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843B1 -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843B1
KR101762843B1 KR1020150174373A KR20150174373A KR101762843B1 KR 101762843 B1 KR101762843 B1 KR 101762843B1 KR 1020150174373 A KR1020150174373 A KR 1020150174373A KR 20150174373 A KR20150174373 A KR 20150174373A KR 101762843 B1 KR101762843 B1 KR 10176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urved surface
reflector
reflect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570A (ko
Inventor
황보성
류성하
박건우
안유근
Original Assignee
황보성
류성하
박건우
안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성, 류성하, 박건우, 안유근 filed Critical 황보성
Priority to KR102015017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8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15
    • F21S48/12
    • F21S48/1317
    • F21S48/1388
    • F21S48/178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21W21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광학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광원의 출사방향이 180도로 제한적인 경우에 대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하(下)방향을 향하도록 광원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 빛의 조사방향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가이드하는 광학구조물을 구성하고, 광학구조물에 의해 가이드되는 빛의 선택적인 차폐를 통해 헤드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하향등 또는 상향등으로 가변되도록 구성하여, 광원의 광효율을 증대시켜 상향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램프의 광학장치{Optical science device of headlamp}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여, 광원 출사방향이 180도로 제한적인 경우에 대하여 헤드램프를 하향등에서 상향등 또는 상향등에서 하향등으로의 변환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램프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 방향을 일부분 제한하여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의 패턴을 가변시키는 쉴드구조물을 설치하고, 이 쉴드구조물에 의해 상향등 또는 하향등과 같은 다양한 빛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특허공보 제 10-1997-0010184 호(등록일 1997.06.23),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84786 호(공개일 2011.07.26),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03304 호(공개일 2012.01.10)에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 헤드램프는 반구형의 리플렉터를 램프의 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램프의 전방측 하단에 상하 이동하거나 또는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쉴드구조물을 배치한 것이며, 램프의 발광시 리플렉터를 통해 광원 반사가 이루어지고, 이렇게 반사되는 광원은 쉴드구조물에 의해 차폐되면서 헤드램프에서는 하향 및/또는 상향등을 차량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헤드램프의 광학계는 광원의 출사방향이 360도로 되어 있어 하향등과 상향등을 구성하기 용이하나 광원에 따라 광의 출사방향이 180도로 제한적인 경우에는 하향등과 상향등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 출사방향이 180도로 제한적인 경우에 대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하(下)방향을 향하도록 광원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 빛의 조사방향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가이드하는 광학구조물을 구성하고, 광학구조물에 의해 가이드되는 빛의 선택적인 차폐를 통해 헤드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하향등 또는 상향등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헤드램프 광학장치는, 하(下)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제 1 경로와 제 2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 상기 제 1 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3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 및, 상기 제 1 반사부 또는 상기 제 2 반사부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비구면렌즈의 전방측 상단 또는 전방측의 상단 및 하단으로 가이드하여 하향등의 제 1 배광패턴 또는 상향등의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도록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쉴드구조물;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하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램프; 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는 LED램프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제 1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1 곡면과, 상기 광원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제 2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2 곡면, 및 상기 제 2 곡면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 2 반사부로 가이드하는 복합곡면을 형성한 제 1 구조물이고, 상기 복합곡면에는 상기 제 2 곡면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 2 반사부로 가이드하는 제 1 초점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반사부는, 상기 제 1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3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3 곡면을 형성한 제 2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부의 상측 일단에 상기 제 2 반사부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부의 상측 일단에 상기 제 2 반사부를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부의 제 2 곡면과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은 상기 제 1 초점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부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 1 곡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비구면렌즈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는 제 2 초점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부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가이드하는 제 3 초점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쉴드구조물은,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구성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을 통해 반사되는 빛이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몸체부가 축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차폐막;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의 출사방향이 180도로 제한적인 경우에 대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하(下)방향을 향하도록 광원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 빛의 조사방향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가이드하는 광학구조물을 구성하고, 광학구조물에 의해 가이드되는 빛의 선택적인 차폐를 통해 헤드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하향등 또는 상향등으로 가변되도록 구성하여, 광원의 광효율을 증대시켜 상향등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헤드램프의 광학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향등의 제 1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상단으로만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향등의 제 1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는 빛이 조사되지 않고 차단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향등의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상단으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향등의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거나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헤드램프의 광학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향등의 제 1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상단으로만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향등의 제 1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는 빛이 조사되지 않고 차단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향등의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상단으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향등의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광학장치는, 광원부(10), 제 1,2 반사부(20)(30), 그리고 쉴드구조물(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광원부(10)는 하(下)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기판(11)에 LED램프(12)가 실장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기판(11)에 실장된 LED램프(12)는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빛을 하방향으로 조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반사부(20)는 상기 광원부(10)의 하단에 배치되면서 상기 광원부(10)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제 1 경로(P1)와 제 2 경로(P2)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제 1 경로(P1)인 비구면렌즈(100)의 상단으로 반사시키는 제 1 곡면(d1)과,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제 2 경로(P2)로 반사시키는 제 2 곡면(d2), 그리고 상기 제 2 곡면(d2)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 2 반사부(30)로 가이드하는 복합곡면(c1)을 형성한 제 1 구조물로 구성하여둔 것이며, 상기 복합곡면(c1)에는 상기 제 2 곡면(d2)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 2 반사부(30)로 가이드하는 집광렌즈로서 제 1 초점부(21)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반사부(30)는 제 1 구조물을 이루는 상기 제 1 반사부(20)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 1 반사부(20)의 제 2 곡면(d2)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3 경로(P3)인 비구면렌즈(100)의 하단으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2 곡면(d2)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3 경로(P2)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 3 곡면(d3)을 형성한 제 2 구조물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구조물의 상단 일측에 상기 제 2 구조물을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구조물의 상단 일측에 상기 제 2 구조물을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2 구조물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암,수의 결합구조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예;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반사부(20)를 이루는 제 1 구조물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 1 곡면(d1)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2 초점부(50)에서 집광한 후 이를 비구면렌즈(100)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 2 초점부(50)는 상기 제 1 반사부(20)를 이룬 제 1 구조물의 선단측에서 돌출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쉴드구조물(40)에는 상기 제 2 반사부(30)의 제 3 곡면(d3)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3 초점부(60)에서 집광한 후 이를 비구면렌즈(100)의 하단으로 가이드하도록 하였다.
상기 쉴드구조물(40)은 제 1 구조물을 이루는 상기 제 1 반사부(20)의 하단에 배치 구성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제 2 반사부(30)의 제 3 곡면(d3)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비구면렌즈(100)의 전방측 상단 또는 전방측의 상단과 하단으로 가이드하여 하향등의 제 1 배광패턴 또는 상향등의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도록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축부(51a)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부(41), 그리고 상기 몸체부(41)의 일단에 연장 구성되며, 도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 2 반사부(30)의 제 3 곡면(d3)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비구면렌즈(100)의 하단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몸체부(41)가 축부(41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 2 반사부(30)의 제 3 곡면(d3)을 통해 반사되는 빛이 상기 비구면렌즈(100)의 하단으로 가이드하게 되는 차폐막(42)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광학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가 제 1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하향등을 조작하면, 상기의 하향등 조작신호에 따라 광원부(10)를 이루는 기판(11)에 실장된 LED램프(12)에 전원이 공급되고, 미도시된 구동부에 의해 쉴드구조물(40)에 포함되는 몸체부(41)가 축부(41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연장되는 차폐막(42)이 제 1 구조물을 이루는 제 1 반사부(20)의 선단측을 차단시킨다.
그러면, 첨부된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LED램프(12)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어 제 2 경로(P2)로서 상기 제 1 반사부(20)의 제 2 곡면(d2)을 통해 반사되는 빛은 제 1 초점부(21)에 집광되어 제 2 반사부(30)의 제 3 곡면(d3)으로 가이드되면서 제 3 경로(P3)로 반사되지만, 상기 제 3 곡면(d3)에서 반사되는 빛은 상기 몸체부(41)의 일측에 연장되는 차폐막(42)에 의해 차단되면서(도 2b의 점선부분), 상기 비구면렌즈(100)의 하단으로는 빛의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 2 반사부(30)의 제 3 곡면(d3)을 통해 반사되는 빛은 제 3 초점부(60)로 집광되지 못하고 차단되는 것이다.
반면, 첨부된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LED램프(12)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은 제 1 구조물을 이루는 제 1 반사부(20)의 제 1 곡면(d1)에서 제 1 경로(P1)를 따라 제 2 초점부(50)에서 집광된 후 비구면렌즈(100)의 상단으로 반사되면서, 상기 비구면렌즈(100)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는 하향등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가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상향등을 조작하면, 상기의 상향등 조작신호에 따라 광원부(10)를 이루는 기판(11)에 실장된 LED램프(12)에 전원이 공급되고, 미도시된 구동부에 의해 쉴드구조물(40)에 포함되는 몸체부(41)가 축부(41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연장되는 차폐막(42)은 제 1 구조물을 이루는 상기 제 1 반사부(20)의 선단측을 개방시킨다.
그러면, 첨부된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LED램프(12)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은 제 1 구조물을 이루는 제 1 반사부(20)의 제 1 곡면(d1)에서 제 1 경로(P1)를 따라 제 2 초점부(50)에서 집광된 후 비구면렌즈(100)의 상단으로 가이드되면서, 상기 비구면렌즈(100)의 상단에서는 빛을 차량 전방측으로 조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첨부된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LED램프(12)로부터 하방향 일측으로 조사되는 빛은 제 1 구조물을 이루는 제 1 반사부(20)의 제 2 곡면(d2)에서 제 2 경로(P2)를 따라 상기 제 1 구조물의 복합곡면(c1)에 마련되는 제 1 초점부(21)에서 집광된 후 제 2 구조물을 이루는 제 2 반사부(30)의 제 3 곡면(d3)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제 3 곡면(d3)에서 제 3 경로(P3)로 반사되고, 상기 제 3 곡면(d3)에서 제 3 경로(P3)로 반사되는 빛은 제 3 초점부(60)를 통해 집광된 후 비구면렌즈(100)의 하단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상기 비구면렌즈(100)의 하단에서도 빛을 차량 전방측으로 조사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비구면렌즈(10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향등이 켜지는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헤드램프의 광학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광원부 11; 기판
12; LED램프 20; 제 1 반사부
21; 제 1 초점부 30; 제 2 반사부
40; 쉴드구조물 41; 몸체부
41a; 축부 42; 차폐막
50; 제 2 초점부 60; 제 3 초점부
100; 비구면렌즈 P1,P2,P3; 제 1,2,3 경로
c1; 복합곡면 d1,d2,d3; 제 1,2,3 곡면

Claims (10)

  1. 하(下)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제 1 경로와 제 2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 상기 제 1 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3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 및, 상기 제 1 반사부 또는 상기 제 2 반사부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비구면렌즈의 전방측 상단 또는 전방측의 상단 및 하단으로 가이드하여 하향등의 제 1 배광패턴 또는 상향등의 제 2 배광패턴을 구현하도록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쉴드구조물; 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반사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제 1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1 곡면과, 상기 광원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제 2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2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곡면을 통해 제 2 경로로 반사되는 빛은 제 1 초점부를 통해 가이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 반사부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 1 곡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비구면렌즈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는 제 2 초점부와,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에서 제 3 경로로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가이드하는 제 3 초점부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쉴드구조물은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구성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몸체부가 축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을 통해 반사되는 빛이 상기 비구면렌즈의 하단으로 가이드하게 되는 차폐막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하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램프; 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는 LED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부는, 상기 제 1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제 3 경로로 반사시키는 제 3 곡면을 형성한 제 2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의 상측 일단에 상기 제 2 반사부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의 상측 일단에 상기 제 2 반사부를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의 제 2 곡면과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곡면은 상기 제 1 초점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74373A 2015-12-08 2015-12-08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KR10176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73A KR101762843B1 (ko) 2015-12-08 2015-12-08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73A KR101762843B1 (ko) 2015-12-08 2015-12-08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570A KR20170067570A (ko) 2017-06-16
KR101762843B1 true KR101762843B1 (ko) 2017-07-28

Family

ID=5927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373A KR101762843B1 (ko) 2015-12-08 2015-12-08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357B1 (ko) * 2018-11-21 2023-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3458A (ja) * 2012-12-20 2014-07-03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ヘッドラ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3458A (ja) * 2012-12-20 2014-07-03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ヘッ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570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9479B1 (en) Vehicle lamp unit
JP5077543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4393971B2 (ja) 車両用照明灯具
JP5257665B2 (ja)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及び車両用前照灯
US10119676B2 (en)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lamp and method
JP5442321B2 (ja) 車両用灯具
JP4704296B2 (ja) 車両用灯具
CN1734159B (zh) 车辆用标识灯
JP5719671B2 (ja) 車両用灯具
JP5401750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235317B1 (ko) 차량용 램프
JP2008103192A (ja) 半導体発光素子を光源とする車両前照灯用の投影レンズ
JP2011113668A (ja) 車両用灯具
KR101762843B1 (ko) 헤드램프의 광학장치
JP5152563B2 (ja) 車両用前照灯
US10576871B2 (en) Vehicle lamp
JP2011070913A (ja) 自動車用灯具
JP6245010B2 (ja) 車両用灯具
US20150167912A1 (en) Head lamp for vehicle
EP2360425B1 (en) Light guiding lens and vehicle light
JP4305258B2 (ja)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EP3633264B1 (en) Optical unit
JP2007165142A (ja) 車両用灯具
JP2004363060A (ja) 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