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07B1 -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707B1
KR101762707B1 KR1020150158339A KR20150158339A KR101762707B1 KR 101762707 B1 KR101762707 B1 KR 101762707B1 KR 1020150158339 A KR1020150158339 A KR 1020150158339A KR 20150158339 A KR20150158339 A KR 20150158339A KR 101762707 B1 KR101762707 B1 KR 10176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dies
rod
display body
fastening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311A (ko
Inventor
김사윤
Original Assignee
김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윤 filed Critical 김사윤
Priority to KR102015015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는, 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바디와,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복수의 체결 바디가 구비된 디바이스 본체; 작동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된 복수의 체결 바디를 펼치는 펼침 작동부; 및 디바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강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는 착용 작동부를 포함하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착용 작동부의 잠금이 해제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WRIST WATCH TYPE MOBILE DEVICE }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에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의 급속한 보급과 다기능 소형화 추세로의 발전을 거듭하면서 휴대폰은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단말기 제조사들은 이러한 휴대폰의 크기를 갈수록 소형화시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발전시키고 있다.
현재까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손에 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크기의 단말기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사람이 많이 모이거나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이동통신기기를 가방 혹은 의복 주머니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 이동통신기기 사용자는 이동통신기기의 진동 및 벨소리를 감지하지 못하는 때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동통신기기를 손으로 파지하거나 의복 주머니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 이동통신기기를 무의식중에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이동통신기기 소지자는 착신신호의 감지, 분실 위험성의 제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기기를 신체에 고정하여 소지하게 되는데, 가령 이동통신기기에 고리형 줄을 부착하여 손목에 걸거나 목걸이형 줄을 부착하여 목에 걸어서 소지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기기를 가방과 같이 안전한 곳에 넣어서 소지하고 이동통신기기에 이어마이크를 연결하여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기기 물품들은 줄의 형태로 신체에 고정되므로 신체에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이동통신기기가 함께 움직여 상당히 불편하고, 전선, 스위치, 이어폰, 마이크 등을 구비하므로 이동통신기기 사용자가 착용시에 번잡하고 거추장스럽게 느끼는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이동통신기기 소지 상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손목 시계에 이동통신기기를 결합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손목 시계에 이동통신기기를 결합한 제품은 이전의 시계와 같이 고리나 클램프를 이용하므로 착탈에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신체에 고정되더라도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고 쉽게 착탈 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공개공보 제2001-0087078호(세이코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2002. 07. 0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목에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복수의 체결 바디가 구비된 디바이스 본체; 상기 작동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된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펼치는 펼침 작동부; 및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강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는 착용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르면 상기 착용 작동부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펼침 작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와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의 모서리와 접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서로 접하는 영역의 모서리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펼침 작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체; 상기 제1 연결체와 대향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체를 잠그며 상기 작동 버튼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체의 잠금을 해제시켜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펼치는 스토핑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체는, 일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배치되는 스토퍼 로드;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로드의 단부와 접하며 접하는 면이 상기 스토퍼 로드와 경사지게 접하는 회전 로드;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에 접하는 스프링;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와 같이 회전되며, 상기 회전 로드와 상기 스프링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로드; 및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하우징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전선홀이 마련된 커넥터 로드; 및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커넥터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해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와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가 접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체의 스토핑 로드와 하우징 로드가 관통되는 래칫기어;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래칫기어를 기어 맞물림으로 스토핑 시키는 래칫기어 스토퍼; 상기 래칫기어 스토퍼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마련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래칫기어 스토퍼의 잠금을 해제하는 펼침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위치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체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위치 조정 로드; 상기 위치 조정 로드에 나사 결합 되며 상기 위치 조정 로드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롤러 바디; 및 상기 롤러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위치 조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단부에는 고무 바디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의 체결 바디를 결합시키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착용 작동부의 잠금이 해제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를 펼칠 수 있고, 펼쳐 진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방으로 누르면 착용 작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손목을 포함하는 신체에 부착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저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위치 조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고무 바디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핑 해제부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저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위치 조정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고무 바디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핑 해제부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1)는, 작동 버튼(111)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복수의 체결 바디(120)가 구비된 디바이스 본체(100)와, 디바이스 본체(100)에 마련되며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하강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는 착용 작동부(200)와, 작동 버튼(111)에 의해 작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된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펼치는 펼침 작동부(300)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120)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위치 조정부(400)와, 디바이스 본체(100)에 마련되는 배터리(500)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600) 및 제2 연결부(700)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111)(111)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바디(110)와,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복수의 체결 바디(120)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최종적으로 접촉되는 고무 바디(13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본체(100)의 디스플레이 바디(110)에는, 액정 패널이 마련될 수 있고, 디바이스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된 복수의 체결 바디(120)와 고무 바디(130)를 펼침 작동시키는 작동 버튼(111)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작동 버튼(11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기(111a)가 마련되고, 작동 버튼(111)을 디스플레이 바디(110)의 중앙부로 가압하면 가압 돌기(111a)가 스토퍼(112) 사이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펼침 연결부재(334)를 디스플레이 바디(110)의 중앙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펼침 연결부재(334)에 의해 래칫기어 스토퍼(332)가 당겨지므로 래칫기어 스토퍼(332)에 의한 래칫기어(331)의 잠금이 해제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120)는 펼쳐져 사용자의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작동 버튼(11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 돌기(111a)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마련되는 스토퍼(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111)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들어 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토퍼(112)의 형상은 디스플레이 바디(110)의 공간 활용을 고려해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 본체(100)의 복수의 체결 바디(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되며, 본 실시 예는 펼쳐 진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누르면 착용 작동부(200)에 의해 디바이스 본체(100)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체결 바디(120) 중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체결 바디(120)에는 고무 바디(13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편(12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고무 바디(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대응되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이 굵은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긴 길이를 갖는 고무 바디(130)를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손목이 가는 경우, 도 8의 (c)에 도시된 고무 바디(130)를 사용할 수 있다.
착용 작동부(200)는, 디바이스 본체(100)에 마련되며, 펼쳐진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하강시켜 디바이스 본체(100)를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착용 작동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10)와, 디스플레이 바디(110)의 모서리와 접하는 영역의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마련되어 연결부재(210)를 지지하는 제1 롤러(220)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의 서로 접하는 영역의 모서리에 마련되어 연결부재(210)를 지지하는 제2 롤러(230)를 포함한다.
착용 작동부(200)의 연결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롤러(220)와 제2 롤러(230)와 위치 조정 롤러(430)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한 후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체결 바디(120)에 결합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본체(100)의 일측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10)는 디스플레이 바디(1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마련될 수도 있고, 두 쌍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10)는 실을 포함하는 섬유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20)와 제2 롤러(230)와 위치 조정 롤러(430)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연결부재(210)가 장력을 유지하면서 원활히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회동시켜 디바이스 본체(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연결부재(210)는 고체이므로 길이는 한정되어 있고,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체결 바디(120)는 일정 각도로 회동되게 마련되므로 본 실시 예와 같이 연결부재(210)를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원활하게 접을 수 있다.
착용 작동부(200)의 제1 롤러(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와 접하는 영역의 복수의 체결 바디(120)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연결부재(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롤러(220)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을 홀이 마련될 수 있고, 이 홀에는 제1 연결체(310)의 하우징 로드(314)가 관통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롤러(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바디(120)의 가장자리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착용 작동부(200)의 제2 롤러(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 바디(120)가 서로 접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연결부재(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롤러(230)의 중앙부에는 제1 롤러(220)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홀이 마련될 수 있고, 이 홀에는 제2 연결부(700)의 커넥터 로드(321)가 관통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롤러(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20)와 일 직선상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펼침 작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마련되며, 작동 버튼(111)의 가압에 의해 작동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자동으로 펼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에서 디바이스 본체(100)를 편리하게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펼침 작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체(310)와, 제1 연결체(310)와 대향되는 영역의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마련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체(320)와,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마련되어 제1 연결체(310)를 잠그며 작동 버튼(111)의 가압에 의해 제1 연결체(310)의 잠금을 해제시켜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펼치게 하는 스토핑 해제부(330)를 포함한다.
펼침 작동부(300)의 제1 연결체(3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 롤러(220)와 래칫기어(331)를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 된 래칫기어(331)에 의해 복수의 체결 바디(120)가 펼쳐지지 못하도록 잡아줌과 아울러 래칫기어(331)의 해제 시 복수의 체결 바디(120)와 같이 회동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연결체(3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배치되는 스토퍼 로드(311)와,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배치되어 스토퍼 로드(311)의 단부와 접하며 접하는 면이 스토퍼 로드(311)와 경사지게 접하는 회전 로드(312)와, 회전 로드(312)의 단부에 접하는 스프링(313)과, 복수의 체결 바디(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120)와 같이 회전되며 회전 로드(312)와 스프링(313)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로드(314)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하우징 로드(3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캡(315)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로드(311)와 회전 로드(312)가 접하는 부분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경사져 있고, 이 부분은 원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는 복수의 체결 바디(120)의 회동 시 스토퍼 로드(311)는 원형 이외의 부분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수용되어 회전되지 않고, 회전 로드(312)는 하우징 로드(314) 및 복수의 체결 바디(120)와 같이 회전되므로 본 실시 예와 같이 양자가 접하는 부분을 라운딩 및 경사지게 해야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캡(315)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격 된 돌기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이격된 돌기는 하우징 로드(314)의 폭 보다 넓게 마련되며 도 3에 도시된 래칫기어(331)와 제1 롤러(220)의 홀을 통과하여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마련된 홈에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펼침 작동부(300)의 제2 연결체(3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접하는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연결체(3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전선홀(321a)이 마련된 커넥터 로드(321)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커넥터 로드(3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캡(32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캡(322)은 전술한 제1 캡(315)과 같이 래칫기어(331)에 마련된 홀을 관통하여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펼침 작동부(300)의 스토핑 해제부(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마련되며 작동 버튼(111)에 의해 작동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0)가 사용자의 손목 등의 신체에서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펼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핑 해제부(3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바디(110)와 복수의 체결 바디(120)가 접하는 영역의 복수의 체결 바디(120)에 마련되며 스토핑 로드와 하우징 로드(314)가 관통되는 래칫기어(331)와,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마련되어 래칫기어(331)를 기어 맞물림으로 스토핑 시키는 래칫기어 스토퍼(332)와, 래칫기어 스토퍼(332)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마련되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체(333)와, 탄성체(333)에 연결되며 작동 버튼(111)에 의해 가압되어 래칫기어 스토퍼(332)의 잠금을 해제하고 섬유나 와이어를 포함하는 펼침 연결부재(33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작동 버튼(111)을 누르기 전에는, 도 9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기어 스토퍼(332)가 래칫기어(331)를 잠그고 있어 복수의 체결 바디(120)는 회동 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작동 버튼(111)을 누르면 작동 버튼(111)이 도 2을 기준으로 펼침 연결부재(334)를 디스플레이 바디(110)의 중앙부 방향으로 밀고, 이로 인해 탄성체(333)가 늘어나면서 래칫기어 스토퍼(332)를 작동 버튼(111)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 결과,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기어 스토퍼(332)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래칫기어(331)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120)를 자동으로 펼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예를 사용자의 손목 등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스토핑 해제부(3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더(335)는 래칫기어(331)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며, 디스플레이 바디(110)에 일체로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스토핑 해제부(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될 수 있고, 작동 버튼(111)의 좌우에 마련되는 탄성체(333)는 하나의 펼침 연결부재(33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위치 조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외각에 배치되는 체결 바디(120)에 마련되어 체결 바디(120)의 펼침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팔목의 굵기에 차이가 있어도 체결 바디(120)의 펼침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 조정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정 로드(410)와, 위치 조정 로드(410)에 나사 결합 되며 위치 조정 로드(41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롤러 바디(420)와, 롤러 바디(420)에 마련되어 연결부재(210)를 지지하는 위치 조정 롤러(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 조정 로드(410)는 최 외각에 배치되는 체결 바디(120)의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체결 바디(1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공구홈(4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위치 조정 롤러(430)의 중심과 위치 조정 로드(410)의 중심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편심 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재(210)와 위치 조정 로드(410)이 간섭을 피해 연결부재(210)의 고정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위치 조정 로드(410)의 단부에는 한 쌍의 돌기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바디(120)에 마련될 수 있고, 체결 바디(120)에는 배터리(5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나사 결합 되는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600)와 제2 연결부(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체결 바디(12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600)는 제1 연결체(310)의 구성을 제2 연결부(700)는 제2 연결체(320)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의 체결 바디를 결합시키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착용 작동부의 잠금이 해제되어 복수의 체결 바디를 펼칠 수 있고, 펼쳐 진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방으로 누르면 착용 작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손목을 포함하는 신체에 부착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100 : 디바이스 본체 110 : 디스플레이 바디
111 : 작동 버튼 111a : 가압 돌기
112 : 스토퍼 120 : 체결 바디
200 : 착용 작동부 210 : 연결부재
220 : 제1 롤러 230 : 제2 롤러
300 : 펼침 작동부 310 : 제1 연결체
311 : 스토퍼 로드 312 : 회전 로드
313 : 스프링 314 : 하우징 로드
315 : 제1 캡 320 : 제2 연결체
321 : 커넥트 로드 321a : 전선홀
322 : 제2 캡 330 : 스토핑 해제부
331 : 래칫기어 322 : 래칫기어 스토퍼
333 : 탄성체 334 : 펼침 연결부재
335 : 가이더 400 : 위치 조정부
410 : 위치 조정 로드 411 : 공구홈
420 : 롤러 바디 430 : 위치 조정 롤러
500 : 배터리 600 : 제1 연결부
700 : 제2 연결부

Claims (10)

  1. 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복수의 체결 바디가 구비된 디바이스 본체;
    상기 작동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된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펼치는 펼침 작동부; 및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하강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는 착용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 작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와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의 모서리와 접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서로 접하는 영역의 모서리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는 디스플레이 바디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한 후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체결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펼침 작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체;
    상기 제1 연결체와 대향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체를 잠그며 상기 작동 버튼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체의 잠금을 해제시켜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펼치는 스토핑 해제부를 포함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는,
    일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배치되는 스토퍼 로드;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로드의 단부와 접하며 접하는 면이 상기 스토퍼 로드와 경사지게 접하는 회전 로드;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에 접하는 스프링;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와 같이 회전되며, 상기 회전 로드와 상기 스프링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로드; 및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하우징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캡을 포함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전선홀이 마련된 커넥터 로드; 및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커넥터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캡을 포함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해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와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가 접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체의 스토핑 로드와 하우징 로드가 관통되는 래칫기어;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래칫기어를 기어 맞물림으로 스토핑 시키는 래칫기어 스토퍼;
    상기 래칫기어 스토퍼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마련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래칫기어 스토퍼의 잠금을 해제하는 펼침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위치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체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위치 조정 로드;
    상기 위치 조정 로드에 나사 결합 되며 상기 위치 조정 로드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롤러 바디; 및
    상기 롤러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위치 조정 롤러를 포함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 바디의 단부에는 고무 바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50158339A 2015-11-11 2015-11-11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KR10176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39A KR101762707B1 (ko) 2015-11-11 2015-11-11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39A KR101762707B1 (ko) 2015-11-11 2015-11-11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11A KR20170055311A (ko) 2017-05-19
KR101762707B1 true KR101762707B1 (ko) 2017-07-28

Family

ID=5904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339A KR101762707B1 (ko) 2015-11-11 2015-11-11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7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6596A1 (en) * 2001-12-21 2003-06-26 Dai Terasawa Wear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6596A1 (en) * 2001-12-21 2003-06-26 Dai Terasaw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11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1184B2 (en) Electronic device casing
KR1009423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커버
US9690258B2 (en) Electronic device casing
KR101587714B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JP4946178B2 (ja) 中留、帯状装身具及び時計
US11340655B2 (en) Electronic device
JP7322706B2 (ja) バンド装置、腕時計およびエンドピース
US20100071168A1 (en) Earpiece retainer
CN108669719A (zh) 防错按卡扣结构及手环
KR101534302B1 (ko) 스마트 와치
KR101762707B1 (ko) 손목 탈착형 모바일 디바이스
CN209148965U (zh) 头戴显示设备
JP5806422B1 (ja) 携帯端末ホールド用カバー
KR20140058786A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475688B1 (ko) 다기능 휴대용 기기 착용 밴드
WO2016155401A1 (zh) 多功能皮带扣
KR200468009Y1 (ko) 휴대폰용 손목지갑
KR19990046393A (ko) 손목에착용이가능한휴대용통신단말기
CN205212896U (zh) 手机滑套运动臂带
JP4535405B1 (ja) 角度位置調整型携帯電話機保持具
CN211630216U (zh) 一种腕带式手机自拍装置
CN117356808A (zh) 表扣构件及智能手表
TWM383138U (en) Pivot joint for dual screen
CN117356805A (zh) 多档位调节式表扣构件及智能手表
JPH11285408A (ja) 携帯電話機の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