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291B1 -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291B1
KR101760291B1 KR1020160106957A KR20160106957A KR101760291B1 KR 101760291 B1 KR101760291 B1 KR 101760291B1 KR 1020160106957 A KR1020160106957 A KR 1020160106957A KR 20160106957 A KR20160106957 A KR 20160106957A KR 101760291 B1 KR101760291 B1 KR 10176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ound
low
magnetic
permanent magn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레프릭오디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프릭오디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프릭오디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291B1/ko
Priority to PCT/KR2017/009178 priority patent/WO20180385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는, 중공형의 프레임; 저역음 발생을 위한 외자형 자기장부와,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고, 고역음 발생을 위한 내자형 자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부재;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입구 쪽에 저역음용 보이스코일 구비하여 설치되는 저역음 진동판; 및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타측 입구 쪽에 고역음용 보이스코일을 구비하여 설치되는 고역음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의 외자형 자기장부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에서 발생된 저역음이 상기 관통공 쪽으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저역음 배출로가 관통되어 마련되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와 상기 고역음 진동판 사이에는, 상기 저역음 배출로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 쪽으로 안내하여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중앙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형의 저역음 노즐 프레임이 배치되되,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와 고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역음과 저역음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2웨이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2-WAY SPEAKER OF ONE BODY TYPE USING DYNAMIC SPEAKER}
본 발명은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위터용 진동판을 전면에 배치하고 우퍼측 음원은 트위터용 진동판의 중심에 마련된 우퍼 노즐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우퍼측 음원이 스피커의 중심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될 수 있고, 따라서 음원의 명료도를 높일 수 있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란 전기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는 음향장치로서,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키는 원리와 방법에 따라 다이나믹형, 전자기형, 정전형, 유전체형, 자기왜형 등이 있다.
음악재생용이나 음성용으로는 비교적 성능이 좋은 다이나믹형이 널리 사용된다. 다이나믹형은 영구자석의 자기장 내에 있는 보이스코일에 음성신호 전류를 흘리면 그 전류의 세기에 따라 기계적인 힘이 보이스코일에 작용하여 운동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이나믹형은 저역음을 구현하는 데에는 적합하나 고역음을 구현하기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어서, 고음질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2웨이 스피커 또는 3웨이 스피커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2웨이 스피커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15815호(공고일 : 2015.05.06)에는,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스피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스피커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요크(10)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면에 플레이트(22)가 구비되는 마그네트(20)와, 요크(1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50)과, 마그네트(20), 플레이트(22) 및 회로기판(50)을 요크(10)에 결합고정하는 리벳(26)을 포함한다. 요크(10)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리벳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마그네트(20), 플레이트(22) 및 회로기판(50)에는 요크(10)의 리벳구멍과 동일축상을 갖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요크(10)와 마그네트(20)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코일(24)과, 플레이트(22)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장자리가 요크(10)에 고정되며 보이스코일(24)이 고정되는 진동판(28)을 포함한다. 마그네트(20)에서 나온 자기장은 마그네트(20) 위에 있는 플레이트(22)를 통해 하측의 요크(10)로 이동하고, 다시 마그네트(20)로 이동하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플레이트(22)와 하측의 요크(10)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자기장은 보이스코일(24)에 전류가 인가되어 보이스코일(24)이 자성을 띠게 되면 보이스코일(24)의 자력 극성에 따라 보이스코일(24)을 당기거나 밀어내게 된다. 즉, 보이스코일(24)의 자력 극성이 플레이트(22)와 하측의 요크(10)의 자력 극성과 같으면 상호 반발하여 보이스코일(24)을 밀어내어 보이스코일(24)을 앞으로 이동시키고, 플레이트(22)와 하측의 요크(10)의 자력 극성과 다르면 서로 흡인하여 보이스코일(24)을 뒤로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이스코일(24)이 움직이면 보이스코일(24)이 고정되어 있는 진동판(28)이 앞뒤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금속판(32) 및 금속판(32)에 본딩된 압전 세라믹(31)으로 이루어지는 압전 소자(30)가 결합되고 상기 압전 소자(30)가 진동판(28)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요크(10)의 상측 개구부에 배치되어 요크(10)와 결합되는 캡(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스피커는, 다이나믹 스피커의 진동판(28) 작용으로 저역음이 발생되고, 압전 소자(30)로 이루어진 스피커가 고역음을 발생시킴으로써, 고음과 저음이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2웨이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2웨이 스피커는, 고역음을 압전소자를 이용한 트위터 스피커로 구성함으로써 부드러운 음색을 발생시키지 못하였고, 진동판으로부터 발생된 저역음이 캡(금속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음배출공들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직진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진동판에서 발생된 음은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어야 했으나,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지 못하고 금속판 가장자리의 음배출공들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음의 명료도가 저하되거나 음이 왜곡되며, 이질감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15815호(공고일 : 2015.05.06)
본 발명의 목적은, 저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와 고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역음과 저역음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저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의 저역음이 고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의 중앙을 통하여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음의 왜곡이나 이질감을 방지할 수 있고, 음이 직진성을 갖도록 하여 음의 명료도를 높일 수 있는 2웨이 다이나믹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공형의 프레임; 저역음 발생을 위한 외자형 자기장부와,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고, 고역음 발생을 위한 내자형 자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부재;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입구 쪽에 저역음용 보이스코일 구비하여 설치되는 저역음 진동판; 및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타측 입구 쪽에 고역음용 보이스코일을 구비하여 설치되는 고역음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의 외자형 자기장부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에서 발생된 저역음이 상기 관통공 쪽으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저역음 배출로가 관통되어 마련되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와 상기 고역음 진동판 사이에는, 상기 저역음 배출로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 쪽으로 안내하여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중앙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형의 저역음 노즐 프레임이 배치되되,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은, 상기 저역음 배출로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중앙으로 모아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에 접하는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내측 고정링이 안착되기 위한 내측 고정링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내측 고정링 안착부와 같은 위치의 상기 프레임 내주면에는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외측 고정링이 안착되기 위한 외측 고정링 안착단이 형성되며, 상기 저역음 진동판이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고정링이 안착되기 위한 고정링 안착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외측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외측면과 같은 형상의 내측면을 구비한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을 억제하도록 상기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되, 가장자리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고정링을 상기 고정링 안착단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과 내측 가장자리 영역의 외측면과 같은 형상의 내측면을 구비한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가,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을 억제하도록 상기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되,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내측 고정링과 외측 고정링을 상기 내측 고정링 안착부와 상기 외측 고정링 안착단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는, 중앙에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개구된 오목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확장단이 형성된 요크; 상기 수용부의 벽과의 사이에 상기 저역음용 보이스코일이 위치하도록 상기 벽의 내측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고정되는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상면에 결합되는 외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 상기 수용부 벽의 외측과의 사이에 상기 고역음용 보이스코일이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부 벽의 외측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확장단의 이면에 고정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내자형 영구자석에 결합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내자형 자기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일면과 상기 확장단의 상면, 또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일면이나 상기 확장단의 상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과 자기장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공간 축소부는 상기 외자형 진동판 및 상기 확장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는,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각각의 외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외자형 자기장부; 및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외측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내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내자형 자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내자형 영구자석 사이에 비자성체 격벽이 위치하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자성체 격벽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비자성체 격벽의 단부에는,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저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내자형 자력판의 표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과 자기장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 축소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자성체 격벽이 인서트 사출될 때,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일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과 자기장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공간 축소부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역음 배출로는, 상기 공간 축소부와, 상기 외자형 자력판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요크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공간 축소부와 외자형 자력판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요크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역음 배출로는,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역음 배출로는, 상기 공간 축소부와,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공간 축소부와,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와 고역음 발생용 다이나믹 스피커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역음과 저역음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2웨이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역음용 진동판에서 발생된 저역음이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에 형성된 저역음 배출로를 통하여 고역음 진동판의 중앙에 구비된 저역음 노즐 프레임의 관통공으로 배출됨으로써, 저역음이 고역음 진동판의 중심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될 수 있고, 따라서 음의 명료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음의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질감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요크와 노즐 프레임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품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6,7은 도 2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는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과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이나믹 스피커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이나믹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와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외자형 자기장부의 외자형 자력판에 공간 축소부가 일체형 또는 별도 부착형으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동시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 도 10에 도시된 자기장 발생부재에 공간 축소부가 일체형 또는 별도 부착형으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요크와 노즐 프레임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품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는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과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이나믹 스피커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이나믹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와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외자형 자기장부의 외자형 자력판에 공간 축소부가 일체형 또는 별도 부착형으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100)는, 중공형의 프레임(200)과, 저역음 발생을 위한 외자형 자기장부(310)와, 외자형 자기장부(310)와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고, 고역음 발생을 위한 내자형 자기장부(320)를 구비하여 프레임(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부재(300)와, 외자형 자기장부(310)와 마주보는 프레임(200)의 일측 입구 쪽에 저역음용 보이스코일(410) 구비하여 설치되는 저역음 진동판(400)과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510)을 구비하여 프레임(200)의 타측 입구 쪽에 고역음용 보이스코일(520)을 구비하여 설치되는 고역음 진동판(500)과, 저역음 배출로(362)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10) 쪽으로 안내하여 저역음이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도록 자기장 발생부재(300)와 고역음 진동판(500) 사이에 설치되는 중공형의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저역음 배출로(362)는, 요크(360)의 바닥에 형성되거나,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요크(360)의 바닥과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요크(360)의 바닥에 형성되는 저역음 배출로에 대한 도며부호와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저역음 배출로의 도면부호는 모두 '362'로 통일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프레임(20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100)의 틀을 이루는 것으로,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은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스피커(100)의 용도나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원통형, 다각형통형, 타원통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자기장 발생부재(30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저역음 진동판(400)의 저역음용 보이스코일(410)과 고역음 진동판(500)의 고역음용 보이스코일(520)이 전류의 세기에 따라 물리적 운동을 하여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기장 발생부재(300)는, 중앙에 저역음 진동판(400) 쪽으로 개구된 오목한 수용부(364)를 구비하고, 수용부(364)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단부가 프레임(2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확장단(368)이 형성된 요크(360)와, 수용부(364)의 벽(364A)의 사이에 저역음용 보이스코일(410)이 위치하도록 수용부(364) 벽(364A)의 내측과 간격을 유지하여 수용부(364)의 바닥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상면에 결합되는 외자형 자력판(314)으로 이루어진 외자형 자기장부(310)과, 수용부(364) 벽(364A)의 외측과의 사이에 고역음용 보이스코일(520)이 위치하도록 수용부(364)의 벽(364A) 외측과 간격을 유지하여 확장단(368)의 이면에 고정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영구자석(322)과, 내자형 영구자석(322)에 결합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자력판(324)으로 이루어진 내자형 자기장부(320)로 이루어진다.
요크(360)와 외자형 자력판(324)은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가장자리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진동판(400)에서 발생한 저역음이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 쪽으로 배출되기 위한 저역음 배출로(362)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이 저역음 배출로(362)는, 원형은 물론, 타원형 또는 원호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역음 배출로(3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역음 배출로(362)는 외자형 자력판(314)과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요크(360)의 수용부(364)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저역음 배출로(362)가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저역음 진동판(400)에 발생된 저역음은 직진성을 가지고 굴절 간섭없이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에 안내되어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저역음의 명료도가 향상되고 왜곡과 이질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역음 배출로(362)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고, 외자형 자력판(314)과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역음 배출로(362)는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가장자리, 그리고 외자형 자력판(314)과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저역음이 다양한 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저역음이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된 저역음 배출로(362)와, 외자형 자력판(314)과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저역음 배출로(362)를 통하여 동시에 배출될 수 있음으로써, 저역음의 배출이 직진성을 가지고 간섭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저역음 진동판(400)은, 수용부(364)의 벽(364A) 내측과 외자형 자력판(314) 사이에 위치하는 저역음용 보이스코일(410)을 구비하고, 프레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링 안착단(210)에, 저역음 진동판(400)의 가장자리에 일체화된 고정링(420)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저역음 진동판(400)의 외측면에는, 도 2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진동판(400)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외측면(430)과 같은 형상의 내측면(442)을 구비한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440)가 결합된다. 이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440)는, 저역음 진동판(400)의 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을 억제하도록 외측면(430)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440)의 가장자리는 저역음 진동판(400)의 고정링(420)을 고정링 안착단(210)에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 구조로 저역음 진동판(400)은 프레임(200)에 안정된 고정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440)가 저역음 진동판(400)의 외측면(430)에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저역음 진동판(400)의 음 재생시에 저역음 진동판(400)이 공진에 의해 울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440)의 외측면에는 각 보이스코일(410,5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피씨비(800)가 결합된다.
고역음 진동판(500)은,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510)을 구비하여 프레임(200)의 타측(저역음 진동판이 설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 입구 쪽에 고역음용 보이스코일(520)을 구비하여 설치되어, 저역음 진동판(400)에 비하여 고역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고역음 진동판(500)은, 중앙에 관통공(510)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510)의 가장자리에는 내측 고정링(540)이 마련되고,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외측 고정링(55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역음 진동판(500)은, 내측 고정링(540)이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외주면 형성된 내측 고정링 안착부(720)에 안착되고, 외측 고정링(550)은 내측 고정링 안착부(720)와 같은 위치의 프레임(200) 내주면에 형성되는 외측 고정링 안착단(220)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서,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외주면에는 내측 고정링 안착부(720)가 형성되고, 내측 고정링 안착부(720)와 같은 위치의 프레임(200) 내주면에는 외측 고정링(550)이 안착되기 위한 외측 고정링 안착단(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역음 진동판(500)의 내측 고정링(540)이 내측 고정링 안착부(720)에 안착되고, 외측 고정링(550)이 외측 고정링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2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560)가 내측 고정링(540)을 내측 고정링 안착부(720)에 가압하고, 외측 고정링(550)을 외측 고정링 안착단(220)에 가압하여 고정한다.
즉, 고역음 진동판(500)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501)과 내측 가장자리 영역(503)의 외측면(505)과 같은 형상의 내측면(562)을 구비한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560)가, 고역음 진동판(500)의 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을 억제하도록 외측면(505)에 밀착되게 결합되되,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가 고역음 진동판(500)의 내측 고정링(540)과 외측 고정링(550)을 내측 고정링 안착부(720)와 외측 고정링 안착단(220)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56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음 배출공(564)들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510)와 일치되는 캡부재 관통공(56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560)가 고역음 진동판(500)을 고정시키고, 내측면(562)이 외측면(505)에 밀착됨으로써, 고역음 진동판(500)의 음 재생시에 공진에 의한 울림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어서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고역음 진동판(500)의 지름(크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진동판(400)의 지름(크기)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저역음 진동판(4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고역음 진동판(500)의 지름을 저역음 진동판(400)의 크기와 같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고역음의 음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2웨이 다이나믹 스피커의 경우에 고역음 발생용 트위터 진동판의 크기가 저역음 진동판(4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음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원과 같이 고역음 진동판(500)의 지름이 저역음 진동판(400)의 크기와 같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역음의 음장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역음 진동판(500)의 크기를 저역음 진동판(400)의 크기와 같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에 저역음이 배출되기 위한 관통공(566)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은, 자기장 발생부재와(300)의 외자형 자기장부(310)와 고역음 진동판(500) 사이에 배치되어 저역음 배출로(362)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10) 쪽으로 안내하여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은 비자성체의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일단은 자기장 발생부재(300)에 접하고, 타단은 관통공(510) 내에 위치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64)의 바닥 또는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저역음 배출로(362)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으로 모아서 배출시키도록 자기장 발생부재(300)에 접하는 일단이 타단(관통공에 위치하는 영역)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경사진 안내면(740)이 형성된다. 여기서 타단의 내경은 저역음이 안내되어 배출되는 노즐공(770)이다.
특히,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일단은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외측면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단이 수용부(364)의 바닥과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일부가 요크(360)의 수납부(364)의 바닥 내측으로 관통하여 턱(750)을 형성하도록 요크(360)과 인서트 사출 성형을 하는 것이다. 이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은 요크(360)과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수용부(364)의 바닥에 형성된 각 저역음 배출로(362)로 배출되는 저역음이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면(740)에 안내되어 타단에 형성된 노즐공(77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이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요크(360)와 일체화될 때,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가장자리 전체에 환형(링형상)의 턱(750)이 형성되므로, 외자형 영구자석(312)가 수용부(364) 바닥에 부착되어 설치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750)이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하단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격(t)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t)을 형성하는 턱(750)은, 외력에 의해 외자형 영구자석(312)이 수용부(364)의 바닥에서 떨어지더라도 수용부(364)의 벽(364A)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자형 영구자석(312)이나 외자형 자력판(314)이 저역음용 보이스 코일(4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즉, 수용부(364)의 바닥 가장자리에 턱(750)이 형성됨으로써 외자형 영구자석(312)이 수용부(364)의 벽(364A) 쪽으로 이동하는 것(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경사진 안내면(740)이 형성되고 타단에 노즐공(770)이 형성된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이 요크(360)와 고역음 진동판(500)의 관통공(51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저역음 진동판(400)에 발생된 저역음이 간섭없이 직진성을 가지고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영역에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100)는, 피씨비(800)를 통하여 전원이 각 보이스코일(410,520)에 인가되면, 각 보이스코일(410,520)은 기계적 운동을 하게 된다.
이 과정으로 저역음 진동판(400)에서는 저역음이 발생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배출로(362)와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노즐공(770)을 통하여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고역음 진동판(500)에서 발생된 고역음은 곧바로 저역음과 같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저역음 배출로(3612)가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단독으로 형성되거나, 수용부(364)의 바닥 가장자리에 형성됨과 동시에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저역음 진동판(400)에서 발생된 저역음은 수용부(364) 바닥과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에 형성된 저역음 배출로(362)로 배출된 후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에 안내되어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을 통하여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역음이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면(740)과 노즐공(770)을 통하여 직진성을 가지고 고역음 진동판(500)의 중앙에서 고역음과 같은 방향으로 배출됨으로써 음의 명료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저역음 진동판(400)의 외측면에 저역음 진동판 캡부재(440)이 밀착되어 결합되고, 고역음 진동판(500)의 외측면에 고역음 진동판 캐붑재(560)이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음 발생시 공진에 의한 음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명료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각 캡부재(440,560)가 각 진동판(400,500)의 외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음 발생시 각 진동판(400,500)이 공진에 의하여 울리는 현상이 최소화되고, 따라서 음의 명료도를 높이고 왜곡과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진동판(400)을 향하는 외자형 자력판(314)의 일면에는, 저역음 진동판(400)과 외자형 자기장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314A)가 저역음 진동판(400)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간 축소부(314A)가 외자형 자력판(314)에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공간(S)의 용적 축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저역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간(S)의 용적이 공간 축소부(314A)에 의해 축소됨으로써 저역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이 최소화되어 음의 명료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축소부(314A)는 별도로 제작되어 외자형 자력판(314)의 일면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100)는, 자기장 발생부재(300)가 아래와 같이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자기장 발생부재(300)는,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각각의 외자형 자력판(314)으로 이루어진 외자형 자기장부(310)과, 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외측면(원형인 경우에 외주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영구자석(322)과, 내자형 영구자석(322)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자력판(324)으로 이루어진 내자형 자기장부(3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내자형 영구자석(322) 사이에 비자성체 격벽(900)이 형성되도록 자기장 발생부재(300)가 프레임(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레임(200)과 비자성체 격벽(900)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내자형 영구자석(322) 사이에 비자성체 격벽(900)이 형성되도록 프레임(200)과 비자성체 격벽(900)이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자장세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내자형 영구자석(322) 중심에 외자형 영구자석(312)을 배치할 경우에, 링 타입의 내자형 영구자석(322) 대비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체적이 적어질 수 밖에 없음으로 중심에 배치한 외자형 영구자석(312)은 체적대비 자장이 약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자계 흐름이 체적이 크고 자장이 센 내자형 영구자석(322) 쪽으로 일부 자계가 흘러 자장이 분산되므로 2개의 영구자석(312,322)를 중심에 위치한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자장은 약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내자형 영구자석(322) 사이에 자장이 도통되지 않는 비자성체 격벽(900)을 형성함으로써, 내자형 영구자석(322)의 자(N)력이 외자형 자력판(314)과 내자형 자력판(324)을 통하여 중앙에 위치한 외자형 영구자석(312)에 흐르도록 하여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자장 세기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비자성체 격벽(900)의 단부에는,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된다. 즉, 프레임(200)과 비자성체 격벽(900) 및 저역음 노즐 프레임(700)을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함으로써, 각 부품을 조립해야 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배출로(362)가,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외자형 자력판(314)의 중앙을 관통하여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저역음 배출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저역음 배출로가 외자형 자기장부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동시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배출로(362)는, 고역음 진동판(500) 쪽의 외자형 자력판(314)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고,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외자형 자력판(314)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역음 배출로(362)가 중앙과 가장자리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3 내지 도 16는 도 10에 도시된 자기장 발생부재에 공간 축소부가 일체형 또는 별도 부착형으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진동판(400)을 향하는 내자형 자성판(324)의 표면에는, 저역음 진동판(400)과 자기장 발생부재(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324A)가 구비되되, 공간 축소부(324A)는 프레임(200)과 비자성체 격벽(900)이 인서트 사출성형 될 때, 저역음 진동판(400)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프레임(200)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저역음 진동판(400)을 향하는 외자형 자력판(314)의 일면에는, 저역음 진동판(400)과 외자형 자기장부(310), 즉 자기장 발생부재(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314A)가 저역음 진동판(400)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즉, 저역음 진동판(400)을 향하는 내자형 자성판(324)의 표면과, 외자형 자력판(314)의 일면에 공간(S)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324A,314A)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외자형 자력판(314)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간 축소부(314A)는 외자형 자력판(314)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 축소부(324A,314A)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 제작되어 저역음 진동판(400)을 향하는 내자형 자성판(314)의 표면과, 외자형 자력판(314)의 일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축소부(314A)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제작되어 부착된 경우(도 15 및 도 16에서는 공간 축소부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도시함)에도 외자형 자기장부(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저역음 배출로(362)가 형성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음 배출로(362)는, 요크(360)의 수용부(364) 바닥 가장자리에 형성됨과 동시에, 공간 축소부(314A)와, 외자형 영구자석(312)과, 외자형 영구자석(312)이 부착되어 수용되는 요크(360)의 바닥의 중앙을 관통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축소부(314A)와 양쪽의 외자형 자성판(314)들과 외자형 영구자석(312)의 중앙을 관통하여 저역음 배출로(362)가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스피커 200 : 프레임
300 : 자기장 발생부재 310 : 외자형 자기장부
320 : 내자형 자기장부 400 : 저역음 진동판
440 :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 500 : 고역음 진동판
560 :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 700 : 저역음 노즐 프레임
800 : 피씨비

Claims (14)

  1. 중공형의 프레임; 저역음 발생을 위한 외자형 자기장부와,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고, 고역음 발생을 위한 내자형 자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부재;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입구 쪽에 저역음용 보이스코일 구비하여 설치되는 저역음 진동판; 및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타측 입구 쪽에 고역음용 보이스코일을 구비하여 설치되는 고역음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의 외자형 자기장부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에서 발생된 저역음이 상기 관통공 쪽으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저역음 배출로가 관통되어 마련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와 상기 고역음 진동판 사이에는, 상기 저역음 배출로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 쪽으로 안내하여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중앙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형의 저역음 노즐 프레임이 배치되되,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는,
    중앙에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개구된 오목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확장단이 형성된 요크; 상기 수용부의 벽과의 사이에 상기 저역음용 보이스코일이 위치하도록 상기 벽의 내측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고정되는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상면에 결합되는 외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외자형 자기장부; 상기 수용부 벽의 외측과의 사이에 상기 고역음용 보이스코일이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부 벽의 외측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확장단의 이면에 고정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내자형 영구자석에 결합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내자형 자기장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저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일면과 상기 확장단의 상면 또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일면이나 상기 확장단의 상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과 자기장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구비되거나,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각각의 외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외자형 자기장부; 및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외측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내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링 타입의 내자형 자력판으로 이루어진 내자형 자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내자형 영구자석 사이에 비자성체 격벽이 위치하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자성체 격벽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되는 경우에, 상기 고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비자성체 격벽의 단부에는,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은,
    상기 저역음 배출로로 배출되는 저역음을 중앙으로 모아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부재에 접하는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노즐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내측 고정링이 안착되기 위한 내측 고정링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내측 고정링 안착부와 같은 위치의 상기 프레임 내주면에는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외측 고정링이 안착되기 위한 외측 고정링 안착단이 형성되며,
    상기 저역음 진동판이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고정링이 안착되기 위한 고정링 안착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외측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외측면과 같은 형상의 내측면을 구비한 저역음 진동판용 캡부재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을 억제하도록 상기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되, 가장자리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의 고정링을 상기 고정링 안착단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과 내측 가장자리 영역의 외측면과 같은 형상의 내측면을 구비한 고역음 진동판용 캡부재가,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음 재생시 공진에 의한 울림을 억제하도록 상기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되,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고역음 진동판의 내측 고정링과 외측 고정링을 상기 내측 고정링 안착부와 상기 외측 고정링 안착단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축소부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 및 상기 확장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내자형 자력판의 표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과 자기장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 축소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자성체 격벽이 인서트 사출될 때,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역음 진동판을 향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일면에는,
    상기 저역음 진동판과 자기장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공간 축소부가 상기 저역음 진동판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공간 축소부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배출로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요크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외자형 자력판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요크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배출로는,
    상기 공간 축소부와, 상기 외자형 자력판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요크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공간 축소부와 외자형 자력판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요크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배출로는,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음 배출로는,
    상기 공간 축소부와,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공간 축소부와, 외자형 영구자석과, 상기 외자형 영구자석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외자형 자력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역음 진동판 쪽의 상기 외자형 자력판 가장자리에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KR1020160106957A 2016-08-23 2016-08-23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KR10176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957A KR101760291B1 (ko) 2016-08-23 2016-08-23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PCT/KR2017/009178 WO2018038516A1 (ko) 2016-08-23 2017-08-23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957A KR101760291B1 (ko) 2016-08-23 2016-08-23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291B1 true KR101760291B1 (ko) 2017-07-24

Family

ID=5942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957A KR101760291B1 (ko) 2016-08-23 2016-08-23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0291B1 (ko)
WO (1) WO201803851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87A1 (ko) * 2017-11-20 2019-05-23 주식회사 비에스이 하이브리드 스피커
WO2020105806A1 (ko) * 2018-11-21 2020-05-28 박만금 스피커부재연결구조
KR102667294B1 (ko) * 2022-12-26 2024-05-21 주식회사 이엠텍 Fpcm을 진동판으로 구비하는 트위터 스피커를 포함하는 투웨이 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571B1 (ko) * 2020-11-12 2022-08-17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TWI763515B (zh) * 2021-06-02 2022-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揚聲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37B1 (ko) * 2002-03-30 2005-10-06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2-웨이 스피커
KR20060002538A (ko) * 2004-07-02 2006-01-09 크레신 주식회사 2-웨이 스피커 유닛
FR2955444B1 (fr) * 2010-01-15 2012-08-03 Phl Audio Systeme de haut-parleur coaxial a chambre de compression
KR101501898B1 (ko) * 2014-01-28 2015-03-2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일체형 2웨이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KR101738902B1 (ko) * 2014-10-23 2017-05-25 주식회사 알머스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소자를 이용한 고음질 스피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87A1 (ko) * 2017-11-20 2019-05-23 주식회사 비에스이 하이브리드 스피커
US11128948B2 (en) 2017-11-20 2021-09-21 Bse Co., Ltd. Hybrid speaker
WO2020105806A1 (ko) * 2018-11-21 2020-05-28 박만금 스피커부재연결구조
KR102667294B1 (ko) * 2022-12-26 2024-05-21 주식회사 이엠텍 Fpcm을 진동판으로 구비하는 트위터 스피커를 포함하는 투웨이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516A1 (ko)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291B1 (ko) 다이나믹 스피커를 이용한 일체형 2웨이 스피커
US7454025B2 (en) Loudspeaker with internal negative stiffness mechanism
US6269168B1 (en) Speaker apparatus
JP3205787U (ja) 気流集中管を具えたイヤフォン装置
KR101769470B1 (ko) 만능 스피커
JP4181989B2 (ja) 直接放射と最適放射の音響性能を持つスピーカ
KR101256539B1 (ko) 스피커 장치
KR101907513B1 (ko) 하이브리드 스피커
US9271071B2 (en) Loudspeaker
JP2012138887A (ja) 振動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スピーカー装置
EP1755357B1 (en) Coaxial two-way drive unit for horn speakers
KR101863499B1 (ko) 요크와 별도의 프레임을 가지는 스피커
US10129653B2 (en) Speaker apparatus
CN211720735U (zh) 一种骨传导振动喇叭
US20050115762A1 (en) Speaker Unit
WO2022215558A1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電気音響変換器用ユニット
KR102543007B1 (ko) 평판형 트위터 진동판을 적용한 투웨이 리시버
KR101087493B1 (ko) 평판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자기변형 스피커
KR20050054641A (ko) 양면 보이스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US20230111935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loudspeaker, microphon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id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723640B1 (ko) 자력부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평면 스피커
WO2006027860A1 (ja) スピーカ
US20110135142A1 (en) Magnetic circuit and speaker using same
JP2005333608A (ja) 平面スピーカー
US20070160256A1 (en) Coaxial two-way drive unit for horn spe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