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130B1 -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130B1
KR101761130B1 KR1020150138503A KR20150138503A KR101761130B1 KR 101761130 B1 KR101761130 B1 KR 101761130B1 KR 1020150138503 A KR1020150138503 A KR 1020150138503A KR 20150138503 A KR20150138503 A KR 20150138503A KR 101761130 B1 KR101761130 B1 KR 10176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ld
injection
shielding
in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413A (ko
Inventor
박현주
Original Assignee
박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종 filed Critical 박선종
Priority to KR102015013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1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92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에 분사되는 이형제의 비산을 방지하고, 비산되는 이형제를 응집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되는 다이캐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금형의 일 측을 형성하는 제1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몰드에 용융된 모재를 주입하도록 지지테이블 상에 구비되는 주입유닛과; 상기 지지테이블 상의 상기 주입모듈 타측에 상기 제1몰드와 결합하는 제2몰드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유닛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몰드 및 제2몰드 내측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에 동력원 및 이형제를 제공하는 펌핑모듈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조된 성형 제품을 몰드 내측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유닛; 그리고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과 상기 인출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개폐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형제 분사 영역인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 영역을 분사유닛의 구동부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차폐하므로, 인출장치의 성형 제춤 인출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비산되는 이형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 Die casting apparatus having cover unit }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몰드에 분사되는 이형제의 비산을 방지하고, 비산되는 이형제를 응집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되는 다이캐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은 비교적 용융온도가 낮은 알미늄합금이나 아연합금을 용융주조한 주물을 정밀하게 가공된 금형에 주입하여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물건을 얻는 주조 방법으로, 사용할 재료를 가열로의 도가니를 통하여 주물상태로 용융하고, 용융된 주물은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금형)에 주입한 후, 상기 금형을 상호 압착시켜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성형된 제품은 로봇 암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어 분리된다.
이때, 주조물이 몰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 내에 이형제를 분무하고, 몰드를 압착시켜 제품을 성형한다.
여기서, 분무되는 이형제는 분사유닛에 의해 매회의 공정마다 몰드 내에 분사되는데, 분사되는 이형제는 분사압에 의해 다이캐스팅 장치 주변으로 비산된다.
상기 이형제는 일반적으로 산업용 윤활제로 구성되어, 누적되어 고형화되는 경우 다이캐스팅 장치의 성능저하를 초래하고, 분리 배출하여 배출하지 않으면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이형제가 비산에 의해 넓은 공간으로 퍼지는 경우, 이에 대한 처리비용의 증가와 함께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 위해,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 일측에는 차단판을 두어 상기 이형제가 비산되는 것으로 방지되도록 구성되지만, 타측면에는 로봇암의 제품 인출 공정을 위해 개방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이형제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6255호에는 이형제는 아니지만, 주물 모재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선행기술에는 커버가 수동으로 개폐됨에 따라 로봇암이 설치된 다이캐스팅 장치에는 사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62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형제 분사시 이형제 분사 영역인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성형제품의 인출장치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는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사유닛의 구동부와 연동되어,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이형제 분사 공정 이외에는 상기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 영역을 개방시켜 인출장치의 구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이형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다이캐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구성된 차폐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차폐유닛의 구동을 분사유닛 가압부와 연동시켜, 고가의 기존 다이캐스팅 장치에 호완하여 설치 가능한 다이캐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금형의 일 측을 형성하는 제1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몰드에 용융된 모재를 주입하도록 지지테이블 상에 구비되는 주입유닛과; 상기 지지테이블 상의 상기 주입모듈 타측에 상기 제1몰드와 결합하는 제2몰드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유닛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몰드 및 제2몰드 내측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에 동력원 및 이형제를 제공하는 펌핑모듈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조된 성형 제품을 몰드 내측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유닛; 그리고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과 상기 인출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개폐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분사유닛의 이형제 분사 공정 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차폐하고, 상기 인출유닛의 성형제품 인출 공정 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개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은,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내측에 구비된 승강피스톤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피스톤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폐스크린;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를 가압하는 승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승강피스톤의 단부 결합되는 수평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스크린은 상기 수평지지대에 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폐유닛, 상기 유입유닛 전면에 고정되는 승압부와; 상기 승압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피스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 및 이동피스톤의 각 단부가 고정되는 차폐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은, 분사유닛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주입유닛과 가압유닛 사이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분사유닛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파이프에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파이프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승압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분기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분사유닛에 가압시 상기 승강실린더에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스크린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출유닛의 대향 측면의 상기 주입유닛과 가압유닛 사이에는, 상기 주입유닛과 가압유닛 사이를 차폐하는 후면차단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형제 분사 영역인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 영역을 분사유닛의 구동부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차폐하므로, 인출장치의 성형 제춤 인출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비산되는 이형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존 다이캐스팅 장치의 가압장치와의 연결만을 통해 설치가 가능하므로, 고가의 다이캐스팅 장치를 신규로 제작함 없이, 기존 다이캐스팅 장치를 활용하여 차폐유닛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이캐스팅 금형용 비산방지 커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의 차폐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팅 장치에 구비되는 차폐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팅 장치에 구비되는 차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의 차폐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팅 장치에 구비되는 차폐유닛(70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팅 장치에 구비되는 차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는 지지테이블(100), 주입유닛(200), 가압유닛(300), 분사유닛(400), 인출유닛(500), 후면차단판(600) 및 차폐유닛(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테이블(100)은 다이캐스팅 장치의 주요 구성을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지지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테이블(100) 하단에는 분사된 이형제를 모아 재사용 또는 분리 처리하기 위한 포집트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유닛(200)은 몰드 일측에 용융된 모재를 주입하고 상기 분사유닛(400)을 지지하면서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테이블(100) 상에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주입유닛(200)은 주입몸체(210), 제1몰드(220) 및 펌핑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입몸체(210)는 상기 제1몰드(220) 및 펌핑모듈(230)을 지지하고, 상기 제1몰드(220)에 용융된 모재를 상기 제1몰드(220)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1몰드(220)는 금형의 일 측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주입몸체(210)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펌핑모듈(230)은 상기 주입몸체(210)에 구비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분사유닛(400)을 지지하고, 상기 분사유닛(400)에 동력원 및 이형제를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주입유닛(200) 타측에는 상기 제1몰드(220)와 결합하여 금형을 완성하는 제2몰드(34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압유닛(30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유닛(300)은 가압몸체(310), 이동몸체(320), 이송피스톤(330) 및 제2몰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몸체(310)는 상기 가압유닛(300)을 상기 지지테이블(100) 상에 고정하고, 상기 이동몸체(32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320)는 상기 이송피스톤(330)에 의해 상기 가압몸체(310)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몰드(340)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피스톤(3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몰드(340)를 상기 제1몰드(220)와의 결합위치까지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펌핑모듈(230)에는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몰드(220) 및 제2몰드(340) 사이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400)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유닛(400)은 지지대(410), 분사실린더(420), 분사피스톤(430), 가압파이프(440), 이형제공급파이프(450), 연결구(460) 및 분사구(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410)는 상기 펌핑모듈(230)에 고정되어 상기 분사유닛(400)을 상기 주입유닛(20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410)에는 분사실린더(420)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실린더 (420)내에는 상기 분사실린더(420)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분사피스톤(4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실린더(420) 일 측에는 상기 분사실린더(420)에 유압 또는 공압 등의 분사피스톤(430) 동력원을 제공하는 가압파이프(440)가 상기 펌핑모듈(230)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피스톤(430) 타 측에는 상기 분사피스톤(430)과 상기 분사구(470)를 결합하는 연결구(4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사구(470)는 분사공이 형성된 어샘블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분사 파이프 다발 뭉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사구(470)에는 상기 펌핑모듈(230)로부터 상기 분사구(470)에 이형제를 공급하기 위한 이형제공급파이프(4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유닛(200)과 가압유닛(300) 사이의 일 측(이하 '후면'이라고 한다)에는 주조 공정상에 비산되는 상기 이형제를 차단하기 위한 후면차단판(6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의 타측 즉, 전면에는 주조된 성형 제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유닛(500)이 구비된다.
상기 인출유닛(500)은 속칭 로봇암(팔)으로, 주조 공정상에 성형된 제품을 몰드(금형)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인출유닛(500)은 회전구동부(510), 회전축(520), 회전암(530) 및 파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구동부(510)는 상기 인출유닛(50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회전축(520)은 상기 구동력을 상기 회전암(530)에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상기 회전암(530)은 상기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단부에 구비된 파지부(540)를 상기 몰드 상의 제품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암(530)의 단부 및 파지부(540)는 성형 제품의 인출 공정 시, 상기 주입유닛(200)과 가압유닛(300) 사이의 전면측 개방된 영역을 통해 이동하면서 성형 제품을 인출한다.
한편, 상기 주입유닛(200) 및 가압유닛(300)의 전면과 인출유닛(500) 사이에는 상기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유닛(7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폐유닛(700)은 분사유닛(400)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주입유닛(200) 및 가압유닛(30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차폐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유닛(700)은 승강실린더(710), 승강피스톤(720), 수평지지대(730), 차폐스크린(740), 승압부(750), 가이더(760), 커플러(770) 및 분기파이프(7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710)는 상기 차폐스크린(740)을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승하강 시키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상기 승강피스톤(720)이 삽입되고, 일측에는 상기 승강실린더(710)를 가압하는 승압부(75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압부(75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승강실린더(710) 내의 상기 승강피스톤(720)이 승하강되어 상기 차폐스크린(740)으로 승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피스톤(720)의 단부에는 수평지지대(730)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지지대(730)에는 차폐스크린(74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730)와 상기 차폐스크린(740)이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수평지지대(730)와 상기 차폐스크린(740)이 이형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수평지지대(730)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승하강 운동을 제공하고, 상기 차폐스크린(74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차폐스크린(740)의 하중을 감소시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대(730)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730)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7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부(750)에는 상기 가압파이프(440)로부터 분기된 분기파이프(780)가 연결되어, 상기 가압파이프(440)의 압력이 상기 승압부(75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파이프(440)에는 커플러(770)가 구비되어 상기 분기파이프(780)가 상기 가압파이프(440)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평지지대 및 차폐스크린은 하나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7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입몸체(210) 측면에 고정되는 승압부(752), 상기 승압부(752)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실린더(712), 상기 승강실린더(71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피스톤(722) 및 상기 승강실린더(712) 및 이동피스톤(722)에 각각 단부가 고정되는 차폐스크린(7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피스톤(722)이 좌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차폐스크린(742)이 상기 주입유닛(200)과 가압유닛(300) 사이의 전면측 개방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캐스팅 장치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팅 장치는 회전암이 주조제품의 인출을 위해 몰드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상기 파지부(540)가 제품을 파지한 후, 회전에 의해 상기 제품의 인출공정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 제품이 인출 완료된 몰드 내측에 이형제 분사 공정이 수행된다.
즉, 상기 펌핑모듈(230)을 통해 상기 가압파이프(440)를 가압시켜 상기 분사피스톤(430)을 하강시켜, 상기 분사구(470)를 제1몰드(220)와 제2몰드(340)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파이프(44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가압파이프(440)로부터 분기된 분기파이프(780) 역시 동시에 가압되고, 상기 승압부(750)를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710)가 승압되어 승강피스톤(720)이 상승된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대(730)가 상승하여, 차폐유닛(700)이 전방 개방부를 차폐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이형제공급파이프(450)를 통해 공급된 이형제가 분사구를 통해 상기 몰드 내측으로 이형제를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파이프(440)가 감압되어 상기 분사피스톤(430)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기 분기파이프(780) 역시 감압되어 상기 차폐스크린(740)이 하강된다.
다음으로, 이동몸체(320)가 이동하여 제1몰드(220)가 제2몰드(340)와 결합되어 몰드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몸체(210)를 통해 성형 모재를 상기 몰드 내에 주입하여 주조 제품을 성형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몸체(320)가 후퇴하여 상기 몰드를 개방한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은, 인출유닛(500)을 이용한 인출공정 및 이후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제품 성형을 연속하여 수행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몰드에 분사되는 이형제의 비산을 방지하고, 비산되는 이형제를 응집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되는 다이캐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형제 분사 영역인 다이캐스팅 장치의 몰드 영역을 분사유닛의 구동부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차폐하므로, 인출장치의 성형 제춤 인출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비산되는 이형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지지테이블 200 : 주입유닛
210 : 주입몸체 220 : 제1몰드
230 : 펌핑모듈 300 : 가압유닛
310 : 가압몸체 320 : 이동몸체
330 : 이송피스톤 340 : 제2몰드
400 : 분사유닛 410 : 지지대
420 : 분사실린더 430 : 분사피스톤
440 : 가압파이프 450 : 이형제공급파이프
460 : 연결구 470 : 분사구
500 : 인출유닛 510 : 회전구동부
520 : 회전축 530 : 회전암
540 : 파지부 600 : 후면차단판
700 : 차폐유닛 710 : 승강실린더
720 : 승강피스톤 730 : 수평지지대
740 : 차폐스크린 750 : 승압부
760 : 가이더 770 : 커플러
780 : 분기파이프

Claims (10)

  1. 금형의 일 측을 형성하는 제1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몰드에 용융된 모재를 주입하도록 지지테이블 상에 구비되는 주입유닛과;
    상기 지지테이블 상의 상기 주입유닛 타측에 상기 제1몰드와 결합하는 제2몰드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유닛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몰드 및 제2몰드 내측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에 동력원 및 이형제를 제공하는 펌핑모듈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조된 성형 제품을 몰드 내측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유닛; 그리고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과 상기 인출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개폐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분사유닛의 이형제 분사 공정 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차폐하고, 상기 인출유닛의 성형제품 인출 공정 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개방하며:
    상기 차폐유닛은,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내측에 구비된 승강피스톤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피스톤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폐스크린;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를 가압하는 승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분사유닛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주입유닛과 가압유닛 사이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분사유닛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파이프에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파이프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승압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분기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분사유닛에 가압시 상기 승강실린더에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승강피스톤의 단부 결합되는 수평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스크린은 상기 수평지지대에 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
  6. 금형의 일 측을 형성하는 제1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몰드에 용융된 모재를 주입하도록 지지테이블 상에 구비되는 주입유닛과;
    상기 지지테이블 상의 상기 주입유닛 타측에 상기 제1몰드와 결합하는 제2몰드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유닛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몰드 및 제2몰드 내측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에 동력원 및 이형제를 제공하는 펌핑모듈과;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조된 성형 제품을 몰드 내측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유닛; 그리고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과 상기 인출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주조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개폐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분사유닛의 이형제 분사 공정 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차폐하고, 상기 인출유닛의 성형제품 인출 공정 시, 상기 주입유닛 및 가압유닛 사이의 개방 측면을 개방하며:
    상기 차폐유닛,
    상기 주입유닛 전면에 고정되는 승압부와;
    상기 승압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피스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 및 이동피스톤의 각 단부가 고정되는 차폐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분사유닛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주입유닛과 가압유닛 사이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분사유닛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파이프에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파이프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승압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분기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분사유닛에 가압시 상기 승강실린더에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스크린은,
    합성수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유닛의 대향 측면의 상기 주입유닛과 가압유닛 사이에는,
    상기 주입유닛과 가압유닛 사이를 차폐하는 후면차단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유닛이 구비된 다이캐스팅 장치.
KR1020150138503A 2015-10-01 2015-10-01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KR101761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503A KR101761130B1 (ko) 2015-10-01 2015-10-01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503A KR101761130B1 (ko) 2015-10-01 2015-10-01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413A KR20170039413A (ko) 2017-04-11
KR101761130B1 true KR101761130B1 (ko) 2017-08-04

Family

ID=5858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503A KR101761130B1 (ko) 2015-10-01 2015-10-01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1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6717A (ja) * 2013-05-27 2014-12-08 東芝機械株式会社 ダイカスト成形機の被覆剤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55Y1 (ko) 2003-03-24 2003-06-11 한미에이디엠 (주) 다이캐스팅 금형용 비산방지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6717A (ja) * 2013-05-27 2014-12-08 東芝機械株式会社 ダイカスト成形機の被覆剤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413A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115B1 (ko) 강관 엘보우의 성형장치
KR200422425Y1 (ko)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지그 유닛
EP3162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lting and molding metal in vacuum environment
CN102601320B (zh) 多功能射砂板清理装置
MX2013014363A (es) Distribucion y metodo para moldes para fundicion de metal.
CN210788773U (zh) 双工位滑台式模压机
KR20130021082A (ko) 열간 단조금형의 이형제 분사장치
CN106312011A (zh) 一种汽车方向盘自动化压铸生产设备
CN109530665B (zh) 一种农机配件浇铸装置
KR101761130B1 (ko) 차폐유닛을 구비한 다이 캐스팅 장치
CN104525893B (zh) 一种卧式压铸机的接料装置
CN104785733B (zh) 一种铸造模具装模装置
CN204276805U (zh) 一种精铸蜡模模具
KR101392153B1 (ko) 주조용 중자의 자동성형장치
KR101264863B1 (ko) 금형용 슬라이드
KR101691167B1 (ko) 사출성형프레스의 다층금형개폐장치
CN210359186U (zh) 机器人自动化供给机的镶嵌件分离阻挡装置
CN203109210U (zh) 立式压铸机定位工装
CN204524215U (zh) 一种卧式压铸机的接料装置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KR20160035776A (ko) 경동식 중력주조 금형장치
CN214392307U (zh) 一种金属型铸件表面的冷却装置
JP3826308B2 (ja) 成型用金型の段替え装置
KR200278609Y1 (ko) 가스켓 성형장치
CN219520100U (zh) 一种电控柜生产用板材弯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