 대부분 강우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인데, 많은 비가 오게 되면, 산지가 붕괴되어 계곡 등을 따라 사태물질, 즉 토석류가 흐르면서 인근에 위치한 도로, 교량, 민가 등을 파괴하고,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산사태의 발생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66805호에 소개된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는 상부에 위치되고 특정 함수비의 시료가 내부에 담겨졌다가 방출되는 시료 방류부, 시료 방류부의 하부에 상고하저의 특정 경사도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방출되는 시료가 흘러내리는 산사태 채널부 및 산사태 채널부의 출구에 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흘러내린 시료가 상면 상에 확산되는 확산 관측부를 포함하여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 및 산사태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는 범위와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에서의 도어를 개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한편, 이러한 산사태의 발생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 즉, 토사를 플룸 내부에 유입시킨 후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토사를 방출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도어 개방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 내부에 유입된 토사를 방출하기 위해 작업자가 도어를 손으로 직접 개방하거나 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개방하였다.
본 발명은 플룸 내부에 유입된 토사를 방수시키면서 일시적으로 도어를 완전개방시켜 토사를 방출시킬 수 있는 토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는 플룸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직각기둥 형상의 도어; 상기 플룸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포; 및 상기 방수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포는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도어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플룸의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양 측면 및 하면에 상기 착탈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포는 일 단이 상기 플룸 외부에 구비된 롤러에 권선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는 플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포;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각각 서로 이격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를 상기 플룸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착탈부재; 및 상기 플룸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착탈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을 수직 상승하며 상기 방수포를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포는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에 상기 착탈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플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포는 양 단이 상기 플룸 외부에 구비된 롤러에 권선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는 상기 플룸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플룸의 결합홈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방수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는, 저면 양 단에 상기 절단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플룸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을 관통하며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수직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상단에 상기 절단부재를 고정시키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상부가 굽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는 플룸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저장되는 방수포 튜브; 및 상기 방수포 튜브의 일 단을 매듭지어 상기 토사의 유동을 차단하는 매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포 튜브는 절단부재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방수포 튜브 내의 토사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룸 내부로 유입된 토사를 방수시키면서 일시적으로 도어를 완전개방시킴으로써 토사를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에서의 도어를 개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에 도어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도어에 방수포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에 방수포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절단부재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방수포가 절단부재에 의해 절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100), 도어(200), 방수포(300) 및 복수개의 착탈부재(400)을 포함한다.
상기 플룸(10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플룸(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룸(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플룸(10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룸(100)을 일 측에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에 도어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룸(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0)과, 하면에 너비 방향으로 형성된 안착홈(1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도어(200)는 상기 가이드 홈(11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안착홈(120)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중공부(210)가 형성된 직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플룸(100)에 유입된 토사를 상기 중공부(210)를 통해 유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도어에 방수포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200)는 토사가 유동될 수 있도록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상기 방수포(300)가 상기 도어(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 및 하면에 상기 착탈부재(400)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플룸(100)의 하면과 양 측면을 커버하며 상기 플룸(10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플룸(100) 내부로 유입된 토사를 방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이 상기 플룸(100) 외부에 구비된 롤러(500)에 권선되어 고정될 수 있고, 타 단이 상기 도어(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도어(20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210)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토사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재(400)는 상기 방수포(300)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2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방수포(300)를 상기 도어(200)에 결합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220)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방수포(300)를 상기 도어(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착탈부재(400)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 즉, 상기 방수포(300)의 하면 모서리부와 양 측면 모서리부가 상기 결합홈(2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공부(210)를 폐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토사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도어(200)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21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토사를 유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재(400)가 상기 결함홈(220)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200)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토사를 유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재(400)가 상기 도어(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함홈(220)에서 모두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도어(300)는 최대 개방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100), 방수포(300), 복수개의 착탈부재(400) 및 절단부재(600)을 포함한다.
상기 플룸(10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과 동일하게 상기 플룸(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플룸(100)을 일 측에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에 방수포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룸(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130)과, 상기 결합홈(13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10) 및 하면에 너비 방향으로 형성된 안착홈(1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착탈부재(400)는 상기 방수포(300)를 가압하며 상기 결합홈(130)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절단부재(500)는 상기 안착홈(120)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홈(110)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플룸(100)의 하면과 양 측면을 커버하며 상기 플룸(10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로 유입된 토사를 방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이 상기 플룸(100) 외부에 구비된 롤러에 각각 권선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방수포(300)는 일 단이 상기 플룸(100) 외부에 구비된 제 1롤러(510)에 권선되어 고정되고, 타 단이 상기 플룸(100) 상부에 구비된 제 2롤러(520)에 권선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에 유입된 토사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재(400)는 상기 방수포(300)를 가압하며 상기 플룸(100)의 양 측면에 각각 서로 이격 결합됨으로써 상기 방수포(300)를 상기 플룸(100)에 결합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부재(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룸(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220)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방수포(300)를 상기 플룸(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착탈부재(400)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가 상기 결합홈(2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룸(10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방수포(300)의 타 단이 상기 플룸(100)의 상부 방향으로 굽어 상기 제 2롤러(520)에 권선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되는 토사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재(600)는 상기 플룸(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착탈부재(400) 사이의 이격공간을 수직 상승하며 상기 방수포(300)를 절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절단부재의 작동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단부재(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양 단에 탄성부재(610)가 구비되면서 상기 플룸(100)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120)에 안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절단부재(600)는 상기 플룸(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110)을 관통하며 삽입되는 고정부재(7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700)가 상기 가이드 홈(110)에서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61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 홈(110)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방수포가 절단부재에 의해 절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즉, 상기 절단부재(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재(600)의 수직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부재(700)가 상기 가이드 홈(110)에서 제거되어 상기 가이드 홈(110)에 상기 절단부재(600)의 수직 이동로가 확보된 경우, 상기 탄성부재(6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110)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방수포(300)를 절단한 후, 상기 가이드 홈(110)의 상단에 구비된 자석부재(11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부에 유입된 토사를 유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1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이 아닌 상부가 굽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홈(110)의 끝단에 상기 절단부재(6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포(300)가 상기 절단부재(600)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상기 플룸(100)이 개방된 경우,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를 재사용하기 위해 상기 방수포(300)의 절단부위를 상기 제 1롤러(510)로부터 잡아당긴 후 상기 제 2롤러(520)에 권선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룸(100) 내의 토사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룸(100), 방수포 튜브(800) 및 매듭부재(9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룸(10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플룸과 동일하게 상기 플룸(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플룸(100)을 일 측에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포 튜브(800)는 상기 플룸(100)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저장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매듭부재(900)는 상기 방수포 튜브(800)의 일 단을 매듭지어 상기 토사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방수포 튜브(800)는 절단부재(미도시)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방수포 튜브(800) 내의 토사를 유동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절단부재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조 개폐 장치에 포함된 절단부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플룸(100)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방수포 튜브(800)를 절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플룸 110:가이드 홈
111:자석부재 120:안착홈
130,220:결합홈 200:도어
210:중공부 300:방수포
400:착탈부재 500:롤러
510:제 1롤러 520:제 2롤러
600:절단부재 610:탄성부재
700:고정부재 800:방수포 튜브
900:매듭부재

Claims (12)

  1. 플룸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직각기둥 형상의 도어;
    상기 플룸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포; 및
    상기 방수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포는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도어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플룸의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양 측면 및 하면에 상기 착탈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일 단이 상기 플룸 외부에 구비된 롤러에 권선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5. 플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포;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각각 서로 이격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를 상기 플룸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착탈부재; 및
    상기 플룸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착탈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을 수직 상승하며 상기 방수포를 절단하는 절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상기 플룸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에 상기 착탈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플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양 단이 상기 플룸 외부에 구비된 롤러에 권선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상기 플룸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플룸의 결합홈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방수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저면 양 단에 상기 절단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플룸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을 관통하며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수직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단에 상기 절단부재를 고정시키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부가 굽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12. 플룸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저장되는 방수포 튜브; 및
    상기 방수포 튜브의 일 단을 매듭지어 상기 토사의 유동을 차단하는 매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포 튜브는 절단부재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방수포 튜브 내의 토사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조 개폐 장치.
KR1020120107628A 2012-09-27 2012-09-27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KR10122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628A KR101227901B1 (ko) 2012-09-27 2012-09-27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628A KR101227901B1 (ko) 2012-09-27 2012-09-27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901B1 true KR101227901B1 (ko) 2013-01-30

Family

ID=4784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628A KR101227901B1 (ko) 2012-09-27 2012-09-27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9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39B1 (ko) * 2008-07-10 2009-01-14 이동혁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39B1 (ko) * 2008-07-10 2009-01-14 이동혁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모형실험을 통한 토석류확산과 제어시설의 저감효과(학위 논문,상지대학교 대학원-토목공학과,2011.02) *
실내 토석류 모형 시험장치를 이용한 토석류 흐름 특성에 관한 연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대학원-토목공학과, 2009.02) *
주문진 표준사를 이용한 토석류 확산에 관한 연구(2010년 한국지반환경 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지반환경 및 사면 안정 기술, 2010.05, 281-28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80822L (no) Apparat, system og fremgangsmate for samling av materiale fra vannsystem, og anvendelsen av apparatet
CN102127929B (zh) 雨水井格栅清理装置
KR101227901B1 (ko) 유체화된 토사의 완전 방류를 위한 방사포 활용형 토조 개폐 장치
EP2333161B1 (en) River bedload trap
CN214375349U (zh) 一种用于山洪灾害预警实时监测装置
KR100592659B1 (ko)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 보호시설물
ITBO20060265A1 (it) Gruppo antigoccia per tendoni di copertura
KR101269112B1 (ko) 사태물질의 완전배출을 위한 토조 도어 개폐장치
KR20200014612A (ko) 와이어를 이용한 개폐식 천막
KR100980764B1 (ko) 양사이드 개폐구조물
KR20160009438A (ko)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CN113775018A (zh) 一种地下室施工方法
CN205894051U (zh) 一种简易测斜孔清理装置
US11053733B2 (en) System comprising a sliding shield and a guiding and tensioning retractable device for the sliding shield
CN105649181A (zh) 一种中央型排水沟组件
JP4923090B2 (ja) 雪下ろし機
KR101012868B1 (ko) 이중 살대로 이루어진 통풍우산의 살대 고정구 및 살대고정방법
CN210664465U (zh) 一种水文水资源检测装置
CN205942232U (zh) 一种可投影用玻璃幕墙
KR101295474B1 (ko) 화분용 배수장치
CN11034592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水文自动侦测报警装置
OKUSHIMA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Green curtain” cooling effects
CN205857168U (zh) 一种人工挖孔桩
CN217232175U (zh) 一种景观园林的排水结构
CN210797160U (zh) 一种防涝的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