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110B1 -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110B1
KR101763110B1 KR1020170012231A KR20170012231A KR101763110B1 KR 101763110 B1 KR101763110 B1 KR 101763110B1 KR 1020170012231 A KR1020170012231 A KR 1020170012231A KR 20170012231 A KR20170012231 A KR 20170012231A KR 101763110 B1 KR101763110 B1 KR 10176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output
sound
warning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이엔원 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이엔원 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이엔원 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01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은,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무대장치; 상기 무대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명령의 입력 및 구동명령에 따른 무대장치의 상태 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콘솔; 상기 구동명령에 대응되는 음성신호 및 오류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포함하는 안내음이 저장되는 안내음저장모듈과, 상기 안내음을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모듈 및 상기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음성안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STAGE SE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대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입력한 구동명령, 무대장치의 이동속도 및 구동명령에 따라 이동된 무대장치의 위치값이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 및 음성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무대장치의 상태를 빠르게 인지함은 물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는 노래ㆍ춤ㆍ연극 따위와 같은 공연이나 영화상영을 하기 위하여 객석 정면에 길고 높직하게 만든 단상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천장측 상부에 공연 및 상영에 필요한 무대기계가 설치된다. 이러한 무대기계는 무대막, 스크린막, 배경막, 현수막(광고나 공연안내), 깃발, 스포트라이트, 보더라이트 등과 같은 무대 시설물이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승강된다.
상기와 같은 무대기계는 무대장치 제어시스템을 통해 콘솔에 수십여 개의 스위치를 나열하여 수동방식으로 제어되거나 공장 자동화용으로 판매되는 MMI(Man Machine Interface) 라는 프로그램을 탑재된 콘솔 또는 자체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PLC(Program Logic Controller)와 통신하면서 무대장치를 조작하고 그 상태를 파악하면서 제어되며, 이러한 MMI 또는 PLC 등 조작을 위한 기기는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무대 뒤편이나 무대에 인접 설치되며, 관리자는 무대기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중 아날로그 방식은 일일이 하나하나의 부품을 부착, 배선을 하고 제어 스위치와 구동장치(릴레이와 마그네트로 구성)를 각각의 전선으로 연결하여 동작을 시키는 형태이므로 조립과정에서 많은 배선과 터미널 처리, 그리고 각 부품에 나사를 체결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자재와 인건비가 많은 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공연장이나 다목적 공연장에는 수많은 무대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복잡해지고, 신속한 작동을 요구함에 따라 많은 구동모터와 이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무대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공연의 지연현상 및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다수의 구동모터와 리미트 스위치, 인버터, 엔코더, 브레이크 등의 구성을 구비하며, 종종 이상현상에 의하여 구동모터와 리미트 스위치가 미작동하거나 파손될 경우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MMI 또는 PLC를 통한 무대장치의 제어는 무대 뒤편이나 무대와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관리자의 활동 및 작업 영역을 극히 제한하는 단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대기계의 작동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무대기계들의 작동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854696호에 "다목적 무대기계장치의 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제어시스템은 다수의 슬라이드식 스위치가 설치된 컴퓨터콘솔 및 서브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조명장치 및 무대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제어시스템은 컴퓨터콘솔의 디지털 제어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조명장치 및 무대기계에 작동을 제어하는 서브제어 유닛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컴퓨터 콘솔의 제어신호를 통해 다수의 조명장치 및 무대기계를 동시에 제각기 원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어시스템은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조광조절기로 전송되는 외부 제어기기의 키 신호에 의하여 조명장치의 점등을 제어하거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서브제어유닛에 마련된 고속 카운터의 카운팅 값에 따라 무대기계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조명장치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으며, 무대기계를 설정된 시간 동안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제어시스템은 원격제어는 가능하지만 무대기계의 작동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무대기계들의 작동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대장치의 작동오류나 응급상황 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무대장치의 제어 및 무대상황을 시청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콘솔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항상 콘솔 및 무대장치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각적 안내 시 주변 소음이나 무대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소리로 경고음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무대장치에서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은,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무대장치; 상기 무대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명령의 입력 및 구동명령에 따른 무대장치의 상태 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콘솔; 상기 구동명령에 대응되는 음성신호 및 오류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포함하는 안내음이 저장되는 안내음저장모듈과, 상기 안내음을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모듈 및 상기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음성안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콘솔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시선인식센서로 구성되는 인체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안내장치는, 상기 인체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콘솔 및 상기 무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지 않으면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시선경고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시선경고출력모듈은, 상기 경고신호가 출력된 직후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선변화를 판단하여 상기 콘솔 및 상기 무대장치를 바라본 시간인 집중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선재인식부 및, 상기 집중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리턴정보를 생성하는 리턴정보생성부와, 상기 리턴정보의 생성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재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솔은, 상기 무대장치에서 공연된 사운드인 리허설데이터를 저장하는 리허설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리허설데이터에서 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파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파형정보의 음량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성특성을 분석하는 음성특성분석부와, 상기 무대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이상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음성비교부와, 상기 음성비교부에서 이상발생여부가 감지된 시점인 이상시점을 파악하는 이상시점파악부와, 상기 이상시점에서의 상기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과 다른 경고신호가 상기 음성안내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지정하는 경고설정부를 포함하는 음성특성적용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1) 무대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입력한 구동명령, 무대장치의 이동속도 및 구동명령에 따라 이동된 무대장치의 위치값이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 및 음성으로 안내되는 콘솔을 제공하고,
2) 사용자가 콘솔 및 무대장치에 집중하지 않는 경우 경고음을 울려 알리는 구성을 제공하며,
3) 무대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경고음이 묻히지 않도록 무대의 소리성분을 파악하여 경고음의 소리성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4) 나아가 무대의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경고음의 발생 시 깊이감을 더해 소리가 들려오는 방향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솔을 도시한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솔에서 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음성출력 성능평가 결과 보고서.
도 6은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프로세스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대장치(100)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대장치(100) 제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콘솔(200)을 도시한 전면도이다.
무대장치(100) 제어 시스템의 경우, 기본적으로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무대장치(100)와 이 무대장치(100)를 제어하도록 구동명령을 입력하는 콘솔(200) 및 구동명령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안내장치(30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대장치(100)의 경우 연극이나 공연 등의 무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명기구, 조물기구, 마루기구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무대장치(100)는 on/off제어로부터 각종 방향제어나 구동제어가 필요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콘솔(200)을 더 구비하게 된다. 이 콘솔(200)을 쉽게 말하면 중앙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콘솔(200)에는 터치스크린이 더 구비되는데, 이 터치스크린에 의해 무대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명령의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대장치(100)의 이동속도 및 구동명령에 따라 이동된 무대장치(100)의 위치값이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어 안정적인 무대장치(100)의 제어와 응급상황 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터치스크린 이외에도 별도의 물리조작식 제어부를 더 두어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물리적인 조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정도의 시각적 확인의 경우, 다양한 상황이 긴박하게 진행되는 무대의 특성 상 콘솔(200)을 제어하는 사용자(10)가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넘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콘솔(200)을 통해 구동명령을 입력하였더라도 즉시 동작하지 않고 일정 시간을 두고 서서히 동작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 사용자(10)가 제대로 구동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성안내장치(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음성안내장치(300)의 경우, 직접 사운드를 방출할 수 있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이나 헤드폰 및 다른 스피커를 연결하여 사운드가 방출될 수 있도록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각 구성을 다시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무대장치(100)는 무대막, 스크린막, 배경막, 현수막(광고나 공연안내), 태극기, 스포트라이트, 보더라이트 등과 같은 무대 시설물이 장착된 것으로, 구동장치에 의해 상승, 하강 또는 정지하게 된다.
이 때, 무대장치(100)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는 상기 무대장치(1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와이어를 권취하는 와이어 드럼 등 일반적으로 무대장치(100)에서 이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콘솔(200)은 무대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명령이 입력되고, 구동명령에 따른 무대장치(100)의 상태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3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콘솔(200)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구동명령을 신호로 생성하며, 터치스크린을 on/off 하도록 하는 콘솔(200)용 pc(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고장 시 무대장치(1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레버, 스위치, 조이스틱, 상기 구동장치와 1:1로 직결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비상버튼 등 수동조작용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상기 무대장치(10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동작을 선택하거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대장치(100)의 위치가 표시창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무대장치(100)와 연결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나, 무대장치(100)의 정지위치(리미트 값) 등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창이 버튼이나 도형 또는 레버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구동명령에 따른 무대장치(100)의 위치를 터치스크린에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무대에 설치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조명을 on/off할 수 있는 조작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터치스크린은 콘솔(200)에 입력되는 구동명령이나 무대장치(100)의 정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음성안내장치(300)의 경우, 콘솔(200)에서 구동명령이 입력되면 이 구동명령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세하게는 구동명령에 대응되는 음성신호 및 오류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포함하는 안내음이 저장된 안내음저장모듈(310)과, 안내음저장모듈(310)에 저장된 안내음을 사운드 출력이 가능하도록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모듈(320)와,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신호의 경우, 예를 들면 4개의 무대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3번째 무대장치(100)를 하강시키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하강버튼을 누르게 되면 "3번 무대장치(100) 하강" 이라는 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되어 작업자가 올바른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번 무대장치(100)의 이동속도를 높이기 위해 무대장치(100)와 연결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면 "2번모터 가속"이라는 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경고신호의 경우, 예를 들면 구동모터가 고장나거나 무대장치(100)와 연결된 와이어의 단락이 발생하는 등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사이렌과 같은 경고음이 울리거나 응급상황을 암시하는 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1번 무대장치(100)의 리미트 값을 10m로 설정하고 하강시키면 "1번 무대장치(100) 하강"이라는 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된 다음 5m 지점을 통과하면 "1번 무대장치(100) 5M 통과"라는 메세지가 출력되고, 10m 지점에 도착하면 "1번 무대장치(100) 정지, 현재위치 10m"라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무대장치(100)를 구성할 때에는 무대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조명의 색이나 조명의 강도를 다르게 하기 위하여 무대장치(100)의 하강위치를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무대장치(100)의 리미트 값은 7.5m, B무대장치(100)의 리미트 값은 8m, 그리고 C무대장치(100)의 리미트 값은 9m로 설정하여 A,B,C 무대장치(100)를 통해 무대를 구성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B무대장치(100)가 하강하여 8m에 가깝게 도달하게 되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점차 감소하였다가 정지하면서 와이어의 권취동작을 멈추게 된다.
그런데, 만약 상기 B무대장치(100)가 8m를 초과하여 정지하였거나, 8m 미만으로 정지하게 되면 조명의 색상이나 밝기가 사전에 약속한 대로 연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공연의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대장치(100)에 구동명령이 입력되면 대응되는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올바른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확인하도록 하고, 입력된 명령에 따라 무대장치(100)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무대장치(100)의 위치값이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잘못된 구동명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연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B무대장치(100)가 7m 30cm에서 정지하게 되면 'B무대장치(100) 정지. 현재위치 730" 이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신속하게 B무대장치(100)를 70cm 상승시켜 8m 높이에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콘솔(200)은 공연 진행 중에 음성출력모듈(330)을 통해 음성이 출력되면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볼륨조절, 음소거 모드가 가능하고,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연결하여 무대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종래의 무대장치(100) 제어시스템(예를 들면 PLC를 통한 무대장치(100)의 제어)과 비교해 보면, 작업자가 무대장치(100)를 하강시키기 위해 하강버튼을 누른 후 무대장치(100)가 이상 없이 하강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계속 무대장치(100)를 응시해야만 하는데, 만약 작업자가 하강버튼이 아닌 다른 버튼(예를 들면 정지버튼)을 눌렀다고 가정하면 무대장치(100)가 하강하지 않고 정지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다시 PLC를 확인하기 전까지 공연에 차질이 생길 수 있으며,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무대나 PLC를 쳐다보고 있지 않다면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구동명령이 음성출력모듈(330)을 통해 음성으로 실시간으로 출력되므로 작업자가 올바른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즉시 확인이 가능하여 공연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무대장치(100)의 이동속도,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구동명령에 따라 이동된 무대장치(100)의 위치값이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이 적용되더라도, 실제로 사용자(10)는 공연 시 콘솔(200)을 확인하는 데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시간으로 다양한 구성이 복합적으로 동작하는 공연의 특성 상 콘솔(200)과 무대장치(100)를 번갈아가면서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숙련된 사용자(10)의 경우 무대장치(100)만을 보면서 콘솔(200)을 제어할 수도 있겠으나, 아무리 숙련되더라도 실수가 발생하기 마련이므로 일정 시간마다 콘솔(200)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사용자(10)의 피로나 주의산만 등의 영향으로 콘솔(200) 및 무대장치(100)를 모두 확인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10)로 하여금 이러한 상황에서 콘솔(200)을 확인할 수 있도록 리마인드 시키는 기능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콘솔(200)에는 사용자(10)의 시선(홍채, 눈동자 등)을 인식하는 시선인식센서로 구성되는 인체센서모듈(21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안내음저장모듈(310)에는 사용자(10)로 하여금 콘솔(200)을 확인하라고 안내할 수 있는 경고명령이 포함된 경고신호가 더 저장된다. 이에 따라 음성안내장치(300)는 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시선경고출력모듈(340)을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시선경고출력모듈(340)을 통해 사용자(10)의 시선이 콘솔(200) 및 무대장치(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10)에게 콘솔(200)을 확인할 것을 알리게 된다.
또, 사용자(10)가 이 경고신호가 울리는 경우 충분한 확인 없이 다시 콘솔(200) 및 무대장치(100)로부터 시선을 돌릴 수 있는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시선경고출력모듈(340)은 경고신호가 출력된 직후 다시 사용자(10)의 시선을 추적하여 사용자(10)가 콘솔(200) 또는 무대장치(100)를 확인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집중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선재인식부(341)와, 이 집중시간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리턴정보를 생성하는 리턴정보생성부(342) 및 이 리턴정보의 생성에 따라 경고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다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재출력부(343)를 더 포함한다.
즉, 집중의 기준시간을 5초라고 하였을 때, 사용자(10)가 경고신호가 울린 후 콘솔(200) 및 무대장치(100)를 바라본 시간이 5초가 지나게 되면, 이를 리턴정보생성부(342)에서 판단하여 경고신호의 출력을 중단시키고 다시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10)가 일정한 시간 동안 콘솔(200) 및 무대장치(100)를 확인하지 않은 경우, 다시 충분한 시간동안 콘솔(200) 및 무대장치(100)를 확인하도록 강제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기본 내용으로 돌아가, 공연이 진행되는 경우 일부 상황에서 공연에 따른 소리 발생에 의해 사용자(10)가 음성안내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안내음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안내음 중 경고신호의 경우, 사용자(10)가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 매우 난처로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다음의 구성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콘솔(200)에는 사용자(10)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할 때 사용자에게 쉽게 전달될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 또는 변조하여 경고신호를 제공되는 음성특성적용모듈(2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음성특성적용모듈(2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대장치(100)를 활용하여 리허설 공연을 수행할 때 발생한 사운드인 리허설데이터를 저장하는 리허설데이터저장부(221)가 포함된다. 이 리허설데이터는 공연의 실제 진행 이전에 연습을 위해 실제 공연과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한 테스트데이터가 될 수 있어, 실제 공연에 있어서도 이 리허설데이터가 기준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리허설데이터에서 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파형정보를 생성하는 음성특성분석부(223)가 더 포함된다. 파형정보는 일반적으로 음량(데시벨)의 고저와 주파수의 고저를 확인할 수 있는데, 모두 수치화된 값으로 표현할 수 있어 이를 음성특성으로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음성비교부(224)는 실제 무대장치에서 수행되는 공연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실시간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위와 동일하게 음성특성을 분석하고, 이것을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과 비교하여 이상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상발생여부라고 함은 가장 완곡한 방법으로서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과 실시간으로 수신된 음성데이터의 음성특성이 일부라도 다른 경우 이상발생여부라고 판단하는 것이나, 실제 공연의 특성 상 완전히 동일한 공연이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음량, 주파수의 오차범위를 지정하거나 일정 시간 텀을 지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연하게 이상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상시점파악부(225)는 음성비교부를 통해 감지된 이상발생여부에 따라, 이상상황이 발생된 시점인 이상시점을 파악하는 것이며, 나아가 경고설정부(226)는 이 이상시점을 이용하여, 이상시점으로부터 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되, 이상시점에서 판단된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과는 다른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지정하는 것이다. 즉, 리허설데이터를 분석하였을 때, 자동차경적소리가 나고 있는 시점이라면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경고신호인 나팔소리나 경적소리가 경고신호로서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자동차경적소리와 음성특성이 대비되거나 혹은 다른 음성특성을 갖는(예를 들면 사람의 외침소리나 개가 짖는 소리 혹은 경적소리를 왜곡하여 다른 종류의 음성으로 변조한 소리 등)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지정하는 것이다.
이 때, 리허설데이터저장부(221)에는 저장된 리허설데이터의 파형정보를 단위시간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분리저장파트(2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시간이라 함은 다양한 시간이 지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초, 2초 등과 같이 고정된 시간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음성특성이 다이나믹하게 변동되는 경우에는 유동적인 시간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단위시간이 적용되면, 각 단위시간을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경고설정부에는 이상시점과, 이상시점이 포함된 단위시간으로부터 이어지는 다음 단위시간의 음성특성을 비교하여 이에 따라 새로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신호변조파트(22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이상시점의 음성특성과, 다음 단위시간의 음성특성을 모두 도출하되, 경고신호가 다음 단위시간에 발생될 때에는 이 두 음성특성이 모두 포함되지 않은 다른 경고신호로 변조시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소리가 계속해서 변할 수 있는 공연상황에서 하나의 경고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갑자기 공연의 소리가 바뀌어 경고신호와 동일한 또는 경고신호가 묻힐만한 소리가 발생하는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변조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경고신호가 발생된 이후 이 경고신호가 어느 시간동안 지속될 것인지를 더 지정받아 경고신호의 출력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경고설정부(226)는 이상시점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출력될 시간을 지정하는 출력시간지정파트(22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임의로 경고신호의 출력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인식텀분석파트(229)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인식텀이라는 것은 경고신호의 출력시간을 복수의 텀으로 나눈 것으로서, 여기서의 텀 또한 앞선 단위시간과 유사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분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인식텀이 지정되면, 각각의 인식텀마다 다시 음성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즉, 앞선 방법에서는 단위시간동안의 음성특성을 분석하고, 이 방법에서는 인식텀의 음성특성을 각각 분석하게 되는 것인데, 이 음성특성의 분석이라 함은 쉽게 말하면 음량이나 주파수의 평균값이나 최대값 또는 최소값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임의의 지점의 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음성특성을 분석하는 범위를 조절하는 것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음성특성을 분석하였을 때, 다양한 값을 도출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음성특성의 분석에 있어서 음성특성 분석범위를 지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이어 이렇게 인식텀마다 음성특성이 분석되면 각 음성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신호를 지정하는 인식텀경고지정파트(23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렇게 인식텀마다 지정된 경고신호를 각 인식텀마다 음성안내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지정경고신호출력파트(2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경고신호가 출력될 수 있는 출력시간을 지정받은 경우에도 동일한 경고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른 경고신호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경고신호를 인식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고신호의 변조가 발생하는 경우, 음량의 증폭 또는 주파수값의 증폭에 의해 원치 않는 파열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파열음은 사용자에게 오류를 인식하도록 하는데에는 충분히 효과적이나, 다른 소리성분이 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오류가 발생한 소리를 인식할 수 없게 만드는 부작용이 있다.
이에 따라, 변조 시(특히 증폭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열음을 줄일 수 있는 구성이 더 필요하게 되는데, 이 파열음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영역 중 고주파 영역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주파대역필터파트(232)를 통해 이 고주파영역에 해당하는 4Khz 내지 20Khz 주파수대역을 추출하고, 피크값도출파트(233)를 통해 이 주파수대역에서 피크값을 추출한다. 이와 동시에 단순히 피크값만을 제거하게 되면, 피크값의 바로 옆에 위치한 다음 높은 값을 갖는 주파수가 다시 피크값이 되며, 파열음은 사라지지 않게 되므로, 피크값과, 피크값의 주변 음역대를 함께 파열음발생위치로 지정하게 된다.
이 때, 피크값의 주변 음역대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의 수식이 적용될 수 있다.
수식,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2
는 파열음발생위치이고,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3
는 주파수의 파열음을 제거하기 위한 0 내지 1 사이의 상수이며, E(p)는 피크위치의 주파수값에서 파열음을 제거한 평활화된 값이며, E(p-n)은 상기 주파수값의 주변시간(영역)에서 파열음을 제거한 평활화된 값을 의미한다.
즉,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4
는 평활상수로서 0 내지 1 사이의 상수값을 갖게 되는데, 이 상수값에 따라 파열음발생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범위의 주파수값을 함께 파열음발생위치로 지정할지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파열음이라고 하는 것은 사용자의 청력이나 민감성에 따라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조절이 가능한 평활상수를 두어 사용자가 임의로 평활상수를 제어함으로써 견딜 수 있는 파열음의 범위를 설정하거나 혹은, 원래 발생되는 음의 주파수가 매우 높아 어쩔 수 없이 파열음이 발생하더라도 들릴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한 방법임은 물론이다.
이후 경고설정부(226)는 상기한 방법으로 지정된 파열음발생위치의 음역대를 삭제하고, 나아가 이 파열음발생위치의 주변 음역대는 부스트시켜 파열음을 삭제하되 주변 음의 부스트를 통해 자연스럽게 음을 이어주는 파열음제거파트(2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고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패턴 반복 출력을 더욱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바로 터치영역생성부(235)와 출력소멸부(236)의 구성을 더하는 것인데, 터치영역생성부(235)의 경우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 터치스크린에서 임의의 터치식 안내영역을 생성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 터치식 안내영역을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소멸부(236)는 사용자가 터치식 안내영역을 터치한 것을 확인하면 경고신호를 점차 느려지는 패턴으로 연속 출력하도록 하여 결국 소멸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내음을 종료시키기 위해 필연적으로 터치스크린을 확인하여 랜덤방식으로 생성되는 터치식 안내영역을 터치해야만 안내음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식 안내영역은 사용자가 터치식 안내영역을 찾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면 안 되므로 충분히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크기나 형태, 위치에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콘솔(200)에는 바로 이 터치식 안내영역을 활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합한 조치를 취하였는지 한 번 더 리마인드 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라이트모듈(240)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영역설정부(241)에서는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식 안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메인영역으로 설정하고, 이어 프레임생성부(242)를 통해 터치식 안내영역에는 해당 영역을 둘러싸는 안내프레임과, 메인영역에는 해당 영역을 둘러싸는 메인프레임을 형성한다. 이후 디밍제어부(243)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식 안내영역을 터치함에 따라 안내프레임은 페이드 아웃 처리를, 메인프레임은 페이드 인 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내프레임이 둘러싼 터치식 안내영역은 사용자가 터치식 안내영역을 터치하면서 점차 어둡게 변하고, 메인프레임이 둘러싼 메인영역은 사용자가 터치식 안내영역을 터치하면서 점차 밝게 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시 한 번 메인영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더욱 나아가, 하이라이트모듈(240)은 다음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영역에서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터치위치를 파악하는 터치위치파악부(244)와, 이 터치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구동명령을 인식하여 해당 구동명령이 위치한 영역 둘레를 둘러싸도록 터치프레임을 형성하는 터치프레임생성부(24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터치스크린은 앞선 도면에서도 보여진바와 같이 다양한 구동명령이 화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이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은, 터치스크린에서 이 다양한 구동명령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입력한 터치위치를 파악하여, 이 터치위치와 가장 가까운 구동명령을 인식하게 되면, 실제로 사용자가 어떠한 구동명령을 순서대로 실행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점멸제어부(246)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식 안내영역을 터치함에 따라 터치프레임을 터치된 순서대로 점멸 처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수행한 구동명령을 순서대로 다시 한 번 리마인드 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음성확인부(247)에서는 음성안내장치(300)에서 이 터치된 순서대로 구동명령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구동명령을 리마인드시켜 정확한 입력을 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스피커장치만 있다면 좌우 이동은 물론 청자에게 깊이감 있는 전후 상하 방향으로의 음성출력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음성출력에 의해 사용자(10)는 음성이 향하는 방향을 인지하여 해당 방향을 실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으로 고장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콘솔(200)에는 이러한 기능을 하는 음성원근출력모듈(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콘솔(200)에는 무대의 정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각 무대장치(100)의 실시간 3차원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센싱부(25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구동여부나 이동여부 정도를 파악하던 것에서 더 나아가 실제 3차원 좌표로 각 무대장치(100)의 위치를 측정하여 보다 상세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렇게 측정된 3차원위치정보에 따라 경고신호를 변조하여 출력되는 원근감을 제어할 수 있는 원근출력부(252) 또한 포함된다. 이렇게 측정된 3차원위치정보에 따라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원근감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0)는 이러한 음성신호의 원근감을 통해 실제 육안으로 이상이 있는 부분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오작동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앞선 시선인식센서를 더 활용하여 사용자(10)의 시선까지 고려하여 사용자(10)의 시선 변화에 따라 원근감을 재 설정하는 방법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음성원근출력모듈(250)은 다음의 수식으로 음성의 원근감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5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7
은 좌측 채널,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8
은 우측 채널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음성의 원근감을 제공하려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채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B는 앞서 측정된 3차원위치정보를 통해 중앙을 기준으로 F는 전방, B는 후방, L은 좌측, R은 우측, H는 높이방향으로의 이격거리를 나타낸다.
즉, 좌우 채널을 기본으로 하되, 전방의 경우, 높이를 더 고려함으로써 어떤 높이부터 음이 전해져 후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2개의 채널로도 마치 6개 이상의 채널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추가로 K와 M의 경우, 0 내지 10 사이의 채널Down 계수로서, 1을 기준으로 한 이 계수값을 통해 전체 사운드의 레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기본 채널값 만으로도 사운드 레벨의 조절을 통해 다양한 채널값으로 조절하여 사용자(10)로 하여금 소리를 통한 단순 좌우 분간에서 벗어나 전후방향 및 높이방향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깊이감을 부여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음성출력 성능평가 결과 보고서이다. 도 5에 나타난 성능평가보고서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작된 무대장치(100) 제어 시스템의 샘플을 사용하여 제어기간 응답시간, 무대시설 반응시간, 음성기능 확인, 동시 작동 시간 차 확인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것으로서, 모든 시험결과가 기준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프로세스도이다.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을 순서대로 정리해보면, 먼저 사용자(10)가 콘솔(200)을 매개로 무대장치(100)를 제어하면, 콘솔(200)에서는 무대장치(100)로 구동명령에 대하여 무대장치(100)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음성안내장치(300)를 통해 사용자(10)가 입력한 구동명령을 소리로서 재 안내한다. 이후 사용자(10)가 입력한 구동명령이 차례로 콘솔(200)에 저장되며, 콘솔(200)은 이 구동명령에 따라 무대장치(100)를 제어한다. 여기서 무대장치(100)는 별도의 센서장치를 통해 무대장치(100)의 구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콘솔(200)로 전송하며, 콘솔(200)은 이 무대장치(100)의 실시간 구동상황과 실제 사용자(10)로부터 입력된 구동명령의 차이를 파악하여,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0)에게 경고음성을 송출하여 안내한다. 사용자(10)는 이 경고음성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했던 오류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사용자(10)의 후속 처치가 수행되더라도 오류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 다시 한 번 경고음성을 송출함으로써 사용자(10)에게 아직 문제의 발생이 해결되지 않았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0)에 의해 오류상황이 해결되면 경고음성의 송출이 종료되고 다시 원래의 구동명령을 소리로서 안내하는 음성안내기능을 통해 사용자(10)가 용이하게 콘솔(200)을 통해 무대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물론 구동명령에 대한 음성안내와 경고음성의 송출 과정에서 각각의 안내 및 송출단계마다 상기한 방법의 음성변조 제어가 수행되는 것이며, 이것으로 인해 사용자(10)는 음성안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10)가 콘솔(200)을 통해 무대장치(100)를 제어할 때, 무대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해 입력한 구동명령, 무대장치(100)의 이동속도에 따라 이동된 무대장치(100)의 위치값이 터치스크린에 송출되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잘못된 구동명령이 입력되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나아가 오류가 발생한 상황에도 음성안내가 가능하여 사용자(10)가 쉽게 오류를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상이 있는 구성에 대하여 교체 및 보수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의 지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사용자 100: 무대장치
200: 콘솔 210: 인체센서모듈
211: 물리조작식 제어부 220: 음성특성적용모듈
221: 리허설데이터저장부 222: 분리저장파트
223: 음성특성분석부 224: 음성비교부
225: 이상시점파악부 226: 경고설정부
227: 경고신호변조파트 228: 출력시간지정파트
229: 인식텀분석파트 230: 인식텀경고지정파트
231: 지정경고신호출력파트 232: 고주파대역필터파트
233: 피크값도출파트 234: 파열음제거파트
235: 터치영역생성부 236: 출력소멸부
240: 하이라이트모듈
241: 영역설정부 242: 프레임생성부
243: 디밍제어부 244: 터치위치파악부
245: 터치프레임생성부 246: 점멸제어부
247: 음성확인부 250: 음성원근출력모듈
251: 위치센싱부 252: 원근출력부
300: 음성안내장치 310: 안내음저장모듈
320: 음성처리모듈 330: 음성출력모듈
340: 시선경고출력모듈 341: 시선재인식부
342: 리턴정보생성부 343: 음성재출력부

Claims (13)

  1.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으로서,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무대장치;
    상기 무대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명령의 입력 및 구동명령에 따른 무대장치의 상태 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콘솔;
    상기 구동명령에 대응되는 음성신호 및 오류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포함하는 안내음이 저장되는 안내음저장모듈과, 상기 안내음을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모듈 및 상기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음성안내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콘솔은,
    무대의 정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각 무대장치의 실시간 3차원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센싱부와,
    상기 3차원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안내음이 출력되는 원근감을 제어하는 원근출력부로 구성되는 음성원근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시선인식센서로 구성되는 인체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안내장치는,
    상기 인체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콘솔 및 상기 무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지 않으면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시선경고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경고출력모듈은,
    상기 경고신호가 출력된 직후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선변화를 판단하여 상기 콘솔 및 상기 무대장치를 바라본 시간인 집중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선재인식부 및,
    상기 집중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리턴정보를 생성하는 리턴정보생성부와,
    상기 리턴정보의 생성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재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은,
    상기 무대장치에서 공연된 사운드인 리허설데이터를 저장하는 리허설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리허설데이터에서 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파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파형정보의 음량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성특성을 분석하는 음성특성분석부와,
    상기 무대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이상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음성비교부와,
    상기 음성비교부에서 이상발생여부가 감지된 시점인 이상시점을 파악하는 이상시점파악부와,
    상기 이상시점에서의 상기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과 다른 경고신호가 상기 음성안내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지정하는 경고설정부를 포함하는 음성특성적용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허설데이터저장부는,
    상기 리허설데이터의 파형정보를 단위시간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분리저장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설정부는,
    상기 이상시점과 상기 이상시점이 포함된 단위시간의 다음 단위시간 음성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이상시점의 음성특성 및 다음 단위시간의 음성특성과 다른 경고신호로 변조되어 다음 단위시간에 상기 음성안내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지정하는 경고신호변조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설정부는,
    상기 이상시점으로부터 상기 경고신호가 출력될 출력시간을 지정하는 출력시간지정파트와,
    상기 출력시간을 복수의 인식텀으로 분리하고, 상기 인식텀에 포함된 상기 리허설데이터의 음성특성을 재 분석하는 인식텀분석파트와,
    상기 인식텀마다 상기 인식텀분석파트에서 분석된 음성특성과 다른 경고신호를 지정하는 인식텀경고지정파트와,
    상기 음성안내장치에서 상기 인식텀 마다 지정된 경고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지정경고신호출력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설정부는,
    상기 경고신호변조파트에서 변조된 경고신호 중 4Khz 내지 20Khz의 주파수대역을 추출하는 고주파대역필터파트와,
    추출된 주파수대역에서 주파수의 피크값을 도출하여 상기 피크값의 주변 음역대와 함께 파열음발생위치로 지정하는 피크값도출파트와,
    상기 파열음발생위치의 음역대를 삭제하고, 상기 파열음발생위치의 주변 음역대를 부스트시켜 변조에 의한 파열음을 제거하는 파열음제거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값도출파트는,
    다음의 수식 1을 사용하여 파열음발생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수식 1,
    Figure 112017009133435-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17009133435-pat00010
    는 파열음발생위치이고,
    Figure 112017009133435-pat00011
    는 주파수의 파열음을 제거하기 위한 0 내지 1 사이의 상수이며, E(p)는 피크위치의 주파수값에서 파열음을 제거한 평활화된 값이며, E(p-n)은 상기 주파수값의 주변시간(영역)에서 파열음을 제거한 평활화된 값을 의미한다.)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특성적용모듈은,
    상기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경고신호의 인식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식 안내영역을 생성하는 터치영역생성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식 안내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를 점차 느려지도록 연속 출력하여 소멸시키는 출력소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터치식 안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메인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설정부와,
    상기 터치식 안내영역을 둘러싸는 안내프레임과 상기 메인영역을 둘러싸는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생성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식 안내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안내프레임을 페이드 아웃 처리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페이드 인 처리하는 디밍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모듈은,
    상기 메인영역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된 터치위치를 파악하는 터치위치파악부와,
    상기 터치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구동명령을 인식하고, 해당 구동명령이 위치한 영역 둘레를 둘러싸는 터치프레임을 형성하는 터치프레임생성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식 안내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터치프레임을 터치된 순서대로 점멸처리하는 점멸제어부와,
    상기 음성안내장치에서 터치된 순서대로 상기 구동명령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성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원근출력모듈은,
    다음의 수식 2를 사용하여 상기 안내음의 원근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수식 2,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2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3

    (여기서, K,M은 0내지 10 사이의 채널Down상수이고,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4
    은 좌측 채널,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5
    은 우측 채널,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6
    는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이격거리,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7
    은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이격거리,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8
    은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이격거리,
    Figure 112017023989418-pat00019
    는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이격거리,
    Figure 112017023989418-pat00020
    는 중앙을 기준으로 높이방향 이격거리를 의미한다.)
KR1020170012231A 2017-01-25 2017-01-25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KR10176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31A KR101763110B1 (ko) 2017-01-25 2017-01-25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31A KR101763110B1 (ko) 2017-01-25 2017-01-25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47A Division KR101794288B1 (ko) 2017-07-24 2017-07-24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110B1 true KR101763110B1 (ko) 2017-07-31

Family

ID=5941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31A KR101763110B1 (ko) 2017-01-25 2017-01-25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1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675A (ja) 1998-07-30 2000-02-18 Mitsubishi Heavy Ind Ltd 歌唱音響装置及び演技表現判定方法
JP2007268164A (ja) * 2006-03-31 2007-10-18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視線移動検出方法及び視線移動検出装置
KR100999064B1 (ko) * 2010-05-20 2010-12-07 이왕건 무대기계 제어시스템
KR101231165B1 (ko) * 2012-11-15 2013-02-07 주식회사 터보이엔지 점검기능을 구비한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675A (ja) 1998-07-30 2000-02-18 Mitsubishi Heavy Ind Ltd 歌唱音響装置及び演技表現判定方法
JP2007268164A (ja) * 2006-03-31 2007-10-18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視線移動検出方法及び視線移動検出装置
KR100999064B1 (ko) * 2010-05-20 2010-12-07 이왕건 무대기계 제어시스템
KR101231165B1 (ko) * 2012-11-15 2013-02-07 주식회사 터보이엔지 점검기능을 구비한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2750B (zh) 全息电梯辅助系统
JP5881263B2 (ja) 着用可能な計算機システムへのサウンド状態の表示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EP3458872B1 (en) Gesture-enabled audio device with visible feedback
US20080219458A1 (en) Self-Adjusting and Self-Modifying Addressable Speaker
KR101289754B1 (ko) 비상 방송 감지 기능이 있는 att 스피커 시스템
JP2008293499A (ja) 動的に変化する緊急避難ルート指定を有するユーティリティアウトレット
JP2007320472A (ja) 自動車警告音発生装置
KR101794288B1 (ko)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JP2017061191A (ja) サポート装置及びサポート方法
KR101763110B1 (ko)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JP2011154706A (ja) 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誘導装置
CN108417061A (zh) 用于识别至少一个信号装置的信号状态的方法和装置
KR101763448B1 (ko)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JP2009145402A (ja) 装置動作スイッチ
EP2983148B1 (en) Voice-sensitive emergency alert system
KR101816691B1 (ko)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JP2763685B2 (ja) 緊急車両位置表示装置
KR102321015B1 (ko) 스카이워크 영상 제어시스템
KR20200053945A (ko) 레이저와 소리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1838196B1 (ko) 위험 소리 인식 시스템의 방법
KR100697442B1 (ko) 음향 재생 장치를 이용한 이동 시뮬레이팅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운드 재생 장치
US20210097727A1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implementing sound detection and responses thereto
JP2007057323A (ja) 高音声検出装置
JP2010205104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