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890B1 -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1890B1 KR101761890B1 KR1020160096461A KR20160096461A KR101761890B1 KR 101761890 B1 KR101761890 B1 KR 101761890B1 KR 1020160096461 A KR1020160096461 A KR 1020160096461A KR 20160096461 A KR20160096461 A KR 20160096461A KR 101761890 B1 KR101761890 B1 KR 1017618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omatic door
- gear
- clutch member
- power
- brak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 E05Y2800/11—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선단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메인 샤프트와; 체인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체인이 드리워지는 체인 휠과; 상기 체인 휠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반복되도록 단속되게 하는 복귀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온 오프 시키는 브레이킹 수단을 구비하여 주전원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 자동문을 개방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선단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메인 샤프트와; 체인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체인이 드리워지는 체인 휠과; 상기 체인 휠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반복되도록 단속되게 하는 복귀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온 오프 시키는 브레이킹 수단을 구비하여 주전원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 자동문을 개방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자동문 구동 모터와 비상 개폐를 위한 메인 샤프트에 구비되는 베벨기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온/오프(ON/OFF)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온/오프 신호에 의해 자동문 구동 모터의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상태를 연속적으로 해제 및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정전이나 위급한 상황에서 자동문을 수동 및 반자동 방식으로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특별 피난계단이나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제한구역 등의 문은 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방화문에는 화재시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클로저(Door closer)나 오토 힌지(Auto hinge)와 같은 도어 자동 개폐 장치가 구비된다.
방화문용 자동 개폐 장치는 방화문이 열린 상태로 유지시켜주며, 방재실의 전원제어, 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나 열을 감지하는 감지기의 신호에 의한 제어에 따라 도어 클로저나 오토 힌지 등의 작동에 의해 방화문이 닫혀져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용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와 용도는 대형건물, 집합건물, 공장 및 산업용 시설 등에서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출입문은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으로서, 이러한 자동문은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부로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재 등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되며, 화재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 타거나 변형이 없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특히 현재 빌딩이나 아파트 등이 초고층화 됨에 따라 화재발생 위험 요소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층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연기 질식이나 옮겨 붙는 불에 의해서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할 우려가 크므로 방화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한 경우 이외에도 방음, 방폭, 화재 및 방범을 목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모터로 개폐 구동되는 자동문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문의 구성은 모터를 제어하는 주제어 시스템의 인버터, 브레이크, 감속기 등이 장착된 자동문 구동 모터로 구성 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는 DC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 코일 측에 DC 전원을 공급해야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잡고 있는 브레이크 패드가 개방되어 브레이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원리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브레이크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패드가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수동 개방이 자체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문은 단전이나 정전 상태에서 개폐작동을 전혀 할 수 없게 되므로 위급한 상황일 때 자동문이 닫힌 상태에서 주전원이 차단되면 위험 상황으로부터 탈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위급한 상황에서 안전한 탈출을 위하여 자동문을 개방시켜야 할 경우에는 주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자동문을 안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자동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AC220(V)의 주전원에 의하여 자동문을 개폐하게 되는데, 화재, 정전, 또는 이와 유사한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주전원이 차단되면, 자동문 구동 모터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닫혀진 자동문을 수동으로 조작해서 열어야 한다.
자동문을 수동으로 열 수 있게 되는 구성은 체인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자동문의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는 체인휠과, 상기 체인휠에 장착되어 드리워지는 체인으로 되어, 인력으로 상기 체인을 잡아당겨서 자동문 구동 모터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자동문을 수동으로 상승시켜서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현재 공장 및 산업용 시설의 자동문에 장착되는 모터는 보통 2~5m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수동으로 브레이크 레버를 작동하거나 자동문 구동 모터를 인력에 의해 강제로 돌려서 개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정전 등에 의해 전기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 도어의 수동 조작 장치가 대한민국특허 제10-0706196호에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체 돌출부를 구비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 돌출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회전체 돌출부를 구비한 회전체를 일측에 결합하고, 구동 체인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구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동 풀리와; 상기 수동 풀리를 탄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수동 풀리를 외측으로 지지하는 수동 전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수동 전환 솔레노이드의 수동 풀리 지지구가 수동 풀리를 밀어 주어 수동 풀리에 결합된 회전체의 돌출부가 구동축에 고정된 고정체의 돌출부에 합치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수동 풀리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축과 감속기를 통해 연결되는 회전봉이 회전하게 되어 도어 개폐부가 상하 작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동 도어의 수동 조작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 전환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수동 풀리 지지구가 수동 풀리를 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던 수동 풀리가 고정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동 풀리에 고정된 회전체가 고정체와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 체인을 잡아 당겨 수동 풀리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의 돌출부가 고정체의 돌출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수동 풀리를 회전시키면 수동 풀리의 회전력이 회전체 돌출부를 통해 고정체 돌출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이 회전하여 전동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상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방법은 자동문을 회전 개폐시킬 수 있는 회전 기구에 드리워 체인을 잡아당기게 된다. 이렇게 체인을 잡아당기는 동작은 사용자의 머리 위로 두 손을 올려서 체인을 붙잡고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야 한다. 그리고, 두 손을 다시 머리 위로 올려서 다시 체인을 붙잡고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는 과정을 연속해서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두 손을 이용해야 작업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체인을 당길 수 있고, 힘을 집중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상하로 열리는 오버헤드 자동문은 보통의 성인이 체인을 수동으로 돌렸을 때 다시 뒤로 밀리게 되어 연속적으로 체인을 잡아당길 수 없어서 양손을 교대로 사용하여 체인을 붙잡고 당겨야 하므로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방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힘이 들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회전 기구물을 구성하고 있는 내부 구성요소들의 기구적인 결합 상태와 자동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자동문을 들어올리기가 힘이 들 뿐만 아니라, 들어 올려서 열려진 자동문이 자체 무게에 의해 낙하하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내부 구성요소들의 기구적인 결합 상태는 모터를 장착한 자동문의 경우 전원이 차단되면 브레이크 패드가 모터의 구동축을 붙잡고 있는 형태로 멈추게 되어, 모터를 수동으로 강제 조작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따라서, 화재나, 다양한 변수에 따라 자동문이 개방되지 않는 위급한 상황에서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패드에 전원이 공급되어 브레이크 패드를 개방하고, 모터의 축을 수동으로 돌릴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주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자동문을 열기 위해서는 먼저 자동문 구동 모터 브레이크가 잠겨진 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자동문 구동 모터의 브레이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은 수동으로 레버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또한 수동으로 레버를 작동시킬 때에는 자동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자동문의 메인 샤프트가 다시 역방향으로 밀려서 자동문이 낙하하게 되면 사용자가 위험에 처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만 한다.
한편, 종래에는 정전이나 단전 사태에 대비하기 위하여 전자 클러치가 구비된 체인블록을 이용하는 수동개폐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수동개폐장치의 전자 클러치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전자석이 클러치를 당겨서 수동개폐장치의 구동축과 모터 축이 분리되어 있다가, 정전 시에는 전자력이 소멸함에 따라 압축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클러치가 모터축과 회전력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석 클러치가 구비된 자동도어의 수동개폐장치는 정상 시에는 항상 전기회로에 의하여 전자력이 가해져 있으므로 에너지 사용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방식에 의하여 자동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오버헤드 도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콘트롤러 오류, 인버터 오류, AC모터로 되는 자동문 구동 모터 등에 일시적인 장애가 발생하거나, 정전, 또는 기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자동문을 개방해야 할 경우에 매우 안전하고, 신속하며, 효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을 비롯한 위급한 상황에서 자동문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자동문 구동 모터에 취부되는 구조물들이 최소한의 설치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의 활용성과 설치방향이 용이하게 되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전원(AC 220V)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자동문을 수동 및 반자동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고,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문의 비상 개폐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비상 개폐 장치를 포함하여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면서, 수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비상 개폐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반자동 방식으로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자동문 구동 모터에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선단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메인 샤프트와; 체인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체인이 드리워지는 체인 휠과; 상기 체인 휠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반복되도록 단속(斷續)하는 복귀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온 오프 시키는 브레이킹 수단으로서, 브레이크 레버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인장시키는 수동조작에 의해 브레이크를 온 오프 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수동방식으로 구동되는 비상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는 주전원 및 보조전원이 끊긴 경우 수동으로 체인을 당기면, 체인 휠이 회전하는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전기적 동력이 없이 자동문을 상승시켜서 자동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인 특징은 자동문 구동 모터에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선단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메인 샤프트와; 체인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체인이 드리워지는 체인 휠과; 상기 체인 휠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반복되도록 단속하는 복귀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온 오프 시키는 브레이킹 수단으로서,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복귀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되는 동력이 단속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획득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브레이크를 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감지수단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체인 휠을 회전시키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브레이크를 온 오프 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조전원 공급수단이 자동문 구동 모터를 구동하지 아니하고, 감지수단의 신호를 받는 제어 시스템의 비상시 전원 및 자동문 구동 모터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를 개방하는 전원으로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즉,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반자동 방식의 비상 개폐 장치는 주전원이 끊긴 경우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의하여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수동으로 체인을 당기면, 체인 휠이 회전하는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되어 자동문을 상승시켜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분리 가능하게 치합되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로 되는 직선 베벨 기어(Straight bevel ge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1클러치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2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의 일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메인 샤프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교합되는 제2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1클러치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제1클러치부재와 교합이 해제된 위치로부터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시키는 제1복귀수단과; 상기 제2클러치 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재교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가 분리될 수 있도록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복귀수단은 일측단부가 상기 고정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의 단부는 상기 제1클러치부재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로 되어,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제2클러치 부재가 분리되는 지점의 이전에는 제1클러치 부재와 함께 메인 샤프트와 체인 휠을 원위치 시키게 되고,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제2클러치 부재가 분리되는 지점의 이후에는, 제2클러치 부재가 클러치의 피치(pitch)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복귀수단은 일측의 단부가 고정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의 단부는 상기 제2기어의 측면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로 되어, 제1기어를 제2기어와 분리시키고, 제2클러치 부재를 제1클러치부재에 교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제1기어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충전회로, 주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보조 배터리 및 전압승압형 가변모듈로 구성되어 자동문의 디지털 제어 부분과 브레이크의 개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즉, 평상시에는 AC 전원이 자동문 제어를 위한 제어부로 전달됨과 동시에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인가되어 보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구현되고, 이 보조배터리는 주전원이 차단 될 때 별도의 비상 스위치를 구동 시키면, 전압승압형 가변모듈에 의해 브레이크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하고, 비상시 모터를 강제로 구동시킬 수 있는 DC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는 주전원이 입력되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보조전원 공급장치로 전환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브레이크를 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베벨 기어에 달린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에 따라 베벨 기어를 당기면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이 온(ON) 되고, 이때 브레이크에 전원이 공급되어 자동문 구동 모터에 일체화되어 있는 디스크에 접촉하고 있는 브레이크 패드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베벨기어의 축이 다음 회전으로 넘어가기 전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이 OFF 되면서 브레이크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브레이크 패드가 다시 자동문 구동 모터에 일체화되어 있는 디스크에 접촉하여 잠금 상태가 됨으로써 자동문이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긴급 시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자동문이 개폐되지 않을 때 자동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 아래로 열리는 오버헤드 자동문 차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보통의 성인이 체인을 수동으로 돌려도 그 하중에 따라 뒤로 밀리는 경우가 있어 문을 수동으로 개방하는 사람이 힘들고, 자동문을 개방시킨 상태를 지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선 베벨 기어(Straight bevel gear)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착하는데 있어 기존 스트레이트 캠 기어 방식에 비해 메인 샤프트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공간의 활용성과 설치방향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는 정전에 대비한 비상용 배터리를 구비하여, 정전이 발생되면, 상기 비상용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브레이크를 구동하여 자동문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정전시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보조전원 공급장치로 자동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시는 물론 정전이 아닌 경우에도 제한된 관리자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 작동에 의해 자동문을 수동개폐 가능하도록 자동전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는 비상시 또는 정전 시 비상 전력을 사용하여 AC모터로 되는 자동문 구동 모터를 돌려서 닫힌 문을 개방 하려면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와 같은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자동문 구동 모터를 돌려야 하는데 비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DC 브레이크를 개방할 수 있는 정도의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반자동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의 규격이 작아지고, UPS등의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하는 비용에 비해 설치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기대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동개폐장치는 보조 전원과 리미트 스위치를 적용 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기어축을 연결하여 와이어를 당기는 구조에 의하여 완전한 수동식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전력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부 기계식으로 작동하여 체인의 당김에 의한 동작만으로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의 연결 및 해제가 자유롭고, 또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정전을 비롯하여 어떠한 비상 상태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의 자동문 구동 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 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반자동 수동개폐 방식 및 완전 자동개폐 방식과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완전 수동개폐 방식의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완전 수동개폐 방식 및 완전 자동개폐 방식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반자동 수동개폐 방식의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반자동 수동개폐 방식 및 완전 자동개폐 방식의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는 충전 가능한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정전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으로 자동문 구동 모터에 구성되는 제동 브레이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자동문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는 고정대(1), 메인 샤프트(2), 체인 휠(3), 동력전달수단, 복귀수단 및 브레이킹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1)는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선단에 고정된다.
상기 메인 샤프트(2)는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대(1)에 고정된다.
상기 체인 휠(3)은 체인(C)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 샤프트(2)에 고정되어 체인(C)이 드리워진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베벨기어(40), 클러치(41), 제1복귀수단 및 제2복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벨기어(40)는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과 메인 샤프트(2)가 직교(直交)하고, 톱니 방향이 피치(pitch) 원주의 모선(母線)에 일치하는 직선베벨기어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벨기어(40)는 상기 메인 샤프트(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401)와, 상기 제1기어(401)와 분리 가능하게 치합되며,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4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기어(401)와 제2기어(402)는 기어 이(gear tooth)가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고, 후술하는 클러치(41)에 의하여 상기 제1기어(401)가 메인샤프트(2)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기어(402)와 서로 기어 이가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1복귀수단 및 제2복귀수단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러치(41)는 제1클러치 부재(411)와 제2클러치 부재(4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클러치 부재(411)는 상기 메인 샤프트(2)에 고정되어 체인 휠(3)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상기 메인 샤프트(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클러치 부재(412)는 상기 제1기어(401)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클러치 부재(411)와 제2클러치 부재(412)가 접촉하는 일측면은 동일한 크기의 삼각형 돌기와 삼각형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교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클러치 부재(411)가 회전하면, 제2클러치 부재(412)는 메인 샤프트(2)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 상기 제1기어(40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기어(401)를 제2기어(402)에 치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클러치 부재(411)는 제1복귀수단에 의하여 이격된 위치에 있는 제2클러치 부재(412)와 완전히 교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클러치 부재(411)가 회전되어 상기 제2클러치부재(412)와 교합이 해제된 위치로부터 원위치로 복귀된다.
제2클러치 부재(412)는 축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제2복귀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재교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가 분리될 수 있도록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제1복귀수단은 토션스프링과 같은 제1탄성부재(421)로 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421)는 코일부가 제1클러치부재(411)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상태에서 일측 단부(422)가 상기 고정대(1)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의 단부(423)는 상기 제1클러치부재(411)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421)는 제1클러치 부재(411)와 제2클러치 부재(412)가 분리되는 지점의 이전에는 제1클러치 부재(411)와 함께 메인 샤프트(2)와 체인 휠(3)을 원위치 시키게 되고, 상기 제1클러치 부재(411)와 제2클러치 부재(412)가 분리되는 지점의 이후에는, 제2클러치 부재(412)가 클러치의 피치(pitch) 간격 만큼 회전된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제2복귀수단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되는 제2탄성부재(422)로 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422)는 일측의 단부가 고정대(1)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의 단부는 상기 제2기어(402)의 측면에 지지되어, 제1기어(401)를 제2기어(402)와 분리시키고, 제2클러치 부재(412)를 제1클러치 부재(411)에 교합시킨다.
이러한 복귀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에 단속되며 전달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체인 휠(3)이 회전하는 동력을 클러치(41)와 베벨기어(40)를 통하여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에 전달하고, 상기 제1복귀수단과 제2복귀수단은 클러치(41)를 교합시키며,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에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한다.
상기 제2복귀수단은 메인 샤프트(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돌기(20)와 제1기어(401)에 삼각형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홈(4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20)는 일종의 멈춤나사(set screw)가 메인 샤프트(2)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홈(403)에 접촉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2)가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홈(403)을 따라 제1기어(401)를 회전시킨다.
감지수단은 상기 제1기어(401)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리미트 스위치(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42)는 고정대(1)에 고정되면서 접촉단자가 메인 샤프트(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기어(401)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동력전달수단이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자동문 구동 모터(M1)에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브레이크(B)의 잠금 상태를 온/오프(ON/OFF) 시킨다.
상기 브레이킹 수단으로서, 제1실시 예는 완전 수동개폐 방식으로, 브레이크(B)의 수동 레버(60)에 와이어(61)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61)를 인장시키는 수동조작에 의해 브레이크(B)를 온 오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체인(C)을 당김에 따라 메인 샤프트(2)가 자동문 구동 모터(M1)와 베벨기어(40)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브레이크(B)의 수동 레버(60)에 체결된 와이어(61)를 당겨서 브레이크(B)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면 완전 수동 방식으로 자동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7)은 주전원 공급장치(70), 제어부(71) 및 보조전원 공급장치(72)로 구성된다.
주전원 공급장치(70)는 자동문 구동 모터(M1)과 브레이크(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어부(71)에 공급하고, 또한 보조전원 공급장치(72)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71)는 콘트롤러(710)와 스위칭 수단(7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러(710)는 자동문 구동 모터(M1)와 브레이크(B)를 제어하고, 또한 정전을 비롯한 비상시에 리미트 스위치(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브레이크(B)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 수단(711)은 정전을 비롯한 비상시에 제어부(71)에 공급되는 주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보조전원 공급장치(72)로 전환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711)은 자동문 구동 모터(M1)와 브레이크(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위적으로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위칭 수단(711)을 이용하여 자동문 구동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자동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정전이 아닌 경우에도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전원 공급장치(72)의 전환은 주전원이 차단되는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고, 수동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전원 공급장치(72)는 충전회로(720), 보조 배터리(721) 및 전압승압형 가변모듈(722)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회로(720)는 바람직하게 과충전 보호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721)는 평상시에 주전원 공급장치(7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 있게 되고, 주전원 공급장치(70)의 정전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71)에 보조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721)는 자동문 구동 모터(M1)를 구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큰 전력이 아니고, 정전 시 또는 위급 비상시 DC 브레이크(B)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제어부(71)의 제어 콘트롤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정도의 충전 가능한 DC 보조배터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전원 공급장치(72)는 일반적으로 자동문 구동 모터(M1)와 같은 AC 모터를 기동하기 위해서 UPS 등의 기동전력이 필요한 것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주전원 공급장치(70)의 전원이 차단되면, 스위칭 수단(711)의 전환 작동에 의하여 보조 배터리(721)의 전원으로 제어부(71)를 가동하도록 하여, 리미트 스위치(42)로부터 위치정보신호를 받아 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브레이크(B)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잠금상태를 해제 하거나 잠금상태가 이루어지게 되어 자동문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 예와 같이 브레이크(B)의 수동 레버(60)를 조작하지 않고, 후술하는 제2실시 예와 같이 상기 베벨기어(40)의 이가 맞물리게 되고, 이탈되는 시점에 따른 스위칭 동작으로 보조전원 공급장치(72)에 의하여 브레이크(B)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반자동 수동개폐 방식으로 자동문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킹 수단으로서, 제2실시 예는 기본적인 자동문의 제어 시스템(7)에서 주전원 공급장치(70)에 의하여 충전 가능하게 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72)를 구비하여, 자동문 구동 모터(M1)에 공급되는 전원이 보조전원 공급장치(72)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시는 물론 정전이 아닐 경우에도 자동문을 자동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제어부(71)가 주전원 공급장치(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문 구동 모터(M1)와 브레이크(B)를 구동시킴으로써 정상적인 자동문 개폐동작을 수행하고, 또한 보조전원 공급장치(72)에 전원을 인가하여 보조 배터리(721)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때 스위칭 수단(711)은 오프(OFF) 되어 있어서 보조전원 공급장치(72)의 전원이 제어부(71)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후, 주전원 공급장치(70)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신호가 발생하면 스위칭 수단(711)이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보조 배터리(721)의 전원이 제어부(71)에 공급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42)에 의하여 브레이크(B)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하는 프로세스로 프로그램 로직이 구현된다.
이를 도 2,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4에서 보듯이 제2탄성부재(422)에 의하여 베벨기어(40)를 구성하는 제1기어(401)가 제2기어(402)로부터 이격되어 이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 있게 되고, 클러치(41)를 구성하는 제1클러치 부재(411)와 제2클러치 부재(412)는 서로 교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듯이 제1기어(401)는 리미트 스위치(42)의 접촉단자를 눌러서 스위치 오프(OFF)가 되어 있다.
이후, 주전원 공급장치(70)에서 제어부(71)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스위칭 수단(711)이 전환되어 보조전원 공급장치(72)의 보조전원이 제어부(71)에 공급되어 브레이크(B)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보조전원에 의하여 브레이크(B)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체인 휠(3)에 드리워진 체인(C)을 당기면 체인휠(3)의 회전하는 동력이 메인 샤프트(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2)에 고정된 제1클러치 부재(41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하는 제1클러치 부재(411)는 삼각형 돌기와 삼각형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면으로 결합된 제2클러치 부재(412)를 축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제1탄성부재(421)에 탄성을 축적시킨다.
여기서, 메인 샤프트(2)에 고정된 돌기(20)가 가이드홈(403)에 접촉되면서 제1기어(401)를 함께 회전시켜주게 된다.
상기 제2클러치 부재(412)는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1기어(401)는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에 고정되어 있는 제2기어(402)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 보듯이 제1기어(401)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탄성부재(422)가 압축되어 탄성을 축적하게 되고, 또한, 제1기어(401)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었던 리미트 스위치(42)의 접촉단자가 떨어지면서 스위치 온(ON) 신호를 제어부(71)의 콘트롤러(710)에 출력하고, 제1기어(401)와 제2기어(402)가 서로 치합된다.
상기에서 리미트 스위치(42)의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콘트롤러(710)는 브레이크(B)에 전원을 공급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B)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을 회전시키기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체인(C)을 잡아당겨서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방시키는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클러치(41)를 구성하는 제1클러치 부재(411)와 제2클러치 부재(412)가 서로 이격되는 상태가 정점을 지나가게 되면 제1탄성부재(421)에 의하여 제1클러치 부재(411)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2클러치부재(412)는 제2탄성부재(422)의 탄성에 의하여 제1클러치부재(411)와 다시 교합되면서 제1기어(401)는 제2기어(402)와 이격된다.
이때, 축방향으로 원위치 되는 제1기어(401)가 리미트 스위치(42)의 접촉단자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오프(OFF)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71)의 콘트롤러(710)를 통하여 브레이크(B)가 구동축(DS)을 잠그는 신호를 출력하여 브레이크(B)가 다시 잠겨지게 자동문 구동 모터(M1)의 구동축(DS)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시적으로 브레이크(B)를 개방하지 않고 리미트 스위치(42)의 접점에 따라 개방토록 함으로써, 자동문 자체를 수동으로 올릴 때 자동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다시 하측으로 밀려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번 당길 때 브레이크를 개방하고 베벨기어 축 만큼 열고 다시 브레이크를 잡고 다시 당기면 다시 열리도록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자동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레이킹 수단으로 제3실시 예는 기본적인 자동문의 제어 시스템(7)에서 주전원 공급장치(70)에 의하여 충전 가능하게 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72)를 구비하고, 정전시 자동문 구동 모터(M1)에 공급되는 전원이 보조전원 공급장치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시는 물론 정전이 아닐 경우에도 자동문을 자동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오버헤드 자동문의 경우 자동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보통의 성인이 체인을 수동으로 돌려도 그 하중에 따라 뒤로 밀리는 경우가 있어 문을 수동으로 개방하기가 힘들고, 지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작동 방법에 의하면, 주전원이 차단된 이후에 보조 배터리가 자동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보조 배터리는 DC 브레이크 패드와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의 신호를 받아 수십 분 동안만 한정적으로 동작 할 수 있는 정도이며, 일반적인 UPS 처럼 대용량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재, 시스템 에러, 또는 파손 등으로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전기가 예비로 충전된 보조 배터리에 의해 자동문을 열기 위한 긴급 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1 : 고정대 2 : 메인 샤프트
3 : 체인 휠 40 : 베벨기어
401 : 제1기어 402 : 제2기어
41 : 클러치 411 제1클러치 부재
412 : 제2클러치 부재 421 : 제1탄성부재
422 : 제2탄성부재 422, 423 : 단부
M1 : 자동문 구동 모터 M2 : 제2모터
B : 브레이크
3 : 체인 휠 40 : 베벨기어
401 : 제1기어 402 : 제2기어
41 : 클러치 411 제1클러치 부재
412 : 제2클러치 부재 421 : 제1탄성부재
422 : 제2탄성부재 422, 423 : 단부
M1 : 자동문 구동 모터 M2 : 제2모터
B : 브레이크
Claims (8)
- 삭제
- 자동문 구동 모터에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자동문 자동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선단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메인 샤프트와;
체인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체인이 드리워지는 체인 휠과;
상기 체인 휠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반복되도록 단속되게 하는 복귀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온 오프 시키는 브레이킹 수단으로서,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복귀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전달되는 동력이 단속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획득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브레이크를 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감지수단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체인 휠을 회전시키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브레이크를 온 오프 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분리 가능하게 치합되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로 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제1기어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전원이 입력되어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보조전원 공급장치로 전환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자동문 구동 모터의 브레이크를 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1클러치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2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의 일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메인 샤프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교합되는 제2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1클러치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제1클러치부재와 교합이 해제된 위치로부터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시키는 제1복귀수단과;
상기 제2클러치 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재교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가 분리될 수 있도록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귀수단은,
일측단부가 상기 고정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의 단부는 상기 제1클러치부재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로 되어,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제2클러치 부재가 분리되는 지점의 이전에는 제1클러치 부재와 함께 메인 샤프트와 체인 휠을 원위치 시키게 되고,
상기 제1클러치 부재와 제2클러치 부재가 분리되는 지점의 이후에는, 제2클러치 부재가 클러치의 피치(pitch)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귀수단은,
일측의 단부가 고정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의 단부는 상기 제2기어의 측면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로 되어, 제1기어를 제2기어와 분리시키고, 제2클러치 부재를 제1클러치부재에 교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461A KR101761890B1 (ko) | 2016-07-28 | 2016-07-28 |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461A KR101761890B1 (ko) | 2016-07-28 | 2016-07-28 |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1890B1 true KR101761890B1 (ko) | 2017-07-26 |
Family
ID=5942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6461A KR101761890B1 (ko) | 2016-07-28 | 2016-07-28 |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18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0068B1 (ko) * | 2018-04-11 | 2018-09-18 | 주식회사 트리플리 | 비상 작동 기능을 지닌 전동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877B1 (ko) * | 2010-02-11 | 2010-07-16 | 공간산업(주) | 자동도어의 수동 개폐장치 |
-
2016
- 2016-07-28 KR KR1020160096461A patent/KR1017618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877B1 (ko) * | 2010-02-11 | 2010-07-16 | 공간산업(주) | 자동도어의 수동 개폐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0068B1 (ko) * | 2018-04-11 | 2018-09-18 | 주식회사 트리플리 | 비상 작동 기능을 지닌 전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55927A (en) | Self-closing fire door | |
US5673514A (en) | Time delay release mechanism for a fire barrier | |
JP6843998B2 (ja) | 緊急開放デバイスを備えたゲート | |
JP2004507632A (ja) | 扉制御装置 | |
KR101761890B1 (ko) |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 |
US8579086B2 (en) | Crash safety device having a rope drive mechanism | |
KR101524344B1 (ko) |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 |
CN101531310A (zh) | 一种无机房电梯远程开闸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 |
JP5851278B2 (ja) | 緊急遮断ゲート装置 | |
KR101578371B1 (ko) | 무대장치용 구동부의 비상제동장치 | |
CN201367285Y (zh) | 一种无机房电梯远程开闸控制装置 | |
JPH01121484A (ja) | 電動引戸装置 | |
JP2004176450A (ja) | 水門開閉装置の操作制御システム | |
KR200281076Y1 (ko) | 방화셔터 제어장치 | |
CN212743733U (zh) | 一种电动平移门自动控制系统 | |
JP3571075B2 (ja) | 自動式遮断機 | |
JP7267116B2 (ja) | シャッター装置 | |
JP7123200B2 (ja) | 駆動機構の制御システム | |
CN215047887U (zh) | 电梯紧急松闸控制装置 | |
JP4861726B2 (ja) | シャッターを備える設備 | |
JP2654738B2 (ja) | 巻取ドラムの駆動構造 | |
EP3067509A1 (en) | Shutter locking mechanism | |
CN206972134U (zh) | 一种电动卷帘器 | |
JPS6015914Y2 (ja) | シヤツタ−開放装置 | |
JPH10266742A (ja) | 非常開放装置付き電動シャッ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