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364B1 -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 Google Patents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364B1
KR101760364B1 KR1020160159685A KR20160159685A KR101760364B1 KR 101760364 B1 KR101760364 B1 KR 101760364B1 KR 1020160159685 A KR1020160159685 A KR 1020160159685A KR 20160159685 A KR20160159685 A KR 20160159685A KR 101760364 B1 KR101760364 B1 KR 10176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brake
spring
li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쎈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쎈프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쎈프레스
Priority to KR102016015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0Brak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2Clutch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이나 비금속에 큰 압력을 가해 변형시켜서 갖가지 형상으로 찍어 내는 프레스에서 플라이 휠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 사이에 댐핑 스프링을 개재하고, 댐핑 스프링이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다판 클러치와 다판 브레이크가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클러치 & 브레이크 댐핑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에 속해 있는 여러 겹의 라이너들이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품질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가 가지는 여러 겹의 라이너 지점까지 냉각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냉각 유로를 개설함으로써, 각 라이너들의 접속 및 분리 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등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Wet clutch brake unit for press}
본 발명은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이나 비금속에 큰 압력을 가해 변형시켜서 갖가지 형상으로 찍어 내는 프레스에서 플라이 휠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식 프레스의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는 플라이 휠에 입력되는 구동력을 크랭크 샤프트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계에 설치되어 있다.
보통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는 기본적으로 플라이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서포터, 상기 휠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플라이 휠에 고정된 케이스,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허브, 상기 케이스와 허브 사이에 설치된 다판 클러치, 상기 휠 서포터와 허브 사이에 설치된 다판 브레이크, 상기 다판 클러치와 다판 브레이크를 전환시키는 유압식 피스톤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에서 유압식 피스톤에 의해 다판 클러치가 접속상태로 전환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다판 브레이크는 분리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플라이 휠에 입력되는 구동력이 케이스, 다판 클러치, 허브, 회전축 등을 거쳐 크랭크 샤프트에 전달된다.
이와는 달리, 다판 클러치가 분리상태로 전환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다판 브레이크가 접속상태로 전환되고, 회전 중인 회전축이 제동된다.
여기서, 상기 허브는 회전축에 압입 또는 키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허브의 가장자리에는 다판 클러치에 대향하는 클러치 이너가, 다판 브레이크에 대향하는 브레이크 이너가 동축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의 클러치 이너와 브레이크 이너는 허브에 각각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어 허브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클러치 이너와 브레이크 이너는 허브를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에 속해 있는 여러 겹의 라이너들이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 압착되어 있다가 순간적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붙는 과정에서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각 라이너들이 접속 및 분리 시에 순간적인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내구성 및 작동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의 빈번한 접속 및 분리 시, 각각의 라이너들이 서로 마찰되면서 많은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이렇게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내구성 및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0-7011667호 한국 공개특허 10-2001-002497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 사이에 댐핑 스프링을 개재하고, 댐핑 스프링이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다판 클러치와 다판 브레이크가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클러치 & 브레이크 댐핑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에 속해 있는 여러 겹의 라이너들이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품질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가 가지는 여러 겹의 라이너 지점까지 냉각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냉각 유로를 개설함으로써, 각 라이너들의 접속 및 분리 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등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복수 개의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 및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판 브레이크와, 복수 개의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판 클러치와, 유압과 피스톤 스프링에 의해 이동하면서 다판 브레이크와 다판 클러치를 접속 또는 분리 상태로 전환시켜주는 센터 피스톤을 포함하는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로서, 상기 다판 브레이크와 다판 클러치 사이에 설치되어 다판 브레이크의 각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와 다판 클러치의 각 클러치 이너 라이너를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다판 브레이크와 다판 클러치에 속해 있는 이너 라이너들의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댐핑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 스프링은 센터 피스톤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안착홀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다판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와 다판 클러치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에 접하는 스프링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핑 스프링은 스프링의 내측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전후단의 각 스프링 시트와 접하는 동시에 스프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선경으로 이루어진 서브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다판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 및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와 상기 다판 클러치의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프레스 작동을 위한 동력을 출력하는 샤프트의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 오일 통로와 상기 메인 냉각 오일 통로에 연통되면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간 후에 분기되어 다판 브레이크 및 다판 클러치의 각 라이너 위치까지 연장되는 서브 오일 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오일 통로와 서브 오일 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각 라이너 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댐핑 스프링을 통해 다판 클러치와 다판 브레이크의 여러 겹의 라이너들을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라이너들의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했던 소음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고, 따라서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품질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에 있는 각 라이너들이 접해 있는 부위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여러 냉각 유로를 통해 각 라이너들 간의 마찰 접촉부위에 냉각용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각 라이너들의 접속 및 분리 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따라서 클러치 & 브레이크 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에서 클러치 작동 상태와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확대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이 가지는 라이너들의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고, 또 각 라이너들의 접속 및 분리 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가 속해 있는 프레스 구동부위의 구조를 살펴보면, 프레스 설비의 프레임(미도시)측에 휠 서프트(24)가 고정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휠 서포트(24)의 둘레부에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플라이 휠(23)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휠 서포트(24)의 축선을 따라 선단부에 드라이브 피니언(35)을 가지는 샤프트(20)가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라이 휠(23)의 후면에는 대략 원통형의 케이스(27)가 일체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7)의 내측에서 앞쪽으로는 휠 서포트(24)측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하우징(25)이 샤프트(20)의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고, 이와 간격을 두고 뒷쪽으로는 케이스(27)측에 클러치 하우징(28)이 샤프트(20)의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브레이크 하우징(25)의 내측과 클러치 하우징(28)의 내측으로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의 핵심 부품인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가 각각 배치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여러 개의 라이너가 겹쳐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 및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판 브레이크(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다판 브레이크(12)는 프레스의 플라이 휠(23)측에서 샤프트(20)측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플라이 휠(2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고정체인 휠 서포터(24)의 브레이크 하우징(25)에 고정되는 다수의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와, 상기 샤프트(20)에 키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 허브(26)에 스플라인 구조로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와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는 후술하는 센터 피스톤(17)의 가압 작용에 따른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의 축선 방향 위치 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와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 간의 접속 및 분리 가능한 구조 및 방식은 다판 브레이크를 채택하고 있는 일반 프레스에서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와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 간의 접속 및 분리 가능한 구조 및 방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여러 개의 라이너가 겹쳐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센터 피스톤(17)을 사이에 두고 다판 브레이크(12)와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판 클러치(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다판 클러치(15)는 프레스의 플라이 휠(23)측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샤프트(20)측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플라이 휠(23)과 함께 회전하는 케이스(27)의 클러치 하우징(28)에 고정되는 다수의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와, 상기 샤프트(20)에 키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허브(29)에 스플라인 구조로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는 센터 피스톤(17)의 가압 작용에 따른 클러치 이너 라이너(13)의 축선 방향 위치 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 간의 접속 및 분리 가능한 구조 및 방식은 다판 브레이크를 채택하고 있는 일반 프레스에서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와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 간의 접속 및 분리 가능한 구조 및 방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다판 브레이크(12)의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와 상기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는 합성섬유(Synthetic fiber)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기존의 동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라이너에 비해 가격적인 측면, 중량 측면(회전관성이 작아짐), 마찰 특성 등에서 우수한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다판 브레이크(12) 및 다판 클러치(15)의 각 라이너들의 접속 및 분리를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센터 피스톤(17)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 피스톤(17)은 원판 형태로서 클러치 허브(29)의 외주면 상에 동심원으로 끼워져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센터 피스톤(17)의 가장자리 부분은 각각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 사이에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되는 센터 피스톤(17)의 가장자리 부분 전면은 다판 브레이크(12)가 가지는 여러 장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 중에서 가장 뒷쪽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를 바라보는 동시에 센터 피스톤(17)의 가장자리 부분 후면은 다판 클러치(15)가 가지는 여러 장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11) 중에서 가장 앞쪽에 배치되는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를 바라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피스톤(17)의 작동을 위하여, 센터 피스톤(17)의 중심 부분 전면 앞쪽으로는 브레이크 허브(26)와의 사이에 조성되는 유압실(30)이 형성되며, 센터 피스톤(17)의 중심 부분 후면과 클러치 하우징(28)의 후면부를 마감하는 클러치 커버 플레이트(31) 사이에는 복수 개의 피스톤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스프링(16)은 서로 동축 구조로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 상대적으로 선경 및 직경, 탄성계수의 차이를 가지는 이너 스프링(16a)과 아우터 스프링(16b)으로 조합으로 이루어져, 센터 피스톤(17)의 동작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30)에는 샤프트(20)의 중심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 작동유 통로(32)와 이 메인 작동유 통로(32)로부터 방사상으로 분기됨과 더불어 유압실(30)과 통하는 다수의 서브 작동유 통로(33)를 따라 제공되는 작동유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메인 작동유 통로(32)는 물론 후술하는 메인 오일 통로(21)는 샤프트(20)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터리 조인트(34)를 통해 오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작동유 통로(32) 및 서브 작동유 통로(33)를 통해 유압실(30)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센터 피스톤(17)은 피스톤 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뒷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센터 피스톤(17)의 미는 힘에 의해 다판 클러치(15)는 접속되고, 이와 동시에 다판 브레이크(12)는 분리된다.
이와는 반대로, 작동유의 공급이 차단되면, 센서 피스톤(17)은 피스톤 스프링(16)의 복원력을 받아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센터 피스톤(17)의 미는 힘에 의해 다판 브레이크(12)는 접속되고, 이와 동시에 다판 클러치(15)는 분리된다.
특히, 상기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다판 브레이크(12)의 각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와 다판 클러치(15)의 각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를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 복수 개의 댐핑 스프링(18)을 포함한다.
상기 댐핑 스프링(18)은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에 속해 있는 이너 라이너들의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8a)과 라이너측과 직접 접촉하는 스프링 시트(18b)로 구성되어 센터 피스톤(17)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센터 피스톤(17)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후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구조의 스프링 안착홀(19)이 다수 개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각 스프링 안착홀(19)의 내부에는 스프링(18a)이 동축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스프링(18a)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스프링 시트(18b)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8a)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 시트(18b)는 다판 브레이크(12)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측과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측에 각각 접하게 된다.
이러한 댐핑 스프링(18)은 센터 피스톤(17)의 가장자리 부분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 예를 들면 약 30°정도의 간격을 두고 12개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프링(18a)의 내측에는 서브 스프링(18c)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의 서브 스프링(18c)은 스프링(18a)에 대해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전후단의 각 스프링 시트(18b)와 접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스프링(18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선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스프링(18a)과 서브 스프링(18c)을 내외측으로 배치한 듀얼 타입의 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다판 브레이크(12) 및 다판 클러치(15)의 각 라이너들을 안정적으로 또 균형있게 탄력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댐핑 스프링(18)은 센터 피스톤(17)의 축선 방향 이동 시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그 전후측에 있는 다판 브레이크(12)의 라이너측과 다판 클러치(15)의 라이너측을 스프링 힘으로 상시 탄력 지지하게 되므로서, 라이너 간의 접속 및 분리 동작이 부드럽고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결국 라이더 간의 접속 및 분리 시에 발생하는 충격이나 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18a) 및 서브 스프링(18c)이 어느 정도 압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전후단부에 있는 각 스프링 시트(18b)가 다판 브레이크(12)의 가장 뒷쪽에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와 접촉함과 동시에 다판 클러치(12)의 가장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판 브레이크(12)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들과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들은 스프링(18a) 및 서브 스프링(18c)이 발휘하는 스프링 힘을 받아 상시 눌려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를 접속 또는 분리 시 센터 피스톤(17)이 앞쪽 또는 뒷쪽으로 이동되면서 순간적으로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측과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측으로부터 떨어지거나 붙게 되는 경우,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들과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들은 스프링 힘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여유있게 떨어지거나 붙게 되고, 결국 종전과 같이 급속한 라이너들 간의 분리 또는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충격이나 소음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되며, 보다 원활한 브레이크 및 클러치 작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는 다판 브레이크(12) 및 다판 클러치(15)에 속해 있는 각 라이너들 간의 접속 및 분리 시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냉각시켜주는 수단으로 메인 오일 통로(21)와 서브 오일 통로(2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오일 통로(21)는 샤프트(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로터리 조인트(34)측과 연결되는 동시에 샤프트(20)의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 작동유 통로(32)의 둘레에 배치되면서 샤프트(20)의 내부에 샤프트 축선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브 오일 통로(22)는 메인 오일 통로(21)와 연결되는 동시에 샤프트(20)와 브레이크 허브(26) 및 클러치 허브(29)를 관통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뻗어나간 후 다판 브레이크(12) 및 다판 클러치(15)의 각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 및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오일 통로(22)에서부터 분기되는 분기 오일 통로(36)는 각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 및 클러치 이너 라이너(14)가 속해 있는 영역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오일펌프(미도시)로부터 펌핑되어 메인 오일 통로(21)와 서브 오일 통로(22)를 따라 흐르는 오일은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 및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의 각 라이너 간의 접촉부위는 물론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 및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의 각 라이너 간의 접촉부위에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되는 냉각용 오일에 의해 각 라이너 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이 냉각될 수 있게 되므로서,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의 작동 성능 및 내구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에서 클러치 작동 상태와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다판 브레이크(12)의 분리 상태 및 다판 클러치(15)의 접속 상태를 보여준다.
즉, 유압실(30)에 오일이 공급되면, 오일 압력에 의해 센터 피스톤(17)이 피스톤 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뒷쪽(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14) 또한 압착됨과 더불어 뒷쪽으로 밀리면서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와 접속된다.
아울러, 다판 브레이크(12)의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와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 간은 분리된다.
이에 따라, 프레스 동력이 플라이 휠(23)→케이스(27)→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 및 클러치 이너 라이너(14)→클러치 허브(29)→샤프트(20)→드라이브 피니언(35)으로 전달되면서 프레스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 피스톤(17)의 움직임에 따라 다판 클러치(15)의 각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들이 붙을 때 및 다판 브레이크(12)의 각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들이 떨어질 때 댐핑 스프링(18)이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들과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들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게 되므로, 라이너들 간의 충격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다판 브레이크(12)의 접속 상태 및 다판 클러치(15)의 분리 상태를 보여준다.
즉, 유압실(30)로 공급되었던 오일이 차단되면, 압축되어 있던 피스톤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센터 피스톤(17)이 앞쪽(도면의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이때, 유압실 내의 오일은 피스톤 가압에 의해 상대적으로 자연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다판 브레이크(15)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 또한 압착됨과 더불어 앞쪽으로 밀리면서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와 접속된다.
아울러,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14) 간은 분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20), 브레이크 허브(26), 다판 브레이크(12) 전체가 고정체인 휠 서포트(24)에 구속되면서 고정되고, 결국 플라이 휠(23) 및 케이스(27)가 헛돌게 되면서 프레스 작동이 중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센터 피스톤(17)의 움직임에 따라 다판 클러치(15)의 각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들이 떨어질 때 및 다판 브레이크(12)의 각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들이 붙을 때 댐핑 스프링(18)이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들과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들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게 되므로, 라이너들 간의 충격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판 클러치측과 다판 브레이크측 사이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댐핑 스프링을 개재하여 다판 클러치와 다판 브레이크가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를 제공함으로써,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에 속해 있는 여러 겹의 라이너들이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고, 또 다판 클러치 및 다판 브레이크에 있는 각 라이너측에 냉각용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각 라이너들의 접속 및 분리 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등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10 :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
11 :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
12 : 다판 브레이크
13 :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
14 : 클러치 이너 라이너
15 : 다판 클러치
16 : 피스톤 스프링
17 : 센터 피스톤
18 : 댐핑 스프링
18a : 스프링
18b : 스프링 시트
18c : 서브 스프링
19 : 스프링 안착홀
20 : 샤프트
21 : 메인 오일 통로
22 : 서브 오일 통로
23 : 플라이 휠
24 : 휠 서포트
25 : 브레이크 하우징
26 : 브레이크 허브
27 : 케이스
28 : 클러치 하우징
29 : 클러치 허브
30 : 유압실
31 : 클러치 커버 플레이트
32 : 메인 작동유 통로
33 : 서브 작동유 통로
34 : 로터리 조인트
35 : 드라이브 피니언
36 : 분기 오일 통로

Claims (5)

  1. 복수 개의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 및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판 브레이크(12);
    복수 개의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판 클러치(15);
    유압과 피스톤 스프링(16)에 의해 이동하면서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를 접속 또는 분리 상태로 전환시켜주는 센터 피스톤(17);
    상기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 사이에 설치되어 다판 브레이크(12)의 각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와 다판 클러치(15)의 각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를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다판 브레이크(12)와 다판 클러치(15)에 속해 있는 이너 라이너들의 접속 또는 분리 동작 시에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댐핑 스프링(18);
    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 스프링(18)은 센터 피스톤(17)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안착홀(19)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8a)과, 상기 스프링(18a)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다판 브레이크(12)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와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에 접하는 스프링 시트(18b)로 구성되되,
    상기 센터 피스톤(17)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후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구조의 스프링 안착홀(19)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각 스프링 안착홀(19)의 내부에는 스프링(18a)이 동축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스프링(18a)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스프링 시트(18b)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8a)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 시트(18b)는 다판 브레이크(12)의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측과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이너 라이너(14)측에 각각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18)은 스프링(18a)의 내측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전후단의 각 스프링 시트(18b)와 접하는 동시에 스프링(18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선경으로 이루어진 서브 스프링(18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판 브레이크(12)의 브레이크 아우터 라이너(10) 및 브레이크 이너 라이너(11)와 상기 다판 클러치(15)의 클러치 아우터 라이너(13)와 클러치 이너 라이너(14)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스 작동을 위한 동력을 출력하는 샤프트(20)의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 오일 통로(21)와 상기 메인 냉각 오일 통로(21)에 연통되면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간 후에 분기되어 다판 브레이크(12) 및 다판 클러치(15)의 각 라이너 위치까지 연장되는 서브 오일 통로(2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오일 통로(21)와 서브 오일 통로(22)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각 라이너 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KR1020160159685A 2016-11-28 2016-11-28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KR10176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85A KR101760364B1 (ko) 2016-11-28 2016-11-28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85A KR101760364B1 (ko) 2016-11-28 2016-11-28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364B1 true KR101760364B1 (ko) 2017-07-24

Family

ID=5942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685A KR101760364B1 (ko) 2016-11-28 2016-11-28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3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398B1 (ko) * 1998-02-20 2007-01-30 미드웨스트 브레이크 본드 컴퍼니 오일 시어 클러치 및 브레이크 구동 장치를 위한 윤활 시스템
JP4005136B2 (ja) * 1996-02-02 2007-11-07 ゴイスペル・ソシエダッド・コオペラティーバ ブレーキとクラッチとブレーキクラッチを制御するための流体装置
JP5793186B2 (ja) * 2010-05-27 2015-10-14 レントン コイル スプリング カンパニー プリロードされた2重スプリング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5136B2 (ja) * 1996-02-02 2007-11-07 ゴイスペル・ソシエダッド・コオペラティーバ ブレーキとクラッチとブレーキクラッチを制御するための流体装置
KR100676398B1 (ko) * 1998-02-20 2007-01-30 미드웨스트 브레이크 본드 컴퍼니 오일 시어 클러치 및 브레이크 구동 장치를 위한 윤활 시스템
JP5793186B2 (ja) * 2010-05-27 2015-10-14 レントン コイル スプリング カンパニー プリロードされた2重スプリングアセンブ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4450A (en) Clutch and brake with telescoping pistons
US10428879B2 (en) Friction clutch
EP2307752B1 (en) Force transmitting assembly
US9097289B2 (en) Friction plate design for multi-plate wet friction clutch
US9909626B2 (en) Disconnect clutch with positive plate separation
KR101232632B1 (ko) 토크 전달 장치
WO2000050225A1 (fr) Dispositif embrayage/frein d'une presse
CN103256323A (zh) 双转子式力传递组件
CN104819219A (zh) 湿式离合器总成
KR101985512B1 (ko)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
CN201712206U (zh) 一种气动湿式分体式带冷却装置的离合器、制动器
CN113108000B (zh) 一种机械推土机主离合器系统
KR101760364B1 (ko) 프레스의 습식 클러치 브레이크 유니트
CN204677638U (zh) 湿式离合器总成
US6142275A (en) Pressure-actuated clutch and brake
CN102425634B (zh) 带制动功能的离合器
KR101495818B1 (ko) 마찰요소
JP6474200B2 (ja) ダブルクラッチ装置
CN217152744U (zh) 一种新型湿式动力输出离合结构和农用机械
CN217582962U (zh) 一种带制动功能的湿式离合器
WO2023159720A1 (zh) 离合器的操纵机构
KR102186977B1 (ko) 클러치 장치
JP2000161403A (ja) 湿式多板ブレーキ
JPH0727158A (ja) 湿式摩擦板
JPH05223130A (ja) 湿式多板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